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990Y1 -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 - Google Patents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990Y1
KR200254990Y1 KR2020010013647U KR20010013647U KR200254990Y1 KR 200254990 Y1 KR200254990 Y1 KR 200254990Y1 KR 2020010013647 U KR2020010013647 U KR 2020010013647U KR 20010013647 U KR20010013647 U KR 20010013647U KR 200254990 Y1 KR200254990 Y1 KR 200254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aeration
reactor
rotor
reac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배
노명규
허준무
윤재섭
정보림
Original Assignee
한상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배 filed Critical 한상배
Priority to KR2020010013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99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반응조 수면에 설치되는 횡축 또는 입축형의 표면포기기에 밸브 또는 게이트등의 개폐수단이 구비된 케이싱을 설치하여 회전차 주변의 수면과 회전차가 대기의 공기로부터 차폐되도록 구성된 간헐포기장치를 제공하는 한편, 이동 가능한 경량의 반응조 구획수단을 제공하므로써, 기존의 횡축형인 브러쉬형 표면포기기가 설치된 산화구 또는 입축형 표면포기기가 설치된 활성슬러지 포기조에 적용하여 소음과 진동이 적고 포말이 비산되지 않으며 가변용량의 반응조로 구성되어 운전관리가 탄력적인 다단계의 간헐포기공정으로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개조할 수 있게 되어 질소, 인 제거효율과 부하변동에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Periodic Aeration Equipments and Methods with using Surface Aerator}
본 고안은 하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기효율이 우수하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하수중의 질소와 인을 동시에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는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중의 오염물질은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으로 표시되는 유기물과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으로 대별된다. 종래 방식의 하수처리장에서는 유기물을 주된 처리대상으로 하였으며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의 상당부분은 제거되지 못하고 하천등의 수계로 방류되었다.
만일 하수중에 질소와 인이 포함된 채 방류되면 하천등의 수계에 부영양화 현상을 초래하고, 해양에서는 적조발생의 원인이 된다. 부영양화가 심해지면 악취가 나고 수질오염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식수와 용수로의 사용도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수계의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수처리장에서 영양염류인 질소화합물이나 인산염을 충분히 제거시켜야 한다.
하수처리장에서 사용되어온 질소 및 인의 제거공정은 산소를 공급하지 않는 혐기성반응조와 산소를 공급하는 호기성반응조를 분리 배치하는 구조이다. 각 반응조의 특성에 따라 호기성 반응조에서는 유기성질소 또는 암모니아성질소를 질산성질소로 전환시키고, 혐기성반응조에서는 질산성질소를 질소가스로 환원하여 대기중으로 방출시키는 탈질반응과 활성슬러지로부터 인의 방출을 유도한다.
이렇게 방출된 인성분은 다시 호기성 반응조에서 미생물에게 과잉섭취되며, 인을 과잉섭취한 미생물은 잉여활성슬러지를 통하여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질소와 인이 제거된 처리수를 얻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질소와 인의 제거공법은 다수의 혐기성조, 무산소조 및 호기성조 등이 별도로 분리되고 일정용량으로 고정설치되므로 유입수질 및 유입유량의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결여되었다. 또한, 탈질반응을 위하여 메탄올을 전자공여체로 주입하거나 하수중의 유기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질산화조의 물을 질산화조 앞 단계의 탈질반응조로 내부 순환시켜야 한다. 메탄올을 주입할 경우 약품비용이 크게 소요되며, 하수중의 유기물을 이용하기 위한 내부 순환유량은 처리유량의 약 3∼4배가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반응조에서 혐기성 및 호기성 조건을 반복하기 위해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간헐포기방법이 사용될수 있다. 