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885Y1 - 합성수지 벌통 - Google Patents

합성수지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885Y1
KR200257885Y1 KR2020010029059U KR20010029059U KR200257885Y1 KR 200257885 Y1 KR200257885 Y1 KR 200257885Y1 KR 2020010029059 U KR2020010029059 U KR 2020010029059U KR 20010029059 U KR20010029059 U KR 20010029059U KR 200257885 Y1 KR200257885 Y1 KR 2002578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umor
opening
plate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재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재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재진산업
Priority to KR20200100290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8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8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885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면의 소문(10a) 및 개방된 상면 테두리의 단턱(10b)을 구비하는 상자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단턱(10b)에 맞물려 개폐 가능하고, 측면에 통풍망(14)을 구비하는 뚜껑(12); 상기 본체(10)에서 대향하는 단턱(10b) 상에 맞물려 장착되는 이단 구조의 보강테(16); 및 상기 본체(10)의 소문(10a) 및 이에 출입하는 벌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입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양봉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유지하면서도 양봉환경에 대응한 내구성이 증가되어 장기간 사용 가능하고 관리에 따른 공수도 절감된다.

Description

합성수지 벌통 {Plastic beehive}
본 고안은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봉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유지하면서도 양봉환경에 대응한 내구성이 증가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합성수지 벌통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합성수지는 목재에 비하여 중량이 가벼워 운반 등의 취급이 용이하면서 보온, 방습, 방온성이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어 양봉을 위한 벌통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일예로, 대한민국 공보에 기재된 인용발명들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13701호 및 특허출원번호 제94-11367호)에 의하면 본체와 뚜껑이 합성수지(스티로폼)로 성형되어 상자 구조를 이룬다. 이 가운데 특허출원번호 제94-11367호의 구조를 보면, 벌의 출입을 위한 소문과 그 외측 하방향의 착지턱은 본체와 일체로 성형되고, 보호판, 대피턱, 훈연지 연소판, 사양기, 급수기 등은 본체에 부착된다. 뚜껑의 측면과 내면에는 각각 환기공과 습도 조절실이 구비되고, 뚜껑의 상면에는 색상구별을 위한 보호 시이트가 부착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벌통은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고 주요 구성품을 자주 관리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예를 들어 별통을 이동할 때에는 부착된 구성품의 탈락 여부를 확인하고 바로잡아 주어야 하고, 외부의 급수기 때문에 다른 동물의 유인되어 피해를 초래할 우려도 높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양봉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유지하면서도 양봉환경에 대응한 내구성이 증가되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합성수지 벌통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벌통을 분해 및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벌통의 정면부를 부분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벌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소문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 12: 뚜껑
14, 32: 통풍망 16: 보강테
22, 24: 보호대 26, 36: 착륙판
28: 후크 30: 개폐판
34: 레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면의 소문(10a) 및 개방된 상면테두리의 단턱(10b)을 구비하는 상자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단턱(10b)에 맞물려 개폐 가능하고, 측면에 통풍망(14)을 구비하는 뚜껑(12); 상기 본체(10)에서 대향하는 단턱(10b) 상에 맞물려 장착되는 이단 구조의 보강테(16); 및 상기 본체(10)의 소문(10a) 및 이에 출입하는 벌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입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입구수단은 연결구(22a)(24a)를 개재하여 소문(10a) 상에 전후로 결합되는 한쌍의 보호대(22)(24)와, 외측의 보호대(24)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색의 착륙판(26)과, 착륙판(26)을 결착하도록 보호대(24)에 형성되는 