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514Y1 -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 Google Patents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514Y1
KR200257514Y1 KR2020010029525U KR20010029525U KR200257514Y1 KR 200257514 Y1 KR200257514 Y1 KR 200257514Y1 KR 2020010029525 U KR2020010029525 U KR 2020010029525U KR 20010029525 U KR20010029525 U KR 20010029525U KR 200257514 Y1 KR200257514 Y1 KR 200257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e
holder
vine plant
fastener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열
이춘길
Original Assignee
이승열
이춘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열, 이춘길 filed Critical 이승열
Priority to KR20200100295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514Y1/ko

Links

Landscapes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에 도르래를 줄에 장착하고, 넝쿨풀의 줄기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가 장착된 일정한 길이의 줄을 도르래에 감아 지상으로 늘어뜨려 홀더가 장착된 줄을 일정한 시기마다 회전되게 하여 넝쿨을 공중으로 유인하고, 넝쿨이 자람에 따라 상사점에 이르게 되면 홀더가 장착된 줄을 회전시켜 넝쿨을 지상으로 내려줄 수 있게 하므로 넝쿨 관리에 투입되는 작업 인원 및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DEVICE FOR CONTROLLING A STEM OF A CREEPER}
본 고안은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에 도르래를 줄에 장착하고, 넝쿨풀의 줄기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가 장착된 일정한 길이의 줄을 도르래에 감아 지상으로 늘어뜨려 홀더가 장착된 줄을 일정한 시기마다 회전되게 하여 넝쿨을 공중으로 유인하고, 넝쿨이 자람에 따라 상사점에 이르게 되면 홀더가 장착된 줄을 회전시켜 넝쿨을 지상으로 내려줄 수 있게 하므로 넝쿨 관리에 투입되는 작업 인원 및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넝쿨풀 식물은 넝쿨이 감아 뻗으면서 자라는 식물로 오이, 호박 등의 식용 작물이 여기에 속하고 있다.
종래에도 재배지의 공중에 줄을 길게 가로질러 설치하여 넝쿨의 포기마다 각각 별도의 끈을 묶어 단부를 줄기의 하단부를 줄에 집게로 고정되게 하여 공중에 가로질러 설치된 줄을 타고 넝쿨이 자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집게로 고정되게 하는 있는 경우에는 넝쿨의 하중에 의해집게가 줄에 매달려 있지 못하고 땅으로 떨어지게 되어 넝쿨손은 물론 열매에 상처를 주게 되어 작물의 생산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의 농촌은 고령화 추세로 인하여 고령의 경작자가 경작지의 공중에 설치된 줄을 타고 빠르게 자라는 넝쿨을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또한 어느 정도의 경력을 갖는 숙련자가 아니면, 넝쿨손을 손상시키지 않고 넝쿨을 관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방식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만큼 넝쿨 식물을 관리하기가 어렵고 또한 시간에 비해 작업량이 많아 재배되는 양을 크게 늘릴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에 도르래를 줄에 장착하고, 넝쿨풀의 줄기를 고정할 수 있는 홀더가 장착된 일정한 길이의 줄을 도르래에 감아 지상으로 늘어뜨려 홀더가 장착된 줄을 일정한 시기마다 회전되게 하여 넝쿨을 공중으로 유인하고, 넝쿨이 자람에 따라 상사점에 이르게 되면 홀더가 장착된 줄을 회전시켜 넝쿨을 지상으로 내려줄 수 있게 하므로 넝쿨 관리에 투입되는 작업 인원 및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일 특징은 공중에 줄을 가로질러 설치되게 하여 넝쿨풀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넝쿨 관리기에 있어서, 원통체와 원통체의 양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형판을 가지며, 원형판의 일측면에는 상부에 홈이 형성되는 걸림구가 일체로 결합되는 도르래; 넝쿨을 공중으로 유인하기 위해 상기 도르래에 감겨지는 줄; 및 줄에 고정되도록 두 개의 직사각 판체의 일 측이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판체의 마주하도록 접하는 면에는 톱니와 같은 형상으로 요철부가 형성되며, 일 측 판체가 마주하는 판체 보다 좀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그 단부가 꺾여 마주한 판체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구와 체결구의 일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리를 갖는 다수개의 홀더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상기 도르래는 중앙에 형성되는 원통체가 베어링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일 측에 형성되는 고리가 두개의 넝쿨 줄기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중 고리 형상을 갖도록 하거나 체결구의 일 측에 힌지가 형성되어 고리가 일정한 각도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체결구가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기 줄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직사각의 단일 판체로 형성되게 하거나 체결구가 줄이 끼워질 수 있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는 직사각의 단일 판체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의 일 구성요소인 도르래의 측면도이고,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의 일 구성요소인 도르래의 정면도이고,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넝쿨품 식물용 넝쿨 관리기의 일 구성요소인 홀더의 사시도 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의 일 구성요소인 홀더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줄에 고정된 홀더가 회전되어 도르래를 지나갈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8은 홀더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관리기 110 ... 도르래
