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903Y1 - 묵주겸용손목시계 - Google Patents

묵주겸용손목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903Y1
KR200256903Y1 KR2019980022956U KR19980022956U KR200256903Y1 KR 200256903 Y1 KR200256903 Y1 KR 200256903Y1 KR 2019980022956 U KR2019980022956 U KR 2019980022956U KR 19980022956 U KR19980022956 U KR 19980022956U KR 200256903 Y1 KR200256903 Y1 KR 2002569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rosary
turning
center
embo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596U (ko
Inventor
조기홍
Original Assignee
강춘근
주식회사 오리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춘근, 주식회사 오리엔트 filed Critical 강춘근
Priority to KR2019980022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90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05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5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9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903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묵주겸용 손목 시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시계는, 센터, 이 센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으로 그루브가 형성되도록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고정 베젤, 상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특정 모양이 양각되고, 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그루브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단턱을 갖는 터닝 베젤, 상기 고정 베젤의 일정 위치와 상기 터닝 베젤의 양각부가 서로 일치될 때 상기 터닝 베젤이 멈출 수 있도록 상기 터닝 베젤의 양각부에 장착되는 스토퍼부재 및 상기 고정 베젤의 일정 위치와 상기 터닝 베젤의 양각부가 서로 일치될 때 소정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터닝 베젤에 장착되는 효과 부여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안에 의해 시계의 베젤을 회전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이 베젤의 상면에 일정 개수의 묵주알을 양각시키므로써 손목시계 자체를 묵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품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묵주겸용 손목 시계{wristwatch for using rosary}
본 고안은 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면에 일정 개수의 묵주(默珠)알이 양각된 베젤을 반복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성품(聖品)을 겸하게 되는 묵주겸용 손목 시계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시계는 해시계, 자격루(自擊漏:물시계의 일종) 등이 사용되다가 산업이 발달하면서 더욱 정확한 시각을 알기 위하여 기계식의 아날로그 시계에서 전자식의 디지털 시계로 발전하였다. 더욱이, 최근에 있어서는 시각 측정용으로만 사용하던 시계의 기능에 패션 기능까지 부가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천주교 신자들이 기도할 때 성품(聖品)인 묵주를 이용하는데, 장소에 구애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링반지의 둘레를 따라 일정갯수의 묵주알을 양각시킨 묵주반지를 이용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손목 시계는 시각 측정용으로만 사용되므로 그 기능이 단순하며, 또한 기도를 생활화하는 천주교 신자들은 묵주 반지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므로써 경제적인 어려움이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목 시계의 베젤(bezel)을 회전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이 베젤의 상면에 일정 갯수의 묵주알을 양각시키므로써 손목시계 자체를 묵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품성이 증대되는 묵주겸용 손목 시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묵주겸용 손목 시계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절단 확대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손목 시계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십자가 묵주알의 사시도.
도 4 는 도 1 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 는 도 1 의 선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묵주겸용 손목 시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0:시계, 12:센터, 14:유리, 16:문자판, 18:핸드(hand), 20:용두, 22:걸림홈, 24:고정 베젤(bezel), 26:터닝 베젤, 28:그루브(groove), 30:단턱, 32,34:묵주알, 36:리세스(recess), 38:작동구, 40:콜릿(collet), 42:삽입홀, 44:스프링, 110:계수기, 120: 리셋(reset) 버튼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며, 본 고안의 일면에 따라, 묵주 겸용 손목 시계는, 상면에 등간격으로 걸림홈이 복수개 형성된 센터;와 상기 센터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일정거리 연장되며, 외측면으로 돌출된 그루브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베젤;과 상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특정 모양이 양각되고,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그루부에서 회전되며, 일정거리 절개된 단부를 갖는 원형의 터닝 베젤; 및 상기 터닝 베젤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터의 걸림홈에 일치 될 때 상기 터닝 베젤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터닝 베젤은 상면에 상부로 돌출된 10개의 양각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각부가 큰 하나의 반구형의 묵주알이 상기 단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터닝 베젤의 묵주알에 하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에 내장된 작동구, 및 상기 리세스의 상면과 상기 작동구 사이에 압착되어 안착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특징에 따라,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묵주알을 밀거나 당기므로써 상기 터닝 베젤에 내장된 작동구는 이 작동구의 괘적을 따라 시계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홈에서 이탈되면서 센터의 상면에 오르게 된다. 그 후, 계속하여 터닝 베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작동구는 센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하다가 다음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므로써 터닝 베젤이 멈추게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연속하여 반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본 고안의 손목 시계를 이용하여 묵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묵주겸용 손목시계의 사시도 및 부분 절단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손목시계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0 으로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손목시계는 몸체를 이루는 센터(12), 테두리를 형성하는 고정 및 터닝 베젤(24,26), 핸드(hand)(18), 용두(20) 및 유리(14) 등으로 구성된다.
