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860Y1 -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 - Google Patents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860Y1
KR200255860Y1 KR2020010026454U KR20010026454U KR200255860Y1 KR 200255860 Y1 KR200255860 Y1 KR 200255860Y1 KR 2020010026454 U KR2020010026454 U KR 2020010026454U KR 20010026454 U KR20010026454 U KR 20010026454U KR 200255860 Y1 KR200255860 Y1 KR 200255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endothelial
outline
fastening
fasten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김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원 filed Critical 김동원
Priority to KR2020010026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8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860Y1/ko

Link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수를 놓아 제작하는 수공예 가방 및 핸드백의 내피에 있어서, 가방 및 핸드백의 크기에 따라 내피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체결부가 형성된 가방내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장의 선후단이 연결되거나 또는 복수의 장이 연결되어 가방틀(120a, 120b)을 형성하며, 외곽선(11)의 내부에 횡선(13)과 종선(15)이 교차하면서 망(17)의 구조를 갖는 가방내피는 가방내피(100)의 외곽선(11)을 따라 형성된 체결부(110)를 포함하며, 체결부(110)는 횡선(13)과 종선(15)이 교차하면서 형성된 망(17)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가방내피(100)의 외곽선(11)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사각형의 일면에 체결부(110)가 일렬로 형성되며, 체결부(110)는 외곽선(11)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체결부(110)의 중간부는 넥이 형성되어 체결부(110)의 상단이 망(17)을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었을 때에 넥의 둘레에 망(17)이 위치한다.

