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567Y1 -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567Y1
KR200257567Y1 KR2019980005436U KR19980005436U KR200257567Y1 KR 200257567 Y1 KR200257567 Y1 KR 200257567Y1 KR 2019980005436 U KR2019980005436 U KR 2019980005436U KR 19980005436 U KR19980005436 U KR 19980005436U KR 200257567 Y1 KR200257567 Y1 KR 200257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electrical
wall
electrical plu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812U (ko
Inventor
타트-궝 체웅
Original Assignee
타트-궝 체웅
쿤타트 디벨롭먼트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트-궝 체웅, 쿤타트 디벨롭먼트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트-궝 체웅
Publication of KR19990007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01R13/5816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for cables passing through an aperture in a housing wall, the separate part being captured between cable and contour of aper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5/00Three po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23Separation or disconnection ai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플러그는 삽통식으로 이동가능한 제1부분 및 제2부분을 포함하며, 이로써 플러그는 그 일부분이 다른 부분을 둘러싸는 제1위치와 내측부가 노출되는 연장 상태로부터 신장될 수 있다. 이는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플러그를 소형으로 할 수 있게 해주는 동시에 플러그를 벽 소켓 등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플러그의 용이한 파지를 위하여 큰 표면적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신장가능하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
본 고안은 전기 플러그, 특히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된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예를 들어 조명등, 텔레비전 수상기 및 오디오 장치 등의 가정용 전기 기구를 벽 소켓에 삽입하는 데 사용되는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벽 소켓은 미관을 다소 해치며, 소켓을 테이블, 캐비넷 및 책장 등의 가구 뒤쪽에 위치시키거나 소켓의 전방 이외에는 가구를 위치시키지 않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소켓은 특히 정기적으로 소켓에 삽입하거나 이로부터 발출할 필요가 없는 비교적 고정식으로 사용되는 전기 기구에서 여전히 사용된다. 대부분의 종래의 전기 플러그는 비교적 두껍게 되어 있어서 그에 따라 플러그를 수용하도록 벽과 가구 사이에 큰 공간을 남겨 두어야 한다. 이 공간은 소모적인 것이며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전기 플러그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완화시키려는 시도가 많이 있었다.
그 예로는, 전기 와이어가 사용 시에 벽으로부터 외향 연장되기보다는 벽에 대하여 평평하게 놓일 수 있도록 피봇 연결을 통해서 얇은 플러그 본체에 연결되어 있는 미국 의장등록 제375,291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미국 특허 제5,454,731호 및 유럽 특허 제0 589 881 A호에는 벽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들을 갖춘 평평한 낮은 프로필의 플러그 본체가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미국 특허 제4,857,013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그러나, 매우 얇은 낮은 프로필의 플러그에서는 특히, 플러그와 소켓이 양호하게 끼워져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제거하는 데 필요한 힘을 작용시키기 위해 플러그 상에 양호한 파지력을 가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 후에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제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미국 특허 제5,454,731호 및 제4,857,013호에서는 벽에 대하여 각을 이루어 연장되도록 평평한 위치로부터 이동되고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당기는 데 사용되는 피봇식 당김 탭을 마련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당김 탭 상에 큰 응력을 일으켜서 이를 파단시키게 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개선된 수단을 갖는 평평한 낮은 프로필의 플러그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켓 안에 삽입되기 위한 전기 핀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부분 및 이 제1부분을 둘러싸고 이에 대하여 삽통식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제2부분을 갖는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플러그 본체는 정상 상태에서는 얇게 될 수 있고 제한된 공간에 용이하게 수용되기 위한 낮은 프로필을 갖지만, 플러그를 벽 소켓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플러그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플러그의 크기를 크게 하도록 제2부분을 제1부분에 대하여 삽통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삽통식 이동의 방향은 상기 핀의 축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플러그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삽통식 이동 방향은 핀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현저한 이동 성분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방향을 취할 수도 있다.
제1부분 및 제2부분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부분은 제2부분이 제1부분을 완전히 둘러싸는 제1위치와 제1부분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 방식에서, 플러그 본체의 유효 크기는 제2부분을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삽통식으로 활주시킴으로써 거의 두배로 될 수 있다.
제1부분 및 제2부분은 두 부분의 상호 분리를 방지하는 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단은 예를 들어 제1부분 및 제2부분 상에 형성된 상호 결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플러그 본체의 제1부분은 전기 와이어가 통과하게 되는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측벽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와이어는 플러그 본체의 제1부분 내에 있는 핀에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본체의 제2부분은 와이어 통로용 대응 구멍을 갖추고 있다.
