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676Y1 - 전환식 졸음방지기 - Google Patents

전환식 졸음방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676Y1
KR200257676Y1 KR2020010027418U KR20010027418U KR200257676Y1 KR 200257676 Y1 KR200257676 Y1 KR 200257676Y1 KR 2020010027418 U KR2020010027418 U KR 2020010027418U KR 20010027418 U KR20010027418 U KR 20010027418U KR 200257676 Y1 KR200257676 Y1 KR 200257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wsiness
switch
user
alarm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차겸
Original Assignee
김차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겸 filed Critical 김차겸
Priority to KR2020010027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676Y1/ko

Links

Landscapes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환식 졸음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졸음동작이 즉각적으로 반응되는 두부에 직접 착용되도록 그 구성이 단순화된 것은 물론, 감지스위치(11)가 사용자의 회동각도를 감지하여 전원을 자동공급시켜 선택전환된 알람 또는 진동동작으로 사용자를 자극시킴으로서 졸음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관체 내부에 유동되는 액상의 수은(13)으로 사용자 두부의 회동각도를 감지하여 알람이나 진동의 발생을 온-오프시키는 감지스위치(11)와, 배터리(15)에 각각 전원연결되어 상기 감지스위치(11)의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된 경보자극을 발생시키는 스피커(16) 및 진동모터(17)와, 이들 스피커(16)와 진동모터(17)를 선택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14)와, 사용자의 귀에 착용가능하게 귀걸이부(30)가 만곡형성된 케이스본체(10) 및 케이스덮게(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식 졸음방지기.

Description

전환식 졸음방지기 {Conversion-type Sleepiness Preventive Device}
본 고안은 알람과 진동의 선택전환이 가능한 졸음방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두부의 회동각도에 따라 유동되는 수은에 의해 전원이 자동으로 온-오프되면서 선택된 알람 또는 진동작동에 의해 사용자를 자극시켜 졸음을 퇴치할 수 있는 전환식 졸음방지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운전중 발생하게 되는 사고의 대부분은 운전자가 피곤한 상태에서 졸음운전을 할 때 주로 발생하며, 각종의 산업현장에서 유발되는 안전사고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학생과 수험생 등 졸음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층이 많은 실정이다.
위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999-0079859호 에서는 수은스위치를 감지수단으로 하는 발진회로를 포함한 유니트본체에 이어폰 등의 발성수단이 연결되어 상기 수은스위치의 온동작에 의해 발진음이 출력되는 졸음방지기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상기의 유니트본체가 별도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안경이나 벨트 등에 착용되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졸음방지기는 유니트본체와 발성수단이 별도로 구성되어 이용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졸음방지의 수단으로 발생되는 알람의 경우 이어폰 등을 착용해야만 제대로 들을 수 있고 단조로운 소리의 반복으로 인하여 졸음방지에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졸음방지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졸음동작이 즉각적으로 반응되는 두부에 직접 착용되도록 그 구성이 단순화된 것은 물론, 감지스위치가 사용자의 회동각도를 감지하여 전원을자동공급시켜 선택전환된 알람 또는 진동동작으로 사용자를 자극시킴으로서 졸음방지에 보다 효과적인 전환식 졸음방지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졸음방지기 결합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졸음방지기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졸음방지기 작동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본체 11 : 감지스위치
12 : 감지전극 14 : 전환스위치
15 : 배터리 16 : 스피커
17 : 진동모터 20 : 케이스덮게
30 : 귀걸이부 31 : 걸이구멍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환식 졸음방지기는, 관체 내부에 유동되는 액상의 수은으로 사용자 두부의 회동각도를 감지하여 알람이나 진동의 발생을 온-오프시키는 감지스위치와, 배터리에 각각 전원연결되어 상기 감지스위치의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된 경보자극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진동모터와, 이들 스피커와 진동모터를 선택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와, 사용자의 귀에 착용가능하게 귀걸이부가 만곡형성된 케이스본체 및 케이스덮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는 케이스덮게와 함께 귀걸이부의 단부에서 걸이구멍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알람 또는 진동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한 졸음방지기(40)의 외부구조 및 케이스덮게(30)를 개방했을 때의 내부구성을 각각 도시한 것이며, 아울러 도 3은 본 고안의 졸음방지기(40)가 작동구현되는 회로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환식 졸음방지기는 운전자 및 작업자의 귀에 착용되도록 만곡형의 귀걸이부(20)가 케이스본체(10) 및 케이스덮게(30)의상측일단으로 연장형성되고, 졸음방지기(40)가 작동구현되는 회로의 구성요소들이 상기의 케이스본체(10)에 안착고정되고 그 상부에 케이스덮게(30)가 덮여진 후 볼트조립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감지스위치(11)는 유리재 등의 관체 내부의 일측에 한쌍의 감지전극(12)을 가지고 있으며, 관체 내에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전도성인 수은(13)을 관입하여 구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감지스위치(11)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의 두부의 회동각도에 따라서 수은(13)이 관체의 내부에서 유동되며, 감지전극(12)과 접촉하거나 이탈하여 알람 또는 진동의 발생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이때, 수은(13)이 감지전극(12)과 접촉하여 배터리(15)와 전원연결된 스피커
(16) 또는 진동모터(17)로부터 알람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각도는 10° 내지 1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변경실시가 가능하도록 감지스위치(11)나 귀걸이부(30)의 위치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두부의 회동각도에 따라 감지스위치(11)의 작동에 의해 배터리(15)가 전원연결되면 스피커(16)로부터 알람이 출력되거나 진동모터(17)가 작동되어 진동이 발생되는데, 전환스위치(14)가 위와 같은 알람 또는 진동모드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전환스위치(14)는 알람모드, 진동모드, 전원오프의 3단계의 순서로 조작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졸음방지기(40)의 사용전에 미리 설정하거나 사용중에 알람 또는 진동모드로의 선택전환이 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귀걸이부(20)의 단부에는 줄을 달아서 인체에 패용하거나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걸이구멍(31)이 관통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동원리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운전자 및 작업자가 졸음으로 인하여 두부를 하부로 일정각도 이상 숙이게 되면 감지스위치(11)의 스위치관체 내부에서 유동하는 수은(13)이 감지전극(12)과 접촉하여 알람이나 진동의 발생이 온상태가 되며, 상기 감지스위치(11)와 연결된 전환스위치(14)에서는 미리지정된 선택모드(알람 또는 진동모드)에 따라서 전원이 공급된 스피커(16)에서 알람이 발생되거나 진동모터(17)가 회전하여 진동이 발생되게 된다.
이때, 배터리(15)는 전자파 발생이나 인체에 다른 부작용이 거의 없는 1.5V 내지 6V 전압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졸음방지기(40)는 사용자의 귀에 착용하거나 안경착용시에도 사용가능하며, 종래의 알람기능 외에 진동기능의 추가로 인하여 신체의 다른부위나 벨트 등의 장신구에 부착하여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운전자 및 각종 산업현장의 작업자 이외에도 학생이나 수험생들의 졸음을 방지하여 집중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장시간 앉은자세로 있는 PC 사용자 등의 자세교정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전환식 졸음방지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두부, 즉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내부 구성요소들이 콤팩트하게 구성되고 인체의 굴곡에 맞는 형태로 형성되어 졸음동작이 즉각적으로 반응되므로 효과적인 졸음방지가 가능하다.
또한, 전환스위치의 선택조작에 의해 알람 또는 진동으로의 전환이 용이하므로 단조로운 벨소리의 반복을 피하여 졸음방지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알람기능 외에 진동기능의 추가로 인하여 신체의 다른부위나 벨트 등의 장신구에 부착하여 다양하게 이용가능한 것 등의 많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2)

