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902Y1 - 공기 압축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압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902Y1
KR200255902Y1 KR2020010022404U KR20010022404U KR200255902Y1 KR 200255902 Y1 KR200255902 Y1 KR 200255902Y1 KR 2020010022404 U KR2020010022404 U KR 2020010022404U KR 20010022404 U KR20010022404 U KR 20010022404U KR 200255902 Y1 KR200255902 Y1 KR 200255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roove
chamber
ai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모
Original Assignee
김승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모 filed Critical 김승모
Priority to KR2020010022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902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외부의 공기를 용기 내부로 주입하여 용기 내부공간이 대기압 이상의 압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 압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개구에 결합 가능하고 내부공간과 통기공을 통해 연결되는 챔버부와 챔버부에 관통공을 통해 연결되고 외부로 개방된 홈부를 갖는 실린더, 챔버부에 이동 가능케 결합되어 챔버부를 제 1챔버부와 제 2챔버부로 분할하고 운동 방향에 따라 제 1챔버부와 제 2챔버부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제 1오링을 갖는 피스톤부와 피스톤부에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로드부와 로드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피스톤기구 및 관통공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어 피스톤기구의 운동방향에 따라 로드부의 일측 외주면과 관통공의 일측 내주면 사이를 개폐하는 제 2오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기 압축화 성능이 뛰어나고, 피스톤기구의 작동에 힘이 적게 들어가며 공기 압축화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주며, 용기 내부공간의 공기를 압축화 시킨 후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높은 압력으로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또 필요시에는 쉽게 공기 압축화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공기 압축화 장치{Apparatus for making the inside of container into a high pressure state}
본 고안은 공기 압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외부의 공기를 용기 내부로 주입하여 용기 내부공간이 대기압 이상의 압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기 압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산음료 용기에서 그 뚜껑이 한번 개방 되고난 후에는 다시 뚜껑이 닫히더라도 용기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수준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탄산음료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가스가 음료에서 많이 이탈되어 탄산음료의 맛이 떨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1996-034468호 '음료수의 맛을 보존하는 공기공기 압축식 뚜껑'(이하에서는 '선원'이라함)으로 공개된 것이 있는데, 이는 단순히 연질수지관체에 절개선을 형성하고 원형뿔을 가진 밀폐구를 사용하여 용기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하지만, 이는 용기 내부로 공기 주입시 밸브역할을 하는 원형뿔을 가진 밀폐구를 경계로 용기 내부와 용기 외부가 직접 개폐되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압력을 충분히 높이기 어렵다. 또, 선원의 공기공기 압축식 뚜껑에서, 용기 내부의 압력을 장기간 높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밀폐구와 그에 대응되는 부분의 가공면이 매우 정밀하여야 한다.
또, 선원에 개시된 공기 압축식 뚜껑은 용기 내부의 압력이 높을 경우 개방하기가 어려우며, 손잡이를 한 번 공기 압축 후에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기가 어렵기 때문에 반복하여 용기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기가 어려우며, 그 때문에 공기 주입속도도 느리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신속하게 공기를 반복하여 주입할 수 있어 공기 압축화 성능이 우수하고, 용기의 내부공간이 장기간 고압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필요한 경우 고압상태를 해제시켜 용기에서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해주는 공기 압축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가 용기에 장착된 초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손잡이부를 눌러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 용기와 공기 압축화 장치의 부분 절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 J-J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피스톤기구가 하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피스톤기구가 상승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용기 내부의 공기가 압축화 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내부 공기가 압축화 된 용기의 압축화 상태를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용기 12 : 내부공간
14 : 개구 16, 117a : 나선
100 : 공기 압축화 장치 110 : 실린더
112 : 패킹 114 : 챔버부
114a : 제 1챔버부 114b : 제 2챔버부
116 : 통기공 117 : 패킹홈
118 : 홈부 118a : 안내홈
118b : 잠금홈 119 : 제 3오링
120 : 관통공 121 : 홈
121a, 134 : 구멍 122 : 제 2오링
130 : 피스톤기구 131 : 피스톤부
132 : 피스톤홈 133 : 제 1오링
136 : 로드부 137 : 연결통로
141 : 손잡이부 142 : 공기 압축해제버튼설치부
146 : 걸림턱 150 : 공기 압축해제버튼
