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390Y1 -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 - Google Patents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390Y1
KR200255390Y1 KR2020010024672U KR20010024672U KR200255390Y1 KR 200255390 Y1 KR200255390 Y1 KR 200255390Y1 KR 2020010024672 U KR2020010024672 U KR 2020010024672U KR 20010024672 U KR20010024672 U KR 20010024672U KR 200255390 Y1 KR200255390 Y1 KR 200255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blower
air introduced
rot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태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4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3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390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별도의 냉각장치가 없이 강제식으로 식힐 수 있게 하는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는,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모터에 연결된 팬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송풍 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모터 내부를 통과하면서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도록 모터의 회전케이스의 상단 회전중심부 부근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모터의 회전케이스 하단 회전주변부 부근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터 내부를 강제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냉각장치가 없이도 모터의 냉각이 가능하고, 이물질이 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의 성능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모터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와류를 일으켜서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The vent structure of blower motor}
본 고안은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을 별도의 냉각장치가 없이 강제식으로 식힐 수 있게 하는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는 모터의 회전케이스에 원통형 팬이 고정되고, 덕트를 통해 원통형 팬의 중심부에 유입된 공기가 팬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받아 외부로 유출되는 구성이다.
즉,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모터의 상방, 즉 원통형 팬의 내부에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모터의 방사형 측방, 즉 원통형 팬의 외부로 빠르게 유출되면서 케이스는 유출된 공기를 유도하여 공기압을 형성함으로써 원하는 위치로 공기를 공급하는 구성이었다.
이때, 상기 송풍 모터는 회전자 즉, 모터를 감싸는 회전케이스를 갖고, 상기 회전케이스의 원주부위에 상기 원통형 팬이 고정되어 상기 모터의 고정자가 상기 회전케이스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케이스에 고정된 팬이 회전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모터는 공급된 전기적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되는 구성으로 저항열이나 마찰열 등에 의해 모터 내부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하여 모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었었다.
이러한 모터의 열을 식히기 위하여 모터의 고정된 외부 케이스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방열핀을 형성하여 자연 공랭식 모터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공기의 흐름을 강제로 발생시키는 강제식 통풍이 아니기 때문에 자연 통풍이 이루어지지 않는 장소에서는 아무런 소용이 없고, 이러한 모터의 강제식 냉각을 위해 또 다른 송풍구조를 갖는 별도의 냉각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비용적인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자동차나 복잡하고 정밀한 기계설비에 사용되는 송풍 모터에 있어서 모터 발열로 인한 모터의 성능 및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없었고, 심지어 모터가 타버리는 등 모터의 발열로 인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터 내부를 강제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냉각장치가 없이도 모터의 냉각을 가능하게 하는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물질이 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의 성능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모터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와류를 일으켜서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의 회전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 절단면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송풍 모터의 회전케이스에 팬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는,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모터에 연결된 팬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송풍 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모터 내부를 통과하면서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도록 모터의 회전케이스의 상단 회전중심부 부근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모터의 회전케이스 하단 회전주변부 부근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이물질이 모터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구의 상방에 다이캐스팅으로 인서트된 덮개를 설치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회전케이스의 흡입구 부근 내면에 상기 회전케이스와 함께 회전하는 다수개의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는,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모터에 연결된 팬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송풍 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모터 내부를 통과하면서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도록 모터의 회전케이스(10)의 상단 회전중심부 부근에 흡입구(10d)를 형성하고, 모터의 회전케이스(10) 하단 회전주변부 부근에 배출구(10c)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10d)는 전체적으로 타원형인 것으로 상기 회전케이스(10)의 상단면에 회전중심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다수개(여기서는 4개)가 배치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10c)는 전체적으로 반원형인 것으로 상기 회전케이스(10)의 하단 원주면에 팬을 향하여 방사형으로 다수개(여기서는 3개)가 배치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0d)를 통해 이물질이 모터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구(10d)의 상방에 다이캐스팅으로 회전축(1)에 인서트된 덮개(10b)를 설치한다.
즉, 덕트를 통해 상기 모터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만약 이물질(질량이 존재하는 고체나 액체)이 침투된다면, 이러한 이물질은 굴곡진 경로를 이동하기 어려워서 상기 흡입구(10d)에 도달하지 못하고, 일차적으로 상기 덮개(10b)에 부딪쳐서 분산되거나 그대로 송풍기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10d)를 통해 흡입된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회전케이스(10)의 흡입구(10d) 부근 내면에 상기 회전케이스(10)와 함께 회전하는 다수개의 리브(10e)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흡입구(10d)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회전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하는 다수개의 리브(10e)에 의해 유도되어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모터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었다가 원심력에 의해 상기 배출구(10c)로 배출된 후, 상기 송풍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팬고정홀(10a)에 의해 원통형 팬(2)이 상기 회전케이스(10)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이러한 흡입구(10d)와 배출구(10c) 및 리브(10e)의 크기 및 형상은 매우 다양할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원심력에 의해 그대로 팬(2)을 통과하여 송풍기 외부로 배출되지만, 상기 흡입구(10d)가 모터의 회전케이스(10) 상단 회전중심부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10c)가 모터의 회전케이스(10) 하단 회전주변부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두 곳의 원심력 차이로 인한 공기압의 차이에 의해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상기 덮개(10b)를 지나 상기 흡입구(10d)로 흡입되고, 상기 리브(10e)에 의해 상기 모터 내부를 골고루 통과한 다음, 모터에서 발생한 열을 지니고, 상기 배출구(10c)를 통해 배출되어 상기 팬(2)을 통과한 후, 송풍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모터 열을 식히기 위하여 모터의 고정된 외부 케이스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방열핀을 형성하여 자연 공랭식 모터가 아니라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터 내부로 흡입하였다가 와류를 형성한 다음 강제 배출시키는 강제식 통풍 구조이기 때문에 자동차나 복잡하고 정밀한 기계설비에 사용되는 송풍 모터에 있어서 모터 발열로 인한 모터의 성능이나 내구성의 저하 및 모터의 연소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돔형 회전케이스에 국한되어 있으나 각종 송풍 모터의 회전케이스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에 의하면,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터 내부를 강제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냉각장치가 없이도 모터의 냉각이 가능하고, 이물질이 모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모터의 성능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모터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와류를 일으켜서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3)

