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663Y1 - 장갑 - Google Patents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663Y1
KR200274663Y1 KR2020020002664U KR20020002664U KR200274663Y1 KR 200274663 Y1 KR200274663 Y1 KR 200274663Y1 KR 2020020002664 U KR2020020002664 U KR 2020020002664U KR 20020002664 U KR20020002664 U KR 20020002664U KR 200274663 Y1 KR200274663 Y1 KR 2002746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frequency
hand
glove
unit
arm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훈
정흥종
Original Assignee
정경훈
정흥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훈, 정흥종 filed Critical 정경훈
Priority to KR2020020002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6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6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663Y1/ko

Links

Landscapes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은, 손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손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바닥부를 갖는 장갑본체와; 상기 장갑본체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장갑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에 의해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진부와; 상기 장갑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저주파 발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주파 발진부로부터 저주파를 전달받아 손에 대해 저주파를 출력시키는 저주파 출력부와; 상기 저주파 발진부의 작동 및 작동 정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물리 치료 기능이 부과된 장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장갑 { Gloves }
본 고안은,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리 치료 기능을 구비한 장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갑은 주로 겨울철에 손을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패션의 하나로 인식되어 장갑을 악세사리 중 하나로 이용하기도 하며, 또한, 장시간 자동차 운전을 할 때 손으로부터 배출되는 땀을 흡수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장갑이 사용된다.
여기서, 일상 생활에 바쁜 현대인들, 특히 직장인들이 특별히 시간을 할애하여 피로를 회복할 목적으로 물리 치료를 받는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금전적인 면이나 시간적인 면에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근래에 출시된 휴대용 물리 치료기(저주파 치료기, 전위치료기 등)를 사용할 수 있으나, 종래의 휴대용 물리 치료기들은 이동 중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착용이 간편하고 휴대가 용이한 장갑에 물리 치료 기능(예를 들면, 저주파 치료, 음이온 치료 등)을 부과할 수 있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리 치료 기능을 부과한 장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장갑의 블록구성도,
도4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장갑의 블록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갑 10 : 장갑본체
11 : 삽입구 13 : 바닥부
15 : 덮개부 20 : 저주파 치료부
21 : 전원공급부 23 : 저주파 발진부
25 : 저주파 출력부 30 : 제어부
상기 목적은, 장갑에 있어서, 손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손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바닥부를 갖는 장갑본체와; 상기 장갑본체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장갑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에 의해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진부와; 상기 장갑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저주파 발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주파 발진부로부터 저주파를 전달받아 손에 대해 저주파를 출력시키는 저주파 출력부와; 상기 저주파 발진부의 작동 및 작동 정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저주파 출력부는 상기 바닥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장갑본체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구로 삽입된 손의 손등을 감싸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저주파 발진부는 상기 장갑본체의 덮개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주파 발진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손에 대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전위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위발생부의 작동 및 작동 정지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장갑(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장갑본체(10)와; 장갑본체(10)에 마련되며 장갑본체(10)로 삽입된 손을 대해 저주파를 출력하는 저주파 치료부(20)를 포함한다.
장갑본체(10)는 손이 삽입되는 삽입구(11)와, 손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바닥부(13)와, 바닥부(13)로부터 연장된 덮개부(15)를 갖는다.
바닥부(13) 상부영역에는 후술할 저주파 출력부(25)가 배치되어 삽입구(11)로 삽입된 손에 대해 저주파를 출력한다. 또한, 바닥부(13) 후방영역에는 저주파 치료부(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가 마련된다.
덮개부(15)는 바닥부(13)로부터 연장되어 삽입구(11)로 삽입된 손의 손등을 감싸며, 일측에는 후술할 제어부(30) 및 저주파 발진부(23)가 마련된다.
저주파 치료부(20)는, 도2와 도3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본체(10)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21)와, 장갑본체(10)에 마련되며 전원공급부(21)의 전원공급에 의해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진부(23)와, 저주파 발진부(23)로부터 저주파 전류를 전달받아 삽입구(11)로 삽입된 손에 대해 출력하는 저주파 출력부(25)와, 저주파 발진부(23)의 작동 및 작동 정지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2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등이 접촉되는 덮개부(15) 일영역에 마련되어, 저주파 발진부(23)가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저주파 발진부(23)에 전원을 공급한다.
저주파 출력부(25)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바닥부(13) 상부에 배치되며,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진부(23)와 도자선(24)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저주파 출력부(25)는 저주파 발진부(23)로부터 생성된 저주파 전류를 도자선(24)을 통해 전달받아 장갑본체(10)의 삽입구(11)내로 삽입된 손의 바닥면과 접촉되어 손에 대해 저주파를 출력하여 손의 경혈을 자극한다.
저주파 발진부(23)는 덮개부(15) 영역에 PCB 형태로 마련되어 후술할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전원을 인가 받아 저주파 전류를 생성시켜 도자선(24)을 통해 저주파 출력부(25)로 전달한다.
제어부(30)는 덮개부(15) 영역에 마련되고, 저주파 발진부(23) 및 전원공급부(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저주파 발진부(23)가 저주파 전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21)의 전원을 단속하는 전원 온/오프 버튼(31)과, 저주파의 출력세기를 조절하는 저주파 업/다운 버튼(33)을 포함한다. 제어부(30)는 PCB 형태 또는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여기서는 저주파 발진부(23)의 PCB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술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전원 온/오프 버튼(31)을 온 시키면, 저주파 발진부(23)에 전원공급부(21)로부터의 전원을 인가하여 저주파 발진부(23)가 저주파 전류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저주파 업/다운 버튼(33)의 조작에 따라 저주파의 출력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저주파 발진부(23)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장갑(1)에서는 이동중이거나 정지상태에 관계없이, 장갑본체(10)의 덮개부(15)에 마련된 전원 온/오프 버튼(31)을 온 시키면, 제어부(30)가 전원 온/오프 버튼(31)의 온 신호에 따라 저주파 발진부(23)에 전원공급부(21)로부터의 전원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저주파 발진부(23)는 저주파 전류를 발생시키며, 이렇게 발생된 저주파 전류는 도자선(24)을 거쳐 바닥부(13) 상부에 마련된 저주파 출력부(25)로 통해 출력되어 저주파 출력부(25)와 접촉된 손의 경혈을 자극시킨다. 이에, 장소와 시간에 구애없이 물리 치료가 가능한 장갑(1)이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장갑본체(10)내에 저주파 치료부(20)만 마련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도4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전위 발생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위 발생부(4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전원은 바닥부(13)에 마련된 전원공급부(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 전위 발생부(40)는 신체에 고전압(100V~9000V)을 부하하여 신체표면과 주위환경과의 사이에 전계(電界전기가 작용하는 공간)를 발생시켜 피부에 있는 감각수용기(외부의 물리적 자극을 느끼는 센서)를 자극함으로써,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진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부(21)의 전원소스로 건전지를 채용하는 것으로 상술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상용 전원을 전원소스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럴 경우, 장갑본체(10) 일측에는 상용 전원을 전달받기 위한 전원코드 삽입구(미도시)가 마련됨은 물론이며, 건전지로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 가능한 충전 배터리를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갑에서는 장갑본체내에 물리 치료부( 저주파 치료부와, 전위발생부 등)를 마련함으로써, 장소와 시간에 구애 없이 물리 치료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물리 치료 기능이 부과된 장갑이 제공된다.

