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706Y1 -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 Google Patents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706Y1
KR200256706Y1 KR2020010026254U KR20010026254U KR200256706Y1 KR 200256706 Y1 KR200256706 Y1 KR 200256706Y1 KR 2020010026254 U KR2020010026254 U KR 2020010026254U KR 20010026254 U KR20010026254 U KR 20010026254U KR 200256706 Y1 KR200256706 Y1 KR 200256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mat
shaft
vibration
buff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2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200100262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7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706Y1/ko

Link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피(110) 사이에 다수의 쿠션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내피(120)로 구성된 통상의 매트(100)에 다수의 안마장치(2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마장치(200)는, 상기 매트(100)의 내피(120) 부분에 위치하며, 그 내측으로 다수의 고정지지대(220)가 일체로 구비된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210)의 고정지지대(220)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는 다수의 관통홀(310)이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는 다수의 코일(310)이 감긴 코아(320)가 내장된 하우징(350)으로 구성되되, 상기 코아(32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단턱부(335)를 갖는 관통홀(340)이 형성된 자기력발생수단(300); 및 상기 코아(320)의 관통홀(340)에 탄성력 있게 삽입안착되며, 상기 코일(310)에 통상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에 의해 상ㆍ하로 진동하도록 구성된 진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보온과 안마기능을 겸비하고 있어 포근한 상태에서 안마를 받을 수 있어 혈액순환이 한층 더 촉진되며, 안마가 자동적으로 진행되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안마기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A MAT WITH MASSAGIST}
본 고안은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체의 주요 경락을 두드려서 피로를 풀어주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다수의 완충부재를 갖는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에 관한 것이다.
근래 경제 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의식주 문화에 많은 변화가 생기면서 우리나라도 종래의 온돌방 대신 침대나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가정이 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매트는 단일재질의 면직물을 여러 겹 재봉하여 제작하거나 내부에 단열 및 완충기능을 하도록 하는 별도의 내용물을 삽입하여 제작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쿠션기능 및 단열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다.
상기한 종래의 매트는 단순한 침구나 방석으로서 효과를 나타낼 뿐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등 인체에 이로운 작용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지된 기술에 의하면 상기 매트의 내부에 다수의 진동식 안마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진동식 안마장치는 모터축에 설치된 편심추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변화되는 편심추의 무게중심에 따라 모터 하우징이 진동을 일으키면서 안마장치 전체가 진동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근육이나 피부에 진동을 주어 피로를 풀어주도록 되어있으나, 상기 모터와 연결된 다수의 회동부재에 의해 많은 소음이 발생함과 아울러 오래 사용하게 되면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로는 여러 가지 기능에 대응하는 구동모터를 모두 구비하여야 되므로, 구성부품수의 증가로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각각의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 또한 복잡하게 구성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매트의 내지에 다수의 완충부재를 갖는 안마장치를 내설하여 매트로부터 쿠션력과 보온력을 얻는 동시에 자동적으로 안마까지 되도록 한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200)가 내설된 매트(120)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120)에 내설된 안마장치(200)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200)의 케이스(210)와 자력발생수단(300)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력발생수단(300)과 진동수단(400)의 결합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외피 110 : 내피
120 : 매트 200 : 안마장치
300 : 자력발생수단 400 : 진동수단
