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97Y1 - 청소기용 호스 - Google Patents

청소기용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97Y1
KR200257197Y1 KR2020010026542U KR20010026542U KR200257197Y1 KR 200257197 Y1 KR200257197 Y1 KR 200257197Y1 KR 2020010026542 U KR2020010026542 U KR 2020010026542U KR 20010026542 U KR20010026542 U KR 20010026542U KR 200257197 Y1 KR200257197 Y1 KR 200257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surface
hose
pipe wall
inner circumferenti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한
Original Assignee
이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한 filed Critical 이주한
Priority to KR2020010026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97Y1/ko

Links

Abstract

경강선을 수지로 피복한 피복선을 관벽의 내주면에 일정한 간격의 나선상으로 감아돌려서 착설된 청소기용 호스로서, 상기의 수지피복선은 그 사이를 연결하는 관벽을 비교적 좁고 낮은 파형으로 또는 관벽의 내주면에 한하여 좁고 낮은 파형으로 한 내주면 파상부가 상기의 수지피복선 외주단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형성하여, 흡인되는 공기의 저항을 가급적 적게 받는 동시에 호스의 유연성을 최대한으로 좋게 하여 청소기를 가볍고 경쾌하게 다룰 수 있는 호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청소기용 호스{HOSE FOR CLEANER}
본 고안은 연질합성수지재에 의하여 형성된 관벽의 내주면에 수지로 피복한 경강선재를 나선상으로 감아부쳐서 착설된 청소기용 호스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된 호스는〔도 4〕에서와 같이 전기청소기 본체(A)의 흡인구(B)와 청소 조작관(C)의 상측에 착설된 핸들(D)의 흡기구(B')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핸들(D)에 마련된 스위치(S)를 ON-OFF 하여 상기의 청소 조작관(C) 끝에 장착된 흡기노즐헤드(E)로 흡인한 공기를 청소 조작관(C)과 연결된 호스(H)에 의해 청소기 본체(A)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종래의 이런 종류의 호스는〔도 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경강선(2)에 수지재의 피복층(3)을 형성시킨 피복선(4)을 연질합성수지재에 의하여 형성된 관벽(1)의 내주면(1a)에 일정한 간격을 갖게 나선상으로 감아돌려서 착설한 상기의 피복선 (4)의 외주단부(4a)는 일직선상으로 되는 관벽(1) 내주면(1a)의 일직선상에 위치되며, 관벽(1)의 외주면(1b)으로는 나선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A)가 형성된다.
상기 나선상의 돌출부(1A)(1A) 사이 사이를 연결하는 관벽(1)은 피복선(4) 이 거의 매설되게 그 내외주면(1a)(1b)을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어,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호스(H)가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호스(H)에서 관벽(1)에 피복선(4)을 매설한 내주면 (1a)을 거의 일직선이 되게 하여 청소기의 흡인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고 있기는 하나, 관벽(1)이 두꺼워지고, 그 내외주면(1a)(1b)을 일직선으로 형성하고 있어서 유연성이 좋지 못하여 가볍고 경쾌하게 하여야 할 청소를 하지 못하는 부담감을 갖게 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수지피복선(4)를 관벽(1)의 내주면(1a)에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서착설한 호스(H)로서, 관벽(1) 내주면(1a)의 흡인공기 저항을 가급적 적게 하는 동시에 유연성이 좋고, 균일한 자세로 축소 또는 구부러지는 등 그 외형을 항상 바르게 유지할 수 있는 호스를 제공한다.
도 1- 본 고안의 구성요부 확대 단면도.
도 2-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확대 단면도.
도 3- 종래 청소기용 호스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전기 청소기용 호스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관벽 1a: 내주면 1b: 외주면 1c: 파상부
1A: 돌출부 2: 경강선 3: 피복층 4: 피복선
4a: 외주단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예시도면〔도 1〕에 따라 설명하면, 이 청소기용 호스 (H)는 경강선(2)을 합성수지재로 피복하여 피복층(3)이 형성되게 한 피복선(4)을 연질 합성수지로 되는 관벽(1)의 내주면(1a)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서 착설하되, 상기의 피복선(4)은 관벽(1)의 내주면(1a)과 접착 또는 융착되고, 그 외주면 (1b)으로는 나선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A)가 형성되게 한 호스(H)로서, 상기의 피복선(4)(4) 사이를 연결하는 관벽(1)을 비교적 좁고 낮은 파형으로 하고, 그 내주면 (1a)의 파상부(1c) 정상이 상기 피복선(4)의 외주단부 (4a)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도면〔도 2〕에 따라 설명하면, 이 청소기용 호스(H)는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거의 같이 실시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피복선(4)(4) 사이를 연결하는 관벽(1)의 내주면(1a)에 비교적 좁고 낮은 파상부(1c)를 형성하고, 외주면(1b)은 일직선의 활면(滑面)으로 하여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복선(4)을 형성하는 피복수지층(3)은 관벽(1)을 형성하는 수지와 동실 또는 동계의 수지로 접착하는 것이나 그 융착성이 좋은 것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또, 정해지는 호스(H)의 내경의 크기에 따라 관벽(1)의 두께, 경강선(2)의직경 및 그 피복선(4)의 직경 또는 피복선(4)의 나선상 간격 등은 소정의 시험에 의해 선택 또는 설계적으로 실시되는 것이다.
특히 수지피복선(4)을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서 착설하는「간격의 실시」는 관체축방향으로의 압축력이 가해지거나 구부러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때 관벽 전체가 균일한 자세로 축소되거나 또는 구부러지는 때 그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청소기용 호스(H)에 있어서, 피복선(4)(4) 사이를 연결하는 관벽 (1)을 비교적 좁고 낮은 파형으로 하여 그 내주면(1a)의 파상부(1c) 정상이 상기 피복선(4)의 외주단부(4a)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있어, 관내로 흡인되는 공기의 저항이 비교적 낮고, 관벽(1) 내외주면(1a)(1b)을 일직선상으로 한 호스(H)에 비하여 그 유연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 관벽(1)의 내주면(1a)에 한하여 좁고 낮은 파상부(1c)를 형성한 때에도 관내로 흡인되는 공기 저항이 비교적 낮고, 그 외주면(1b)은 활면(滑面)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여도 관체의 내외주면이 일직선으로 된 것보다 그 유연성이 좋은 것이다.