도 1 의 부분 절단 확대도에서 처럼, 시계(10)의 센터(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 베젤(24)은 상향으로 돌출 되는데, 상기 센터(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면으로 그루브(groove)(28)가 형성된다.
도 2 에서 처럼, 상기 터닝 베젤(26)은 상기 그루브(28)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단턱(30)이 하단부에 형성되고, 또한 절단되어 단부가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상기 그루부(28)에 탄성적으로 삽입 장착된다. 게다가, 이 터닝 베젤(26)의 상면부에는 10개의 묵주알(32)이 등간격으로 양각되고, 십자가가 음각된 한 개의 묵주알(34)은 나머지의 묵주알(32) 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이 십자가 묵주알(34)은 상기 터닝 베젤(24)의 단부에 장착된다. 즉, 십자가 묵주알(34)의 저면에 설치된 한 쌍의 콜릿(collet)(40)이 터닝 베젤(24)의 양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삽입홀(42)에 압입하여 끼워 맞춤되므로써 십자가 묵주알(34)이 터닝 베젤(24)에 용이하게 고정 장착된다(도3, 도5 참조)
이와 같이, 11개의 묵주알(32,34)을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기도를 헤아리는 방법에 기인한 것으로, 보통 10번의 성모송을 위하여 10개의 작은 묵주알(32)을 양각하였으며, 한번의 주기도문을 위하여 십자가가 음각된 큰 묵주알(34)을 장착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터닝 베젤(24)의 십자가 묵주알(34)과 상기 고정 베젤(24)의 주변을 따라 센터(12)에 형성된 걸림홈(22)이 서로 일치될 때 상기 터닝 베젤(24)이 멈출 수 있도록 십자가 묵주알(34)에 스토퍼 부재가 장착된다.
이러한 스토퍼 부재는 도 1의 선 Ⅳ-Ⅳ 및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인 도 4 와 도 5를 참조하여 이하 상술한다.
즉, 스토퍼 부재는 터닝 베젤(24)의 절단 단부에 장착된 십자가 묵주알(34)의 저면에 하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리세스(recess)(36)와, 이 리세스(36)에 내장되는 작동구(38)와, 상기 리세스(36)의 상면과 작동구(38) 사이에 압착되어 안착되는 스프링(44)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동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십자가 묵주알(34)이나 다른 소형의 묵주알(32)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상기 십자가 묵주알(34)에 내장된 작동구(38)는 이 작동구(38)의 괘적을 따라 상기 센터(12)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홈(22)에서 이탈되면서 상기 센터(12)의 상면에 오르게 된다. 그 후 계속하여 터닝 베젤(2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작동구(38)는 센터(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전하다가 다음에 형성된 걸림홈(22)에 삽입되므로써 터닝 베젤(24)이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이 연속하여 반복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본 고안의 손목 시계(10)를 이용하여 묵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묵주겸용 손목 시계를 나타내었으며, 도면부호 100으로 도시한다.