111 ... 원통체 112 ... 원형판
113,126c,127d ... 구멍 114 ... 걸림구
115 ... 걸림홈 120 ... 홀더
121 ... 체결구 122,125b ... 힌지
123 ... 요철구 124 ... 고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가 도시되어 있는 데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공중에 설치되는 줄(미도시)에 걸어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도르래(110)와 상기 도르래(110)에 감겨져 땅으로 드리워지는 줄(130)과 상기 줄(130)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넝쿨의 줄기를 지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줄기를 집어 고정시키는 홀더(120)로 구성된다.
상기 도르래(110)는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로로 누운 짧은 원통체(111)와 상기 원통체(111)의 양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형판(112)을 가지며, 상기 원형판(112)의 일 측면에는 상부에 홈(115)이 형성되는 걸림구(114)가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걸림구(114)는 상기 일 측 원형판(112)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측 방향으로 꺾여 다시 상부방향으로 꺾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이유는 이하 설명되는 홀더(120)가 장착된 줄(130)을 장착하기에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줄(130)의 길이는 재배지의 공중에 설치되는 줄(미도시)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가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원형판(112)은 중앙에 구멍(11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도르래(110)는 중앙에 형성되는 원통체(111)가 베어링과 같은 구조(즉, 고정체와 회전체로 구성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상기 줄(130)이 원활하게 회전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원형판(112)의 중앙에 위치되는 원통체(111)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줄(130)이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은 줄(130)은 넝쿨이 공중에 설치된 줄에 다다를 수 있도록 충분하게 지상으로 늘어질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줄(130)에는 넝쿨의 줄기를 상기 줄(130)에 고정되게 하여 공중으로 유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홀더(120)가 결합된다.
상기 홀더(120)는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사각의 두 개의 판체로 형성되는 체결구(121)와 상기 체결구(121)의 일 측면에 측면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고리(124)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121)는 두 개의 직사각 판체의 일 측이 힌지(1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판체의 마주하도록 접하는 면에는 톱니와 같은 형상으로 요철부(123)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124)가 형성되는 면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판체는 상기 줄(130)이 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마주하는 판체 보다 좀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그 단부가 꺾여 마주한 판체에 걸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121)의 일 측 판체에서 연장되는 고리(124)는 넝쿨의 줄기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홀더(12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줄(130)에 결합되어 상기 도르래(110)에 감겨지게 되어 상기 줄(130)이 상기 도르래(110)의 원통체)111)를 따라 회전됨에 의해 넝쿨의 줄기를 잡고 줄기를 공중으로 유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더(120)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홀더(120a)는 상기 홀더(120)와 같이 요철(123a)이 형성된 체결구(121a)가 힌지(122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 측에 형성되는 고리(124a)는 굵기가 다른 줄기에 적용하기에 유연성이 있고, 또는 두개의 넝쿨 줄기를 함께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홀더(120b)는 상기 홀더(120)와 동일하게 요철(123b)이 형성된 체결구(121b)가 힌지(122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체결구(121b)의 일 측에는 힌지(125)가 형성되어 고리(124b)가 일정한 각도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홀더(120c)는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기 줄(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126c)이 형성되는 