Claims (2)

  1. 경강선(2)을 합성수지로 피복하여 피복층(3)을 형성시킨 피복선(4)을 연질 합성수지로 되는 관벽(1)의 내주면(1a)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게 나선상으로 감아 돌려서 착설하되, 상기의 피복선(4)은 관벽(1)의 내주면(1a)과 접착 또는 융착되고, 그 외주면 (1b)으로는 나선상의 돌출부(1A)(1A)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의 피복선(4)(4) 사이를 연결하는 관벽(1)을 파형으로 한 내주면(1a)의 파상부(1c)가 상기 피복선(4)의 외주단부(4a)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호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의 피복선(4)(4) 사이를 연결하는 관벽(1)의 외주면(1b)은 일직선상의 활면으로 하고, 내주면(1a)은 파형의 파상부(1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호스.
KR2020010026542U 2001-08-31 2001-08-31 청소기용 호스 KR200257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542U KR200257197Y1 (ko) 2001-08-31 2001-08-31 청소기용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542U KR200257197Y1 (ko) 2001-08-31 2001-08-31 청소기용 호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122A Division KR100433559B1 (ko) 2001-08-31 2001-08-31 청소기용 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97Y1 true KR200257197Y1 (ko) 2001-12-24

Family

ID=7310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542U KR200257197Y1 (ko) 2001-08-31 2001-08-31 청소기용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1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4094B2 (ja) クリーナーホース
JPH1122871A (ja) クリーナーホース
JPH0919390A (ja) クリーナーホース
KR200257197Y1 (ko) 청소기용 호스
KR100433559B1 (ko) 청소기용 호스
JPH0914526A (ja) 可撓性ホース
EP1281904A3 (en) Helically wound corrugated tubular structure
JPH0759693A (ja) 補強線付き可撓性ホース
JP3179728B2 (ja) 掃除機用サクションホースの接着構造
KR100330600B1 (ko) 단자링이 일체로 몰딩된 진공 청소기용 호스
JP2571516Y2 (ja) 線材補強ホース
JP4022699B2 (ja) クリーナーホース
CN211261195U (zh) 一种空调器用新风管
JP4545326B2 (ja) 伸縮クリーナーホース
WO1995019731A1 (en) Vacuum cleaner
JP2003125997A (ja) 電気掃除機用ホース
KR20020042908A (ko) 전선관을 가진 진공 청소기용 호스
JP2001025451A (ja) クリーナーホース
JP2001012687A (ja) 導管用断熱カバー
JP2002238819A (ja) 電気掃除機用ホース
JPS6113009Y2 (ko)
KR100751870B1 (ko) 전선내장 호스 및 그 제조방법
KR100387725B1 (ko) 샤워기용 금속호스
EP1219882A3 (de) Flexibles Leitungsrohr
JPH02109551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