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332Y1 - a rivers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 - Google Patents

a rivers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332Y1
KR200253332Y1 KR2020010022936U KR20010022936U KR200253332Y1 KR 200253332 Y1 KR200253332 Y1 KR 200253332Y1 KR 2020010022936 U KR2020010022936 U KR 2020010022936U KR 20010022936 U KR20010022936 U KR 20010022936U KR 200253332 Y1 KR200253332 Y1 KR 200253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ravel
layer
river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93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원영
Original Assignee
최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영 filed Critical 최원영
Priority to KR2020010022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332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332Y1/en

Links

Landscapes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고안은 하천이나 수로 및 저수지 등에서 오염된 물을 정화하기 위하여 하천이나 수로 바닥에 그레이팅을 묻은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이루어진 여과 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된 물을 이 여과시설에 수직으로 통과시켜서 수질을 정화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하천 바닥 수로 밑에 흐름 방향으로 길게 상부가 개방된 콘크리트 여과재 충진 구조물(11)을 만들되 상류 입구의 유입수로에는 조립식 차단 수문 설치대(18)를 만들어 수문(19)을 개폐할 수 있도록하고 하류부 벽체 (14a) 밑부분에는 다수의 집수 구멍(13)을 형성하며, 상기 하류부 벽체의 뒤에는 소정의 높이에 다수의 월류관(15)이 설치된 집수정(14)을 만들되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규모로 제작하는 한편, 상기 여과재 충진 구조물(11) 내부에는 최하부에 가장 큰 입경의 자갈층(25a)을 수평으로 충진하고 그 위에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입경이 작은 자갈층(25b)을 순차적으로 충진하되 상부에 적층된 입경이 작은 자갈은 하부에 적층된 자갈층의 공극 사이로 빠지지 않는 크기의 자갈을 사용한 자갈층(25)을 형성하고 최상부에는 0.3 ~ 1m 깊이의 모래층(21)을 형성한 다음 모래층(21) 상부에 물흐름 방향과 직각으로 위치되도록 간격을 짧게 만든 그레이팅 카바(22)를 묻어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인데 이것은 첫째, 하천이나 저류지 등에서 수질정화 시설 설치를 위한 별도의 부지가 필요없고, 둘째, 수위차 확보를 위한 펌프 시설 또는 보가 필요없으며, 셋째, 그레이팅 카바 사용과 다단계 수평 자갈 필터층을 도입함으로서 흐르는 물에서 모래를 여과재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래층의 표면 여과로 수질정화 효과가 크고, 토사에 의한 자갈층 매몰을 방지하며, 슬러지의 원할한 하부 배출로 자갈층 공극 폐쇄 가능성이 적어서 정화 시설의 사용 수명이 길어지고, 넷째, 제거 대상 발생 슬러지량이 적으며, 다섯째, 강우시 매몰의 염려가 없고 자동적으로 표면이 세척되는 등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으며, 여섯째, 특히 유량이 적어서 수질이 악화되는 갈수기에 그 효과가 크게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order to purify contaminated water in rivers, waterways, and reservoirs, this proposal installs a filtration facility consisting of a sand layer and a gravel layer with gratings on the bottom of the stream or waterway to purify the water quality by passing the contaminated water vertically through this filtration facility. Apparatus and method,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to make a concrete filter filling structure (11) having an open top in the flow direction under the stream bottom channel, the prefabricated blocking water gate mount 18 in the inlet of the upstream inlet to the water gate (19) A plurality of catching holes 13 ar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wall 14a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and behind the downstream wall, a catch 14 is installed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overflow pipes 15 at a predetermined height. It is manufactured on a scale that can be accessed by a person for management, while the inside of the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11 has the largest particle size at the bottom. Fill the gravel layer 25a horizontally and sequentially fill the gravel layer 25b having a smaller particle size as it goes up to the upper part, but the gravel having a small particle size stacked on the top is a gravel of a size that does not fall between the pores of the gravel layer stacked on the bottom. Form the used gravel layer 25 and form a sand layer 21 having a depth of 0.3 ~ 1m at the top and then buried the grating cover 22 made of a short interval so that the sand layer 21 is located at right angles to the water flow direction. It is a river water purification device by river filtration. Firs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ite for installing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in rivers or reservoirs, and secondly, there is no need for pump facilities or beams to secure water level difference, and third, use of grating cover The surface filtration of the sand layer is possible because sand can be used as a filter medium in the flowing water by introducing a multi-level horizontal gravel filter layer. High water purification effect, prevents burial of gravel layer by earth and sand, and smooth discharge of sludge has little possibility of closing gravel layer voids, resulting in long service life of purification facilities, and fourth, small amount of sludge generated for removal, and fifth, rainfall It is easy to maintain and can be selectively maintained only when necessary, such as there is no concern about burial, and the surface is automatically cleaned. Sixth, the effect is great in the dry season, especially when the water quali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low flow rate. .

