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792Y1 -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792Y1
KR200255792Y1 KR2020010025742U KR20010025742U KR200255792Y1 KR 200255792 Y1 KR200255792 Y1 KR 200255792Y1 KR 2020010025742 U KR2020010025742 U KR 2020010025742U KR 20010025742 U KR20010025742 U KR 20010025742U KR 200255792 Y1 KR200255792 Y1 KR 200255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coated wire
guide member
plates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한신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신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신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5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7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792Y1/ko

Links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되는 피복전선이 냉각조에 결합되는 냉각 가이드부재의 고정판 내측부에 피복전선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게 하는 조절판을 설치하므로 냉각수의 유출을 방지하여 냉각수를 절약할 수 있는 피복전선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피복전선 압출기(10)의 피복전선(30) 진행방향으로 설치되게 되는 냉각조(40)의 전·후면판(41,42)에 안착홈(43)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안착홈(43)내에 냉각 가이드부재(50)의 고정판(51)이 고정되게 되며, 상기 고정판(51) 내측부에 복수의 조절판(52,52')이 체결되게 된다.
상기, 냉각 가이드부재(50)의 고정판(51)은 중앙부에 ∪자형 홈(51a)이 형성되게 되고 측부에 각각 볼트 고정공(51b)과 핸들 고정공(51c)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조절판(52,52')은 대각방향으로 가이드홈(52a)이 형성되게 되고 이 가이드홈(52a)에 조절볼트(70)와 조절핸들(60)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판(51)의 볼트 고정공(51b)과 핸들 고정공(51c)에 체결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Apparatus for cooling covered electric wire of covered electric wire extrusion machine}
본 고안은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출되는 피복전선이 냉각조에 결합되는 냉각 가이드부재의 고정판 내측부에 피복전선에 따라 간격이 조절되게 하는 조절판을 설치하므로 냉각수의 유출을 방지하여 냉각수를 절약할 수 있는 피복전선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에 합성고무, 합성수지 등의 피복을 압출성형하는 압출기에는 냉각장치가 구비되어 압출 성형되는 피복전선을 냉각시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피복전선 냉각장치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전선 압출기(100)의 압출헤드(200)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피복전선(30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조(400)가 피복전선(300)의 진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게 된다.
상기, 냉각조(400)는 전·후면판(401,402)의 내부 양측에 내측판(403)이 각각 고정되고 전·후면판(401,402)과 내측판(403)의 상단 중간부에 피복전선(300)을 안내하기 위한 ∪자형 홈(404)이 각각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냉각조(400) 내부에 전체적으로 냉각수(W)가 하향 화살표방향으로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어 채워진다.
상기, 피복전선 압출기(100)는 통상의 압출방법으로 나전선에 합성수지, 합성고무 등을 피복하게 되며, 압출헤드(200)에서 배출되는 피복전선(300)은 냉각조(400)의 전·후면판(401,402)과 내측판(403)의 ∪자형 홈(404)에 삽입되어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냉각수(W)에 의해 수지 피복이 냉각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피복전선 냉각장치는 냉각조(400)의 전·후면판(401,402)에 형성된 ∪자형 홈(404)으로 냉각수(W)가 다량 배출되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복전선(300)이 이동되면서 냉각조(400)의 전·후면판(401,402)과 내측판(403)에 형성된 ∪자형 홈(404)의 예리한 연부에 피복이 접촉되어 손상됨으로써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하여, 작업현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형 홈(404) 부위에 수건 등을 올려 놓고 피복전선(300)을 그 위로 통과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하지만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수건이 말리면서 피복전선(300)의 이동을 방해하고 또 배수구가 수건으로 막히게 되는 등의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며 효과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압출헤드를 통해 압출되는 피복전선이 냉각조에 결합되는 냉각 가이드부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사용이 편리하며 냉각 가이드부재의 조절로 냉각수가 냉각조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빙지할 수 있는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진행방향으로 설치되게 되는 냉각조의 전·후면판에 안착홈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안착홈내에 냉각 가이드부재의 고정판이 고정되게 되며, 상기 고정판 내측부에 복수의 조절판이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 가이드부재의 고정판은 중앙부에 ∪자형 홈이 형성되게 되고 측부에 볼트 고정공과 핸들 고정공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조절판은 대각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게 되고 이 가이드홈에 조절볼트와 조절핸들을 삽입하여 상기 고정판의 볼트 고정공과 핸들 고정공에 체결되어 구성된 피복전선 냉각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도 1 은 종래 피복전선 냉각장치를 나타낸 개략단면예시도
도 2 는 종래 피복전선 냉각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피복전선 냉각장치 절단면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피복전선 냉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 가이드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 가이드부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출기 (20) : 압출헤드
(30) : 피복전선 (40) : 냉각조
(41,42) : 전·후면판 (43) : 안착홈
(50) : 냉각 가이드부재 (51) : 고정판
(51a) : ∪자형 홈 (51b) : 볼트 고정공
(51c) : 핸들 고정공 (52,52') : 조절판
(52a) : 가이드홈 (60) : 조절핸들
(70) : 조절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고안의 피복전선 냉각장치 절단면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피복전선 냉각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 가이드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 가이드부재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피복전선 냉각장치는 피복전선 압출기(10)의 압출헤드(20)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피복전선(30) 진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조(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조(40)는 전·후면판(41,42)에 안착홈(43)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각각의 안착홈(43)에 냉각 가이드부재(50)의 고정판(51)이 고정되게 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판(51) 측부에 복수의 조절판(52,52')이 체결된 구성으로 되어진 것이다.
상기, 냉각 가이드부재(50)의 고정판(51)은 중앙부에 ∪자형 홈(51a)이 형성되게 되고 일측부에 각각 복수의 볼트 고정공(51b)과 핸들 고정공(51c)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각각의 조절판(52,52')은 대각 방향으로 가이드홈(52a)이 형성되게 되고 이 가이드홈(52a)에 조절볼트(70)와 조절핸들(60)을 삽입하여 상기 볼트 고정공(51b)과 핸들 고정공(51c)에 체결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냉각조(40)의 전·후면판(41,42)에 형성된 안착홈(43)내에 고정판(51)을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키고 고정판(51) 측부에 조절판(52,52')을 체결시킨 상태에서 압출헤드(20)로부터 압출되는 피복전선(30)이 고정판(51)의 ∪자형 홈(51a)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복전선(30)에 맞게 조절판(52,52')을 조절하게 되는데 조절핸들(60)과 조절볼트(70)를 조절판(52,52')이 이동될 수 있을 만큼 풀어서 조절판(52,52')의 간격을 맞춘 다음 다시 조절핸들(60) 및 조절볼트(70)를 조여서 조절판(52,52')이 고정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가이드홈(52a)에 의해 좌·우 조절판(52,52')의 간격이 조절되므로 피복전선(30)과 냉각 가이드부재(50)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냉각수(W)가 냉각조(40)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되는 작용을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냉각조의 전·후면판에 냉각 가이드부재가 형성되어지되 이 냉각 가이드부재의 고정판 측부에 조절핸들에 의해 간격 조절이 가능한 조절판을 형성되게 하므로 냉각수의 누출을 방지하여 냉각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조작의 간편화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피복전선 압출기(10)의 압출헤드(20)에서 압출되어 나오는 피복전선(30) 진행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각조(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각조(40)는 전·후면판(41,42)에 안착홈(43)이 형성되게 되고 상기 각각의 안착홈(43)에 냉각 가이드부재(50)의 고정판(51)이 고정되게 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판(51) 측부에 복수의 조절판(52,52')이 체결되어지되 상기, 냉각 가이드부재(50)의 고정판(51)은 중앙부에 ∪자형 홈(51a)이 형성되게 되고 일측부에 각각 복수의 볼트 고정공(51b)과 핸들 고정공(51c)이 형성되게 되며, 상기 각각의 조절판(52,52')은 대각 방향으로 가이드홈(52a)이 형성되게 되고 이 가이드홈(52a)에 조절볼트(70)와 조절핸들(60)을 삽입하여 상기 볼트 고정공(51b)과 핸들 고정공(51c)에 체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
KR2020010025742U 2001-08-24 2001-08-24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 KR200255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742U KR200255792Y1 (ko) 2001-08-24 2001-08-24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742U KR200255792Y1 (ko) 2001-08-24 2001-08-24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792Y1 true KR200255792Y1 (ko) 2001-12-13