  1.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모터에 연결된 팬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송풍 모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모터 내부를 통과하면서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도록 모터의 회전케이스의 상단 회전중심부 부근에 흡입구를 형성하고, 모터의 회전케이스 하단 회전주변부 부근에 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이물질이 모터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흡입구의 상방에 다이캐스팅으로 인서트된 덮개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회전케이스의 흡입구 부근 내면에 상기 회전케이스와 함께 회전하는 다수개의 리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
KR2020010024672U 2001-08-14 2001-08-14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 KR200255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672U KR200255390Y1 (ko) 2001-08-14 2001-08-14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672U KR200255390Y1 (ko) 2001-08-14 2001-08-14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390Y1 true KR200255390Y1 (ko) 2001-12-13

Family

ID=7310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672U KR200255390Y1 (ko) 2001-08-14 2001-08-14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3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79391B1 (en) Fan motor
EP0823554B1 (en) Ceiling fan motor
KR100457494B1 (ko) 통기용축선방향입구를가진송풍기휠
JP4149655B2 (ja) 自己冷却モータ付き軸ファン
US4917572A (en) Centrifugal blower with axial clearance
US6386839B1 (en) High performance radiator fan
US8007241B2 (en) Bi-directional cooling fan
MXPA97005853A (en) Motors for te fans
KR200484535Y1 (ko) 흡기공을 포함하는 터보 블로워
US20080213103A1 (en) Axial flow fan
KR100572849B1 (ko)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인 모터 냉각이 가능한 터보 블로워
US20070196208A1 (en) Fan Assembly
JP6122012B2 (ja) 遠心ファン
JP2009108792A (ja) ファン装置
US9543807B2 (en) Electric motor
US20060292020A1 (en) Cooling fan
EP0651161B1 (en) Device for cooling en electric motor for a turbo-fan
JP2006207379A (ja) 送風ファン
EP0074068B1 (en) Cooling device of automotive alternator
KR200255390Y1 (ko) 송풍 모터의 통풍 구조
JP2006104976A (ja) 電動送風機
JP2019124205A (ja) 送風機
CN110630536A (zh) 风扇和电力机械总成及其方法
KR102113426B1 (ko) 터보송풍기의 모터케이싱 내부에 착설되는 쿨링팬
CN211474466U (zh) 轴流式风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