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857Y1 - 루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루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857Y1
KR200256857Y1 KR2020010028084U KR20010028084U KR200256857Y1 KR 200256857 Y1 KR200256857 Y1 KR 200256857Y1 KR 2020010028084 U KR2020010028084 U KR 2020010028084U KR 20010028084 U KR20010028084 U KR 20010028084U KR 200256857 Y1 KR200256857 Y1 KR 200256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frame
slat
connect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종철
Original Assignee
(주)테크날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크날시스템 filed Critical (주)테크날시스템
Priority to KR2020010028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857Y1/ko

Links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루버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창된 루버시스템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루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제1지지프레임과, 다수의 제1슬랫고정편과, 다수의 제1회전판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와 동일한 구성의 제2지지부재가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부가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통홀에는 상기 제1 및 제2슬랫고정편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루버 연결 장치{ROUVER CONNECTING DEVICE}
본 고안은 루버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창된 루버시스템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루버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시스템은 문이나 창문 등의 실내측에 별도로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실내측으로 조사되는 빛과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루버시스템은 단일창의 형태일 수 있으나, 넓은 공간에서는 루버시스템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창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창 루버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창된 루버시스템은 창틀(10), 슬랫(20), 다수의 연결프레임(11)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프레임(11)은 각각 분리되어 있으므로, 각 창의 슬랫(20)을 개폐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결프레임(11)에 이에 대응하는 핸들(80)이 장착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루버시스템에서 모든 슬랫(2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핸들(80)을 따로 조작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창된 루버시스템의 모든 슬랫(20)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루버연결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2a는 종래의 다른 연창루버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연창루버시스템은 외부에 별도 링크수단이 장착된다.
즉, 창틀(10) 일측에 배치된 회전모터(70)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50)와 상기 샤프트(50)를 연결시키는 링크(40), 링크연결고리(42), 베어링(60)을 포함하는 별도의 링크수단이 창틀(10) 외부에 장착된다.
도 2b는 도 2a의 A-A 부분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의 B-B 부분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슬랫(20)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루버연결장치는 다수의 장치가 필요하며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버연결장치가 외부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복잡하고 외관상 미려하지 않으며,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창루버시스템에서 모든 슬랫을 동시에 개폐시킬 수 있는 루버연결장치로서, 제조 공정이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외관상 깔끔한 루버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창루버시스템의 개략도.
도 2a는 종래의 다른 연창루버시스템의 개략도.
도 2b는 도 2a의 A-A 부분의 정면 투시도.
도 2c는 도 2a의 B-B 부분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의 연결프레임의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의 지지부재의 일면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지지부재의 타면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창틀 20: 슬랫(slat)
30: 슬랫고정편 40: 링크
42: 링크연결고리 50: 샤프트(shaft)
60: 베어링(bearing) 70: 회전모터
80: 핸들 100: 연결프레임
110: 제1고정부 120: 제2고정부
130: 연통홈 140: 나사부
200: 제1지지부재 210: 제1슬랫고정편
220: 제1회전판 222: 제1고정돌기
224: 제1연결돌기 226: 제1고정홈
230: 제1트랜스미션바 232: 제1연결홈
240: 제1지지프레임 300: 제2지지부재
310: 제2슬랫고정편 320: 제2회전판
322: 제2고정돌기 324: 제2연결돌기
326: 제2고정홈 330: 제2트랜스미션바
332: 제2연결홈 340: 제2지지프레임
400: 연결편 410: 제1결합부
420: 제2결합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등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랫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슬랫고정편과, 상기 제1슬랫고정편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슬랫고정편들을 일체로 연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회전판으로 구성된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등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랫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슬랫고정편과, 상기 제2슬랫고정편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슬랫고정편들을 일체로 연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회전판으로 구성된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부가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프레임을 포함된다.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에는 상기 제1 및 제2슬랫고정편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에는 각각 제1 및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3 및 제4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는 상기 연결편의 제3 및 제4 결합부에 연결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외부 창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의 연결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의 연결프레임(100)은 슬랫이 연결되는 지지부재(200,300)가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제1고정부(110)와 제2고정부(120)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110)와 상기 제2고정부(120)를 연통하도록 연통홈(130)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110, 120)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연통홈(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데, 연결프레임(100)의 길이에 따라 적정한 수로 형성된다.
예컨대 연결프레임(100)이 짧은 경우에는 하나의 연통홈(130)으로 충분하지만 상기 연결프레임(100)이 대개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에 연통홈(130)을 성형하며, 연결프레임(100)이 긴 경우에는 연창된 슬랫(20)의 원활한 개폐를 위하여 상기 연결프레임(100) 중간 부분에 상기 연통홈(13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강도를 고려하여 적정한 수로 연통홈(1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양단부에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외부 창틀(1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나사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140)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연통홈(130)과 인접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는 압출성형시 나사부(140)의 일부가 상기 연통홈(13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프레임(100)의 제1 및 제2고정부(110, 120)는 디긋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200,30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고정부(110, 120)의 길이 방향의 양 단면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의 지지부재의 일면의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0,300)는 지지프레임(240,340)과 상기 지지프레임(240,340)에 등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랫(20)이 삽입되는 다수의 슬랫고정편(210, 310)이 장착되어 있다.
도 4b는 도 4a의 지지프레임의 타면의 사시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200,300)의 타면에는 트랜스미션바(230, 330)와 회전판(220, 320)이 배치된다.
상기 트랜스미션바(230, 330)는 도 4a에 도시된 슬랫고정편(210, 310)과 도 4b에 도시된 회전판(220, 320)을 각각 대응되게 양면에 연결시키는 요소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바(230, 330)의 일측에는 등간격으로 연결홈(232, 3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회전판(220, 32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220, 320)의 일면에는 연결돌기(224, 324)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홈(232, 332)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220, 320)이나 상기 슬랫고정편(210, 310)의 어느 것의 회동에 따라 상기 트랜스미션바(230, 330)에 연결된 모든 회전판(220, 320)들과 슬랫고정편(210, 310)들이 동시에 회동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연결장치는 제1지지프레임(240,340)과, 슬랫(20)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슬랫고정편(210)과, 상기 제1슬랫고정편(210)들을일체로 연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회전판(220, 320)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200)와, 상기 제1지지부재(200)와 대응되고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2지지부재(200,300)와 상기 제1 및 제2지지부재(200, 300)가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부(110, 120)가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프레임(100) 및 연결편(40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편(400)은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220,320)의 일측에 연결되기 위하여 양단부에 제1 및 제2결합부(410, 4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편(400)은 상기 연결프레임(100)을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편(400)의 제1결합부(410)는 상기 제1회전판(220)의 제1고정돌기(222) 사이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제1고정돌기(2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돌기(222a)와 외부돌기(222b)로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제2회전판(220, 320)이 상기 연결편(400)에 결합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창된 루버의 동시 회동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는 외부에 연창된 루버를 연결하기 위하여 다른 구성요소가 배치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는 수동식 루버시스템과 자동식 루버시스템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핸들을 각 프레임 외부에 부착하거나 슬랫 외부에 별도의 링크축을 만들 필요가 없으므로 외관상 심플하고 현대적인 연창루버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재의 비용이 저렴하고 제조방법이 용이하여 종래의 루버연결장치보다 매우 저렴한 루버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루버연결은 프레임 내부에 강성의 연결편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므로 외부에 별도의 구성요소를 부착한 루버시스템보다 연결력이 강하다.
또한 종래의 루버연결장치는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 요소에 의한 접촉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루버연결장치는 외부 요소에 의한 고장 등은 우려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수동식 루버시스템 및 전동식 루버시스템에 모두 적용 가능한 루버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등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랫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슬랫고정편과, 상기 제1슬랫고정편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슬랫고정편들을 일체로 연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1회전판을 포함하는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등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랫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슬랫고정편과, 상기 제2슬랫고정편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슬랫고정편들을 일체로 연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2회전판을 포함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각각 고정되는 제1 및 제2고정부가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에는 상기 제1 및 제2슬랫고정편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편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연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판에는 각각 제1 및 제2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3 및 제4 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연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부는 상기 연결편의 제3 및 제4 결합부에 연결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연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하단부에는 상기 연결프레임을 외부 창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연결장치.
KR2020010028084U 2001-09-12 2001-09-12 루버 연결 장치 KR200256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084U KR200256857Y1 (ko) 2001-09-12 2001-09-12 루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084U KR200256857Y1 (ko) 2001-09-12 2001-09-12 루버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857Y1 true KR200256857Y1 (ko) 2001-12-24