Family

ID=7310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742U KR200255792Y1 (ko) 2001-08-24 2001-08-24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7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724B1 (ko) * 2018-03-06 2018-11-0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테크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724B1 (ko) * 2018-03-06 2018-11-06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테크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3534295A (en) Liquid charging nozzle plate
DE60140093D1 (de) Halbleiter mit kohlenfaserverstärkter Harz-Kühlplatte mit konkavem Teil
US7326298B2 (en) Wire insulating line
DE50205677D1 (de) Drehlager mit Schmierkanalanordnung, Gewindetrieb mit drehgelagerter Gewindemutter
HK1037976A1 (en) Agents with an antidepressive effect.
RU2031000C1 (ru) Калиб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удируемой трубы из пласт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KR200255792Y1 (ko) 피복전선 압출기의 피복전선 냉각장치
PT931609E (pt) Coquilha com refrigeracao por liquido
ATE487254T1 (de) Lasermodul
ATE152640T1 (de) Duscheinrichtung mit selbstreinigendem duschkopf
FI75899B (fi) Anordning vid duschvaegg.
KR101915724B1 (ko) 냉각장치
JP3673563B2 (ja) 節水具
DE69920939D1 (de) Getränke-abgabevorrichtung mit verbesserter kühlungsleistung
US20140208608A1 (en) Backplate
ATE295700T1 (de) Duschtrennwand
JPH11318604A (ja) 流し台等の天板用縁材
KR200199426Y1 (ko) 스트립 권취 설비인 스트립 가이드판의 마모 방지 장치
CN219472851U (zh) 一种出水角度可调的灯光温显置物龙头
CN115646673A (zh) 一种出水均匀的花洒及应用其的便捷式节水清洗装置
KR950013603A (ko) 압연강편 냉각장치
ATE285848T1 (de) Brausekopf
BR8101826Y1 (pt) disposição construtiva de regulagem das quilhas laterais removìveis em prancha de surfe.
DE29518463U1 (de) Kühlschrank mit einem mindestens teilweise abgeschlossenen Kühlkomponentensatz
DE50304333D1 (de) Befestigung eines Formte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