151 : 슬릿 152 : 버튼부재
154 : 제 4오링 156 : 제 2스프링
160 : 제 1스프링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의 개구에 설치되어 용기 외부의 공기를 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주입하여 압축하기 위한 공기 압축화 장치에 있어서, 용기의 개구에 결합 가능하고 내부공간과 통기공을 통해 연결되는 챔버부와 챔버부에 관통공을 통해 연결되고 외부로 개방된 홈부를 갖는 실린더, 챔버부에 이동 가능케 결합되어 챔버부를 제 1챔버부와 제 2챔버부로 분할하고 운동 방향에 따라 제 1챔버부와 제 2챔버부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제 1오링을 갖는 피스톤부와 피스톤부에서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로드부와 로드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피스톤기구 및 관통공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어 피스톤기구의 운동방향에 따라 로드부의 일측 외주면과 관통공의 일측 내주면 사이를 개폐하는 제 2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압축화 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홈부에는 상하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 잠금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기구의 외주면에는 안내홈에 결합되어 피스톤기구의 승강을 안내하며 잠금홈에 걸릴 수 있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홈부에는 실린더와 피스톤기구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홈부의 바닥에는 잠금상태에서 피스톤기구의 손잡이부 하부와 접촉되어 홈부와 외부를 밀폐하기 위한 제 3오링이 더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위 로드부의 내부를 따라서는 제 1챔버부에서 외부로 통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통로 상단 부근 손잡이 중앙부에는 연결통로의 일측을 외부와 차단하여 밀폐하기 위한 제 4오링을 갖는 압축해제 버튼이 제 2스프링의 지지를 받고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좋다.
위 압축해제버튼의 외주면 일측에는 압축해제버튼이 일정 거리 이상 하강할 때 연결통로와 외부를 연통되게 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가 용기에 장착된 초기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손잡이부를 눌러 하강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 용기와 공기 압축화 장치의 부분 절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 J-J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100)는 용기(10)에 장착하여 용기(10)의 내부공간(12)의 공기를 압축 시켜 고압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크게 실린더(110)와 실린더(110)에 장착된 피스톤기구(130)로 이루어져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0)에는 패킹(112)이, 피스톤기구(130)에는 압축해제버튼(150)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100)는 용기(10)의개구(14)에 장착되는 실린더(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실린더(110)는 용기(10)의 개구(14)를 막아 용기(10)와의 접촉부위를 밀폐하여 실린더(110)의 내부를 따라 형성된 통로를 따라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고, 또 뒤에서 설명되는 피스톤기구(130)와 상호작용으로 용기(10) 외부의 공기를 용기(10)의 내부공간(12)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뚜껑의 역할도 한다. 이러한 실린더(110)에는 챔버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챔버부(114)는 용기(10) 외부에서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의 중간 경유지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기공(116)을 통해 용기(10)의 내부공간(12)과 연통된다. 이러한 실린더(110)에는 외부로 개방된 홈부(118)가 챔버부(114)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118)는 관통공(120)을 통해 챔버부(114)와 연결되어 있으며, 관통공(120)의 내주면에는 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제 2오링(122)이 개재되어 있다. 이 제 2오링(122)은 뒤에서 설명되는 피스톤기구(130)의 로드부(136) 바깥쪽 표면과 실린더(110)의 관통공(120) 내주면 사이를 피스톤기구(130)의 운동방향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홈(121)의 하부면 쪽에는 구멍(1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21a)은 제 2오링(122)의 위치에 따라 제 1챔버(114a)를 외부에 대해 밀폐되게 하거나, 외부와 연통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18)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안내홈(118a)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잠금홈(118b)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뒤에서 설명되는 피스톤기구(130)의 상, 하방향의 운동을 안내하고 또 필요한 경우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약간 회동시켜 피스톤기구(130)가 상승하지 못하게 잠글 수 있도록하기 위한 것이다.
홈부(118)의 바닥에는 제 3오링(119)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제 3오링(119)은 뒤에서 설명되는 피스톤기구(130)를 하강시켜 일방향으로 회동시켜 잠근 상태에서 돌출턱(146) 부근의 손잡이부(141) 하면과 접촉되어 홈부(118)가 밀폐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10) 내부공간(12)의 공기 압축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100)는 실린더(1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패킹(1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패킹(112)은 실린더(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패킹홈(117)에 결합되어 용기(10)와의 사이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실린더(110) 자체를 밀폐력이 있는 고무 등의 것으로 만드는 경우 이는 필요치 않다.