  1. 관체 내부에 유동되는 액상의 수은(13)으로 사용자 두부의 회동각도를 감지하여 알람이나 진동의 발생을 온-오프시키는 감지스위치(11)와,
    배터리(15)에 각각 전원연결되어 상기 감지스위치(11)의 감지신호에 따라 선택된 경보자극을 발생시키는 스피커(16) 및 진동모터(17)와,
    이들 스피커(16)와 진동모터(17)를 선택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14)와,
    사용자의 귀에 착용가능하게 귀걸이부(30)가 만곡형성된 케이스본체(10) 및 케이스덮게(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식 졸음방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본체(10)는 케이스덮게(20)와 함께 귀걸이부(30)의 단부에서 걸이구멍(31)이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식 졸음방지기.
KR2020010027418U 2001-09-07 2001-09-07 전환식 졸음방지기 KR200257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418U KR200257676Y1 (ko) 2001-09-07 2001-09-07 전환식 졸음방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418U KR200257676Y1 (ko) 2001-09-07 2001-09-07 전환식 졸음방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676Y1 true KR200257676Y1 (ko) 2001-12-24

Family

ID=7310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418U KR200257676Y1 (ko) 2001-09-07 2001-09-07 전환식 졸음방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6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245B1 (ko) * 2001-09-10 2004-03-24 주식회사 거성전자통신 환형 볼 센서를 이용한 졸음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245B1 (ko) * 2001-09-10 2004-03-24 주식회사 거성전자통신 환형 볼 센서를 이용한 졸음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564B2 (en) Tactile rhythm generator
US6724298B2 (en) Individual discreet prompting device with remote
WO2003002184A8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with d-shaped stimulation electrodes
JP2002306604A (ja) リラクゼーション装置
US6384729B1 (en) Biofeedback exercise stimulation apparatus
WO2006044143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imulating one or more areas on a wearer
KR200257676Y1 (ko) 전환식 졸음방지기
WO1999063498A2 (en) Electric communication systems
CN108042914A (zh) 可穿戴电刺激仪
CA2369731A1 (en) Behaviour modification
EP1374825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osite wave to reaction point
JPH1178591A (ja) 居眠り防止装置
JP2004129928A (ja) 低周波発生プローブ
GB2124491A (en) Electronic sleepmaker
GB2205665A (en) Vibratory alarm clock
KR20150126124A (ko) 졸음 방지 기능을 갖는 머리띠
JPH0522383A (ja) 通信機の着信通知装置
KR200343391Y1 (ko) 뇌파유도신호 발생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JP2002306553A (ja) 視覚障害者用物体検知装置
CN213374592U (zh) 一种微电流辅助睡眠仪
CN211630357U (zh) 一种蓝牙耳机
JPH09198586A (ja) いねむり警報器
KR200274663Y1 (ko) 장갑
CN2891717Y (zh) 可预防近视的保健帽
US20020145508A1 (en) Pace se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