간헐포기방법이란 동일한 반응조에서 시간간격을 두고 산소가 공급되는 호기성상태와 산소를 공급하지 않는 혐기성 상태를 반복시키는데, 동일한 반응조에서 이러한 혐기/호기 상태를 반복하기 위하여 포기조에 공기를 공급하다가 중지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간헐포기방법을 적용하면 종래의 처리공정에 비해 포기효율이 우수하므로 동력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혐기성조와 호기성조등 반응조의 용량이 고정된 종래의 공법과 달리 간헐포기시간을 조정함으로써, 종래 공법에서의 반응조용량을 변경시킨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유입수의 조건이 변하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간헐포기방법은 위와 같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뚜렷한 장치와 방법이 개발되지 못하였으나, 출원인이 고안하여 특허등록한 특허 제171932호 “탈취, 소포, 간헐폭기 및 내부순환기능이 구비된 하폐수처리장치 및 하폐수처리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로 탈취, 소포, 간헐포기, 내부순환이 가능하며, 소음, 진동, 포말의 비산이 없는 정숙운전이 가능한 간헐포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한편, 기존의 송풍기에 의한 포기장치도 단기간에 경제적으로 간헐포기장치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활성슬러지 포기조에 많이 설치되는 입축형 표면포기기 또는 종래의 순환수로형 반응조인 산화구에서 사용되는 횡축형의 Brush Areator와 같은 표면포기기들을 이용하여 간헐포기공정을 도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바, 믹서를 추가로 설치하거나, 또는 표면포기기를 철거하고 별도의 간헐포기장치를 설치하여야 되므로 비용과 공사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표면포기기는 포말이 대기중으로 비산되어 비위생적이고 불쾌감을 유발하며,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고, 수온이 낮아져서 처리효율이 저하되며, 반응조 상부의 중앙에 교반력이 집중되므로 반응조의 하부 모서리 부분등에 사수구역이 형성되어 슬러지가 퇴적되고, 반응조를 복개하여 지하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종래의 표면포기기도 산소전달효율이 다른 포기장치에 비하여 우수하므로 동력이 절감되고, 송풍기와 달리 별도의 기계실과 복잡한 배관등이 생략되는 장점이 있으며, 주로 산화구에 적용되는 횡축형의 표면포기기는 순환수류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따라서 동력효율이 우수한 표면포기기의 장점을 살리고 특히, 가동중인 하폐수처리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표면포기기를 단기간에 작은 비용으로 개조하여 고도하수처리공정을 도입할 수 있도록 간헐포기장치로 개선하는 장치와 방법을 개발하는 것은 경제적 실익과 함께 수질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중요한 과제이다.
또한 유기물제거를 위주로 하는 종래의 활성슬러지 포기조는 계열당 1조의 반응조로 구성되는 연속흐름식 완전혼합형 반응기(CFSTR)형태가 주류를 이루므로 A20계열 또는 다단계의 간헐포기공정등과 같은 고도처리공정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반응기 내부에 칸막이를 축조하여야 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벽체와 벽돌조 벽체를 축조하기 위해서는 포기조의 가동을 중지하고 내부의 반응액을 모두 비워야 되며, 축조기간과 양생기간이 길게 소요되므로 공사기간이 장기간 소요될 뿐아니라, 벽체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반응조의 용량이 고정되고 이에 따라 탄력적인 운전이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활성슬러지 공정등을 질소, 인 제거효율이 우수한 다단의 간헐포기공정, A2O공정 또는 기타의 고도처리공정으로 개조하기 위해서는 기존 포기장치를 간헐포기장치 또는 교반장치로 단기간에 용이하게 개조하는 것이 필요할 뿐만아니라, 반응조를 단기간에 분할할 수 있고 이설도 가능한 구획수단의 개발도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너지소요가 작은 종래 방식의 표면포기기를 이용하여 소음과 진동이 작고, 포말이 비산되지 않아 위생적이며, 질소와 인의 제거효율이 우수한 간헐포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활성슬러지 반응조의 수면에 설치되는 종래의 표면포기기에 케이싱을 설치하되, 회전차와 그 주변의 수면이 대기의 공기로부터 차폐되도록 하고, 상기 케이싱에는 밸브 또는 게이트등의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포기교반과 비포기교반이 반복될 수 있는 간헐포기장치를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된 본 고안의 포기장치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반응조에서 유기물이 분해되고 질산화반응과 인의 과잉섭취반응이 이루어지는 호기성 상태로 운전되는 포기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상기 회전차와 회전차 주위의 수면이 대기중의 공기에 노출되고 회전차가 수면에서 회전함에 따라 물과 공기가 함께 교란 및 혼합되면서 반응조에 산소가 공급되는 포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반응조에서 탈질산화반응을 위한 무산소상태 또는 인방출반응이 이루어지는 혐기성상태로 운전되는 비포기교반단계에서는 상기 개폐수단을 폐쇄하여 상기 회전차와 회전차 주변의 수면이 대기로부터 차폐되고 따라서 회전차가 케이싱 내부의 수면에서 회전하여도 밀폐된 케이싱 내부에 잔존하는 소량의 산소만을 반응조에 용존시키게 되고 