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483Y1 -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483Y1
KR200254483Y1 KR2020010024196U KR20010024196U KR200254483Y1 KR 200254483 Y1 KR200254483 Y1 KR 200254483Y1 KR 2020010024196 U KR2020010024196 U KR 2020010024196U KR 20010024196 U KR20010024196 U KR 20010024196U KR 200254483 Y1 KR200254483 Y1 KR 200254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sludge
pipe
treatment tank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산업
Priority to KR2020010024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483Y1/ko

Links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러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없이 자연현상을 이용하여 처리조의 여과실 역세척과 함께 퇴적된 슬러지를 자동으로 분리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절감과 함께 장치의 수명 연장 및 처리효율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로인해 역세척 및 슬러지의 분리 회수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원수유입관(11A) 및 정수유출관(17)을 갖는 처리조(1) 내부의 분리격판(12) 상.하부측에 정수실(13) 및 여과실(14)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실(14)의 외측으로 정수통로(16)가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1)의 상부측에, 중간의 원수월류 칸막이(11B)에 의해 이의 양측으로 원수유입 저수부(11C) 및 원수배출 저수부(11D)가 형성된 원수유입조(11)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실(14) 중앙부에 일측이 위치되고 타측은 처리조(1) 외부의 수봉조(31A)에 위치하는 싸이펀관(31)과, 일측 입구는 원수월류 칸막이(11B)보다 높게 원수유입 저수부(11C)에 위치되고 벤튜리부(32A)를 갖는 타측 출구는 처리조(1) 외부에 위치하는 역세척조작관(32)과, 상기 싸이펀관(31)과 벤튜리부(32A)을 연통시키는 진공흡입관(33)으로 구성된 역세척부(3)가 구비됨으로써 운용 및 전력소비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는 물론 장치의 수명 연장 및 처리효율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이로인해 역세척 및 슬러지의 분리 회수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Automatic filtering apparatus of sludge separating type}
본 고안은 슬러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없이 자연현상을 이용하여 처리조의 여과실 역세척과 함께 퇴적된 슬러지를 자동으로 분리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절감과 함께 장치의 수명 연장 및 처리효율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로인해 역세척 및 슬러지의 분리 회수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여과장치는 처리조 내부에 자갈 및 모래층을 형성하여 슬러지가 포함된 원수가 상기 자갈 및 모래층을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종래의 슬러지 여과장치는 일측으로 원수유입관(101)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정수유출관(107)이 형성된 처리조(10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100) 내부에는 분리격판(102)에 의해서 상부측은 정수실(103)이 마련되고, 하부측에는 여과실(104)이 마련되며, 상기 여과실(104) 내의 하부측에는 자갈층(105A) 및 모래층(105B)이 적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갈층(105A)에 다수의 스트레이너(105C)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의 하부측에는 여과된 정수가 집수되는 집수실(10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여과실(104)의 양측에는 집수실(105)과 연통되는 정수통로(106)가 형성되어 상기 정수통로(106)에 의해 정수실(103) 측으로 여과된 정수가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08은, 드레인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러지 여과장치는 원수유입관(101)을 통해 처리조(100) 내의 여과실(104) 측으로 원수가 유입된다. 이 유입된 원수는 자갈층(105A) 및 모래층(105B)과 스트레이너(105)에 의해 여과되어 정수된 상태로 하부측 집수실(105)에 집수된다.
상기 집수실(105)에 집수된 정수는 정수통로(106)를 통해 처리조(100)의 상부측 정수실(103)에 저장되고, 수위가 상승하는 것에 의해서 정수실(103)의 정수는 정수유출관(107)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슬러지 여과장치는 장시간 사용시 처리조 내부에 슬러지가 퇴적되는 것과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장치의 여과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역세척 작업 및 슬러지 처리작업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함은 물론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동력없이 자연현상을 이용하여 처리조의 여과실 역세척과 함께 퇴적된 슬러지를 자동으로 분리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용절감과 함께 장치의 수명 연장 및 처리효율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로인해 역세척 및 슬러지의 분리 회수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고안의 목적은 슬러지의 회수효율을 향상시켜 슬러지 분리의 신속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고안의 목적은 싸이펀관의 입구를 통한 슬러지의 유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시 슬러지의 회수효율 및 슬러지 분리의 신속성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고안의 목적은 벤튜리부를 통한 진공흡입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의 용이성 및 비용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원수유입관 및 정수유출관을 갖는 처리조 내부의 분리격판 상.하부측에 정수실 및 여과실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실의 외측으로 정수통로가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상부측에, 중간의 원수월류 칸막이에 의해 이의 양측으로 원수유입 저수부 및 원수배출 저수부가 형성된 원수유입조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실 중앙부에 일측이 위치되고 타측은 처리조 외부의 수봉조에 위치하는 싸이펀관과, 일측 입구는 원수월류 칸막이보다 높게 원수유입 저수부에 위치되고 벤튜리부를 갖는 타측 출구는 처리조 외부에 위치하는 역세척조작관과, 상기 싸이펀관과 벤튜리부을 연통시키는 진공흡입관으로 구성된 역세척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처리조는, 원수배출 저수부에 입구가 위치되게 원수여과실 유입관이 입설되고, 이의 하부측은 여과실 내의 외곽에 각각 동일 회전방향으로 출구가 형성된 원수분리관이 연통되게 일체로 분기 형성된 슬러지 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세척부는, 상협하광식의 하단부 가이드에 의해 싸이펀관의 입구 측으로 슬러지를 안내하는 슬러지 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세척부는, 벤튜리부와 진공흡입관 사이에 구비된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크밸브는, 하우징의 일측부에 벤튜리부의 측방향으로 연통 형성된 벤튜리 유입관이 연결되고, 하우징의 타측부에는 진공흡입관이 연결되며, 상기 진공흡입관의 출구는 하우징 내부의 댐퍼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A-A선 단면도.
