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430Y1 -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 - Google Patents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430Y1
KR200255430Y1 KR2020010026683U KR20010026683U KR200255430Y1 KR 200255430 Y1 KR200255430 Y1 KR 200255430Y1 KR 2020010026683 U KR2020010026683 U KR 2020010026683U KR 20010026683 U KR20010026683 U KR 20010026683U KR 200255430 Y1 KR200255430 Y1 KR 200255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mode
portable device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Priority to KR2020010026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430Y1/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장치에 라디오 모듈을 구비하면서도, 휴대장치에서도 라디오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여 좁은 장소에서의 공간 활용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와, 라디오 방송 청취 중 전화를 받기 위해 라디오 기기의 조작과 전화기기의 조작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적으로 라디오 모드와 전화 모드를 수행하게 되는 효과와, 라디오 프로그램을 시간대 별로 주파수를 지정하여 자동적으로 주파수가 변경되어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와, 고정장치에만 라디오 모듈을 구비하면서도 휴대장치에서도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며 전화 통화도 가능한 유용성이 있다.

Description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CODELESS TELEPHONE WITH RADIO MODULE}
본 고안은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장치에 라디오 모듈을 구비하면서도, 휴대장치에서도 라디오를 청취하거나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무선 전화기는 국선으로부터 걸려온 음성신호, 링신호 및 각종 컨트롤 관련 데이터를 휴대장치로 송출하고, 휴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받아 해당 동작을 하며 음성신호를 국선으로 연결 송출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고정장치의 무선중계에 의해서 전화를 걸고 받는 기본모드 및 각종 부가모드를 조작할 수 있는 휴대장치 및 충전기로 구성되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장치는 기본적으로 일반전화기 회로로서 벨수신부와 다이얼 회로와 음성 송수신 회로를 내장하며, 송신부 회로로서 전화 음성 신호 증폭 및 압축회로, 변조 및 VCO, 전력증폭기, 벨신호 검파기 등으로 구성되며, 수신부 회로로서 고주파증폭, 제1국부발진, 제1중간주파수 혼합, 증폭 등을 수행하는 아이씨와 각종 신호의 데이터 검출 회로, 스위치 회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휴대장치는 수신부 회로로서 고주파증폭, 제1국부발진, 제1중간주파수 혼합, 증폭, 제2중간주파수 증폭 및 검파 등을 수행하는 유니트와 제2국부발진을 하는 아이씨와 가청 저주파 증폭과 각종 신호의 데이터 검출 회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무선전화기는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면 고정장치나 휴대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하므로 2대의 전화를 설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고정장치는 유선으로 인한 장소의 제약과 그에 따른 불편함으로, 일정 거리의 범위 내에서는 장소의 제약 없이 무선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휴대장치의 활용이 더욱 증가하였다. 그에 따라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고정장치의 부가적인 장치로서의 휴대장치가 아닌 휴대장치에서 고정장치의 모드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모드가 추가되어졌다. 이러한 유무선전화기는 공지된 기술로 오디오 기기와는 별도로 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는 일반적인 전화 통화 모드를 주로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가게, 소형 작업장 등에서 작업을 할 때는, 하루 종일 라디오 청취하면서 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일정 기간이 지나면 자신이 좋아하는 디제이나 선호하는 프로그램이 생기게 되어, 매 1시간 또는 2시간 간격으로 각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마다 방송 주파수를 변경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작은 공간이라도 활용해야 하는 소형 작업장 등의 경우에는 전화기와 오디오 기기가 차지하는 공간이 작업의 방해가 되는 경우가 있고, 특히, 라디오를 청취하며 작업을 하는 도중에 전화가 오면 전화 통화를 위해 오디오 기기의 볼륨을 낮추거나 전원을 오프 시키고, 전화기 핸드셋을 들고 통화를 한 후, 전화 통화가 끝나면 다시 오디오 기기의 볼륨을 높이거나 전원을 온 시키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욱 더 전화기와 오디오 기기의 위치가 반대편에 있을 경우에 전화통화를 하기 위한 번거로움은 가중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본 고안의 목적은 유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에 라디오 모듈을 구비하여 평소에는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고, 전화 착신 호가 오면 전화 통화 모드로 전환되어 라디오가 중단되고 전화 통화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를 구현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 및 입력 결과로서, 미리 지정된 각각의 시간대 별에 해당하는 라디오 주파수를 저장하여, 상기 시간대 별로 프로그램된라디오 주파수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라디오 방송을 하는 모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를 구현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에 구비되는 휴대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에 라디오 모드 작동 흐름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모드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의 고정장치(100)의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100)는 무선부(111), 핸드셋(112), 아날로그 스위치(113), 마이크 증폭부(114), 마이크(115), 스피커 증폭부(116), 스피커(117), 통화회로부(118), 전화라인 스위치(119), 링거(120), 링검출부(121), 멜로디 회로부(122), 제어부(123), 메모리(124), 표시부(125), 키패드(126), 신호변환부(127), 라디오모듈(130)로 구성된다.