특히 양호한 실시예에서, 플러그 본체의 제1부분 및 제2부분 각각은 환형 벽이 형성되어 있는 대체로 튜브형인 부분을 포함하고 제2부분은 제1부분을 둘러쌀 수 있도록 제1부분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제1부분의 벽은 제1부분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갖추고 있고 제2부분은 활주식 이동을 위하여 채널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러그를 갖추고 있다.
양 환형 벽들은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게 해주는 구멍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플러그를 신장되지 않은 평평한 상태로 도시한 상부 사시도.
도2는 도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플러그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3은 도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플러그 본체의 두 부분이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플러그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부분
2: 제2부분
3: 전기 핀
4, 9: 벽 부분
5, 10: 구멍
7: 와이어
8: 플랜지
11: 채널
12: 러그
도1 내지 도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는 대체로 원형인 제1부분(1) 및 제2부분(2)을 포함한다. 제1부분(1)은 기부 및 이를 관통하는 전기 핀(3)을 포함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핀(3)은 3개의 평면형 핀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핀의 형상 및 수는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제1부분(1)의 형태는 측벽(4)을 갖춘 대체로 얕은 튜브형을 취한다. 구멍(5)은 종래의 방식(도시 생략)으로 핀(4)에 연결된 개개의 와이어(통전, 중성 및 접지 와이어; 7)를 포함하는 전력 케이블(6)의 플러그 내부로의 통로를 위하여 측벽(4)에 마련되어 있다. 제1부분(1)은 이의 기부 주연 주위로 연장되고 플러그 하측면의 매끄러운 연장부를 형성하는 환형 플랜지도 형성하고 있다.
플러그의 제2부분(2)도 벽 부분(9)을 형성하고 있는 대체로 얕은 튜브형 본체의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벽 부분(9)의 주연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제1부분(1)이 제2부분(2)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제1부분(1)의 대응 벽 부분(4)보다 약간 작다. 벽 부분(9)은 전기 케이블 또는 도선이 플러그 내부로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5)에 대응하는 크기 및 위치를 취하는 구멍(10)도 포함한다. 그러나, 구멍(10)은 나중에 설명하는 것처럼 제2부분이 제1부분에 대하여 여전히 이동할 수 있도록 플러그 본체의 기부 쪽으로 개방 측면을 형성하고 있다.
도4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된 것처럼 플러그의 제1부분(1)은 120 °간격으로 벽 부분(4)에 형성된 3개의 채널(11)도 갖추고 있다. 이 채널은 제1부분(1)의 축에 대체로 평행하여서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삽입/발출하는 방향에 평행한 플러그의 제1부분(1)의 튜브형 본체의 길이에 대하여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부분(2)의 벽(9)도 채널(11) 내에 끼워져서 이를 따라 활주하도록 하는 크기를 취하는 3개의 대응 내향 러그(12)를 형성하고 있다. 도면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플랜지 부분(8)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1부분(1)의 벽(4)의 단부는 대응 고정 외향 결합 돌기들을 형성하고 있다. 제2부분(2)의 상부 표면은 임의의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표면은 예를 들어 완전하게 폐쇄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장식부를 갖출 수도 있다.
플러그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두 부분(1, 2)은 제2부분(2)의 벽(9)이 제1부분의 플랜지(8) 상에 위치하고 제1부분(1)의 벽(4)을 둘러싸는 상태에서 제2부분이 제1부분(1)을 둘러싸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제1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 위치에서 플러그는 얇은 낮은 프로필 상태에 있으며 가능한 한 작은 공간을 취한다. 그러나,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발출할 필요가 있으면 러그(12)들이 제1부분(1)에 형성된 고정 돌기들에 의해 멈출 때까지 채널(11)을 따라 활주하는 상태에서 제2부분(2)을 제1부분(1)에 대하여 삽통식으로 활주시킴으로써 상기 발출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플러그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방식에서, 플러그의 크기는 소켓으로부터의 발출을 도와주도록 파지 및 당김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해주는 큰 표면적을 갖는 큰 플러그를 마련하는 등의 두가지 요소에 의해 증가시킬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에 설명한 것처럼 핀의 형상은 여러 나라에서의 여러 표준을 고려하여 가변적일 수도 있으며, 삽통식 이동도 여러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두 부분(1, 2)이 나사 작용에 의해 모이게 이동하거나 이격되게 이동하도록 간편한 나사를 벽(4)의 외부 표면과 벽(9)의 내부 표면에 마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는 단일의 간편한 당김 이동만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이동은 플러그를 신장시키는 데 필요한 동작이 전체 발출 공정으로 되도록 어떠한 경우에도 소켓으로부터 플러그의 발출 방향으로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개선된 수단을 갖는 평평한 낮은 프로필의 플러그가 마련되며, 플러그 본체를 정상 상태에서는 얇고 제한된 공간에 용이하게 수납하기 위한 낮은 프로필로 할 수 있으며 플러그를 벽 소켓으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플러그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플러그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소켓 안에 삽입되기 위한 전기 핀을 형성하고 있는 제1부분과 이 제1부분을 둘러싸고 제1부분에 대하여 삽통식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및 제2부분을 갖는 플러그 본체를 포함하는 전기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삽통 이동 방향이 전기 핀의 축에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제1부분 및 제2부분이 동일한 높이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제2부분은 제2부분이 제1부분을 완전히 둘러싸는 제1위치 및 제1부분이 완전히 노출되는 제2위치로부터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5. 