도 3a,도 3b는 본 고안의 벤튜리부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역세척 작동상태의 단면도.
도 3a는 작동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슬러지 여과장치를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처리조
11:원수유입조 11A:원수유입관
11B:원수월류 칸막이 11C:원수유입 저수부
11D:원수배출 저수부 12:분리격판
13:정수실 14:여과실
15:집수실 15A:자갈층
15B:모래층 15C:스트레이너
16:정수통로 17:정수유출관
2:슬러지집속부
21:원수여과실 유입관 22,22A:원수분리관
3:역세척부
31:싸이펀관 31A:수봉조
31B:슬러지 흡입관 31C:가이드
32:역세척조작관 32A:벤튜리부
33:진공흡입관 34:슬러지 집수조
34A:퇴수관
4:체크밸브
41:하우징 42:경사단면
43:댐퍼 44:벤튜리 유입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 처리조(1)는 통상에서와 같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원수유입관(11A) 및 정수유출관(17)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분리격판(12)에 의해 상.하로 정수실(13)과 여과실(14)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여과실(14)의 하부측에는 자갈층(15A)과 모래층(15B)이 적층 형성되고, 상기 자갈층(15A)에는 다수의 스트레이너(15C)가 구비되며, 여과실(14)의 외측으로는 정수통로(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처리조(1)의 하부 일측에는 드레인관(18)이 형성된다.
이러한 통상의 처리조(1)에 있어, 본 고안은 처리조(1)의 상부측에 원수유입조(11)가 형성되고, 처리조(1)의 외부에는 싸이펀 원리에 따라 역세척과 함께 여과실(14) 내의 슬러지를 분리 회수하는 역세척부(3)가 구비되며, 처리조(1) 내부에는 상기 역세척부(3)의 입구 측으로 슬러지가 집결될 수 있도록 하는 슬러지 집속부(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원수유입조(11)는, 처리조(1)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처리조(1)의 원수유입관(11A)가 형성되며, 내부는 중간에 입설된 원수월류칸막이(11B)에 의해 이의 양측으로 원수유입 저수부(11C)와 원수배출 저수부(11D)가 마련되는데, 이때 상기 원수유입 저수부(11C)는 원수유입관(11A) 측에 마련된다.
상기 역세척부(3)는, 여과실(14)의 중앙부에 일측이 수직방향으로 입설되고 타측은 처리조(1) 외부에 마련된 슬러지 집수조(34) 내의 수봉조(31A)에 위치된 싸이펀관(3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싸이펀관(31)과 함께 역세척조작관(32) 및 진공흡입관(33)이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역세척조작관(32)의 입구는 원수유입조(11) 내의 원수유입 저수부(11C)에 수직으로 입설되고, 출구는 슬러지 집수조(34) 측에 위치된다. 이때 역세척조작관(32)의 입구는 원수유입조(11)의 원수월류 칸막이(11B)보다 높게 위치되고, 출구 측에는 벤튜리부(3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싸이펀관(31)과 역세척조작관(32) 사이는 진공흡입관(33)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진공흡입관(33)의 일측부는 역세척조작관(32)의 벤튜리부(32A)에 연결되고, 상기 벤튜리부(32A)와 진공흡입관(33) 사이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4)가 형성된다.