직사각의 단일 판체로 형성되는 체결구(121c)를 가지며, 상기 체결구(121c)의 일 측에 형성되는 고리(124c)는 상기 홀더(120)의 고리(12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홀더(120c)는 나사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이 아닌 본드와 같은 수단에 의해 바로 접착될 수도 있으며, 유사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홀더(120d)는 상기 줄(130)이 끼워질 수 있는 다수개의 구멍(127d)이 형성되는 직사각의 단일 판체로 형성되는 체결구(121d)를 가지며, 상기 체결구(121d)의 일 측에 형성되는 고리(124d)는 상기 홀더(120)의 고리(124)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는 넝쿨손은 물론 열매에 상처를 주지 않고 줄기를 공중으로 유인하여 작물을 자라게 할 수 있고, 또한 현재의 농촌은 고령의 경작자나 경험이 부족한 경작자라 하더라도 손쉽게 넝쿨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작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작업시간이 감소되기 때문에 작업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공중에 줄을 가로질러 설치되게 하여 넝쿨풀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넝쿨 관리기에 있어서,
    원통체(111)와 상기 원통체(111)의 양 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는 원형판(112)을 가지며, 상기 원형판(112)의 일 측면에는 상부에 홈(115)이 형성되는 걸림구(114)가 일체로 결합되는 도르래(110);
    넝쿨을 공중으로 유인하기 위해 상기 도르래(110)에 감겨지는 줄(130); 및 상기 줄(130)에 고정되도록 두 개의 직사각 판체의 일 측이 힌지(1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판체의 마주하도록 접하는 면에는 톱니와 같은 형상으로 요철부(123)가 형성되며, 일 측 판체가 마주하는 판체 보다 좀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그 단부가 꺾여 마주한 판체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체결구(121)와 체결구(121)의 일 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리(124)를 갖는 다수개의 홀더(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래(110)는 중앙에 형성되는 원통체(111)가 베어링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 측에 형성되는 고리(124a)가 굵기가 다른 줄기를 고정하거나 또는 두개의 넝쿨 줄기를 함께 고정할 수 있도록 이중 고리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체결구(121b)의 일 측에 힌지(125)가 형성되어 고리(124b)가 일정한 각도로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체결구(121c)가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상기 줄(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구멍(126c)이 형성되는 직사각의 단일 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체결구(121d)가 줄(130)이 끼워질 수 있는 다수개의 구멍(127d)이 형성되는 직사각의 단일 판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KR2020010029525U 2001-09-25 2001-09-25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KR200257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25U KR200257514Y1 (ko) 2001-09-25 2001-09-25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525U KR200257514Y1 (ko) 2001-09-25 2001-09-25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514Y1 true KR200257514Y1 (ko) 2001-12-29

Family

ID=7306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525U KR200257514Y1 (ko) 2001-09-25 2001-09-25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5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951B1 (ko) 과수 지지 및 유인구
US56386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t culture
KR100899415B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추
JP2753977B2 (ja) 蔓性果樹棚の新梢支持方法およびその構造
KR101373944B1 (ko) 과수나무용 가지 유인기
KR200257514Y1 (ko) 넝쿨풀 식물용 넝쿨 관리기
US20200053968A1 (en) Swing Arm Training Method Vines
KR200422095Y1 (ko) 농작물 고정용 유인고리
KR200447063Y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구
JP4471417B2 (ja) 植物茎等の保持クリップ
US47793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a plant to grow upright using a plant training stake
CN208285971U (zh) 一种黄瓜爬蔓装置
JP4703036B2 (ja) 植物栽培用吊りフックおよび植物栽培方法
JP3940494B2 (ja) トマトやキウリの栽培方法
KR200157887Y1 (ko) 식물재배용 유인끈 케이스
JP2001275496A (ja) 誘引栽培装置
KR200412320Y1 (ko) 과실용 걸이구
JPH0516930Y2 (ko)
JP2013215175A (ja) 水耕栽培用培地
CN211881292U (zh) 一种大棚种植用黄瓜吊蔓下吊装置
CN208227895U (zh) 一种樱桃树种植用省力化支架
JPH0529012Y2 (ko)
CN217936706U (zh) 一种草莓种植用防虫保果装置
KR200373413Y1 (ko) 줄기작물 성장용 로프 고정구
KR200255329Y1 (ko) 나뭇가지 수평유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