Description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Bag inside layer with conclusion means}
본 고안은 자수를 놓아 가방이나 핸드백 등을 제작할 수 있도록 가방틀이 되는 가방내피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방 및 핸드백의 크기에 따라 자유롭게 연결하여 가방틀을 갖출 수 있으며 손쉽게 복수 개의 가방내피를 연결할 수 있도록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에 관한 것이다.
각 개인의 개성에 따라 남들과 다른 물품을 소지하고 싶어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람의 심리이다. 이러한 심리에 따라 기계에 의해 제작되는 동일한 물품보다는 사람의 수작업에 의해 제작된 수공예품이 더 가치있게 여겨진다. 그 한 예로서, 의류, 신발, 악기, 가방 등은 수작업으로 제작된 수공예품의 가격이 기계에 의해 대량 생산되는 가공품의 가격보다 높은 책정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작업으로 제작하는 가방 및 핸드백에 관한 것으로서, 수작업으로 가방 및 핸드백(이하에서는 '가방'으로 통칭 함)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가방의 틀이 되는 가방내피와, 가방내피에 관통하여 엮어지는 자수실 및, 자수실이 가방내피에 엮이도록 진행방향에 따라 가방내피를 관통하는 바늘 등이 기본적으로 필요로 한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방내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방내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방내피를 연결하여 제작된 가방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내피(10)는 합성수지로 제작되며, 일정의 강도 및 유연성을 갖고 있다. 이런 가방내피(10)의 형상은 직사각형의 외곽선(11)과 외곽선(11)의 내부에서 상호 직교하는 횡선(13)과 종선(15)으로 구분되며, 횡선(13)과 종선(15)의 교차에 의해 가방내피(10)는 사각 망(17)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이런 가방내피(10)를 이용하여 가방(1)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가방내피(10)를 제작하고자 하는 가방(1)의 크기로 변형하여야 한다. 가방(1)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복수 장의 가방내피(10)를 상호 연결하여 원통형상의 가방틀을 만들며, 가방(1)의 크기가 작아 한 장의 가방내피(10)로 그 선단부와 후단부를 연결한 원통형상의 가방틀을 만든다. 이와 같이, 제작할 가방 크기의 가방틀이 완성되면, 바늘에 자수실(40)을 꾀고 바늘을 가방내피(10)를 관통하면서 자수를 놓으면서 가방(1)을 완성한다.
이때, 가방내피(1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가방의 크기에 따라 한 장 또는 복수 장의 가방내피(10)를 말아 원통의 가방틀로 형성한 후에 상호 접하는 부위를 자수실과 같은 연결끈(19)으로 묶어 플레이트 형상의 가방내피(10)가 원통형상의 가방틀로 유지되도록 고정한다.
종래의 가방내피는 사각 망의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방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말린 가방내피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연결끈이 필요로 하며, 고정부재에 의해 말린 가방틀의 크기를 수정하고자 할 경우에는 묶여진 연결끈을 풀고 가방틀의 크기를 재설정한 후에 다시 연결끈으로서 가방내피의 접한 부위를 묶어야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가방틀을 형성함에 있어서 보다 쉽게 연결하여 가방틀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형성된 가방틀의 크기를 수정하고자 할 때에서 쉽게 해체한 후에 다시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방내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방내피를 연결하여 제작된 가방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내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방내피의 체결부를 이용하여 연결된 가방내피들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가방내피의 선후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다수 개의 가방내피가 서로 연결되어 가방틀을 형성하는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가방 10, 100 : 가방내피
11 : 외곽선 13 : 횡선
15 : 종선 17 : 사각 망
19 : 연결끈 40 : 자수실
110 : 체결부 111 : 삽입부
113 : 원기둥부 120a, 120b : 가방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장의 선후단이 연결되거나 또는 복수의 장이 연결되어 가방틀을 형성하며, 외곽선의 내부에 횡선과 종선이 직교하면서 망의 구조를 갖는 가방내피에 있어서, 상기 가방내피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횡선과 종선이 직교하면서 형성된 망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가방내피가 제공된다.
양호하게는 상기 가방내피의 외곽선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사각형의 일면에 상기 체결부가 일렬로 형성된다.
좀 더 양호하게는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외곽선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중간부는 넥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상단이 상기 망을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었을 때에 넥의 둘레에 망이 위치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내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가방내피의 체결부를 이용하여 연결된 가방내피들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가방내피의 선후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3에 도시된 다수 개의 가방내피가 서로 연결되어 가방틀을 형성하는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내피(100)는 그 외곽선(11)이 직사각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외곽선(11)의 내부에는 횡선(13)과 종선(15)이 직교하여 형성되는 사각 망(17)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런 가방내피(10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유연성을 갖고 있어 만들고자 하는 가방(도 2의 1)의 틀을 형성하기 위해 변형시키면 플레이트 상태에서 원통과 같은 형상으로 용이하게 변형한다. 그러나, 이런 변형은 소성변형이 아닌 탄성변형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단지 가방제작자가 가방틀(120a, 120b)을 형성한 후에 가방틀(120a, 120b)의 형상을 고정하기 위해 과도한 힘으로 가압하면 소성변형하여 일정한 형태의 가방틀(120a, 120b)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직사각형의 가방내피(100)에 있어서, 가방내피(100)의 양 폭단부 중에서 어느 한 쪽의 폭단부에는 다수 개의 체결부(110)가 그 폭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체결부(110)는 원기둥부(113)와 원기둥의 선단에 형성된 원추형상의 삽입부(111)를 구비한다. 이런 체결부(110) 또한 합성수지로서 가방내피(100)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부(111)의 밑면 직경은 가방내피(100)의 사각 망(17)의 대각선 길이 정도를 가지며, 원기둥부(113)의 직경은 사각 망(17)의 대각선 길이보다 작다.
이런 체결부(110)는 가방내피(100)의 일면에 일렬로 폭을 따라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의 연결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가방의 가방틀(120a)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한 장의 가방내피(100)로도 충분히 가방틀(120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110)가 형성된 가방내피(100)의 일단부에 반대쪽 단부가 접하도록 말아 위치한다. 그리고, 체결부(110)를 가압하여 체결부(110)의 삽입부(111)가 접해 있는 가방내피(100)의 사각 망(17)을 관통하도록 한다. 이때, 삽입부(111)는 합성수지의 재질이므로 억지끼워맞춤식으로 가압하면 삽입부(111)는 사각 망(17)을 관통하여 위치하게 되고, 사각 망(17)은 원기둥부(113)의 둘레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한 장의 가방내피(100)는 원통형으로 가방틀(120a)을 형성한다.
한편,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가방의 가방틀(120b)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복수 장의 가방내피(100)가 필요로 하며, 가방내피(100) 중에서 체결부(110)가 형성된 부위에 다른 가방내피(100)를 접하도록 위치시키는데, 다른 가방내피(100)의 체결부(110)의 반대쪽 단부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부(110)를 가압하여 두 장의 가방내피(100)를 연결한다. 이런 방식으로 연결하여 원통형상의 가방틀(120b)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방틀(120b)에 바늘을 관통시키면서 자수실(도 2의 40)로 자수를 놓아 가방(1)을 완성한다.
한편, 연결된 가방내피(100)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연결된 부위를 상호 바깥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체결부(110)의 삽입부(111)가 소성변형되면서 원기둥부(113)의 둘레에 위치한 사각 망(17)이 삽입부(111)의 밖으로 이탈하게 되어 두 장의 가방내피(100)는 분리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는 체결부에 의해 복수 또는 한 장의 가방내피를 용이하게 원통형의 가방틀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는 종래의 가방내피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연결끈과 같은 연결부재가 필요치 않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