이 도면에 따른 묵주겸용 손목 시계(100)는 도 1의 손목 시계(10)와 그 구성은 유사하나, 단지 문자판의 일정부위에 장착되는 계수기(110)와 센터의 측면에 설치되는 리셋(reset) 버튼(120)이 부가된다. 따라서, 십자가 묵주알(34)이 일회전 되면 상기 계수기(110)에는 1이 나타나고, 십자가 묵주알(34)의 회전수만큼 디스플레이 되므로 사용자는 기도횟수를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셋 버튼(120)을 누름으로써 계수기(110)는 최초의 상태로 되게 된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그 작동에 따라, 손목 시계의 베젤을 회전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이 베젤의 상면에 일정 개수의 묵주알을 양각시키므로써 손목시계 자체를 묵주로도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품성이 증대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상면에 등간격으로 걸림홈이 복수개 형성된 센터;
    상기 센터의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로 일정거리 연장되며, 외측면으로 돌출된 그루브가 일체로 형성된 고정 베젤;
    상면부에는 하나 이상의 특정 모양이 양각되고,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그루부에서 회전되며, 일정거리 절개된 단부를 갖는 원형의 터닝 베젤; 및
    상기 터닝 베젤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터의 걸림홈에 일치될 때 상기 터닝 베젤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묵주겸용 손목 시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닝 베젤은 상면에 상부로 돌출된 10개의 양각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각부보다 큰 하나의 반구형의 묵주알이 상기 단부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묵주겸용 손목 시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부재는 상기 터닝 베젤의 양각부에 하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리세스와, 상기 리세스에 내장된 작동구 및 상기 리세스의 상면과 상기 작동구 사이에 압착되어 안착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묵주겸용 손목 시계.
KR2019980022956U 1998-11-24 1998-11-24 묵주겸용손목시계 KR2002569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956U KR200256903Y1 (ko) 1998-11-24 1998-11-24 묵주겸용손목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956U KR200256903Y1 (ko) 1998-11-24 1998-11-24 묵주겸용손목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596U KR20000010596U (ko) 2000-06-15
KR200256903Y1 true KR200256903Y1 (ko) 2002-04-22

Family

ID=6950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956U KR200256903Y1 (ko) 1998-11-24 1998-11-24 묵주겸용손목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9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674B1 (ko) * 2006-03-10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의 메뉴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2172522B1 (ko) * 2020-06-08 2020-10-30 김영길 여러 기념일을 표시 가능하도록 회전 및 락 기능이 구비된 반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596U (ko) 200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0992A (en) Watch with removable face
US7836726B2 (en) Piece of jewellery with special aesthetic effects
US4901548A (en) Key head and key fitted with such a head
US6502981B2 (en) Watch that can serve as either a wristwatch or a clock
US20080279053A1 (en) Timepiece with Two Rotating Bezels
US5299178A (en) Clock
US6819632B1 (en) Wristwatch with removable face
KR200256903Y1 (ko) 묵주겸용손목시계
US7997789B2 (en) Clock for displaying collectibles
US4884256A (en) Dial face for clock or watch
US6310835B1 (en) Metal case part with knobs made in synthetic material
US2566741A (en) Watch casing
US2166687A (en) Combination wrist watch
US3952499A (en) Watch cases, dials and bezels
US4999822A (en) Dial face for clock or watch
JPH11266914A (ja) 多面体回転身飾品
KR200343193Y1 (ko) 표시부를 구비한 묵주반지
KR200273301Y1 (ko) 퍼즐 반지
JPS6038231Y2 (ja) 小型時計の変形回転ベゼル構造
US5010533A (en) Dial face for clock or watch
EP0629365A1 (en) Jewel representing the phases of heavenly bodies
US20020110050A1 (en) Interchangeable display timepiece
KR200346640Y1 (ko) 양면 손목시계
KR200359074Y1 (ko) 회전문양을 갖는 반지
KR200282311Y1 (ko) 시계용 문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