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6278Y1 - 밀폐형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6278Y1
KR200256278Y1 KR2019990003725U KR19990003725U KR200256278Y1 KR 200256278 Y1 KR200256278 Y1 KR 200256278Y1 KR 2019990003725 U KR2019990003725 U KR 2019990003725U KR 19990003725 U KR19990003725 U KR 19990003725U KR 200256278 Y1 KR200256278 Y1 KR 2002562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cking member
container
container body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978U (ko
Inventor
양만용
Original Assignee
이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호 filed Critical 이무호
Priority to KR2019990003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627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9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9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62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6278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폐형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패킹부재가 뚜껑이 성형된 후 연속해서 뚜껑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성형되어 용기본체와 뚜껑이 밀착결합되어 패킹부재를 분리하지 않고 용기를 세척할 수 있으므로 세척작업이 편리한 것은 물론, 식품용기에서 패킹부재 사이로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예방하여 저장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밀폐형 저장용기{A storing receptacle}
본 고안은 밀폐형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사출을 사용하여 패킹부재를 용기본체나 뚜껑에 일체로 성형한 밀폐형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형 저장용기는 플라스틱 재질인 반찬통이나 식품용기에서 휘발성이 강한 내용물을 담는 화학용기까지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저장 용기는 통상 뚜껑과 본체에 별도의 패킹부재를 설치하여 용기본체내에 담긴 액상물질이 기화되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예컨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저장용기는 용기본체(100)와 뚜껑(11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용기본체(100)의 측벽에 다수개의 걸림부(10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뚜껑(110)은 측벽에는 상기 걸림부(102)에 걸도록 된 후크(112)가 형성되어 있고, 내측선단에 결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110)의 결합홈(114)에 패킹부재(120)가 삽입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패킹부재(120)가 뚜껑(110)의 결합홈(114)에 끼워진 상태로 용기본체(100)의 벽면이 밀착되고, 최종적으로 뚜껑(110)의 후크(112)가 용기본체(100)의 걸림부(104)에 걸려서 용기본체(100)와 뚜껑(110)이 밀착결합 한다. 따라서, 용기본체(100)에 담긴 내용물의 수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밀폐형 저장용기중 다른 예로 유류통을 도시한 것으로, 유류통은 플라스틱 재질의 통본체(130)와 캡(140), 그리고 본체(130)의 유입구(132)에 삽입되는 패킹막(1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통본체(130)의 유입구(132)에 패킹막(150)이 끼워지고, 유입구(132)와캡(140)은 나사결합식으로 체결되므로써 통본체(130)의 유류가 증발되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식품저장용기는 패킹부재(120)가 용기본체(100)에 탈부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저장용기를 세척할 때 패킹부재(120)의 결합부 틈새로 물기가 스며들면서 세균이 함께 들어가게 됨으로써 패킹부재(120)를 분리하여 세척하고 햇볕에서 말려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패킹부재(120)를 계속해서 탈부착하는 경우, 용기본체(100)의 결합부와 패킹부재(120)사이에 틈새가 생겨 완전한 밀봉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한편, 상기한 유류통은 유류를 담거나 유류를 배출할 경우, 통본체(130)의 유입구(132)에 캡(140)과 패킹막(150)은 유입구(132)에 밀착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분리하는데 불편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용기본체와 뚜껑 사이의 패킹부재가 이완되지 않고 밀봉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로부터 뚜껑을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된 밀폐형 저장용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저장용기중 식품저장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밀폐형 저장용기중 유류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저장용기중 식품저장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저장용기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저장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용기몸체 12: 플랜지부
20: 뚜껑 22: 결합홈
30: 패킹부 40: 음료병본체
42: 나선돌기 50: 캡
52: 걸림돌기 54: 실링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용기본체와 뚜껑사이의 결합부에패킹부재를 구비한 밀폐용기에서, 상기 패킹부재가 뚜껑이 성형된 후 연속해서 뚜껑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일체로 성형되어 용기본체와 뚜껑이 밀착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는 고무나 실리콘재질로 성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저장용기는, 식품용기로서 사용할 경우, 용기를 세척하거나 건조할 때 편리한 것은 물론, 패킹부재 사이로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예방하여 저장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저장용기중 식품저장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용기몸체(10)에 뚜껑(20)을 덮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뚜껑(20)의 내측선단에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22)의 전후벽에 소정의 폭을 두고 패킹부재(30)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즉 뚜껑(20)의 결합홈(22) 내벽에 형성된 패킹부재(30) 사이로 용기몸체(10)벽이 끼워져 밀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패킹부재(30)는 플라스틱 재질의 뚜껑(20)이 금형내에서 일차로 성형되고 연이어 같은 금형내에서 결합홈(22)벽면을 따라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재차 성형되어 뚜껑(20)과 일체로 성형된다.
