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959Y1 - 화장대 - Google Patents

화장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959Y1
KR200257959Y1 KR2020010027460U KR20010027460U KR200257959Y1 KR 200257959 Y1 KR200257959 Y1 KR 200257959Y1 KR 2020010027460 U KR2020010027460 U KR 2020010027460U KR 20010027460 U KR20010027460 U KR 20010027460U KR 200257959 Y1 KR200257959 Y1 KR 200257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upper plate
mirror
mirror frame
slidably insta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수
Original Assignee
박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해수 filed Critical 박해수
Priority to KR2020010027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959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및 사용자의 소지품을 올려 놓는 상부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근처 하부에는 상부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으로 하부를 향해서 4개의 다리부가 설치되어 있고, 4개의 다리부의 상부에 형성된 절결부와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사이에는 서랍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소지품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서랍수용부에는 적어도 한쌍의 서랍이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부 플레이트의 배면 및 서랍수용부의 배면에는 거울이 부착된 거울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거울프레임의 앞쪽 하부에는 거울 프레임을 상부 플레이트의 뒤쪽 상부면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수평기준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비밀 서랍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귀금속을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대{DRESSING TABLE}
본 고안은 외모를 아름답게 보기이 위하여 화장을 하거나 의복을 입을 때 자신의 외모를 비출 수 있는 거울을 구비한 화장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이와 같은 화장대는 2000년 6월 5일자로 한국 특허청에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2758호가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92758호에 개시되어 있는 화장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되는 본체(10)와, 미용 서비스를 받는 동안 미용사나 고객이 TV 프로그램을 볼 수 있도록 소정의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거울(20)과, 상기 거울(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에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대(40)와, 상기 거울(20)이 안착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40)의 상면에 위치되는 거울 받침대(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방에는 벽면에 본체(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대(11)가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대(11)에는 못이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되도록 통공(1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상단은 거울(20)의 배면에 고정되고 하단에는 미용하고자 하는 고객이 의자에 앉았을 경우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발걸이(1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40)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ㆍ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전면에 손잡이(42)를 구비한 서랍(41)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서랍(41)의 바닥면에는 독서대(43)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독서대(43)를 상ㆍ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서랍(41)의 양측면에 형성된 소정 깊이의 힌지홈(도시하지 않음)내에 상기 독서대(43)의 일단부 양측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돌조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40)의 일단부에는 드라이어를 안착 삽입할 수 있도록 드라이어 삽입구(40a)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고객이 미용 서비스를 받는 동안 음료수 등을 마실 수 있도록 컵 안착홈(4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울 받침대(30)의 정면에는 액정 TV(50) 등의 소형 TV를 안착할 수 있도록 소정 깊이의 안착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착홈(31)의 일단부에는 액정 TV(50)의 전원선이 관통되어 벽면이나 기타 장소에 설치된 콘센트에 연결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장대는 미용실에서 미용사에 의해 머리를 손질받는 동안 TV를 시청하거나 독서하면서 고객들이 여분의 시간을 활용할 수는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한 화장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귀금속을 보관할 수 있는 화장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는 화장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장품 및 사용자의 소지품을 올려 놓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근처 하부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으로 하부를 향해서 뻗어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4개의 다리부와, 상기 4개의 다리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절결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 하부 사이에 형성된 서랍수용부와, 사용자의 소지품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서랍수용부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쌍의 서랍과, 상기 각각의 다리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다리부를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배면 및 상기 서랍수용부의 배면에 다수개의 스크류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거울 프레임과, 상기 거울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거울과, 상기 거울 하부 앞쪽의 상기 거울 프레임에 수평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뒤쪽 상부면에 당접되는 수평기준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장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도,