이와함께 여과실(14) 내의 슬러지를 상기 여과실(14)의 중앙부에 위치한 싸이펀관(31)의 입구 측으로 집결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슬러지 집속부(2)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슬러지 집속부(2)는 원수유입조(11)의 원수배출 저수부(11D)를 수직 관통하는 식으로 원수여과실 유입관(21)이 입설되고, 상기 원수여과실 유입관(21)의 하부측은 원수분리관(22)(22A)에 의해 분기되어 각각 여과실(14) 내부의 외곽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수분리관(22)(22A)의 출구는 동일 회전방향으로 내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싸이펀관(31)의 입구에는 하단에 상협하광식의 가이드(31C)를 갖는 슬러지 흡입관(31B)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31C)에 의해 여과실(14)의 중앙부에 집결된 슬러지가 싸이펀관(31) 및 슬러지 흡입관(31B)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8은, 여과실 드레인관이고, 34A는 퇴수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여과 과정과 역세척 과정으로 나누어 원수처리가 이루어진다.
여과 과정은, 먼저 원수유입관(11A)을 통해 원수유입조(11) 내부로 원수가 유입된다. 이 유입된 원수는 원수유입조(11)의 원수유입 저수부(11C)에 우선 저장되고, 만수되면 원수월류 칸막이(11B)를 넘어 원수배출 저수부(11D) 측으로 오버플로우 된다.
원수배출 저수부(11D)로 유입된 원수는 다시 원수여과실 유입관(21)과 원수분리관(22)(22A)에 의해 여과실(14) 내부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원수는 자갈층(15A)과 모래층(15B), 스트레이너(15C)를 거치는 동안 정화되어 집수실(15)에 모이게 되며, 상기 집수실(15)의 정수는 정수통로(16)를 통해 정수실(13)에 저장되면서 처리조(1)의 정수유출관(17)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일련의 여과 과정이 완료된다.
역세척 과정은, 처리조(1) 내의 정수실(13)이 만수위 상태가 되어 원수여과실 유입관(21)을 통한 원수 유입속도가 저하되면, 원수유입조(11)의 전체적인 수위가 상승되면서 역세척조작관(32)의 입구를 통해 원수가 유입된다.
이에 따라 진공흡입관(33) 내부는 역세척조작관(32) 내의 원수가 벤튜리부(32A)를 통과하면서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의 진공 흡입력에 의해 슬러지 집속부(2)에 의해 여과실(14)의 중앙에 집결된 슬러지를 강제로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슬러지는 가이드(31C)에 의해 안내되어 싸이펀관(31)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싸이펀관(31)의 출구를 통해 슬러지 집수조(34)에 배출됨으로써 역세척과 동시에 슬러지의 분리 회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집속부(2)의 각 원수분리관(22)(22A)은 처리조(1)의 중앙부 슬러지 흡입관(31B)을 중심으로 이의 외곽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수분리관(22)(22A)의 각 출구는 동일 회전방향으로 내향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처리조(1) 내부의 원수는 와류를 일으켜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흡입관(31B) 측으로 집결시키게 되고, 이 집결된 슬러지는 가이드(31C)의 안내를 받고 슬러지 흡입관(31B)을 통해 싸이펀관(미도시됨)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벤튜리부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작동전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튜리부(32A)는 통상에서와 같이 직관의 도중 유로를 좁혀 그 대경부와 소경부의 압력차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소경부의 일측으로는 진공흡입관(33)과 연통되는 벤튜리 유입관(4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벤튜리 유입관(44)과 진공흡입관(33) 사이에는 역류방지를 위한 체크밸브(4)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체크밸브(4)는 일측이 벤튜리 유입관(44)과 연통되는 하우징(4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41)의 타측부는 진공흡입관(33)이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41) 내부에는 진공흡입관(33)의 출구를 개폐시키는 댐퍼(43)가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댐퍼(43)에 의한 진공흡입관(33)의 개폐가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진공흡입관(33)의 단부측은 경사단면(42)으로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벤튜리부(32A)는 대경부에서 소경부 측으로 원수가 통과하게 되면, 이의 압력차로 벤튜리부(32A) 측으로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의 흡입력에 의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43)가 열리면서 그 흡입력이 진공흡입관(33)을 통해 싸이펀관(미도시됨)에 작용하게 된다.(도 1 참조.)
그리고 흡입력이 해제되면 상기 댐퍼(43)는 자중에 의해서 닫히면서 진공흡입관(33)의 출구를 폐쇄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진공흡입관(33)을 통한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동력없이 자연현상을 이용하여 처리조의 여과실 역세척과 함께 퇴적된 슬러지를 자동으로 분리 회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용 및 전력소비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는 물론 장치의 수명 연장 및 처리효율의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이로인해 역세척 및 슬러지의 분리 회수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슬러지 집속부에 의해 싸이펀관의 입구측으로 슬러지를 집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러지 회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또한 이로인해 슬러지 분리의 신속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싸이펀관의 입구측에 형성된 상협하광식의 가이드에 의해 흡입에 의한 슬러지의 유입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슬러지 유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이역시 슬러지 회수의 효율성 및 슬러지 분리의 신속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벤튜리부를 통한 진공흡입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싸이펀 원리에 의한 작동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댐퍼의 단순동작에 의해서 상기 진공흡입관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의 단순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이로인해 제작의 용이성 및 비용절감 효과를 가져오는 이점도 있다.

