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477Y1 - 초경브레이징 공구 - Google Patents

초경브레이징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477Y1
KR200256477Y1 KR2020010027173U KR20010027173U KR200256477Y1 KR 200256477 Y1 KR200256477 Y1 KR 200256477Y1 KR 2020010027173 U KR2020010027173 U KR 2020010027173U KR 20010027173 U KR20010027173 U KR 20010027173U KR 200256477 Y1 KR200256477 Y1 KR 200256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cemented carbide
carbide
shank
cut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상
Original Assignee
박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상 filed Critical 박종상
Priority to KR2020010027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477Y1/ko

Links

Landscapes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경브레이징공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밀링머신에 사용되는 엔드밀이나 구멍가공용 공구인 드릴 또는 냉간 및 열간펀치등과 같은 공구들은 선단의 절삭부를 비롯하여 생크(shank) 부분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 내구성, 내마모성, 절삭성 등등…과 같은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통상 초경합금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위와같은 공구소재로 사용되는 초경합금은 값이 매우 고가이고, 용접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절삭부에 있어서는 초경으로 형성하고 생크부분은 초경합금 대신 일반 철강재 중 공구강을 이용하는 것이 원가절감 차원 및 공구값의 저렴화를 위해 당연하다 하겠지만 문제는 초경합금으로 된 절삭부와 공구강으로된 생크의 접합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모두 초경합금으로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선반에서 사용되는 바이트의 경우는 생크부분을 공구강으로 구비하고, 선단에 초경팁을 산소용접하거나 또는 나사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공구자체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가공하고자하는 공작물이 회전하는 것이기에 사용상 별 무리가 없는 것이지만 산소용접시 외관이 매우 단정하지 못한 폐단도 따른다.
또 상기와 같은 산소용접방법은 고정된 공작물에 공구가 작용하는 기계장치의 공구에는 적용할 수 없어 통상 선반에서 사용되는 바이트외에는 이방법을 사용할수 없어 통상 선반에서 사용되는 바이트외에는 이방법을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주로 공작물이 고정되고, 공구가 회전및 작용하여 정밀가공을 하는 엔드밀이나 드릴, 또는 냉간및 열간펀치와 같은 공구를 초경합금으로 형성한 절삭부와 공구강으로 형성한 생크부로 구성하여 이들을 맞접합시키되, 절삭부와 생크부의 맞이음부분에 니켈(Ni)박판을 삽입후 브레이징(brazing)하여 절삭부와 생크부를 일체화시킴으로서 원가절감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고가의 공구를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도록 하는 초경브레이징공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초경브레이징 공구{A brazing tools of cemented carbide}
본 고안은 초경브레이징 공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작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공구가 회전 및 작용하는 엔드밀, 드릴, 냉간및 열간펀치등과 같은 초경합금으로 된 공구를 절삭부만 초경합금으로 형성하고 생크부위는 공구강으로 형성하여 고가의 초경합금 사용량을 크게 줄이므로서 재료비 절감으로 인한 원가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키고, 더불어 저렴한 원가로 인하여 고가의 공구를 저렴하게 보급시킬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엔드밀이나 드릴, 그리고 냉간 및 열간펀치등은 내구성증대및 절삭성, 강도, 경도등을 감안하여 통상 초경합금으로 제조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초경합금은 재질특성상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제조형성된 공구는 값이 매우 고가이다.
또 상기한 공구들은 통상 금속과 마찰하면서 직접적으로 쇠를 깎아 가공하는 절삭부와, 상기 절삭부와 일체로 되어 밀링이나 드릴링머신의 스핀들등에 삽입고정시키는 생크로 구분되고, 또 실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절삭부이기 때문에 절삭부만 초경으로 형성하고 생크부분은 초경합금 대신 일반 철강재중 공구강을 이용하는 것이 원가절감 차원 및 공구 보급가의 저렴화를 위해 당연하다 하겠지만 문제는 초경합금으로된 절삭부와 공구강으로 된 생크의 접합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모두 초경합금으로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선반에서 사용되는 바이트의 경우는 생크부분을 공구강으로 구비하고, 선단에 초경팁을 산소용접하거나 또는 나사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이용하고 있으나, 이는 공구자체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공작물이 회전하는 것이기에 사용상 별무리가 없는 것이지만, 산소용접시 외관이 매우 단정하지 못한 폐단도 따른다.
또 상기와 같은 산소용접방법은 고정된 공작물에 공구가 작용하는 기계장치의 공구에는 적용할 수 없어 통상 선반에서 사용되는 바이트외에는 이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공장물이 고정되고, 공구가 회전및 작용하여 정밀가공을 하도록 된 엔드밀이나 드릴, 또는 냉간 및 열간펀치와 같은 공구를, 초경합금으로 형성한 절삭부와 공구강으로 형성한 생크부로 구성하여 이들을 맞접합시키되, 절삭부와 생크부의 맞이음부분에 니켈 박판을 삽입후 고온에서 브레이징하여 절삭부와 생크부를 일체화시킴으로서 원가절감효과를 극대화시키고, 고가의 공구를 저렴하게 보급할수 있도록 하는 초경브레이징 공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엔드밀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드릴의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냉간펀치의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열간펀치의 단면예시도
엔드밀, 드릴, 냉간 및 열간 펀치등과 같은 초경합금으로 된 공구(1)에 있어서, 상기 공구(1)를 절삭부(2)와 생크(3)로 분리구성한 후 이들을 맞접합시키되, 절삭부(2)는 통상의 초경합금으로 형성하고, 생크(3)는 공구강으로 형성한뒤, 절삭부(2)와 생크(3)의 접합면을 면가공한뒤, 상기 접합면에 니켈박판(4)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온에서 브레이징하여 초경브레이징공구를 제조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종래 고가의 초경합금을 이용하여 절삭부와 생크가 일체화된 공구를 제조하였을 때에 비하면, 재료비 및 제조원가가 크게 절감되는 잇점이 따른다.
즉, 종래에는 초경합금으로 절삭부와 생크부가 일체로 된 공구를 제조하여 보급시켰으므로, 공구 전체가 고가의 초경합금이므로 재료비 부담이 상당히 큰 반면, 사실상 생크부위는 공구를 지지고정하는 부분이기에 구태여 초경합금으로 제조하지 않더라도 되는데, 제조에 따른 어려움으로 인하여 공구전체를 초경합금으로 형성할수 밖에 없었기에, 당연히 재료비 부담이 클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며, 본 고안에서는 절삭부만을 초경합금으로 제조형성하고 생크부는 공구강으로 형성한뒤 이들을 니켈 브레이징공법으로 접합시켜 일체화시킴으로서 재료비 절감과 제조원가절감 효과가 극대화 될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고안의 공구를 브레이징할때는 1020℃~1090℃의 고온에서 브레이징하기 때문에 초경합금으로 된 절삭부와 공구강으로 된 생크부의 접합강도가 매우 뛰어나며, 따라서 공구사용중 접합부가 분리된다거나 파손될 염려가 전혀 없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엔드밀, 드릴, 냉간및 열간펀치등의 공구를 초경합금으로 제조함에 있어서, 절삭부를 초경합금으로, 그리고 생크부는 공구강으로 형성함으로서 고가의 초경합금 사용량이 크게 줄어 재료비및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가의 공구를 저렴하게 보급할 수 있게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엔드밀, 드릴, 냉간및 열간펀치등과 같은 초경합금으로된 공구에 있어서,
    공구의 절삭부와 생크부를 각각 초경합금과 공구강으로 형성하여 이들을 맞접합시키되, 상기 접합면에 니켈 박판을 끼우고 고온에서 브레이징하여서 된 공구를 특징으로 하는 초경브레이징 공구.
KR2020010027173U 2001-09-05 2001-09-05 초경브레이징 공구 KR200256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73U KR200256477Y1 (ko) 2001-09-05 2001-09-05 초경브레이징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73U KR200256477Y1 (ko) 2001-09-05 2001-09-05 초경브레이징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6477Y1 true KR200256477Y1 (ko) 2001-12-13