Claims (4)

  1. 장갑에 있어서,
    손이 삽입되는 삽입구와 손의 바닥면이 접촉되는 바닥부를 갖는 장갑본체와;
    상기 장갑본체에 마련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장갑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공급에 의해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진부와;
    상기 장갑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저주파 발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주파 발진부로부터 저주파를 전달받아 손에 대해 저주파를 출력시키는 저주파 출력부와;
    상기 저주파 발진부의 작동 및 작동 정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출력부는 상기 바닥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본체는 손등을 감싸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저주파 발진부는 상기 장갑본체의 덮개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진부와 인접한 위치에 마련되어 손에 대해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전위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위발생부의 작동 및 작동 정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
KR2020020002664U 2002-01-28 2002-01-28 장갑 KR2002746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664U KR200274663Y1 (ko) 2002-01-28 2002-01-28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664U KR200274663Y1 (ko) 2002-01-28 2002-01-28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663Y1 true KR200274663Y1 (ko) 2002-05-06

Family

ID=7311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664U KR200274663Y1 (ko) 2002-01-28 2002-01-28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6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933B1 (ko) 2021-05-28 2021-11-04 주식회사 에스피컴퍼니 저주파 마사지 장갑
KR102513751B1 (ko) 2021-10-29 2023-03-28 주식회사 에스피그룹 전기 근육 자극을 위한 마사지 장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933B1 (ko) 2021-05-28 2021-11-04 주식회사 에스피컴퍼니 저주파 마사지 장갑
KR102513751B1 (ko) 2021-10-29 2023-03-28 주식회사 에스피그룹 전기 근육 자극을 위한 마사지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0182B1 (en) Glove with electrode
CN109152925A (zh) 皮肤美容仪器
KR101050069B1 (ko) 이온도입기능을 갖는 휴대용 맛사지기
US20120116273A1 (en) Finger-mounted massage apparatus
KR102287036B1 (ko) 피부 미용기기
CN109420257A (zh) 美容器具
KR102083392B1 (ko) 피부 관리용 이온 마사지기기
JP3204183U (ja) 低周波治療器
JP2013094176A (ja) 低周波刺激美容ローラー
KR200274663Y1 (ko) 장갑
US20220203116A1 (en) Skin care device
CN108042914A (zh) 可穿戴电刺激仪
KR200350353Y1 (ko) 마사지용 도전성 장갑 및 이를 구비한 마사지 장치
WO2001003638A1 (en) Massage and toning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2396975B1 (ko) 페이스 리프팅기 및 이를 위한 동작 방법
KR200317889Y1 (ko) 저주파 장갑
KR200274120Y1 (ko) 신발
KR200417052Y1 (ko) 휴대용 전위치료기
US9962315B2 (en) Electric module for stimulating skin
KR20040095637A (ko) 발바닥치료장치
KR20180042535A (ko) 손 마사지기
KR101192108B1 (ko) 저주파 치료기
JPH07299151A (ja) マッサージ器
KR20190048672A (ko) 저주파 치료기
CN218774178U (zh) 一种美容仪护理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