반응조에는 더 이상의 산소가 외부로부터 공급되지 않고 혼합만이 이루어지는 비포기 교반상태로 가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수단을 개방 또는 밀폐하는 과정을 반복하므로써 포기와 비포기교반을 반복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간헐포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간헐포기장치가 호기성조건으로 가동될 때에 농축조 또는 탈수기실 등의 악취발생원으로부터 배기되는 악취함유공기를 상기 케이싱 내부로 송기하므로써 악취원인 물질이 반응조에서 증식하는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제거되는 탈취기능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 교반수류가 도달하지 못하는 사수구역이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싱에 교반수류를 유도하는 안내익을 설치하거나, 또는 상기 표면포기기의 회전차 하부의 회전축을 연장하고 그 끝부분에 수중에 완전히 침적되는 교반전용의 임펠러를 추가로 설치하므로써 반응조의 바닥과 모서리부분에까지도 수류가 도달되고 교반이 잘 이루어지도록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밸브 또는 게이트와 같은 개폐수단을 생략하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포기장치거치대 사이에 액튜에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케이싱 자체를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로 할 수 있는데, 케이싱의 하단이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케이싱 자체를 인양하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포기가 이루어지고, 케이싱의 하단을 수면에 침적시키면 외부공기가 차단되고 비포기교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미생물의 부유증식이 이루어지는 반응조에 생물막담체를 충전하게 되면 부유증식과 부착증식이 병행되는 복합증식이 이루어지므로 부하변동에 대응능력이 개선되고, 활성이 큰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미생물을 높은 농도로 배양할 수 있고, 증식속도가 낮아 세정되기 쉬운 질화균을 유지할 수 있어 질소제거효율과 처리수질이 개선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그러나 회전차가 회전하면서 포기와 교반이 이루어지는 표면포기기가 설치된 반응조에 고정상담체를 충전하게 되면 고정상담체가 수류의 순환을 차단하게 되므로 교반력이 미치지 못하고 슬러지가 퇴적되는 사수구역이 확대된다. 유동상의 생물막담체를 충전하게 되면 교반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상기한 복합증식의 장점도 최대한 발휘될 수 있으나 회전차와 유동상담체가 충돌되어 담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회전차의 하부에 스크린, 다공판등의 망체를 설치하므로써 유동상담체의 충돌문제가 해소되고 이에 따라 활성이 높은 미생물을 선택적으로 고농도로 배양하고 세정되기 쉬운 질화균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고도처리를 위한 수리학적 체류시간이 부족되는 기존 활성슬러지 포기조의 용량부족 문제를 포기조에 담체를 충전하므로써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간헐포기장치는 종래의 일반 활성슬러지 반응조에 설치되는 입축형 표면포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 산화구에 주로 설치되는 횡축형 표면포기기인 Brush Aerator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유기물제거를 위주로 하는 활성슬러지 포기조를 다단계의 간헐포기공정으로 개조하기 위하여 칸막이를 설치함에 있어서, 종래 방식의 콘크리트구조와 벽돌조 벽체를 축조함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고정부와 롤러 및 쟈키가 구비된 합성수지판재, 금속판재 또는 유리섬유보강수지(FRP)판재로 구성된 경량벽체를 이용하여 포기조를 분할하는 구획수단으로 이용하므로써, 축조기간과 양생기간등의 공사기간이 단축되고, 경량이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바닥슬라브의 침하우려가 없으며, 공장에서 제작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반응조의 가동을 중지하거나 반응액을 모두 비워야 하는 어려움이 해소됨은 물론, 내부의 벽체를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반응조의 용량이 가변적이고 따라서 운전관리가 보다 탄력적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간헐포기장치 제1실시예의 개념적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간헐포기장치 제2실시예의 개념적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간헐포기장치 제3실시예의 개념적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반응조 구획수단의 개념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 회전차 2 : 모터
3 : 감속기 4 : 회전축
5 : 케이싱 6 : 공기공급관
7 : 공기공급밸브 7a : 공기조절밸브
8 : 안내익 9 : 망체
10 : 포기장치거치대 11 : 게이트
12 : 액튜에이터 13 : 경량벽체