500 : 제어부 600 : 플러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피사이에 다수의 쿠션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내피로 구성된 통상의 매트에 다수의 안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마장치는, 상기 매트의 내피부분에 위치하며, 그 내측으로 다수의 고정지지대가 일체로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고정지지대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는 다수의 코일이 감긴 코아가 내장된 하우징으로 구성되되, 상기 코아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단턱부를 갖는 관통홀이 형성된 자기력발생수단; 및 상기 코아의 관통홀에 탄성력 있게 삽입안착되며, 상기코일에 통상의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에 의해 상ㆍ하로 진동하도록 구성된 진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의 고정지지대의 상면에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관통홀에 탄성력 있게 결합되도록 그 끝단에 탄성력이 주어진 고정축이 돌출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고정지지대와 자기력발생수단사이에는 상기 자기력발생수단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탄성복원력을 갖는 제 1완충부재 및 제 2완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 1완충부재는 스프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 2완충부재는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수단은, 상기 코아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단턱부에 안착되는 진동축; 상기 진동축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아의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된 돌기축; 상기 돌기축의 끝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매트의 외피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을 안마해주기 위한 안마캡; 및 상기 안마캡과 자기력발생수단의 하우징상면사이에 상기 돌기축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축의 진동에 의해 진동축이 탄성복원되도록 구비된 제 4완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관통홀의 단턱부와 진동축의 상면사이에 상기 돌기축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축의 진동에 의해 상기 단턱부와의 충격을 완화시켜줌과 아울러 소음을 줄이기 위해 복수개의 제 3완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 3완충부재는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마캡과 제 4완충부재사이에는 상기 돌기축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축의 진동에 의해 상기 안마캡과 제 4완충부재의 충격을 완화시켜줌과 아울러 소음을 줄이기 위해 제 5완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제 5완충부재는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마캡의 상면은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단은 금속류로 형섬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가 내설된 매트를 나타낸 개략평면도로서, 직물지 등과 같은 것으로 구성된 외피(110) 내측에 보온력과 쿠션을 겸비한 부직포 같은 것의 내피(120)로 구성되는 통상의 매트(100)가 구비되고, 상기 매트(100)의 내피(120)에는 본 고안의 안마장치(200)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내피(120)는 안마장치(200)를 설치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 약 10∼15㎝정도로 구성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트(100)에 내설된 안마장치(200)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200)의 케이스(210)와 자기력발생수단(300)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기력발생수단(300)과 진동수단(400)의 결합을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상기매트(100)의 내피(120)에 설치되는 안마장치(2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0)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지지대(220)에 코일(310)을 권취하여 자기력이 발생되는 코아(320)를 내설한 하우징(350)을 갖는 자기력발생수단(300)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지지대(220)와 하우징(350)의 상면사이에는 상기 자기력발생수단(300)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해주기 위해 제 1완충부재(250)가 설치되며, 상기 코아(3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홀(340)에 진동축(410)을 삽입 설치하되, 상기 진동축(410)의 상면에 연장된 돌기축(420)의 상단에 나사결합된 안마캡(430)과 자기력발생수단(300)의 하우징(350)사이에는 상기 안마캡(430)이 탄성복원되도록 제 4완충부재(450)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안마장치(200)의 케이스(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으로는 다수의 고정지지대(22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바, 상기 고정지지대(220)의 상단으로 단턱(230)이 형성되도록 일정길이 연장되어 그 끝단에는 탄성력이 주어진 고정축(2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와 자기력발생수단(300)의 하우징(350)사이에서 상기 자기력발생수단(300)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상기 고정축(240)의 외주연에 제 1완충부재(250)가 삽입되어 단턱(230)에 안착되고, 상기 제 1완충부재(250)의 상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자기력발생수단(300)의 진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350)과 제 1완충부재(250)의 마찰에 의한 충격 및 소음을 줄여주기 위해 제 2완충부재(260)가 구비되며, 상기 자력발생수단(300)의 하우징(350) 상단에 관통된 다수의관통홀(310)이 상기 케이스(210)의 고정축(240)에 탄성력 있게 결합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 