Description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a rivers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River water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

본고안은 하천이나 수로 및 저수지 등에서 오염된 물을 정화하기 위하여 하천이나 수로 바닥에 그레이팅을 묻은 모래층과 자갈층으로 이루어진 여과 시설을 설치하여 오염된 물을 이 여과시설에 수직으로 통과시켜서 수질을 정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purify contaminated water in rivers, waterways, and reservoirs, this proposal installs a filtration facility consisting of a sand layer and a gravel layer with gratings on the bottom of the stream or waterway to purify the water quality by passing the contaminated water vertically through this filtration facility. Relates to a device.

현재 우리나라 하천은 미처리된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이 유입되어 오염이 계속되고 있으며 특히 유량이 줄어드는 갈수기에는 오염이 심화되는 실정이다.At present, Korean rivers continue to be polluted due to the inflow of untreated point and nonpoint pollutants, especially in the low water season, when the flow rate decreas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점오염물질의 처리를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확충은 물론 전체 오염 물질중 약30%에 해당하는 비점오염물질의 처리가 요구되고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required to expand the environmental base facilities for the treatment of point pollutants as well as to treat non-point pollutants corresponding to about 30% of the total pollutants.

그러나 환경기초시설의 건설과 운영에는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며 비점오염물질은 오염원에서 처리가 안되고 강우시 강우와 함께 수로를 통해 하천으로 유입되므로 하천이나 수로상에서 미처리된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물질을 직접 처리하는 것이 유익한 방법이 된다.Howev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environmental foundations are enormous, and non-point pollutants are not processed from pollutants, and in case of rainfall, they flow into rivers through waterways, so they can directly treat untreated and unpointed pollutants and nonpoint pollutants in rivers and waterways. It is a good way to do it.

현재 이러한 방법에는 자갈을 사용하여 많은 미생물을 자갈 표면에 증식시켜서 수질을 정화하는 자갈접촉 산화법(역간접촉산화법)이 있다.Currently, such a method includes a gravel contact oxidation method (reverse contact oxidation method) in which many microorganisms are grown on gravel surfaces to purify water quality using gravel.

이 자갈접촉 산화법은 하천 바닥 또는 둔치상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고 그 속에 자갈을 충진한 후 오염된 하천수를 자갈층에 수평으로 통과시켜서 정화하는 방법이다.The gravel contact oxidation method is a method of making concrete structures on the bottom or bottom of a river, filling it with gravel, and then purifying the contaminated river water by passing it horizontally through the gravel layer.

현재 자갈 접촉 산화 방법은 국내 특허등록 제161767호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및 그 방법'과 국내특허등록 제165636호 '하천의 정화장치'가 있으나Currently, gravel contact oxidation methods includ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61767, 'Water Quality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Waste Concrete',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65636, 'Purification Purifier for River'.

첫째, 전자의 것은 정화시설을 하천의 둔치상에 설치해야하므로 별도의 시설부지가 필요하며,First, the former requires a separate facility site because the purification facility must be installed on the bluff of the river.

후자의 것은 하천바닥을 기준하여 바닥 상부로 돌출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바닥 하부로 설치토록되어 있는데 상부로 돌출하여 설치할 경우에는 하천 단면의 잠식으로 통수 능력이 줄어들게 되며, 하부에 설치할 경우에는 토사로 매몰되어 시설의 유지가 곤란한 것으로서, 상기 전자의 것과 후자의 것은 모두 둔치 등 별도의 부지에 설치하여야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고,The latter is installed to protrude above the bottom of the river floor or to be installed below the bottom. When protruding to the top, the water permeability decreases due to the encroachment of the river cross section. As the maintenance of the facility is difficult,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have a problem in that they must be installed on a separate site such as a blunt to exhibit proper function.

둘째, 둔치 등에 설치할 경우 수위확보를 위한 펌프 시설 또는 보를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Second, there is a problem to install a pump facility or beam to secure the water level when installed in the blunt, etc.,

셋째, 수질정화 효과는 자갈층 등에서의 수평 흐름에 의한 침전과 미생물의 분해에 의한 것으로서 체류시간에 비하여 처리 효율이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고Third, the water purification effect is due to the precipitation of horizontal flow in the gravel layer and the decomposition of microorganism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eatment efficiency is not high compared to the residence time.

넷째, 자갈층내로 하천수와 함께 토사, 부유물질 등이 유입하므로 자갈층의 공극을 막게되며 이 경우 수질정화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Fourth, the soil and suspended matter flows into the gravel layer together with the sediment, suspended particles, etc. to prevent the voids of the gravel lay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is lost,

다섯째, 충진 자갈의 크기가 불규칙하여 (ø50 ~ ø150㎜) 상부에 큰 자갈, 그 아래 작은 자갈이 충진될 수 있으며 이 때 큰 자갈에서 탈리된 슬러지가 공극이 작은 하부 자갈층에서는 아래로 이동이 안되어 자갈층 내부에 슬러지가 쌓여 공극 폐쇄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고,Fifth, due to the irregular size of the filled gravel (ø50 ~ ø150㎜), large gravel and small gravel can be filled in the upper part. At this time, the sludge desorbed from the large gravel does not move downward in the lower gravel layer with small voi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ludge is accumulated inside the void closing phenomenon,

여섯째, 상기 공극 폐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우시 토사 유입 차단을 위한 긴급 차단시설, 공기 주입 시설, 슬러지 인발시설 등이 필요하게 되고 따라서 이와같은 시설의 유지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Sixth, in order to prevent the pore closure phenomenon, an emergency shut-off facility, an air injection facility, a sludge drawing facility, etc. are required to block the inflow of soil during rainfall. Therefore, the maintenance of such facilities is difficult and the maintenance cost is high. There was this.

