KR200258055Y1 - 액침 표본 용기 - Google Patents

액침 표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8055Y1
KR200258055Y1 KR2019990010701U KR19990010701U KR200258055Y1 KR 200258055 Y1 KR200258055 Y1 KR 200258055Y1 KR 2019990010701 U KR2019990010701 U KR 2019990010701U KR 19990010701 U KR19990010701 U KR 19990010701U KR 200258055 Y1 KR200258055 Y1 KR 200258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ewing tube
intermediate viewing
container
specime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200U (ko
Inventor
윤성종
김대현
김흥대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청 : 특허청장, 승계청 : 국립수산진흥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청 : 특허청장, 승계청 : 국립수산진흥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청 : 특허청장, 승계청 : 국립수산진흥원장)
Priority to KR2019990010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805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4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8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8055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본을 보관하기 위한 액침 표본 용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시효과와 누수방지가 뛰어난 액침 표본 용기에 관한 것이다.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베이스 위에 부착된 중간 투시관과, 상기 중간 투시관을 덮는 겉덮개를 구비한 본 고안의 액침 표본 용기는, 상기 중간 투시관과 상기 겉덮개 사이에 상기 중간 투시관을 밀폐시키면서 덮는 속덮개가 배치되고, 상기 속덮개의 일측 모서리에 상기 중간 투시관으로 보존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는 표본을 부착하기 위한 투명 아크릴판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아크릴판은 다수의 지지용 피스에 의해서 상기 중간 투시관에 고정된다.