1완충부재(250)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2완충부재(260)는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자력발생수단(300) 및 진동수단(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력발생수단(300)은, 하우징(350)의 상면에 다수의 관통홀(305)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50)의 내측으로 코일(310)을 권취하여 자기력이 발생되는 코아(320)가 내설되며, 상기 코아(320)의 중심을 관통함과 아울러 그 상부에는 단턱부(335)를 갖는 관통홀(34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50)은 금속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진동수단(400)은 상기 코아(320)의 관통홀(340)에 삽입되어 상기 단턱부(335)에 안착되는 진동축(410)이 구비되고, 상기 진동축(4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아(320)의 관통홀(340)에 삽입되도록 돌기축(42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돌기축(420)의 끝단부에는 안마캡(430)이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340)의 단턱부(335)와 진동축(410)의 상면사이에는 상기 돌기축(42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축(410)에 의해 상기 단턱부(335)와의 충격을 완화시켜줌과 아울러 소음을 줄이기 위해 복수개의 제 3완충부재(440)가 구비되며, 상기 제 3완충부재(440)는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마캡(430)과 자기력발생수단(300)의 하우징(350) 상면사이에는 상기 돌기축(42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축(410)의 진동에 의해 진동축(410)이 탄성복원되도록 제 4완충부재(450)가 구비되며, 상기 제4완충부재(450)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마캡(430)과 제 4완충부재(450)사이에는 상기 돌기축(42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축(410)에 의해 상기 안마캡(430)과 제 4완충부재(450)의 충격을 완화시켜줌과 아울러 소음을 줄이기 위해 제 5완충부재(460)가 구비되며, 상기 제 5완충부재(460)는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마캡(430)의 상면은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단은 금속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매트에서 안마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안마장치(200)가 매트(100)에 다수개가 전기적으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플러그(600)를 통해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쓰이는 상용 전원 즉, AC 110, 220V 이 인가되면, 상기 상용 전원은 제어부(500)를 통하여 상기 안마장치(20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아(320)의 코일(310)에서 자기력이 발생하여 이 자기력에 의해 금속재로 된 진동축(410)에 결합된 안마캡(430)이 상기 자기력발생수단(300)의 하우징(350) 상면측으로 당기게 되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500)의 조절에 의해 코아(320)의 코일(310)에 전류를 차단하게 되고, 그러면 상기 안마캡(430)은 하우징(350)과 안마캡(430)사이에 설치된 제 4완충부재(4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진동축(410)의 상부에 결합된 안마캡(430)은 제어부(500)에 의해 상기 하우징(350)의 상면측으로 상ㆍ하 진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신경통이나 근육통 등의 통증을 느끼는 사용자는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안마를 받을 수 있어 편리하며, 특히 상기 매트(100)에서 보온효과를 얻는 동시에 상기 안마장치(200)에 의해 통증부위를 자동적으로 자극을 주게 되어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는 물리적인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100)에 장시간 앉거나 누웠을 때에도 상기 제 1완충부재(250) 및 제 2완충부재(260)에 의해 완충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쿠션력에 의해 편안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마장치를 통상적인 매트에 적용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통상적인 의자, 침대 또는 차량용 시트 등에도 적용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매트에 안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보온과 안마기능을 겸비하고 있어 포근한 상태에서 안마를 받을 수 있어 혈액순환이 한층 더 촉진되며, 안마가 자동적으로 진행되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안마기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안마장치에 다수의 완충부재를 설치하여 쿠션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장기간 안마를 받아도 피곤하지 않고 더욱 편안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는이점이 있다.

Claims (7)

  1. 외피(110) 사이에 다수의 쿠션지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내피(120)로 구성된 통상의 매트(100)에 다수의 안마장치(20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안마장치(200)는, 상기 매트(100)의 내피(120) 부분에 위치하며, 그 내측으로 다수의 고정지지대(220)가 일체로 구비된 케이스(210);
    상기 케이스(210)의 고정지지대(220)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는 다수의 관통홀(310)이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는 다수의 코일(310)이 감긴 코아(320)가 내장된 하우징(350)으로 구성되되, 상기 코아(32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단턱부(335)를 갖는 관통홀(340)이 형성된 자기력발생수단(300); 및