패킹(112) 아래쪽으로 패킹홈(117) 내주면을 따라 나선(11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선(117a)은 용기(10)의 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16)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100)는 피스톤기구(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피스톤기구(130)는 실린더(110)에 장착되어 용기(10)의 내부공간(12)과 연통된 챔버부(114)를 통해 용기(10)의 내부공간(12)으로 외부 공기를 강제 주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크게 챔버부(114)에 결합되어 챔버부(114)를 상부의 제 1챔버부(114a)와 하부의 제 2챔버부(114b)로 분할하는 피스톤부(131)와 피스톤부(131)에서 앞에서 설명한 관통공(120)을 통해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내부에 연결통로(137)를 갖는로드부(136)와 로드부(136)의 끝단에 연결되어 사람이 손으로 피스톤기구(1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손잡이부(141)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피스톤기구(130)는 챔버부(114)에 결합되는 피스톤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피스톤부(131)는 챔버부(114)에 결합되어 승강운동하면서 그 상부의 제 1챔버부(114a)의 공기를 그 하부의 제 2챔버부(114b)로 보낸 후 통기공(116)을 통해 용기(10)의 내부공간(12)으로 강제 주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홈(132)과 피스톤홈(132)에 장착된 제 1오링(133)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홈(132)과 제 2챔버부(114b) 사이에는 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오링(133)은 실린더(1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있어, 피스톤부(131)의 운동방향에 따라 제 1챔버부(114a)와 제 2챔버부(114b)를 서로 연통되게 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피스톤부(131)가 상승할 때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오링(133)이 피스톤홈(132)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실린더(110)의 내주면과 피스톤부(131) 사이를 밀폐하더라도 제 1챔버부(114a)와 제 2챔버부(114b)는 구멍(134)을 통해 서로 연통되어 제 1챔버부(114a)에 있던 공기가 제 2챔버부(114b)로 이동될 수 있다.
또, 피스톤부(131)가 하강할 때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오링(133)이 피스톤홈(132)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실린더(110)의 내주면과 피스톤부(131) 사이를 밀폐하기 때문에 제 1챔버부(114a)와 제 2챔버부(114b)는 차단되고, 따라서 제 2챔버부(114b)에 있던 공기는 통기공(116)을 통해 용기(10)의 내부공간(12)으로 주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부(131)에는 로드부(136)가 연결되어 있다. 이 로드부(136)는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로드부(136)는 관통홈(120)에 승강 가능케 결합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제 2챔버부(114b)를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연결통로(13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통로(137)는 뒤에서 설명되는 공기 압축해제버튼(150)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용기(10) 내부공간(12)의 공기 압축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 압축해제기능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필요치 않은 부분이다.
로드부(136)의 상단에는 사람이 손으로 피스톤기구(13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14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손잡이부(141)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앙부위에 형성된 압축해제버튼설치부(1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압축해제버튼설치부(142)는 연결통로(137)와 연통되어있다.
손잡이부(141)와 로드부(136) 사이 압축해제버튼설치부(142)의 아래쪽 외주면으로는 안내홈(118a)에 결합되는 돌출턱(1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턱(146)은 피스톤기구(130)의 승강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피스톤기구(130)의 하강 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실린더(110)의 잠금홈(118b)에 결합되어 피스톤기구(130)가 상승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110)와 피스톤기구(130) 사이에는 제 1탄성부재(160)가 결합되어 있다. 이 제 1탄성부재(160)는 실린더(110)의홈부(118)에 설치되어 피스톤기구(130)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힘을 작용시킨다. 이 제 1탄성부재(16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 실린더기구(130)를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직접 손으로 위쪽으로 잡아 당겨야 한다.
공기 압축해제버튼설치부(142)에는 압축해제버튼(15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압축해제버튼(150)은 연결통로(137)의 상단을 밀폐하였다가 필요시에 연결통로(137)를 외부와 연통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주면에 상하로 길게 슬릿(151)이 형성된 버튼부재(152)와 그 하단 외주면에 장착된 제 4오링(154)과 버튼부재(152)를 탄성지지하여 제 4오링(154)이 연결통로(137)의 상단을 밀폐하도록 하는 제 2탄성부재(156)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100)는 실제 조립을 하기 위해서 실린더(110)는 챔버부(114)를 형성하는 부분과 나머지 부분을 별도로 제작하고, 또 피스톤기구(130)는 피스톤부(131)와 로드부(136)를 일체로 제작하고 나머지 손잡이부(141)는 별도로 제작한 후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하여 초음파융착,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착하여 실린더(110)와 피스톤기구(130)를 각각 구성하여야 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대응되는 부분을 나사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100)를 이용해 용기(10)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압축화하고, 공기 압축화 된 용기의 공기 압축화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을 도 6~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피스톤기구가 하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피스톤기구가 상승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용기 내부의 공기가 압축화 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공기 압축화 된 용기의 공기 압축화 상태를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100)가 용기(10)의 개구(14)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람의 손으로 손잡이부(141)를 누르면 피스톤기구(130)는 하강하고, 그에 따라 실린더(110)의 챔버부(114)에 결합되어 있는 피스톤부(131)도 하강한다. 피스톤부(131)가 조금 하강하면 피스톤부(131)에 장착된 제 1오링(133)은 피스톤부(131) 피스톤홈(132)의 상부 쪽에 밀착되어 피스톤부(131) 외주면과 실린더(110) 내주면 사이를 밀폐한다. 이에 따라 제 1챔버부(114a)와 제 2챔버부(114b)는 제 1오링(133)에 의해 차단된다. 그 상태에서 피스톤기구(130)가 더 하강하게 되면 제 2챔버부(114b)의 용적이 줄어들기 때문에 제 2챔버부(114b)에 있던 공기는 통기공(116)을 거쳐 용기(10)의 내부공간(12)으로 주입되어 공기 압축된다.