제1항에 있어서, 제1부분 및 제2부분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6. 제5항에 있어서, 분리 방지 수단이 제1부분 및 제2부분 상에 형성된 상호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7. 제1항에 있어서, 제1부분 및 제2부분은 전기 케이블이 플러그에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8. 제1항에 있어서, 제1부분 및 제2부분이 환형 벽을 형성하고 있는 튜브형 부분을 포함하고, 제2부분이 제1부분보다 큰 직경을 갖고, 제1부분의 벽이 제1부분의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갖추고 있고, 제2부분의 벽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채널 내에서의 활주 이동을 위하여 채널 내에 수납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러그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9. 제8항에 있어서, 각 벽은 전기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게 해주는 구멍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10. 제8항에 있어서, 제1부분이 이의 최하부 표면에 인접한 환형 플랜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
KR2019980005436U 1997-07-08 1998-04-08 전기 플러그 KR20025756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960197A 1997-07-08 1997-07-08
US08/889,601 1997-07-08
US8/889,601 1997-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812U KR19990007812U (ko) 1999-02-25
KR200257567Y1 true KR200257567Y1 (ko) 2002-02-19

Family

ID=25395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436U KR200257567Y1 (ko) 1997-07-08 1998-04-08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2) JP2001510278A (ko)
KR (1) KR200257567Y1 (ko)
CN (1) CN1102299C (ko)
AU (2) AU4008697A (ko)
HK (1) HK1007402A2 (ko)
WO (1) WO19990031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85736A (zh) * 2017-01-12 2017-05-31 宁波瑞明电器有限公司 一种插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7376A (en) * 1989-05-17 1990-05-22 Paige Manufacturing Company Incorporated Electrical plug assembly and system
US5580282A (en) * 1994-01-14 1996-12-03 Emerson Electric Co. Sealable shaped connector block for a terminal assembly
US5567181A (en) * 1994-03-23 1996-10-22 Woods Industries, Inc. Low profile electrical plug
US5454731A (en) * 1994-07-06 1995-10-03 Paige Manufacturing Inc. Low profile electrical plug having plastic pull ta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03171A1 (en) 1999-01-21
JP3052059U (ja) 1998-09-11
AU4008697A (en) 1999-02-08
JP2001510278A (ja) 2001-07-31
CN1260073A (zh) 2000-07-12
CN1102299C (zh) 2003-02-26
KR19990007812U (ko) 1999-02-25
HK1007402A2 (en) 1999-03-26
AU691152B3 (en) 199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20388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and housing therefor
EP0434777B1 (en) Electrical plug
EP1769566B1 (en)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discontinuous conductors
EP1986286A2 (en) Connector
NO324178B1 (no) Elektrisk stikkontakt
US5955701A (en) Electrical wall outlet cover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US5096430A (en) Covering electrical sockets for safety
CA2413791A1 (en) Straight blade plug and connector having a variable position cord grip
US6315593B1 (en) Multiple ga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0257567Y1 (ko) 전기 플러그
GB2069254A (en) Electric plug
US2894242A (en) Self-locking electric plugs
KR200293050Y1 (ko) 콘센트용 안전장치
CA2177446C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
US6004148A (en) Electric mating connector insert
US11101578B2 (en) In-line switch assembly
EP0589881B1 (en) Self-locking electric plug
GB2201556A (en) Dummy plug with plug support
EP3926760A1 (en) Adaptor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plug with a flexible prewired conduit
KR200287515Y1 (ko) 콘센트
US2002009471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ating fitting
CN2324655Y (zh) 电插头
KR970004249Y1 (ko) 회전 조립식 아이디시(idc)형 단자블록
CA1111118A (en) Strain relief
US20070077824A1 (en)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