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864Y1 -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 Google Patents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864Y1
KR200256864Y1 KR2020010028173U KR20010028173U KR200256864Y1 KR 200256864 Y1 KR200256864 Y1 KR 200256864Y1 KR 2020010028173 U KR2020010028173 U KR 2020010028173U KR 20010028173 U KR20010028173 U KR 20010028173U KR 200256864 Y1 KR200256864 Y1 KR 200256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ing
support
plate
bridge
b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낙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Priority to KR2020010028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8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864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이 횡방향으로 움직일때 교량 상판을 최대한도로 지지할 수 있고 대지진이나 대홍수시 천재지변에 의한 교량 상판의 낙교붕괴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교량 상판과 고핑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대하여 작동되는 탄성받침 슈에 있어서,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의 상부 베이스판은, 중앙부에 대형의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 앵커가 형성되어 교량 상판의 하부에 안착되며, 상기의 상부 베이스판의 하부에 밀착되는 상부 받침판은, 상부 중앙에 원형 돌기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측 하부에 낙교방지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에는 수직한 그 측면에 연결 앵커가 형성되고, 상기의 상부 받침판은 하부면에 상부이탈 방지대가 형성되며, 상기의 상부 받침판의 하부와 밀착되는 탄성고무 받침은, 사각구조로 형성되어 교량 상판의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작동하게 되며, 상기의 탄성고무 받침의 하부를 밀착시키는 하부판은 상부에 폭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중앙부를 관통시켜 상부가 오픈되도록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가 형성되고 상기의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에는 상부에 체결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의 하부판은 길이방향의 상부에 이탈 방지대가 설치되어 탄성고무 받침의 하부를 고정하게 되고, 상기의 하부판은 기초 앵커가 형성되어 고핑에 안착되며,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에는 그 측면에 형성된 연결 앵커가 하부판의 상부에 형성된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의 홈에 삽입되고,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에는 그 상부에서 누른채로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에 고정되는 낙교방지 상부 버팀대가 체결 볼트로 하부판의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의 체결 볼트홀에 고정되어 교량 상판이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낙교방지 지지대와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가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구성한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ELASTIC BOARD SHOE PREVENTING A FALL OF VERTICAL WORKING EQUIPMENT OF BRIDGE'S SLAB}
본 고안은,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교량 상판이 횡방향으로 움직일때 교량 상판을 최대한도로 지지할 수 있고 대지진이나 대홍수시 천재지변에 의한 교량 상판의 낙교붕괴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을 구성하는 교량 상판과 교각의 상부에 형성된 고핑의 사이에는 탄성받침 슈가 설치되어 교량의 횡방향 및 종방향의 유동에 대하여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의 탄성받침 슈는,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작동되는 구조로 구성되는데, 일반적으로 교량 상판과 고핑의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작동되는 탄성받침이 주로 설치되며, 상기의 탄성받침 슈는 계절적 변화에 따른 교량 상판의 팽창 및 수축에 대하여 적절하게 작동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량 상판의 붕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교량(20)은 교량 상판(24), 고핑(28), 교각(30) 및 기타 부속자재로 구성되는데, 상기의 교량 상판(24)과 고핑(28) 사이에는 탄성받침 슈(34)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의 교량(20)은 대지진이나 대홍수시에 교량 상판(24)과고핑(28) 사이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구조가 부족한 형편이다.