한편으로, 피스톤기구(130)가 하강함에 따라 제 2오링(122)이 관통공(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121)의 하부쪽으로 이동하여 제 1챔버부(114a)는 외부와 연통되고, 동시에 제 1챔버부(114a)는 그 용적이 점점 늘어나게 된다. 그에 따라 제 1챔버부(114a)의 압력은 대기압보다 더 떨어지게 되고, 외부 공기는 안내홈(118a)과 구멍(121a)을 거쳐 제 1챔버부(114a)로 유입된다.
피스톤기구(130)를 충분히 하강시킨 후 손잡이부(141)에서 손을 떼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탄성부재(160)의 탄성력과 제 2챔버부(114b)와 제1챔버부(114a)의 압력 차에 의해 피스톤기구(130)는 상승하게 된다. 피스톤기구(130)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로드부(136)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있는 제 2오링(122)이 홈(121)의 상부 쪽으로 이동하여 제 1챔버부(114a)와 홈부(118) 사이를 차단하고, 동시에 챔버부(114)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있는 제 1오링(133)은 홈(132)의 하부쪽으로 이동하여 제 1챔버부(114a)와 제 2챔버부(114b)는 서로 연통된다. 이 상태에서 피스톤기구(130)가 더 상승하면 제 1챔버부(114a)의 용적은 점점 줄어들고, 그에 따라 제 1챔버부(114a)에 있던 공기는 제 2챔버부(114b)로 이동한다. 피스톤기구(130)가 충분히 상승 후 다시 하강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제 2챔버부(114b)에 있던 공기가 용기(10)의 내부공간(12)으로 주입된다.
도 6과 도 7을 통해 설명한 과정을 여러 번 반복함에 따라 용기(10) 내부공간(12)으로 점점 더 많은 공기가 주입되어 기압은 점점 상승하고, 주입된 공기는 점점 더 압축화 된다.
용기(10) 내부공간(12)의 압력이 충분히 상승된 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잡이부(141)를 힘껏 누른 후 한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턱(146)이 잠금홈(118b)에 걸려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돌출턱(146) 부근 피스톤기구(130) 손잡이부(141)의 하부가 제 3오링(119)을 압착하여 홈부(118)를 외부와 차단하여 밀폐한다.
물론, 테니스공 등 용기(10) 내부에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장치(100)를 용기(10)에 장착하기 전에 용기(10)에 넣은 상태에서 앞에서 설명한 과정으로 용기(10)의 내부공간(12)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 압축화 하여야 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용기(10) 내부에 탄산음료, 테니스공 등의 내용물을 보관하다가 내용물을 마시거나, 꺼내고자하는 경우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해제버튼(150)을 눌러 슬릿(151)의 일부가 연결통로(137)쪽으로 내려가도록 한다. 그렇게 되면 용기(10)의 내부공간(12)은 통기공(116), 제 2챔버부(114b), 연결통로(137), 및 슬릿(151)을 통해 외부로 개방되게 되고, 외부의 공기는 용기(10) 내부공간(12)으로 유입된다. 즉, 용기(10)의 내부공간(12)도 대기압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용기(10)의 개구(14)에서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100)는 쉽게 이탈되게 된다. 공기 압축화 장치(100)가 용기(10)에서 이탈된 후 내용물을 마시거나 꺼내고 난 다음 다시 앞에서 설명한 과정으로 용기(10) 내부공간(12)에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 압축화 한 후 보관 장소에 보관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본 고안이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가 전술된 탄산음료 용기, 테니스 공 보관용 용기뿐만 아니라 용기를 공기 압축화하기 위한 여타의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는 피스톤기구가 상승될 때 제 2오링이 제 1챔버부를 외부에 대해 밀폐한 상태에서 제 1챔버부의 용적이 줄어드는 과정 중에 제 1챔버부에 있던 공기가 용기의 내부공간과 연결된 제 2챔버부로 주입되기 때문에 공기 압축화 성능이 뛰어나고, 피스톤기구의 작동에 힘이 적게 들어가며 공기 압축화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준다.