    상기 코아(320)의 관통홀(340)에 탄성력 있게 삽입안착되며, 상기 코일(310)에 통상의 상용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전류에 의해 상ㆍ하로 진동하도록 구성된 진동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0)의 고정지지대(220)의 상면에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350)의 관통홀(310)에 탄성력 있게 결합되도록 그 끝단에 탄성력이 주어진 고정축(240)이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10)의 고정지지대(220)와 자기력발생수단(300) 사이에는 상기 자기력발생수단(300)이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탄성복원력을 갖는 제 1완충부재(250) 및 제 2완충부재(260)가 구비되되, 상기 제 1완충부재(250)는 스프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제 2완충부재(260)는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400)은, 상기 코아(320)의 관통홀(340)에 삽입되어 상기 단턱부(335)에 안착되는 진동축(410);
    상기 진동축(4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아(320)의 관통홀(340)에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된 돌기축(420);
    상기 돌기축(420)의 끝단부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매트(100)의 외피(110)에 접촉되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을 안마해주기 위한 안마캡(430); 및
    상기 안마캡(430)과 자기력발생수단(300)의 하우징(350) 상면사이에 상기 돌기축(42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축(410)의 진동에 의해 진동축(410)이 탄성복원되도록 구비된 제 4완충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340)의 단턱부(335)와 진동축(410)의 상면사이에 상기 돌기축(42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축(410)의 진동에 의해 상기 단턱부(335)와의 충격을 완화시켜줌과 아울러 소음을 줄이기 위해 복수개의 제 3완충부재(440)가 구비되되, 상기 제 3완충부재(440)는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캡(430)과 제 4완충부재(450)사이에는 상기 돌기축(420)의 외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진동축(410)의 진동에 의해 상기 안마캡(430)과 제 4완충부재(450)의 충격을 완화시켜줌과 아울러 소음을 줄이기 위해 제 5완충부재(460)가 구비되되, 상기 제 5완충부재(460)는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캡(430)의 상면은 고무류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단은 금속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KR2020010026254U 2001-08-29 2001-08-29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KR200256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54U KR200256706Y1 (ko) 2001-08-29 2001-08-29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54U KR200256706Y1 (ko) 2001-08-29 2001-08-29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706Y1 true KR200256706Y1 (ko) 2001-12-24

Family

ID=7310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54U KR200256706Y1 (ko) 2001-08-29 2001-08-29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7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085A (ko) * 2002-03-08 2003-09-19 박미선 진동매트장치
KR100461765B1 (ko) * 2002-09-13 2004-12-14 한광전자의료기 주식회사 의료용 안마매트
CN109018872A (zh) * 2018-09-29 2018-12-18 榆林学院 一种均匀震动给料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085A (ko) * 2002-03-08 2003-09-19 박미선 진동매트장치
KR100461765B1 (ko) * 2002-09-13 2004-12-14 한광전자의료기 주식회사 의료용 안마매트
CN109018872A (zh) * 2018-09-29 2018-12-18 榆林学院 一种均匀震动给料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4179Y1 (ko) 진동모터가 내장된 쿠션체
KR100661091B1 (ko) 휴대형 목안마 장치
KR100383311B1 (ko) 건강용 전기 안마매트
WO2016085301A1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안마용 마사지 장치 및 방법
KR200256706Y1 (ko) 안마장치가 구비된 매트
KR20160064868A (ko) 음향 압력을 이용한 회전복합형 안마용 마사지 장치 및 방법
EP1589924A1 (en) Massage device used for throughout the shoulder and mattress with thereof
WO2003096960A2 (en) Massage cushion
CN209807869U (zh) 一种保健枕头
KR200217052Y1 (ko) 건강용 전기 안마매트
KR100352631B1 (ko) 의자에 구비된 완충식 진동 안마기
KR200395520Y1 (ko) 침대용 다기능성 쿠션매트
KR200252232Y1 (ko) 안마기
JPH01129853A (ja) 振動治療器
KR200271849Y1 (ko) 안마장치를 갖는 매트
KR200289241Y1 (ko) 건강보조수단을 구비한 다기능 쇼파
KR200162114Y1 (ko) 건강 매트
KR200261409Y1 (ko) 지압 시트
JP3026337U (ja) バイオマッサージクッション
KR200288738Y1 (ko) 안마의자
KR200241986Y1 (ko) 높이 조절과 알람기능이 가능한 진동베개
KR200234890Y1 (ko) 안마기기의 진동발생장치
CN216061252U (zh) 一种按摩装置
KR200380281Y1 (ko) 침대용 다기능성 온열매트
CN210870679U (zh) 一种多功能按摩床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