상술한 일반적인 교량의 상판을 받치고 있는 탄성받침이 밀리거나 대지진이나 대홍시와 같은 천재지변에 이해 이탈될 경우 교량은 붕괴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교량 상판이 횡방향으로 움직일때 교량 상판을 최대한도로 지지할 수 있고 대지진인 대홍수시 천재지변에 의한 교량 상판의 낙교붕괴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교량 상판과 고핑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대하여 작동되는 탄성받침 슈에 있어서,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의 상부 베이스판은, 중앙부에 대형의 중앙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 앵커가 형성되어 교량 상판의 하부에 안착되며, 상기의 상부 베이스판의 하부에 밀착되는 상부 받침판은, 상부 중앙에 원형 돌기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측 하부에 낙교방지 지지대가 형성되며,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에는 수직한 그 측면에 연결 앵커가 형성되고, 상기의 상부 받침판은 하부면에 상부이탈 방지대가 형성되며, 상기의 상부 받침판의 하부와 밀착되는 탄성고무 받침은, 사각구조로 형성되어 교량 상판의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작동하게 되며, 상기의 탄성고무 받침의 하부를 밀착시키는 하부판은 상부에 폭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중앙부를 관통시켜 상부가 오픈되도록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가 형성되고 상기의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에는 상부에 체결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의 하부판은 길이방향의 상부에 이탈 방지대가 설치되어 탄성고무 받침의 하부를 고정하게 되고, 상기의 하부판은 기초 앵커가 형성되어 고핑에 안착되며,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에는 그 측면에 형성된 연결 앵커가 하부판의 상부에 형성된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의 홈에 삽입되고,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에는 그 상부에서 누른채로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에 고정되는 낙교방지 상부 버팀대가 체결 볼트로 하부판의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의 체결 볼트홀에 고정되어 교량 상판이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낙교방지 지지대와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가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구성한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량 상판의 붕괴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교량 상판에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를 설치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교량 52 : 교량 상판
54 : 고핑 56 : 교각
58 :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60 : 상부 덮개판
62 : 중앙 접속홀 64 : 상부 앵커
66 : 상부 받침판 67 : 원형 돌기부
68 : 낙교방지 지지대 69 : 상부이탈 방지대
70 : 연결 앵커 72 : 탄성고무 받침
74 : 상부 버팀대 76 : 체결 볼트
78 : 하부판 80 :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
82 : 체결 볼트홀 84 : 이탈 방지대
86 : 기초 앵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교량 상판에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를 설치한 도면으로서, 교량(50)을 구성하는 교량 상판(52)과 교각(56)의 상부에 형성된 고핑(54) 사이에는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58)가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58)는, 교량 상판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부 덮개판(60), 상기의 상부 덮개판(60)과 결합고정되는 상부 받침판(66), 상기의 상부 받침판(66)과 밀착되는 탄성고무 받침(72) 및 상기의 탄성고무 받침(72)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고핑의상부에 안착되는 하부판(78)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상부 덮개판(60)에는 상부 받침판(66)의 원형 돌기부(67)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의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58)의 상부 덮개판(60)은, 중앙부에 대형의 중앙 관통홀(62)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 앵커(64)가 형성된다.
상기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58)의 상부 받침판(66)은, 상부 중앙에 중앙 관통홀(62)에 대향되는 위치에 원형 돌기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측 하부에 낙교방지 지지대(68)가 형성되며,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68)에는 수직한 그 측면에 연결 앵커(7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상부 받침판(66)은 하부면에 상부이탈 방지대(69)가 형성되어 탄성고무 받침(72)의 상부를 지지하게 되는 한편,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68)는 상부가 길고 하부가 짧은 삼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58)의 탄성고무 받침(72)은, 사각구조로 형성되어 교량 상판의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상기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58)의 하부판(78)은 상부에 폭방향으로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가 형성되는데, 상기의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는 'ㄷ'자 형상으로 중앙부를 관통시켜 상부가 오픈되도록 형성되고 상기의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에는 상부에 체결 볼트홀(82)이 형성되며, 상기의 하부판(78)은 길이방향의 양측에 이탈 방지대(84)가 설치되어 탄성고무 받침(72)의 하부를 고정하게 되고,상기의 하부판(78)은 기초 앵커(86)가 모서리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의 하부판(78)의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에는 그 상부에 낙교방지 상부 버팀대(74)가 결합되는데, 상기의 낙교방지 상부 버팀대(74)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체결볼트(76)가 결합된 구조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58)는, 