상기 라디오모듈(130)은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주파수의 직접 입력 또는 시간대 별에 해당하는 라디오 방송을 수신한다.
상기 신호변환부(127)은 상기 라디오모듈(130)의 출력 결과를 무선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무선부(111)는 상기 고정장치(100)와 상기 휴대장치(200)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일 예로서, 상기 무선부(111)는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휴대장치(200)로부터 수신된 RF 무선신호를 해당 채널 대역의 수신 주파수(예를 들어, 914MHz)만 필터링 하여 증폭한 후, 제1 및 제2중간 주파수(IF)를 거친 신호를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3)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장치(200)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당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일 예로 959MHz 대)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상기 휴대장치(200)로부터의 요구에 해당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요구에 따른 라디오 신호를 상기 신호변환부(127)에서 변환된 무선신호를 받아 상기 휴대장치(200)로 송신하고,
상기 핸드셋(112)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송화부와 수화부로 구성된 송수화기이며, 상기 송화부에 구비되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3)를 통해 통화회로부(118)에 전달하며, 상기 통화회로부(118)로부터 전달된 음성신호를 상기 수화부에서 출력하여 음성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3)는 상기 무선부(111), 핸드셋(112), 마이크 증폭부(114), 스피커 증폭부(117), 통화회로부(118), 멜로디 회로부(122), 라디오모듈(130)과 연결되어 각 구성부의 동작에 따른 회로 스위칭을 담당한다.
상기 마이크 증폭부(114)는 상기 마이크(MIC: 115)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 증폭부(116)는 상기 통화회로부(118)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와 상기 라디오모듈(130)에서 수신한 라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117)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통화회로부(118)는 음성 송수신 회로(Speech Network)로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3)와 전화라인 스위치(119) 사이에 연결되어 각종 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전화라인 스위치(119)는 후크 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 하에 상기 전화라인(TEL LINE)과의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는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링거(120)는 상기 전화라인과 스피커(117) 및 링검출부(121)에 연결되며, 톤 링거(Tone Ringer)이다.
상기 링검출부(121)는 상기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온-후크(On-Hook) 상태에서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23)에 착신 상태임을 통보한다.
상기 멜로디 회로부(122)는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 하에 다양한 멜로디를 선택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23)는 전화기의 모드에 따른 제반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국선 통화 및 휴대장치(200)와의 통화를 제어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라디오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라디오모듈(130)을 구동시켜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휴대장치(200)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라디오모듈(130)을 구동시켜 라디오 모드 수행에 따른 상기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라디오 모드 수행 상태에 있어, 현재 시간이 상기 저장된 시간대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포함된 시간대에 해당하여 저장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을 위해, 상기 라디오 모듈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메모리(124)는 전화기의 제반 모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메모리(124)는 일 예로, EEPROM을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 및 입력 결과로서, 미리 지정된 각각의 시간대 별에 해당하는 라디오 주파수를 시간대 별로 프로그램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125)는 LCD(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23)의 제어 하에 전화기의 현재 상태도 및 제반 상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키패드(126)는 다수의 모드 키 및 다이얼 3*4키를 구비하여 각종 모드 설정 및 원격 모니터 동작을 위한 데이터와 다이얼 입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에 구비되는 휴대장치(200)의 블록구성도로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휴대장치(200)는 휴대장치 무선부(211), 휴대장치 통화회로부(212), 마이크(214), 스피커(213), 휴대장치 제어부(215), 멜로디 회로부(216), 휴대장치 메모리(218), 휴대장치 표시부(219), 휴대장치 키입력부(220)를 구비한다.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211)는 상기 고정장치(100)와 상기 휴대장치(200)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211)는 안테나(ANT)를 통해 상기 고정장치(100)로부터 수신된 RF 무선신호를 특정 채널 대역의 수신 주파수(예를 들어, 959MHz)만 필터링 하여 증폭한 후, 제1 및 제2중간 주파수(IF)를 거친 신호를휴대장치 제어부(215) 또는 휴대장치 통화회로부(212)에 출력하고, 상기 고정장치(100)로의 신호 송신시 각 채널당 해당 주파수를 발생시켜 송신 주파수 대역(일 예로 914MHz 대)의 캐리어 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 복사한다. 특히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장치(100)에서 송출된 무선신호로 변환된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피커(213) 및 이어폰으로 출력한다.
