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260Y1 -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260Y1
KR200255260Y1 KR2020010026215U KR20010026215U KR200255260Y1 KR 200255260 Y1 KR200255260 Y1 KR 200255260Y1 KR 2020010026215 U KR2020010026215 U KR 2020010026215U KR 20010026215 U KR20010026215 U KR 20010026215U KR 200255260 Y1 KR200255260 Y1 KR 200255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optical
light
auxiliary member
knob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6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260Y1/ko

Link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프론트 패널 전면에 발광 상태로써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에 있어서, 전면에 노브 장식부를 구비하며,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힌지부가 마련된 노브 보조부재와, 노브 보조부재에 일체로 조립되며,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광 표시 노브로 구성되어 프론트 패널 내측에 노브 보조부재가 융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에 의하면, 광 노브 스위치의 구성 부품수를 줄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누적 공차 발생을 줄여 광 노브 스위치 장치의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ASSEMBLE STRUCTURE FOR THE OPTICAL KNOB SWITCH}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제품의 프론트 패널측에 기능버튼(Button)으로써 구성되는 광 노브 스위치 장치를 보다 편리하게 조립될 수 있게 하는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CR(Video Cassette Recorder)과 같은 전자제품은 본체의 외측에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버튼들이 구성되며, 회로기판 상에는 택트 스위치가 구성되어 기능 버튼에 접해짐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기능 버튼을 누르면 그에 의해 택트 스위치가 연계하여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특히, 광 노브 스위치는 노브 스위치에 빛을 발산할 수 있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두운 야간에도 스위치의 위치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노브 스위치 장치이다.
도 1은 일례로써 VCR의 프론트 패널에 장치되어 기능 버튼을 구성하는 광 노브 스위치 및 그 장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노브 스위치는 노브 장식물(2), 광 표시 노브(3) 및 노브 홀더(4)의 조립체로 구성되며, 프론트 패널(Front pannel: 1) 일단에 조립된다.
종래의 노브 장식물(2)은 VCR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광 노브 스위치 장치의 외관미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결합되는 악세서리로서, 프론트 패널(1) 내측에 융착 고정된다.
종래의 광 표시 노브(3)는 회로기판 상에 설치된 LED의 빛이 투과되어 표시되는 부분으로 광 투과성을 고려하여 고가의 아크릴 또는 PMMA 재질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재질은 사출성형성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탄력성도 떨어지므로, 광 표시 노브(3)에 형성된 힌지부(3a)만으로는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동작성을 만족시키기 어려워 별도의 노브 홀더(4)를 필요로 한다.
노브 홀더(4)는 탄력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힌지부(4a)를 구비하여 광 표시 노브(3)의 동작성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원통형상의 광 가림판(4b)을 통해LED에서 발광된 빛이 광 표시 노브(3)를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 퍼지는 것을 차단한다.
광 표시 노브(3)와 노브 홀더(4)는 조립된 상태로 프론트 패널(1) 내측에 융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 노브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가 기기의 작동을 위해 광 표시 노브(3)를 누르게 되면 회로기판(미 도시됨)상에 조립된 택트 스위치(미 도시됨)를 누르게 되어 동작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LED를 발광시켜 광 표시 노브(3)를 통해 빛을 발산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동작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광 노브 스위치 장치 구조는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많고, 조립성이 난해해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광 표시 노브의 융착점은 노브 장식물의 융착점과 최소거리를 유지해야 하므로 광 표시 노브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구성품들이 가진 조립 공차의 누적으로 광 노브 스위치 장치의 동작성이 떨어질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자제품의 기능버튼으로써 작동하는 광 노브 스위치의 구성 부품수를 줄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누적 공차 발생을 줄여 광 노브 스위치 장치의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론트 패널 전면에 발광 상태로써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에 있어서, 전면에 노브 장식부를 구비하며,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힌지부가 마련된 노브 보조부재와, 상기 노브 보조 부재에 일체로 조립되며,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광 표시 노브로 구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 내측에 상기 노브 보조부재가 융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프론트 패널에 장착되는 노브 스위치의 분해 조립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조립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론트 패널 12 : 노브 장식부
14 : 힌지부 16 : 노브 보조부재
18 : 광 표시 노브 20 : 후크
22 : 후크 걸림부 24 : 빛 가리개
이와같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론트 패널(10) 전면에 발광 상태로써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노브 보조부재(16)와 광 표시 노브(18)가 일체로 결합되어 프론트 패널(10) 내측에 융착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전면에 노브 장식부(12)를 구비하며,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힌지부(14)가 마련된 노브 보조부재(16)와, 상기 노브 보조부재(16)에 일체로 조립되며,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광 표시 노브(18)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노브 장식부(12)는 VCR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광 노브 스위치 장치의 외관미를 높이기 위해 투톤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결합되는 악세서리로서, 노브 보조부재(16)에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종래 기술에서처럼 프론트 패널에 별도로 융착작업 등을 통해 결합될 필요가 없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부(14)는 노브 보조부재(16) 일단에 형성되며, 노브 장식부(12)에 관통 삽입 조립되는 광 표시 노브(18)에 실질적인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는 노브 보조부재(16) 일단에 형성된 후크(20)에 광 표시 노브(18)가 일체로 조립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노브 보조부재(16)와 광 표시 노브(18)가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광 표시 노브(18)에 가해지는 힘이 힌지부(14)에 작용하여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광 표시 노브(18)는 회로기판(26) 상에 설치된 LED(28)의 빛이 투과되어 표시되는 부분으로 광 투과성을 고려하여 고가의 아크릴 또는 PMMA 재질로 구성되므로 사출성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탄성력도 떨어지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광 표시 노브의 구조에 비해 훨씬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광 표시 노브(18)의 뒤쪽으로는 LED(28)의 빛이 광 표시 노브(18)의 전면으로만 집중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빛 가리개(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 노브 스위치 장치는 사용자가 기기의 작동을 위해 광 표시 노브(18)를 누르게 되면 회로기판(26)상에 조립된 택트 스위치(미 도시됨)를 누르게 되어 동작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LED(28)를 발광시켜 광 표시 노브(18)를 통해 빛을 발산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동작 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에 의하면, 광 노브 스위치의 구성 부품수를 줄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누적 공차 발생을 줄여 광 노브 스위치 장치의 동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프론트 패널 전면에 발광 상태로써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에 있어서,
    전면에 노브 장식부를 구비하며,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힌지부가 마련된 노브 보조부재와,
    상기 노브 보조 부재에 일체로 조립되며,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광 표시 노브로 구성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 내측에 상기 노브 보조부재가 융착되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보조부재 일단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광 표시 노브 일단에 후크 걸림부가 형성되어 일체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표시 노브의 뒤쪽으로 원통형의 빛 가리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KR2020010026215U 2001-08-29 2001-08-29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KR200255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15U KR200255260Y1 (ko) 2001-08-29 2001-08-29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215U KR200255260Y1 (ko) 2001-08-29 2001-08-29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260Y1 true KR200255260Y1 (ko) 2001-12-01