Description

액침 표본 용기{IMMERSING-TYPE SPECIMEN CASE}
본 고안은 표본을 보관하기 위한 액침 표본 용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시효과와 누수방지가 뛰어난 액침 표본 용기에 관한 것이다.
표본 용기란 채집한 생물 표본을 원래의 상태대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교육용이나 실습용 또는 관상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때, 표본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생물 표본을 약품처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보존액을 표본 용기에 채워서 보존액에 표본을 담가 두기도 한다.
종래에는 표본을 저장하는 용기로 주로 원통형 유리 용기를 사용하였는데, 유리 용기는 깨지기 쉬워서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으며, 원통형 용기는 외부에서 관찰할 때 내부에 있는 표본이 굴절되어 보이므로 교육용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하지가 않았다.
또한, 종래의 표본 용기는 완전히 밀폐되지 않아서 표본이 상하거나 보존액이 증발하기 쉬웠다. 게다가 보존액을 교환하거나 보충할 경우 용기의 뚜껑을 완전히 개방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보존액이 증발하거나 변질되기 쉬워 표본 용기를 장기간 저장하기에는 불충분한 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표본을 잘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외부에서 관찰할 때 표본이 굴절되어 보이지 않고, 또한 표본을 장기간 보관하기에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튼튼한 액침 표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베이스위에 부착된 중간 투시관과, 상기 중간 투시관을 덮는 겉덮개를 구비한 액침 표본 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 투시관과 상기 겉덮개 사이에는 상기 중간 투시관을 밀폐시키면서 덮는 속덮개가 배치되고, 상기 속덮개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중간 투시관으로 보존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는 표본을 부착하기 위한 투명 아크릴판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아크릴판은 다수의 지지용 피스에 의해서 상기 중간 투시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침 표본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용기는 상기 주입구를 통해 보존액을 주입하지 않는 동안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베이스는 상기 중간 투시관을 삽입 결합하기 위한 사각홈을 구비하며, 상기 사각홈은 내부에 아크릴 용해제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 투시관과 상기 사각홈의 삽입 결합시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투시관의 일측에 상기 용기에 보관되는 표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설명판을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침 표본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액침 표본 용기의 개략적인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중간 투시관과 속덮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입구 주변의 배치관계를 도시하기 위한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표본 부착판과 지지용 피스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
<도면의 중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침 표본 용기 12 : 하부 베이스
14 : 중간 투시관 16 : 겉덮개
18 : 속덮개 19 : 주입구
20 : 표본 부착판 22 : 지지용 피스
24 : 패킹 마개 30 : 설명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침 표본 용기(10)에 표본이 보관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침 표본 용기(10)는 대략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굴곡된 면이 없으며, 그에 따라 표본을 관찰할 때 표본이 굴절되어 보이지 않는다.
도 2에는 도 1의 액침 표본 용기가 개략적으로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침 표본 용기는 대략 하부 베이스(12), 중간 투시관(14) 및 겉덮개(16)로 이루어진다. 하부 베이스(12)는 액침 표본 용기(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간 투시관(14)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베이스(12)는 중간 투시관(14)과 결합하기 위해서 중간 투시관(14)의 단부에 대응하는 사각홈이 형성된다. 이 때, 사각홈의 폭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간 투시관(14)의 두께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이 좋으며, 깊이는 중간 투시관(14)과의 결합을 위해 충분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깊이의 경우 지나치게 깊은 것은 구조적으로 좋지 않기 때문에, 대략 3 내지 10mm, 특히 대략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하부 베이스(12)와 중간 투시관(14)은 투명 아크릴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금형사출 등의 방법으로 정밀하게 제작되어야 한다.
중간 투시관(14)을 하부 베이스(12)에 결합시킬 때, 누수 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결합부위에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베이스(12)에 형성된 홈에 아크릴 용해제를 홈 깊이의 대략 1/3정도 채워 넣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때, 아크릴 용해제가 채워진 사각홈에 중간 투시관(14)을 끼워 넣으면, 사각홈에 끼워져서 밀착된 중간 투시관(14)의 단부가 아크릴 용해제를 밀어내면서 사각홈과의 밀착부에 아크릴 용해제가 고루 퍼지게 되고, 그 후 중간 투시관(14)의 단부가 아크릴 용해제에 의해 용해되었다가 다시 응고되면서 완벽하게 밀착되어 접착되므로 뛰어난 방수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겉덮개(16)는 중간 투시관(14)을 덮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겉덮개(16) 이외에 속덮개를 더 사용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속덮개(18)가 도시되어 있다.
속덮개(18)는 중간 투시관(16)보다 조금 작거나 같은 크기를 가지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는데, 상면은 전체적으로 평면이며, 하면에는 중간 투시관(16)에 삽입되도록 소정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 때, 속덮개(18)의 돌출부는 중간 투시관(16)의 내면과 거의 같은 크기와 형상을 가져서 속덮개(18)를 중간 투시관(16)에 덮을 때 용기가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덮개(18)의 돌출부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속덮개(18)의 일측 구석에는 용기에 보존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9)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19)를 이용함으로써, 표본 용기의 보관자는 보존액을 넣을 때 용기의 덮개를 모두 벗길 필요 없이 주사기 등을 사용하여 주입구(19)를 통해 보존액을 손쉽게 넣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액침 표본 용기는 주입구(19)를 막기 위한 패킹 마개(24)를 더 포함한다. 패킹 마개(24)는 평상시 보존액이 증발하거나 변질되지 않도록 주입구(19)를 밀폐 시는 기능을 하며, 보존액을 넣을 필요가 있을 때에도 작업자는 패킹 마개(24)를 열기만 하면 되므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패킹 마개(24)는 코르크나 고무로 만들 수 있다.
중간 투시관(14)의 일측에는 소정의 설명판(30)이 부착될 수 있다.설명판(30)은 용기에 보관되는 표본의 종류, 보관 기간, 보존액의 종류 등 다양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이, 코팅지, 또는 아크릴 판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설명판(30)은 일반적으로 중간 투시관(14) 외면에 부착하며, 설명판(30)을 변경하지 못하게 하는 등의 특별한 목적을 위해서는 중간 투시관(14)의 내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덮개 주변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 투시관(14) 위에 속덮개(18)가 놓여져 있으며, 그 위에는 속덮개(18)를 둘러싸듯이 겉덮개(16)가 놓여져 있다. 이 때, 겉덮개(16)와 속덮개(18)는 중간 투시관(14)에 피스 결합에 의해서 결합되어 표본을 보관하는 동안 용기를 구조적으로 튼튼하고 안정되게 하며, 덮개와 중간 투시관의 결합력을 높여서 용기를 더욱 밀폐시켜 용기 내의 보존액이 새지 않고 변질되지 않도록 보호하게 된다. 피스 결합을 위해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덮개(16)와 속덮개(18) 및 중간 투시관(14)을 통해 일정하게 구멍(27, 28)이 형성되어 그 구멍을 통해 피스(26)가 삽입되게 된다.
도 5에는 용기 내에 보관할 표본을 부착시켜 고정하기 위한 표본 부착판(20)과 상기 표본 부착판(20)을 용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용 피스(22)가 도시되어 있다. 표본 부착판(2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지지용 피스(22)가 사용되는데, 각각의 지지용 피스(22)는 평평한 한 면이 중간 투시관(14)에 부착되고, 다른 면에는 오목한 홈을 가져서 표본 부착판(20)이 홈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표본 부착판(20)과 지지용 피스(22)는 아크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용피스(22)를 중간 투시관(14)에 부착시킬 때는, 중간 투시관(14)을 하부 베이스(12)에 부착시킬 때와 유사한 방식으로, 아크릴 용해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액침 표본 용기는 이중 덮개를 사용하여 용기의 밀폐성을 높임으로써 용기 내의 보존액이 증발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존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와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착탈 가능한 패킹 마개를 포함하여 보존액을 주입할 때 생기는 불편함과 불안전함을 해결하였다.
또한, 용기에 표본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설명판을 부착함으로써 표본을 다루는 사용자나 관리자가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각기둥 형태의 액침 표본 용기를 제시하였으나 오각기둥, 육각기둥 등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4)