후크(28)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변형예에서, 상기 입구수단은 본체(10) 상에 장착되는 레일(34)과, 레일(34)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30)과, 개폐판(30)의 전방으로 직교하도록 탈착되는 착륙판(36)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0)에 대피턱, 훈연지 연소판, 사양기, 급수기를 설치하지 않으면서 뚜껑(12)부분에 통풍망(14)을 형성하되, 별도의 습도 조절실은 형성하지 않아 구조가 단순화되므로 양봉의 환경이 자연상태에 가깝게 유지되고 관리를 위한 공수가 절감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벌통을 분해 및 부분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본체(10)는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으로서, 일측면의 소문(10a) 및 개방된 상면 테두리의 단턱(10b)을 구비한다. 본체(10)는 스티로폼으로 성형되고 소문(10a) 및 단턱(10b)의 구조는 종래와 크게 다르지 않다. 소문(10a)이 형성된 본체(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단(10c)은 종래에 벌의 착륙을 도와주는 중요 수단이었으나 너무 좁고 불필요하게 길게 형성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그 다지 중요성이 강조되지 않는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단턱(10b)에 맞물려 개폐 가능한 뚜껑(12)은 측면에 통풍망(14)을 구비한다. 통풍망(14)은 본체(10)의 용량을 고려하여 충분히 여유있는 크기로 플라스틱 사출하여 성형한다. 통풍망(14)은 격자(check) 모양으로 할 수도 있고, 루버(louver)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전자는 제조 단가면에서 유리하고, 후자는 빗물 유입에 대한 차단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통풍망(14)은 적어도 뚜껑(12)의 양측면에서 압입하여 고정한다.
벌을 키움에 있어 온도와 습도의 조절이 중요하지만 종래와 같은 환기공은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유도하지 못하고 습도 조절실은 수분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기능을 기대하기 곤란하다. 더욱이 환기공은 설치류 등의 동물에 의한 공격으로 파손되어 벌에 치명적인 피해를 줄 수도 있다. 즉, 쥐나 족제비등과 같은 설치류들이 뚜껑(12)의 환기공속으로 들어가서 벌집을 쑥대밭으로 만들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망이나 천으로 전체를 덮기도 하지만 그것마저 뜯어낸다. 다시말해 스치로폼으로 제작된 종래의 벌꿀통들은 그 모두가 한결같이 뚜껑의 양측면에 구멍만 뻥 뚫린 환기공만 형성해 놓았을뿐, 별다른 조치를 전혀 취해 놓지를 않아 이러한 환기공을통해 벌들의 피해가 막심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통풍망(14)을 설치하여 다른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공기의 유동을 개선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이단 구조의 보강테(16)가 상기 본체(10)에서 대향하는 단턱(10b) 상에 맞물려 장착된다. 보강테(16)는 플라스틱 사출로 성형되고, 본체(10)의 단턱(10b)의 4개소 삽착된다. 이러한 보강테(16)는 뚜껑(12)을 지지하는 역할은 물론 본체(10)의 물리적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지닌다. 보강테(16)의 이단 구조에 의해 이러한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벌의 수가 증가하면 본능적으로 본체(10) 상단의 단턱(10b) 부분을 뜯어 내려고 함과 아울러 단턱부분이 심하게 뜯겨 나가 벌들이 얼어죽거나 많은 벌들이 이탈되어 버리는 통해 극심한 피해를 입었는데, 보강테(16)는 이에 의한 본체(10)의 손상도 방지하면서 내구성도 향상시킨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소문(10a) 및 이에 출입하는 벌을 보호하도록 보조수단이 설치된다. 보호대(22)(24), 착륙판(26), 후크(28)로 구성되는 보조수단은 도 2를 통해 명확하게 이해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벌통의 정면부를 부분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한쌍의 보호대(22)(24)는 연결구(22a)(24a)를 개재하여 소문(10a) 상에 전후로 결합된다. 보호대(22)(24)는 앵글(??자형) 구조이고, 각각의 연결구(22a)(24a)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연결구(22a)(24a) 중 일측의 것은 소문(10a)에 맞물려 끼워지는 크기로 하고 타측의 것은 일측의 것에 맞물려 끼워지는 크기로 한다. 그러므로 벌의 출입을 위한 통로의 최종적인 크기는 연결구(22a)(24a) 중 작은 것의 구멍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착륙판(26)은 유색으로 성형되고 외측의 보호대(24)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착륙판(26)의 양단으로 힌지축을 형성하고, 보호대(24)에 형성되는 리브(24b)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후크(28)는 착륙판(26)을 결착하도록 보호대(24)에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한쌍의 후크(28)는 ??자형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성형되고, 착륙판(26)의 접촉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착륙판(26)을 안정적으로 수용한다. 이에 따라 착륙판(26)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후크(28)에 걸리도록 하면 소문(10a)을 폐쇄할 수 있고, 반대로 회동시켜 내리면 도 1의 상태 또는 도 2의 일점쇄선 상태로 된다.