또, 본 고안에 따른 공기 압축화 장치는 테니스 공 등을 용기에 넣은 상태에서 용기 내부공간을 공기 압축화 시킨 후 잠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 높은 진공도로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으며, 또 필요시에는 쉽게 공기 압축화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내용물을 꺼내기도 편하다.

Claims (5)

  1. 용기의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외부의 공기를 상기 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주입하여 압축하기 위한 공기 압축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개구에 결합 가능하고 상기 내부공간과 통기공을 통해 연결되는 챔버부와 상기 챔버부에 관통공을 통해 연결되고 외부로 개방된 홈부를 갖는 실린더;
    상기 챔버부에 이동 가능케 결합되어 상기 챔버부를 제 1챔버부와 제 2챔버부로 분할하고 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챔버부와 제 2챔버부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제 1오링을 갖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에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피스톤기구; 및
    상기 관통공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기구의 운동방향에 따라 상기 로드부의 일측 외주면과 상기 관통공의 일측 내주면 사이를 개폐하는 제 2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압축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는 상하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 잠금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기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안내홈에 결합되어 상기 피스톤기구의 승강을 안내하며 상기 잠금홈에 걸릴 수 있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압축화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에는 상기 실린더와 상기 피스톤기구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 1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홈부의 바닥에는 잠금상태에서 상기 피스톤기구의 손잡이 하부와 접촉되어 상기 홈부와 외부를 밀폐하기 위한 제 3오링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압축화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의 내부를 따라서는 상기 제 1챔버부에서 외부로 통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통로 상단 부근 상기 손잡이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통로의 일측을 외부와 차단하여 밀폐하기 위한 제 4오링을 갖는 압축해제 버튼이 제 2스프링의 지지를 받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압축화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해제버튼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공기 압축해제버튼이 일정 거리 이상 하강할 때 상기 연결통로와 외부를 연통되게 하기 위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공기 압축화 장치.
KR2020010022404U 2001-07-24 2001-07-24 공기 압축화 장치 KR200255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404U KR200255902Y1 (ko) 2001-07-24 2001-07-24 공기 압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404U KR200255902Y1 (ko) 2001-07-24 2001-07-24 공기 압축화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4425A Division KR20030009794A (ko) 2001-07-24 2001-07-24 공기 압축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902Y1 true KR200255902Y1 (ko) 2001-12-13

Family

ID=73105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404U KR200255902Y1 (ko) 2001-07-24 2001-07-24 공기 압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9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6153B2 (ja) 真空ホース用容器蓋
US6644489B2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cover cap provided with a pump member to pump out air from a container
US6375024B1 (en) Vacuum apparatus for forming a vacuum in a container
KR0116509Y1 (ko) 음료수의 맛을 보존하는 공기압축식 뚜껑
KR100969703B1 (ko)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하는 진공용기
KR101362264B1 (ko) 진공펌프
CN100418861C (zh) 封闭盖以及安放和卸下该罩盖的方法
US20090001041A1 (en) Wine stop pump
KR101240577B1 (ko) 원터치로 패킹의 공기차단 상태를 제어하는 밀폐용기 뚜껑
KR100740345B1 (ko) 압축팩용 체크밸브
KR101002507B1 (ko) 수동 펌핑식 에어 배출수단을 갖는 진공용기
KR200255902Y1 (ko) 공기 압축화 장치
KR100455105B1 (ko)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KR20030009794A (ko) 공기 압축화 장치
KR20040074663A (ko)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KR100599579B1 (ko) 밀폐 용기 뚜껑
JP2004244108A (ja) 圧縮袋の脱気構造
CN109843736B (zh) 盖子自动开闭式容器
KR100536490B1 (ko) 압력의 변화에 작용하는 용기 뚜껑
KR200438978Y1 (ko)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20120032245A (ko) 용기용 진공펌프
CN216907539U (zh) 一种多用途杯盖
CN219567563U (zh) 一种取酒器
CN216907538U (zh) 一种杯盖
KR200295748Y1 (ko)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1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