도 5는 도 3의 전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상부 플레이트 110a:배면
120:다리부 120a:절결부
131,132:서랍수용부 134:배면
141,142:서랍 150:받침대
160:거울 프레임 170:거울
180:수평기준 플레이트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장대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전개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장대(100)는 화장품 및 사용자의 소지품(예를 들면 핸드백, 손지갑 또는 가방 등)을 올려 놓는 상부 플레이트(110)가 4개의 다리부(12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배면 및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의 배면(134)에는 거울프레임(160)이 다수개의 스크류(102)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를 수평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각 모서리 근처 하부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대해 수직으로 하부를 향해서 각각 뻗는 4개의 다리부(12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4개의 다리부(120)의 상부에는 보는 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줌과 동시에 미려게 보이도록 굵기가 얇게 절결부(12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4개의 다리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절결부(120a)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 하부 사이에는 서랍수용부(131,13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에는 사용자의 소지품을 넣는 적어도 한쌍의 서랍(141,142)이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다리부(120)의 하부에는 상기 다리부(120)를 지지하도록 받침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배면(110a) 및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의 배면(134)에는 다수개의 스크류(102)에 의해 거울 프레임(160)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거울 프레임(160)의 전면에는 거울(17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거울(170) 하부 앞쪽에는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거울 프레임(160)에 수평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뒤쪽 상부면에 당접되는 수평기준 플레이트(180)가 설치고정되어 있다.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한쌍의 서랍(141,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랍은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짧은서랍의 뒤쪽에는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소형 비밀 서랍(14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랍수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랍(141)의 길이를 짧게 하고, 이 서랍(141)의 뒤쪽에 소형 비밀 서랍(144)이 위치하도록하여 상기 서랍수용부(1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상기 서랍수용부(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랍(142)의 길이를 짧게 하고, 이 서랍(142)의 뒤쪽에 소형 비밀 서랍(144)이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서랍수용부(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해도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5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141a, 142a는 상기 서랍(141,142)의 전면판에 부착된 손잡이이고, 144a는 소형 비밀 서랍(144)을 서랍수용부(131)로부터 끌어내기 위한 손잡이용 오목홈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대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의 화장대를 사용해서 화장을 하고 싶을 경우에는 화장대(100)앞에 앉거나 서서 거을프레임(160)에 설치된 거울(170)을 보면서 얼굴을 화장하거나 또는 외출복을 입은 후 외모를 보면서 옷 입은 상태를 고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화장대(1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를 수평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각 모서리 근처 하부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대해 수직으로 하부를 향해서 각각 뻗는 4개의 다리부(120)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4개의 다리부(120)의 상부에는 굵기가 얇게 절결부(120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는 자로 하여금 심미감을 줌과 동시에 미려게 보이게 하며, 안정감을 주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화장대(100)는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에는 상기 한쌍의 서랍(141,142)이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서랍(141,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랍은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짧은 서랍의 뒤쪽에는 소형 비밀 서랍(14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아무도 모르게 은밀하게 귀중품을 상기 소형 비밀 서랍(144)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소형 비밀 서랍(144)에 보관되어 있는 귀중품은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의 앞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서랍(141,142)을 끌어 낸 후에 소형 비밀 서랍(144)을 끌어내어서 귀중품을 꺼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귀중품을 사용하고 난 후 또는 새로운 귀중품을 