  1. 하부 베이스와, 상기 하부 베이스 위에 부착된 중간 투시관과, 상기 중간 투시관을 덮는 겉덮개를 구비한 액침 표본 용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 투시관과 상기 겉덮개 사이에는 상기 중간 투시관을 밀폐시키면서 덮는 속덮개가 배치되고, 상기 속덮개의 일측 모서리에는 상기 중간 투시관으로 보존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는 표본을 부착하기 위한 투명 아크릴판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아크릴판은 다수의 지지용 피스에 의해서 상기 중간 투시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침 표본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주입구를 통해 보존액을 주입하지 않는 동안에 상기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침 표본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는 상기 중간 투시관을 삽입 결합하기 위한 사각홈을 구비하며, 상기 중간 투시관과 상기 사각홈의 삽입 결합시 상기 사각홈은 내부에 밀착 결합을 위한 결합제로 아크릴 용해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침 표본 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투시관의 일측에 상기 용기에 보관되는 표본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설명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침 표본 장치.
KR2019990010701U 1999-06-16 1999-06-16 액침 표본 용기 KR200258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701U KR200258055Y1 (ko) 1999-06-16 1999-06-16 액침 표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701U KR200258055Y1 (ko) 1999-06-16 1999-06-16 액침 표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00U KR20000004200U (ko) 2000-03-06
KR200258055Y1 true KR200258055Y1 (ko) 2001-12-24

Family

ID=54757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701U KR200258055Y1 (ko) 1999-06-16 1999-06-16 액침 표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80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05B1 (ko) * 2014-02-05 2015-07-09 (주)해양생태기술연구소 전시용 액침 표본의 가시화 향상을 위한 표본 받침대
CN107878895B (zh) * 2017-12-11 2023-12-19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生物浸制标本的储存容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200U (ko) 200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1389B1 (en) Container providing a controlled hydrated environment
US5640969A (en) Lid for an analytical specimen cup
ES2258583T3 (es) Placas de almacenamiento de sistema cerrado.
EP0292783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vaporating a solution
KR200258055Y1 (ko) 액침 표본 용기
US5674456A (en) Medical specimen shipping container
US5918393A (en) Collectible display device for multiple displays
JP2733907B2 (ja) 乾燥カプセル及び該カプセルを備えた製品
US5396984A (en) Container for storing at least one contact lens
CA2002079C (en) Multiplate subculture solid media devices
JPS5894383A (ja) 培養器具
JP3464827B2 (ja) サンプルバイアル
CN212226630U (zh) 一种指纹点名机防护支撑装置
JP3012469B2 (ja) 化学発光測定装置において用いる試薬の容器
CN111516978B (zh) 一种泌尿科用标本保存及检验装置
JPH047759Y2 (ko)
JPH1132586A (ja) 植物栽培用容器及び植物栽培用容器への培地の 注入方法
CN212051337U (zh) 用于生物培养的水平载玻片放置盒
CN210375793U (zh) 一种土壤监测采样瓶
CN210823570U (zh) 危化品运输入库整理箱
KR102040121B1 (ko) 렌즈 보관 용기
KR200242214Y1 (ko) 화이트 보드판을 갖는 밀폐용기
KR200343166Y1 (ko) 사물함
KR910005137Y1 (ko) 생물표본 보관용기
JP2020096535A (ja) 培養容器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