14 : 롤러 15 : 쟈키
16 : 고정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간헐포기장치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하폐수처리시설의 반응조 수면에 설치되고 모터(2)와 감속기(3)에 의해 구동되는 입축형 표면포기기의 회전차(1) 및 회전차와 접하는 수면이 대기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케이싱(5)이 상기 표면포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에는 공기공급밸브(7)와 공기조절밸브(7a)등의 개폐수단이 구비된 공기공급관(6) 또는 게이트등의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간헐포기장치를 구성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차 주변에 전용의 케이싱이 구비되는 장치는 포기장치 거치대(10)에 설치되는 표면포기기에 적용이 용이할 뿐아니라, 거치대가 생략되는 부유식의 표면포기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개폐수단의 설치를 생략하고, 상기 케이싱의 하단이 반응조의 수면을 기준으로 하여 인양과 침적이 반복될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간헐포기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에는 반응조의 하부까지도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내익(8)을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표면포기기의 회전축(4)을 상기 회전차의 아래까지 연장하고, 연장된 회전축의 끝부분에는 교반용 임펠러[도면미표기]를 반응액에 완전히 잠기도록 추가 설치하므로써 포기 및 교반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케이싱은 합성수지나 금속류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내부식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투명아크릴등과 같이 케이싱 내부의 회전차 가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재질이 유리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기공급관이 구비되는 장치에서는 상기 반응조가 호기성조건일때에 상기 공기공급관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악취함유공기를 송기하므로써 생물학적 탈취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반응조에 유동상 생물막담체[도면미표기]를 충전하여 복합증식형태로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차의 하부에는 격자, 스크린, 다공판등으로 구성된 망체(9)를 설치하여 유동상담체와 회전차의 충돌을 방지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간헐포기장치의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표면포기기의 회전차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개폐수단을 개방하여 상기 반응조의 수면이 대기중의 공기와 접촉되도록 하므로써 반응조가 포기되어 호기성조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포기교반 단계; 상기 개폐수단을 밀폐하여 상기 케이싱 내부의 수면이 외부공기와 차단되도록 하므로써 반응조는 비포기교반되어 무산소조건 또는 혐기성조건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비포기교반 단계에 의하여 간헐포기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의 작동은 Timer, 반응조에 설치된 용존산손감지기(DO Sensor)또는 산화환원전위감지기(ORP Sensor)에 연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공기공급밸브는 주로 자동밸브로 구성되어 개폐(ON-OFF)작동되고, 상기 공기조절밸브(7a)는 수동으로 비례 제어함으로써 송기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공기공급관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저압의 송풍기로 공기를 급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간헐포기장치 제2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하폐수처리시설의 반응조 수면에 설치되고 모터(2)와 감속기(3)에 의해 구동되는 입축형 표면포기기의 회전차(1) 및 회전차와 접하는 수면이 대기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케이싱(5)이 상기 표면포기기의 거치대(10)를 지지대로 하여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일부 개방된 부위에는 브릿지에 현가된 액튜에이터(12)에 의해 작동되는 스윙형의 게이트(11)에 의한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부는 슬라브로 밀폐된 포기장치 거치대를 지지대로 하여 사면을 판재등으로 밀폐하고 일부를 스윙형 또는 상하이동형의 게이트로 개방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게이트가 개방되는 호기성 상태에서는 내부의 회전차가 외기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호기성조건에서 악취함유공기를 탈취하기는 어려운 구조이나 케이싱의 제작과 설치가 용이하다.