벌의 습성상 개개의 벌통에서 독립된 사회가 구축되므로 벌통의 색상으로 구분되도록 하는데, 종래처럼 뚜껑의 상단부분에 보호 시이트를 부착하는 대신 착륙판(26)의 색상을 달리하는 방식을 택한다. 벌은 냄새, 색상, 방향등으로 자기집을 찾는데, 이에는 유색의 착륙판(26)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벌통이 적층되는 경우를 고려한다면 뚜껑부분에 보호 시이트를 부착하는 것은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어 또 다른 조치가 필요하고 변색의 우려마저 있지만 유색의 착륙판(26)은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
이러한 착륙판(26)은 소문(10a)의 전방으로 충분한 면적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벌의 착륙 및 출입에 따른 스트레스는 벌의 활동 및 수명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종래의 경우 그 크기와 위치가 매우 부적절한 경우가 많다.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벌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소문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보조수단은 레일(34), 개폐판(30), 착륙판(36)을 사용한다. 레일(34)은 본체(10)의 전면 상에서 소문(10a)의 양측으로 평행하게 장착된다. 개폐판(30)은 레일(34)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소문(10a)의 개방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착륙판(36)은 개폐판(30)의 전방으로 직교하도록 탈착되는 구조이다. 본체(10)의 보강테(16), 뚜껑(12)의 통풍망(14), 착륙판(36)의 유색화 등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도 1과 동일하다.
이때, 본 고안의 개폐판(30)은 수평의 중심선 상측으로 통풍망(32)을 구비하고, 중심선 하측으로 개구(30a)를 구비한다. 개폐판(30)의 통풍망(32)은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도 있다. 사용에 있어 도 4의 상태처럼 개구(30a)가 하방향으로 가도록 개폐판(30)을 장착하여 본체(10)의 소문(10a)이 작게 개방된다. 식량(화분)이 많은 계절인 아카시아 필 무렵에는 완전히 개방하여야 벌의 출입이 원활하다. 그 외의 계절에는 벌의 활동이 왕성하지도 않아 소문(10a)을 많이 개방하면 오히려 천적인 개미가 들어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34)과 개폐판(30)을 이용하여 소문(10a)을 상하로 여닫는 구성이 사용된다.
만일 비교적 장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개폐판(30)을 들어올려 통풍망(32)이 하방향으로 가도록 장착한다. 이는 수만마리의 벌들에게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통풍망(32)과 개구(30a)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양자는 개폐판(30) 상의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로구분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소문(10a)을 대형화하거나 크게 개방할수록 벌의 용이한 출입을 위해 착륙판(26)(36)이 종전보다 2∼3㎝ 후퇴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3과 도 4의 구조는 착륙판(36)이 다른 기능품과 결합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호대(22)(24)와 결합되는 도 2에 비하여 위치 이동이 용이하다.