Claims (5)

  1. 원수유입관(11A) 및 정수유출관(17)을 갖는 처리조(1) 내부의 분리격판(12) 상.하부측에 정수실(13) 및 여과실(14)이 형성되고, 상기 여과실(14)의 외측으로 정수통로(16)가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1)의 상부측에, 중간의 원수월류 칸막이(11B)에 의해 이의 양측으로 원수유입 저수부(11C) 및 원수배출 저수부(11D)가 형성된 원수유입조(11)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실(14) 중앙부에 일측이 위치되고 타측은 처리조(1) 외부의 수봉조(31A)에 위치하는 싸이펀관(31)과, 일측 입구는 원수월류 칸막이(11B)보다 높게 원수유입 저수부(11C)에 위치되고 벤튜리부(32A)를 갖는 타측 출구는 처리조(1) 외부에 위치하는 역세척조작관(32)과,
    상기 싸이펀관(31)과 벤튜리부(32A)을 연통시키는 진공흡입관(33)으로 구성된 역세척부(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1)는,
    원수배출 저수부(11D)에 입구가 위치되게 원수여과실 유입관(21)이 입설되고, 이의 하부측은 여과실(14) 내의 외곽에 각각 동일 회전방향으로 출구가 형성된 원수분리관(22)(22A)이 연통되게 일체로 분기 형성된 슬러지 집속부(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부(3)는,
    상협하광식의 하단부 가이드(31C)에 의해 싸이펀관(31)의 입구 측으로 슬러지를 안내하는 슬러지 흡입관(31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부(3)는,
    벤튜리부(32A)와 진공흡입관(33) 사이에 구비된 체크밸브(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4)는,
    하우징(41)의 일측부에 벤튜리부(32A)의 측방향으로 연통 형성된 벤튜리 유입관(44)이 연결되고, 하우징(41)의 타측부에는 진공흡입관(33)이 연결되며, 상기 진공흡입관(33)의 출구는 하우징(41) 내부의 댐퍼(4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KR2020010024196U 2001-08-09 2001-08-09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KR200254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196U KR200254483Y1 (ko) 2001-08-09 2001-08-09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196U KR200254483Y1 (ko) 2001-08-09 2001-08-09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483Y1 true KR200254483Y1 (ko) 2001-11-26

Family

ID=7306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196U KR200254483Y1 (ko) 2001-08-09 2001-08-09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48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79B1 (ko) * 2011-05-12 2012-01-05 주식회사 한성산업 침적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여과장치
KR102251382B1 (ko) 2020-12-29 2021-05-12 (주)한성산업 침적 슬러지 제거기능을 갖는 자동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79B1 (ko) * 2011-05-12 2012-01-05 주식회사 한성산업 침적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여과장치
KR102251382B1 (ko) 2020-12-29 2021-05-12 (주)한성산업 침적 슬러지 제거기능을 갖는 자동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16438B (zh) 一体化连续流含油污水处理装置
KR101102979B1 (ko) 침적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여과장치
US7718056B2 (en) Separator for removing impurities, especially smaller particles from rain water
KR200254483Y1 (ko) 슬러지 분리형 자동 여과장치
CN105964051A (zh) 一种一体化净水器
CN209848385U (zh) 一种油水分离过滤机构
CN206069538U (zh) 一种水循环净水处理装置
CN213569626U (zh) 一种含油废水油水分离系统
CN109499144A (zh) 一种去除污水中杂质的装置
CN112177132B (zh) 一种基于城市生态系统道路的智能截污排水装置及方法
CN212680207U (zh) 一种过滤器及其过滤系统
CN210543779U (zh) 一种水力分离器
CN209464686U (zh) 一种去除污水中杂质的装置
CN105565432A (zh) 一种用于油田采出水的辐流、竖流复合式多相态分离装置
JP2003190713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CN220405074U (zh) 一种带防堵塞结构的污水处理装置
CN205472778U (zh) 一种用于油田采出水的辐流、竖流复合式多相态分离装置
CN102899074B (zh) 集成式页岩油分离系统
CN218307250U (zh) 一种便于清洗的超滤装置
CN213358876U (zh) 一种截污式环保雨水渗透井
CN2682071Y (zh) 新型灰水分离装置
JP3364301B2 (ja) ろ過脱塩装置
CN212102467U (zh) 一种污水过滤装置
CN214611838U (zh) 建筑工地污水回收再利用初级处理系统
CN211816753U (zh) 一种海绵城市储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