상기 액튜에이터도 Timer, 용존산소감지기 또는 산화환원전위감지기와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싱과 게이트는 교반수류가 밖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수면 아래 부분이 외부로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는 거치대가 생략되는 부상형 표면포기기보다 거치대에 고정되는 고정식 표면포기기에의 적용이 용이하고 여타의 구성과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간헐포기장치 제3실시예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순환수로형 반응조에 의한 하폐수처리시설의 반응조 수면에 설치되는 횡축형 표면포기기 즉, 종래의 산화구에 설치된 Brush Areator의 회전차(1a)와 접하는 수면이 대기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케이싱(5)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싱의 개구된 부분에는 액튜에이터(12)에 의해 작동되는 게이트(11) 형태의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싱을 산화구의 수면을 따라 완만하게 경사지도록 연장하므로써 수면의 빠른 유속을 완화하고 하부 바닥부분의 유속을 증속시키게 되므로, 종래 산화구에서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급격하게 유속이 저하되는 현상을 완화시켜서 속도경사를 완만히 하는 안내익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공기공급관과 공기공급밸브에 의한 개폐수단을 적용할 수 있으며, 공기공급관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공기공급관이 외부대기와 연통되도록 하고 반응조를 밀폐하여 지하복개도 가능하며, 여타의 구성과 작용은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반응조 구획수단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종래의 완전혼합형 포기조를 분할하여 고도처리공정을 도입할수 있는 반응조의 구획수단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판재, 금속판재등으로 구성된 경량벽체(13)의 상부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롤러(14)와 쟈키(15)가 구성되고, 그 하부에는 반응조의 바닥과 밀착되어 상기 경량벽체를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16)가 구비된 것이다. 상기 쟈키와 롤러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쟈키는 상기 경량벽체가 수평방향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경량벽체와 고정부를 반응조의 바닥에서 분리하는 보조수단에 해당된다.
상기 반응조 구획수단의 이동방법은 상기 쟈키에 의해 상기 경량벽체를 인양하여 하부의 고정부를 반응조의 바닥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롤러의 잠금장치 즉, 굴름방지장치를 해제하여 롤러를 굴려서 경량벽체를 이동시키는 이설 단계; 상기 롤러의 잠금장치를 잠그고, 상기 쟈키로 상기 경량벽체를 하강시켜서 고정부가 반응조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경량벽체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로 구성되며 반응조의 용량을 쉽게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는 바닥과 접하는 면적이 넓고 거칠게 하거나 또는 고무판등을 부착하여 바닥과 미끄러지지 않고 자중에 의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는 반응조를 구성하는 옹벽의 상단에 설치하거나 또는 반응조상부의 관리용 통로인 켄틸레버슬라브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수단의 자중만으로는 상기 경량벽체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경량벽체의 상부를 클립으로 반응조를 구성하는 토목구조물 벽체의 상단과 고정시키거나, 또는 반응조 상부 슬라브의 아래면과 경량벽체를 쟈키로 고정시키는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를 종래의 표면포기기가 설치되는 활성슬러지 포기조와 산화구에 적용하게 되면, 종래 표면포기기의 제문제점 즉, 포말이 대기중으로 비산되어 비위생적이고, 소음과 진동이 발생되며, 수온이 낮아져서 처리효율이 저하되고, 교반력이 장치의 주변에 집중되어 하부에는 사수구역이 형성되며, 지하복개가 어려운 문제점들이 해소될뿐 아니라, 산소전달효율이 우수하고 기계실과 복잡한 배관등이 생략되는 종래의 표면포기기의 장점은 유지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처리장을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질소, 인 제거효율이 우수한 간헐포기장치 및 방법에 의한 고도처리공정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유동상의 생물막담체를 적용하여 기존 반응조의 용량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복합증식의 장점과 생물학적 탈취기능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반응조 구획수단에 의하면 종래의 완전혼합형 반응조를 다수개의 용량 가변형 반응조로 쉽게 나눌수 있게 되어 다단계의 간헐포기공정의 도입은 물론 A2O공정등으로도 용이하게 개조할 수 있다.