보관하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의 앞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서랍(141,142)을 끌어 낸 후에 소형 비밀 서랍(144)을 끌어내어서 귀중품을 넣은 후에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에 소형 비밀 서랍(144)을 넣고 앞쪽의 길이가 짧은 서랍을 넣으면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화장대(100)는 전면에는 거울(170)이 부착되는 상기 거울 프레임(160)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배면(110a) 및 상기서랍수용부(131,132)의 배면(134)에는 다수개의 스크류(102)에 의해 거울 프레임(160)이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 거울 프레임(160)의 앞쪽에 설치된 거울(170)의 하부 앞쪽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뒤쪽 상부면에 당접되는 수평기준 플레이트(180)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뒤쪽 상부면에 상기 수평기준 플레이트(180)의 하부면을 당접시킨 상태에서 다수개의 스크류(102)를 사용해서 상기 거울 프레임(160)을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배면(110a) 및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의 배면(134)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고정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대에 의하면, 화장품 및 사용자의 소지품(예를 들면 핸드백, 손지갑 또는 가방 등)을 올려 놓는 상부 플레이트의 각 모서리 근처 하부에는 상부 플레이트에 대해 수직으로 하부를 향해서 4개의 다리부가 설치되어 있고, 4개의 다리부의 상부에 형성된 절결부와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사이에는 서랍수용부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소지품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서랍수용부에는 적어도 한쌍의 서랍이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부 플레이트의 배면 및 서랍수용부의 배면에는 거울이 부착된 거울 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거울프레임의 앞쪽 하부에는 거울 프레임을 상부 플레이트의 뒤쪽 상부면에 수평을 유지하면서 용이하게 설치고정할 수 있도록 수평기준 플레이트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비밀 서랍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귀금속을 보관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화장품 및 사용자의 소지품을 올려 놓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각 모서리 근처 하부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에 대해 수직으로 하부를 향해서 뻗어 설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4개의 다리부(120)와, 상기 4개의 다리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절결부(120a)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 하부 사이에 형성된 서랍수용부(131,132)와, 사용자의 소지품을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에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쌍의 서랍(141,142)과, 상기 각각의 다리부(12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다리부(120)를 지지하는 받침대(15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배면(110a) 및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의 배면(134)에 다수개의 스크류(102)에 의해 고정설치되는 거울 프레임(160)과, 상기 거울 프레임(160)의 전면에 부착되는 거울(170)과, 상기 거울(170) 하부 앞쪽의 상기 거울 프레임(160)에 수평으로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110)의 뒤쪽 상부면에 당접되는 수평기준 플레이트(18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한쌍의 서랍(141,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서랍은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서랍수용부(131,13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짧은 서랍의 뒤쪽에는 귀중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소형 비밀 서랍(14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대.
KR2020010027460U 2001-09-07 2001-09-07 화장대 KR200257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460U KR200257959Y1 (ko) 2001-09-07 2001-09-07 화장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460U KR200257959Y1 (ko) 2001-09-07 2001-09-07 화장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959Y1 true KR200257959Y1 (ko) 2001-12-24

Family

ID=73108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460U KR200257959Y1 (ko) 2001-09-07 2001-09-07 화장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9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652Y1 (ko) 의자 일체형 가구
KR101658646B1 (ko) 다기능 화장대
US3131968A (en) Combined hair dressing table and chair
KR200257959Y1 (ko) 화장대
US5160183A (en) Combination table and leg rest for reclining chair
KR200456493Y1 (ko) 출몰식 보조 책상을 갖는 화장대
USD457006S1 (en) Seat for barber or beauty chair
KR200192758Y1 (ko) 다용도 화장대
KR200352107Y1 (ko) 서랍장을 구비한 화장대
KR102267610B1 (ko) 조립형 및 일체형 의자용 받침대조립체
CN210158354U (zh) 一种多功能多变坐具
JP2004000518A (ja) 化粧鏡ユニット
JP3615115B2 (ja) 机構造体
KR102493022B1 (ko) 의자 및 책상을 구비한 트레일러
KR200324912Y1 (ko) 화장대
CN210827706U (zh) 一种多功能梳洗池
KR20180002245U (ko) 의자 일체형 화장대
KR200212411Y1 (ko) 수납장을 구비한 침대
KR200423182Y1 (ko) 미니 화장대
KR200200811Y1 (ko) 경대를 구비한 서랍장
KR200461975Y1 (ko) 슬라이딩 수납함을 구비한 가구
JP2000041874A (ja) 化粧用キャビネット及び化粧用洗面ユニット
KR200234783Y1 (ko) 다목적 거울대
KR200356991Y1 (ko) 장의자의 팔걸이 고정장치
USD454451S1 (en) Seat for barber or beauty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