즉 뚜껑(20)과 패킹부재(30)는 서로 다른 재질로서 이중사출되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패킹부재(30)는 상기 뚜껑(20)에서 결합홈(22)이 내부로 들어갈수록 좁게되어 패킹부재(30)에 의해 뚜껑(20)이 상기 용기몸체(10)에 압착결합된다. 물론, 용기몸체(10)의 상부선단이 결합홈(22) 저면끝까지 패킹부재(30)에 의해 압착되면서 끼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패킹부재(30)가 뚜껑(20)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용기몸체 (10)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기몸체(10)나 뚜껑(20)에 별도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기몸체(10)에 뚜껑을 덮으므로써 밀봉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저장용기 다른 실시예로서, 저장물을 많이 담을 수 있는 원통형상의 저장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용기몸체(10)는 그의 선단에 플랜지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선단 플랜지부(12)가 결합되도록 뚜껑(20)에는 선단의 원주방향으로 결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에는 뚜껑(20)이 성형된 후 결합홈(22)을 따라 일체로 성형된 패킹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패킹부재(30)는 바닥에서 상부로 올라갈수록 두께가 얇게 성형되어 뚜껑(20)을 상부에서 소정의 힘으로 눌을 때 패킹부재(30)가 성형된 결합홈(22)으로 플랜지부(12)가 압착되면서 결합되어 용기몸체(10)가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저장용기 다른 실시예로서, 유류통을 도시한 것이다.
통본체(40)는 그 주입구(42) 외주면에 다수개의 나선돌기(42)가 형성되어 있고, 통본체(40)를 덮는 캡(50)에는 상기 나선돌기(42)에 대응되게 걸림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캡(50)에는 캡(50)이 성형된 후 캡(50)이 내측벽 둘레를 따라 성형된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실링막(54)이 구비되어 있다.
실링막(54)은 걸림돌기(52)가 형성된 부위는 얇게 형성되고, 걸림돌기(52)를 제외한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실링막(54)은 캡(50)의 안쪽 선단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어, 나선돌기(42)와 걸림돌기(52)가 결합되므로써 1차적으로 밀봉되고 상기한 선단면이 2차적으로 밀봉부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유류통은 별도의 패킹막을 사용하지 않고 통본체(40)의 주입구
(42)에 캡(50)만을 체결함으로써 통본체(40)에 저장된 유류가 증발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용기본체(10)와 뚜껑(20)의 어느 한쪽에 재질이 다른 패킹부재(30)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장시간 사용하여도 결합부의 틈새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영구적으로 밀폐형 저장용기로써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저장용기에 의하면, 용기본체와 뚜껑의 어느 한쪽에 패킹부재가 일체로 성형되어, 식품용기로 사용할 때 패킹부재를 분리하지 않고 용기를 세척하거나 건조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세균의 침투를 예방하여 저장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용기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패킹부재가 이완되지 않고 결합부 사이간격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용기몸체와 뚜껑과, 상기 용기몸체와 뚜껑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에는 상기 패킹부재을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된 밀폐용기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뚜껑의 결합홈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은 저면방향으로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고무나 실리콘재질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저장용기.
KR2019990003725U 1999-03-09 1999-03-09 밀폐형 저장용기 KR2002562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725U KR200256278Y1 (ko) 1999-03-09 1999-03-09 밀폐형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725U KR200256278Y1 (ko) 1999-03-09 1999-03-09 밀폐형 저장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978U KR20000017978U (ko) 2000-10-05
KR200256278Y1 true KR200256278Y1 (ko) 2002-01-18

Family

ID=54760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725U KR200256278Y1 (ko) 1999-03-09 1999-03-09 밀폐형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627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480B1 (ko) * 2002-02-14 2004-10-12 주식회사 새샘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의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978U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7710A (en) Hermetic compact case
KR200256278Y1 (ko) 밀폐형 저장용기
JP6345040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KR19980028253U (ko) 음식용기의 밀폐구조
KR100732247B1 (ko) 밀폐 용기
US3050216A (en) Chambered milk can with thermo-plastic insertable cover plate
KR101672236B1 (ko) 밀폐형 화장품 케이스
KR20160133081A (ko) 밀폐용기
KR200271291Y1 (ko) 식품용기뚜껑의밀폐구조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KR101817675B1 (ko) 누출방지밸브가 구비된 역립형 용기
KR200447604Y1 (ko)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JP7467790B2 (ja) カップ形レフィル容器、化粧料容器
KR101961358B1 (ko) 밀폐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JP3836292B2 (ja) 薄板小片状チップ振り出し容器
KR200203043Y1 (ko) 병 뚜껑
KR100386498B1 (ko) 냉장고용 식품저장용기
KR950007265Y1 (ko) 밀폐반찬수납실이 구비된 도시락용기
US4826000A (en) Container for storing contact lenses and conditioning them with a liquid that releases gas
KR950007495Y1 (ko) 막걸리병 마개
KR19980028254U (ko) 음식용기의 밀폐구조
KR200340196Y1 (ko) 실리카팩킹을 구비한 용기마개
KR20180069311A (ko) 휴대용 분리형 향수 용기
JPH10287350A (ja) 食品のチューブ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