Claims (7)

  1. 하폐수처리시설의 반응조 수면에 설치되는 표면포기기의 회전차 및 회전차와 접하는 수면이 대기로부터 차폐되도록 하는 케이싱이 상기 표면포기기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에는 밸브 또는 게이트등의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의 포기 및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내익이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포기장치의 회전차 하부에 회전축을 연장하고 상기 회전축의 끝부분에는 교반용 임펠러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악취함유공기를 송기하여 생물학적 탈취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에는 유동상 생물막담체를 충전하고, 상기 회전차와 상기 생물막담체가 충돌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차의 하부에는 격자, 스크린, 다공판등으로 구성된 망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의 설치를 생략하고, 상기 케이싱의 하단이 수면위로 노출되고 수면아래에 잠기도록 케이싱 자체가 인양과 침적이 반복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상부에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롤러와 쟈키가 구성되고, 하부에는 고정부가 구성된 경량의 벽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경량의 벽체로써 반응조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KR2020010013647U 2001-05-10 2001-05-10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 KR200254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47U KR200254990Y1 (ko) 2001-05-10 2001-05-10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647U KR200254990Y1 (ko) 2001-05-10 2001-05-10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513A Division KR100438151B1 (ko) 2001-05-10 2001-05-10 하폐수처리장치 반응조의 용량가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990Y1 true KR200254990Y1 (ko) 2001-12-01

Family

ID=7310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647U KR200254990Y1 (ko) 2001-05-10 2001-05-10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99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46B1 (ko) * 2009-02-22 2009-07-10 덕 용 김 분리형 임펠러
KR101276778B1 (ko) * 2011-03-17 2013-06-20 주식회사 부강테크 2단의 포집판을 구비한 순산소 포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246B1 (ko) * 2009-02-22 2009-07-10 덕 용 김 분리형 임펠러
KR101276778B1 (ko) * 2011-03-17 2013-06-20 주식회사 부강테크 2단의 포집판을 구비한 순산소 포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2762B2 (en) Process for treating BOD-containing wastewater
CN103991959B (zh) 一种污水生物反应系统以及升级扩容方法
Morgenroth et al. Sequencing batch reactor technology: concepts, design and experiences (Abridged)
EP3209614B1 (en) Water treatment reactor
CN102659282A (zh) 一种固定化微生物 cass 同步脱氮除磷污水处理装置
CN107879472A (zh) 一种污水处理装置及方法
CN106927638A (zh) 一种多级导流式mbbr污水处理系统及处理方法
Ibrahim et al. Improvements in biofilm processes for wastewater treatment
CN103172176A (zh) 一种固定化微生物折流式填充床处理化工废水工艺及设备
KR20020085950A (ko)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 및 방법
KR200254990Y1 (ko) 표면포기기를 이용한 간헐포기장치
CN203319769U (zh) 固定化微生物折流式填充床处理化工废水的一体化设备
KR100437923B1 (ko) 회분식 하폐수처리장치
CN113896322A (zh) 一种基于mbbr工艺的稀土尾水反硝化脱氮的装置及方法
Sørensen et al. Biofilm reactors
CN203904071U (zh) 一种污水生物反应系统
CN210163288U (zh) 污水处理装置、包含其的系统
CN208716947U (zh) 好氧生物膜污水反应器
KR101898183B1 (ko) 복합담체와 분사수류장치를 구비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질소 제거 방법
CN205133247U (zh) 污水处理池
KR100205452B1 (ko) 하폐수처리장의 간헐폭기방법 및 장치
JPH07185589A (ja) 窒素除去用排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210825843U (zh) 一种废水处理系统
KR100274538B1 (ko) 질소· 인제거를 위한 유동상 생물막담체 및 하폐수처리방법
CN216191758U (zh) 一种基于mbbr工艺的稀土尾水反硝化脱氮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