한편, 도 1 및 도 3의 구성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도 1의 보호대(22)(24)가 분리 가능한 구조이므로 양자를 적절한 범위로 병합하는 구성에 의해 도 1 또는 도 3의 상태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도 3의 레일(34)은 도 1의 보호대(22)(24)보다 충분히 넓은 폭으로 설치해야 도 1의 상태로 사용시 착륙판(26)의 개폐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양봉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유지하면서도 양봉환경에 대응한 내구성이 증가되어 장기간 사용 가능하고 관리에 따른 공수도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일측면의 소문(10a) 및 개방된 상면 테두리의 단턱(10b)을 구비하는 상자형의 본체(10);
    상기 본체(10)의 단턱(10b)에 맞물려 개폐 가능하고, 측면에 통풍망(14)을 구비하는 뚜껑(12);
    상기 본체(10)에서 대향하는 단턱(10b) 상에 맞물려 장착되는 이단 구조의 보강테(16); 및
    상기 본체(10)의 소문(10a) 및 이에 출입하는 벌을 보호하도록 설치되는 입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벌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수단은 연결구(22a)(24a)를 개재하여 소문(10a) 상에 전후로 결합되는 한쌍의 보호대(22)(24)와, 외측의 보호대(24) 상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색의 착륙판(26)과, 착륙판(26)을 결착하도록 보호대(24)에 형성되는 후크(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벌통.
  3. 제 1 항에 있어서,
    뚜껑(12) 측면에 형성되는 통풍만(14)을 1군데 또는 전후좌우 어느측면에서도 형성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벌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수단은 본체(10) 상에 장착되는 레일(34)과, 레일(34)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30)과, 개폐판(30)의 전방으로 직교하도록 탈착되는 착륙판(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벌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0)은 수평의 중심선 상측으로 통풍망(32)을 구비하고, 중심선 하측으로 개구(3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벌통.
KR2020010029059U 2001-09-20 2001-09-20 합성수지 벌통 KR2002578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059U KR200257885Y1 (ko) 2001-09-20 2001-09-20 합성수지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059U KR200257885Y1 (ko) 2001-09-20 2001-09-20 합성수지 벌통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316A Division KR100447635B1 (ko) 2001-09-20 2001-09-20 합성수지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885Y1 true KR200257885Y1 (ko) 2001-12-31

Family

ID=7306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059U KR200257885Y1 (ko) 2001-09-20 2001-09-20 합성수지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8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890B1 (ko) * 2001-10-24 2004-02-11 윤지훈 벌통
KR20200046595A (ko) 2018-10-25 2020-05-07 윤순영 벌통에 있어서 내검 및 채밀을 위한 개폐 보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890B1 (ko) * 2001-10-24 2004-02-11 윤지훈 벌통
KR20200046595A (ko) 2018-10-25 2020-05-07 윤순영 벌통에 있어서 내검 및 채밀을 위한 개폐 보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4884A (ko) 꿀벌보호장치
JP4763434B2 (ja) 受粉用の蜂の巣箱
KR200474009Y1 (ko) 출입구의 개폐량 조정이 가능한 벌통
KR100447635B1 (ko) 합성수지 벌통
KR200257885Y1 (ko) 합성수지 벌통
KR101093261B1 (ko) 벌통 출입구 구조
KR20190045031A (ko) 탈부착식 말벌 방어기 및 양봉 벌통
KR100854570B1 (ko) 새집
KR100576626B1 (ko) 이중구조를 가지는 개량형 벌통
US20180279585A1 (en) Bee hive bottom board system with an 8-frame adapter and robbing screen
KR200435154Y1 (ko) 벌통용 소문
KR20130002321U (ko) 곤충 사육용 조립식 케이스
US4267612A (en) Beehives
CA1158490A (en) Animal kennel
KR102134228B1 (ko) 양봉용 벌통의 출입구 개폐장치
KR100787129B1 (ko) 벌통의 바닥판 구조 및 벌통
KR200362942Y1 (ko) 이중구조를 가지는 개량형 벌통
KR100552350B1 (ko)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CN220777021U (zh) 一种中蜂养殖蜂箱
KR200343501Y1 (ko) 꿀벌소상 해충출입 방지장치
KR200175782Y1 (ko) 소상의 소문마개
AU2008200902B2 (en) Bee Enclosure
TWI798130B (zh) 蜂箱
KR102290518B1 (ko) 벌통 소문
WO2014005179A1 (en) A multi-storey plastic beeh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