Family

ID=73107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215U KR200255260Y1 (ko) 2001-08-29 2001-08-29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2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885A (ko) * 2016-08-31 2018-03-08 혜성산업(주) 의자 시트용 샤프트의 결합 호환성을 구비한 시트 마감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885A (ko) * 2016-08-31 2018-03-08 혜성산업(주) 의자 시트용 샤프트의 결합 호환성을 구비한 시트 마감캡
KR101951746B1 (ko) * 2016-08-31 2019-02-25 혜성산업(주) 의자 시트용 샤프트의 결합 호환성을 구비한 시트 마감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5260Y1 (ko) 광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JP2001155573A (ja) スイッチ
US7786399B2 (en) Apparatus comprising a button formed with a panel and flat panel display
CN112995397B (zh) 一种电子产品
JP4375404B2 (ja) 照光スイッ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映像音響機器
CN211016856U (zh) 按键组件及电子设备
JP2006270885A (ja) 電子機器
KR0142990B1 (ko) 스위치가 형성된 에어컨 실내기의 표시부의 구조
KR200255261Y1 (ko)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KR19980024443U (ko) 발광다이오드가 일체화된 푸쉬버튼 조립체
JP2001076572A (ja) 防水スイッチ構造
JPH11162280A (ja) インジケータ付照光式押し釦スイッチ
KR0136722Y1 (ko) 모니터의 전원표시렌즈일체형 파워노브장치
JPS6238269Y2 (ko)
KR100497386B1 (ko) 조작버튼 구조체
KR19980024444U (ko) 전자제품 인쇄회로기판 취부구조
JPH11111100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装置
KR20070016814A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누름장치
KR0122999Y1 (ko) 후광형 노브
KR0125195Y1 (ko) 가전제품의 엠블렘
KR19980024447U (ko) 수광소자가 일체화된 푸쉬버튼 조립체
KR19990035709U (ko)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표시렌즈기능을 가진 전원버튼장치
KR19990013903U (ko) 모니터의 발광식 전원버튼
JPS643234Y2 (ko)
KR19990024779U (ko) 호환성을 갖는 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