상기 휴대장치 통화회로부(212)는 통화에 따른 음성 신호와 라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가청상태로 만든다.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5)는 상기 휴대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라디오 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휴대장치 무선부(211)에서 수신한 변환된 라디오 신호를 출력받아 상기 휴대장치(200)를 라디오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휴대장치 키입력부(220)로 입력된 시간대 별 라디오 주파수를 상기 고정장치(1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멜로디 회로부(216)는 상기 고정장치(100)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설정된 벨소리를 부저를 통해 발생하거나, 스피커(213)를 통해 설정된 멜로디를 출력한다.
상기 휴대장치 메모리(218)는 상기 휴대장치의 모드 수행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5)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휴대장치 표시부(219)는 다수의 LED(발광다이오드) 및/또는 LCD(액정표시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215)의 제어 하에 휴대장치 및 전화기의 현재 상태와 제반 상황들을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휴대장치 키입력부(220)는 다수의 모드 키 및 다이얼 3*4키를 구비하여 각종 모드 설정 및 동작이나 다이얼 입력을 수행하며, 상기 고정장치(100)를 원격 모니터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키를 입력한다. 본 고안에서는 스피커 출력 조절을 위한 음량 조절 키를 더 구비하거나 음량 조절 모드를 버튼에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17, 213)는 한 개의 유니트로 부저와 리시버와 스피커 모드를 구현한 3 모드 마이크로 스피커로 구현하여, 라디오 방송 청취 및 전화통화 시 상기 고정장치 키패드(126)와 상기 휴대장치 키입력부(220)에 구비된 음량 조절 모드를 이용하여 음성 크기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의 고장장치(100)는 경우에 따라서 다수의 휴대장치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장치(100)와 휴대장치(200)는 교류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을 내부 회로에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상기 도면에서는 생략하였다.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전화기의 라디오 모드 작동 흐름도이다.
310단계에서 수신대기 상태인 유무선 전화기는 311단계에서 라디오 모드가 선택되어 지면, 312 단계에서 상기 휴대장치(200)에서의 요구인지 아니면 직접 상기 고정장치(100)에서의 요구인지에 따라 동작이 달라진다. 상기 휴대장치(200)에서의 라디오모드 요구이면, 313단계로 넘어가서 상기 휴대장치(200)에서 요구한 라디오 주파수를 설정한다. 그에 따라 314단계에서 상기 라디오모듈(130)을 구동하여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데, 315단계에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3)를 스위칭하여 상기 통화회로부(118)를 차단하고, 316단계에서 상기 신호변환부(127)에서 수신한 라디오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무선부(111)에서 상기 변환된 무선신호를 상기 휴대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312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100)에서의 라디오 모드 요구 일 경우는, 318단계에서 상기 고정장치(100)의 키패드(126)로 라디오 주파수를 설정하고, 그에따라 319단계에서는 상기 라디오모듈(130)을 구동시켜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며, 320단계에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30)를 스위칭하여 상기 통화회로부(118)를 차단하고, 321단계에서 상기 수신한 라디오 신호를 상기 스피커 증폭부(116)에서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117)로 출력한다.