Family

ID=7310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084U KR200256857Y1 (ko) 2001-09-12 2001-09-12 루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85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89B1 (ko) * 2002-01-16 2005-04-20 (주)테크날시스템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20190129195A (ko) * 2018-05-10 2019-11-20 김태훈 창틀 블라인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89B1 (ko) * 2002-01-16 2005-04-20 (주)테크날시스템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20190129195A (ko) * 2018-05-10 2019-11-20 김태훈 창틀 블라인드
KR102076408B1 (ko) * 2018-05-10 2020-02-11 김태훈 창틀 블라인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5534B2 (en) Shutter with push/pull control for shutter blades
US5941021A (en) Louver-type window and slat therefor
CA2452007A1 (en) Panel seal for an air handling unit
US5187896A (en) Pivot rod connector for moveable shutters
US6854211B1 (en) Removable louver and tilt control
US4223499A (en) Decorative stained glass insert unit for windows
KR101948011B1 (ko) 미세먼지 필터와 방충망이 구비된 가변형 창틀
US6094864A (en) Door/window frame structure
KR200256857Y1 (ko) 루버 연결 장치
US4736677A (en) Ventilator assemblies
KR200392300Y1 (ko) 환기창용 루버유닛
US5238042A (en) Window blind system
JP2009293300A (ja) 断熱サッシ
KR100484089B1 (ko) 루버시스템 작동 장치
KR0114549Y1 (ko) 창문용 프레임
KR100423709B1 (ko) 루버셔터의 결합구조
KR200254700Y1 (ko) 루버셔터의 결합구조
KR200241471Y1 (ko) 미닫이 창문
JP3804170B2 (ja) ブラインド装置
JP4518913B2 (ja) サッシの開閉機構
KR102560471B1 (ko) 태양광 패널을 갖는 루버창용 커넥터
JPS6345491Y2 (ko)
KR200492236Y1 (ko) 시스템 루버의 작동손잡이
KR200175792Y1 (ko) 미닫이창의 구조
JPH023599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