Family

ID=73068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173U KR200256477Y1 (ko) 2001-09-05 2001-09-05 초경브레이징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4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96B1 (ko) 2014-11-20 2015-04-07 남정우 초경합금 절삭 공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절삭 공구
US9434034B2 (en) 2014-11-20 2016-09-06 Jung Woo NAM Method of manufacturing cemented carbide cutting tool and cutting tool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20180002543U (ko)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세지 표면 연마공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696B1 (ko) 2014-11-20 2015-04-07 남정우 초경합금 절삭 공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절삭 공구
WO2016080611A1 (ko) * 2014-11-20 2016-05-26 남정우 초경합금 절삭 공구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절삭 공구
US9434034B2 (en) 2014-11-20 2016-09-06 Jung Woo NAM Method of manufacturing cemented carbide cutting tool and cutting tool manufactured by the method
TWI555603B (zh) * 2014-11-20 2016-11-01 南廷雨 硬質合金切削刀具的製造方法
KR20180002543U (ko) 2017-02-15 2018-08-23 주식회사 세지 표면 연마공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2216B2 (ja) 焼嵌め式工具ホルダ
KR100674665B1 (ko) 심혈 절삭구
US6250535B1 (en) Method for bonding a tubular part in coaxial relationship with a part having a bore therein
EP2167263B2 (en) A tool for chip removing machining as well as a basic body therefor
US7320566B2 (en) Cutting tool including detachable cutter head
CN102773528A (zh) 具有pcd切削刃尖的改进型旋转切削刀具
EP2085176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drill head
JP2011005630A (ja) ルーズトップタイプの穴あけ工具
CN1131754C (zh) 特别用于钢制工件的机加工工具
KR20090088840A (ko) 관통구멍의 형성 방법
US5909985A (en) Drill having plate-like cutter member fixed at proximal end to shank and having cutting edge at distal portion
JPH0530562B2 (ko)
KR200256477Y1 (ko) 초경브레이징 공구
CN111511492B (zh) T形刀具以及t形刀具制作方法
JP3822506B2 (ja) 工具保持具、切刃部材および切削工具
JPS5946723B2 (ja) 穿孔工具
CN104827102A (zh) 一种机夹沉孔组合钻
JP4164337B2 (ja) 深穴切削具
US20150061236A1 (en) Soldered machining tool and soldered bar stock for forming the soldered machining tool
US20070098512A1 (en) Clamping device for a tool
JP4057936B2 (ja) 深孔切削具
CN212239315U (zh) 一种硬质钻头麻花钻
KR200390348Y1 (ko) 드릴
KR200383648Y1 (ko) 인덱스블 솔리드 인써트를 구비하는 드릴
JP4047703B2 (ja) 深穴切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