라디오 방송을 계속 출력하던 중에 만약 322단계에서 외부에서 걸려온 착신 호가 있으면 323단계에서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113)를 스위칭하여 상기 통화회로부(118)를 구동하고 324단계의 전화 통화 모드를 수행한다. 만약 322단계에서 착신 호가 없으면 326단계에서 각각의 라디오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325단계에서 호 종료 신호가 있으면 다시 상기 휴대장치(200) 또는 상기 고정장치(100)의 요구에 따른 라디오 모드에서의 동작을 계속하여 라디오 방송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고정장치(100)에서 직접 라디오 주파수를 상기 키패드(126)로 입력하여 상기 스피커(117)를 통해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장치(200)는 상기 휴대장치 키입력부(220)로 라디오 모드 설정과 주파수를 기입함에 의해 상기 고정장치(100)를 라디오 모드로 전환시켜 라디오 신호를 변환된 무선신호 전송받아 상기 스피커(213)또는 이어폰으로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여 라디오와 전화기를 하나의 기기에 구현하여 좁은 장소에서의 공간 활용을 배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다른 효과는 라디오 방송 청취 중 전화를 받기 위해 라디오 기기의 조작과 전화기기의 조작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적으로 라디오 모드와 전화 모드를 수행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효과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시간대 별로 주파수를 지정하여 자동적으로 주파수가 변경되어 다른 방송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또 다른 효과는 고정장치에만 라디오 모듈을 구비하면서도 휴대장치에서도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며 전화 통화도 가능한 유용성에 있다.

Claims (2)

  1. 고정장치와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유무선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시간대 별에 해당하여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라디오 모듈과,
    상기 라디오 모듈 구동 상태를 스위칭하는 아날로그 스위치와,
    라디오 모듈의 출력 결과를 무선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와,
    변환된 무선신호를 송신하고, 휴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해당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무선부와,
    휴대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라디오 모드 수행에 따른 상기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고정장치: 및
    모드별 모드 선택, 시간대 입력, 그에 해당하는 라디오 주파수를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라디오 방송으로 출력하며, 선택 및 입력된 사용자 요구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무선부와,
    라디오 방송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선택 및 입력된 결과로서, 라디오 모드수행에 따른 각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휴대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선택 및 입력 결과로서, 미리 지정된 각각의 시간대 별에 해당하는 라디오 주파수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라디오 모드 수행 상태에 있어, 현재 시간이 상기 저장된 시간대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포함된 시간대에 해당하여 저장된 주파수의 라디오 방송을 위해, 상기 라디오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고정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
KR2020010026683U 2001-08-31 2001-08-31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 KR200255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83U KR200255430Y1 (ko) 2001-08-31 2001-08-31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683U KR200255430Y1 (ko) 2001-08-31 2001-08-31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430Y1 true KR200255430Y1 (ko) 2001-12-13

Family

ID=73054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683U KR200255430Y1 (ko) 2001-08-31 2001-08-31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4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056B1 (ko) 자동구성다중모드토크스위치를갖는통신장치및그동작방법
JPH07312636A (ja) 構成パラメタ・プログラミング・システムと電話
GB2349046A (en) Half-duplex communication in speakerphone and display thereof
KR200255430Y1 (ko) 라디오 겸용 유무선 전화기
KR200254220Y1 (ko) 진동 착신 알림 유무선 전화기
KR20020013217A (ko) 다기능 무선 전화 및 무선 마우스기능을 갖는피씨/티브이 통합 리모콘 시스템
KR200254222Y1 (ko)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벨 발생 장치
JPS61296859A (ja) テレビ機能付電話装置
KR200256979Y1 (ko) 유무선 전화기의 다이얼링 장치
KR100425703B1 (ko) 휴대용 단말기
KR200255283Y1 (ko) 다목적 핸즈프리의 무선 이어폰 장치
KR20010088996A (ko) 씨아이디를 이용한 원격 모니터 기능 유무선 전화기 및 그방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0254223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KR200254225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유무선전화기의 시계기능 제어 장치
KR100260756B1 (ko) 무전기 기능 겸용 무선전화기
KR200256982Y1 (ko) 무선전화기의 생활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KR20010090055A (ko)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0533591B1 (ko) 고정 무선 단말기의 통화 범위 제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장치
KR20050088603A (ko) 무선 전화기 겸용 통합 리모콘
KR200254224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유무선 전화기의 발신자 번호 음성안내 장치
KR970003973B1 (ko) 복합 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및 자동통화로 구성 방법
KR100628045B1 (ko)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라디오 수신 방법
KR200202242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무선 송수신장치
KR200252897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착신 확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