상부 받침판(66)의 하부에 낙교방지 지지대(68)가 형성되고, 하부판(78)의 상부에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가 형성되는데,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68)에는 그 측면에 형성된 연결 앵커(70)가 하부판(78)의 상부에 형성된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의 홈에 삽입되고, 이때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68)에는 그 상부에서 누른채로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에 고정되는 낙교방지 상부 버팀대(74)가 체결 볼트(76)로 하부판(78)의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의 체결 볼트홀(82)에 고정되어 교량 상판(52)이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낙교방지 지지대(68)와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가 적절하게 대응하므로 종래의 문제점으로 대두되던 탄성받침 고무(72)의 이탈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교량 상판(52)을 고핑(54)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는, 교량 상판이 횡방향으로 움직일 때 교량 상판을 최대한도로 지지할 수 있도록 낙교방지 지지대와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가 적절하게 대응하는 관계로 대지진이나 대홍수시 천재지변에 의한 교량 상판의 낙교붕괴 사고를 예방하고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교량 상판과 고핑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 상판의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대하여 작동되는 탄성받침 슈에 있어서,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58)의 상부 베이스판(60)은, 중앙부에 대형의 중앙 관통홀(62)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부 앵커(64)가 형성되어 교량 상판(52)의 하부에 안착되며, 상기의 상부 베이스판(60)의 하부에 밀착되는 상부 받침판(66)은, 상부 중앙에 원형 돌기부(67)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양측 하부에 낙교방지 지지대(68)가 형성되며,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68)에는 수직한 그 측면에 연결 앵커(70)가 형성되고, 상기의 상부 받침판(66)은 하부면에 상부이탈 방지대(69)가 형성되며, 상기의 상부 받침판(66)의 하부와 밀착되는 탄성고무 받침(72)은, 사각구조로 형성되어 교량 상판의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작동하게 되며, 상기의 탄성고무 받침(72)의 하부를 밀착시키는 하부판(78)은 상부에 폭방향으로 'ㄷ'자 형상으로 중앙부를 관통시켜 상부가 오픈되도록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가 형성되고 상기의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에는 상부에 체결 볼트홀(82)이 형성되며, 상기의 하부판(78)은 길이방향의 상부에 이탈 방지대(84)가 설치되어 탄성고무 받침(72)의 하부를 고정하게 되고, 상기의 하부판(78)은 기초 앵커(86)가 형성되어 고핑(54)에 안착되며,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68)에는 그 측면에 형성된 연결 앵커(70)가 하부판(78)의 상부에 형성된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의 홈에 삽입되고, 상기의 낙교방지 지지대(68)에는 그 상부에서 누른채로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에 고정되는 낙교방지 상부 버팀대(74)가 체결 볼트(76)로 하부판(78)의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의 체결 볼트홀(82)에 고정되어 교량 상판(52)이 계절적 변화에 따른 팽창 및 수축에 따라 낙교방지 지지대(68)와 낙교방지 하부 버팀대(80)가 적절하게 대응하도록 구성한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KR2020010028173U 2001-09-13 2001-09-13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KR200256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173U KR200256864Y1 (ko) 2001-09-13 2001-09-13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173U KR200256864Y1 (ko) 2001-09-13 2001-09-13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864Y1 true KR200256864Y1 (ko) 2001-12-24

Family

ID=7310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173U KR200256864Y1 (ko) 2001-09-13 2001-09-13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8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6864Y1 (ko) 교량 상판의 종방향 가동단의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WO2004046487A3 (en) Anchoring element for linking uprights
KR200256861Y1 (ko) 교량 상판 횡방향 가동단 낙교방지 탄성받침 슈
US6318032B2 (en) Longitudinal stabilizer for a premanufactured building
US6243998B1 (en) Longitudinal stabilizer for premanufactured building
KR200402133Y1 (ko) 가동형 스페리칼 타입의 교량용 교좌장치
KR200256862Y1 (ko) 교량의 낙교방지용 고정단 탄성받침 슈 구조
KR200252609Y1 (ko) 이탈방지틀이 보강된 교량 상판의 고무탄성받침 지지구조
KR200252608Y1 (ko) 교량 상판 이탈방지용 양방향 탄성받침의 지지구조
KR200256866Y1 (ko) 교량 상판의 이음새 슬립형 이탈방지 핑거죠인트
KR200256847Y1 (ko) 교량 상판의 이탈방지 탄성받침구조
KR200256867Y1 (ko) 교량상판 낙교 방지를 위한 양방향 탄성받침 슈
GB2412941A (en) Elevated support structure providing working platform or fall arrest structure
JPS6324745Y2 (ko)
KR200417258Y1 (ko) 보도용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0253538Y1 (ko) 강박스 거더 교량의 낙교방지 베어링 앵커 구조
KR200388963Y1 (ko) 교량 점검용 자켓
KR200272144Y1 (ko) 반원통형 교좌장치
KR200241526Y1 (ko) 미끄러짐 방지 스토퍼가 결합된 탄성받침
KR200344965Y1 (ko) 교량의 낙교 방지시설
KR200358297Y1 (ko) 교량의 낙교방지시설
KR100684173B1 (ko) 교량 점검용 자켓
KR200254644Y1 (ko) 교량 교좌장치의 이탈 방지장치
KR200264080Y1 (ko) 교량 상판의 낙교 및 이탈방지를 위한 신축이음 구조
KR200214809Y1 (ko) 고지압 탄성 받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