  1. 한 장의 선후단이 연결되거나 또는 복수의 장이 연결되어 가방틀을 형성하며, 외곽선의 내부에 횡선과 종선이 직교하면서 망의 구조를 갖는 가방내피에 있어서,
    상기 가방내피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횡선과 종선이 직교하면서 형성된 망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내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내피의 외곽선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사각형의 일면에 상기 체결부가 일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내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외곽선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의 중간부는 넥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상단이 상기 망을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었을 때에 넥의 둘레에 망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내피.
KR2020010026454U 2001-08-30 2001-08-30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 KR200255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54U KR200255860Y1 (ko) 2001-08-30 2001-08-30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54U KR200255860Y1 (ko) 2001-08-30 2001-08-30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860Y1 true KR200255860Y1 (ko) 2001-12-13

Family

ID=7310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454U KR200255860Y1 (ko) 2001-08-30 2001-08-30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8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16192U (zh) 模制面板和模制空心物品
US20140090149A1 (en) Washing socks
EP0101064A1 (en) Strap guide for strap adjustment assembly
US5299325A (en) Belt with pouch and slits for retaining a scarf
KR200255860Y1 (ko) 체결부를 구비한 가방내피
US8769775B2 (en) Button fastener and method of fastening a button
US6834682B2 (en) Set of hand held devices
JPH0324611Y2 (ko)
US5116687A (en) Decoration for use on packages
US61088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edal to ribbon joiner
US9795191B2 (en) Multistrand button retention system
US20180355533A1 (en) Multistrand button retention system
US10004303B1 (en) Customizable bracelet
JP2011505913A (ja) フックアイ留め具
JP7098125B1 (ja) 装飾物
RU214551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арика, предназначенного для наклеивания на часть тела игрушечной фигурки, и часть тела игрушечной фигурки с приклеенным к ней париком
JP2003306857A (ja) 飾り結び作成用具
KR20050102301A (ko) 입체 자수용 프레임과 바늘 및 이들을 이용한 입체 자수의수놓는 방법
KR101904070B1 (ko) 스트로형 자수가이드관을 이용한 입체형 펌자수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펌자수직물
KR100221720B1 (ko) 대나무 돗자리의 제조방법
CN207252945U (zh) 一种射出钩勾面
JP3913423B2 (ja) 靴下
JP3061489B2 (ja) 造花製造方法
JP3013751U (ja) 髪止め具
JP3953163B2 (ja) 可撓性に富んだ環状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