본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질정화 시설을 하천이나 수로 바닥에 직접 설치하므로 별도의 부지 확보가 필요없고, 물이 하부로 수직 침투되므로 펌프 시설, 보 등이 필요없이 오염된 물을 정화할 수 있는 동시에 수질 정화 효율을 높이며, 또한, 자갈층 공극 폐쇄현상이 없게함은 물론 시설의 유지 관리가 용이한 수질 정화 시설을 건설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water purification facility is installed directly on the bottom of the river or waterway, so there is no need to secure a separate site.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water purification, and to construct a water purification facility that is easy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facility, as well as eliminating pore closur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천 또는 수로의 바닥보다 깊게 여과재 충진 구조물을 형성하되 바닥을 경사지게 하고, 상기 여과재 충진 구조물의 하단부에는 월류관이 설치된 맨홀을 형성는 한편, 상기 여과재 충진 구조물내에는 입경이 큰 자갈층에서 입경이 작은 자갈층이 단계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맨 위층에는 모래층이 적층되어 있으며 모래층 상부에는 흐르는 물에서 모래가 유실되지 않도록 그레이팅 카바를 묻어서 형성된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를 제공하므로서 그 목적은 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orming the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deeper than the bottom of the river or waterway, the bottom is inclined, and the lower end of the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to form a manhole provided with a overflow pipe, while in the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Provides a stream water purification system by river filtration formed by burying a grating cover so that sand is not stacked on top of the sand layer and sand layer is stacked on top of the sand layer. The purpose is thus achieved.

도1은 본고안에 따른 하천수질 정화시설인 여과 충진 구조물의 전체를 나Figure 1 shows the whole of the filtration filling structure as a stream water purifica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proposal

타낸 평면도Burnt out floor plan

도2는 도1의 A-A선 부분의 단면도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3은 도1의 B-B선 부분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B-B of FIG.

도4는 본고안에 따라 모래층위에 그레이팅 카바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grating cover is installed on the sand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proposal

평면도Floor plan

도5는 도4의 '가' 부분을 발췌한 확대도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4;

도6은 도4의 '나' 부분을 발췌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taken from the 'I' portion of FIG.

도7은 본고안에 따른 조립식 차단 수문을 나타낸 입면도7 is an elevational view showing the prefabricated blocking g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고안의 또다른 실시예1로서 저류지에 설치한 수질정화 시설의 단8 shows a wate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in a reservoir as another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면도shave

도9는 본고안의 또다른 실시예2로서 우수침투 집수정의 단면도Fig. 9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ormwater collecting well as another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 여과재 충진 구조물 12: 충진 구조물 바닥11: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12: filling structure bottom

13: 집수구멍 14: 집수정13: catchhole 14: catch

14a: 하류부 벽체 15: 월류관14a: downstream wall 15: overflow pipe

16: 맨홀 17: 유입수로16: manhole 17: inlet

18: 조립식 차단 수문 설치대 19: 수문18: Prefabricated Gate Sluice Base 19: Sluice Gate

21: 모래층 22: 그레이팅 카바21: sand layer 22: grating cover

23: 단위 그레이팅 24: 천공 졸대판23: unit grating 24: punched plate

25: 자갈층 25a: 큰 입경 자갈층25: gravel layer 25a: large particle size gravel layer

25b: 작은 입경 자갈층 26: 필터층25b: small particle size gravel layer 26: filter layer

41: 침전지역 42: 여과지역41: sedimentation zone 42: filtration zone

43: 비상용 여수로 50: 우수침투 집수정43: Emergency Yeosu 50: Stormwater Infiltration Sump

본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방법에서 하천수 정화 시설은, 하천수로 유입부에 조립식 차단수문(19)을 설치하고 하천 바닥 수로 밑에 흐름 방향으로 길게 상부가 개방된 여과재 충진 구조물(11)을 만들고 하류부 벽체 밑부분에 다수의 집수 구멍(13)을 뚫고 그 뒤에 집수정(14)을 만들되 소정의 높이에는 다수의 월류관(15)을 설치하며, 상기 충진 구조물(11) 내부에는 최하부에 가장 큰 입경의 자갈(25a)을 수평으로 충진하고 그 상부에는 작은 입경의 자갈(25b)을 충진하되 하부로 빠지지 않을 정도 크기의 자갈을 순차적으로 적층(상부로 갈수록 작은 입경의 자갈층(25b)을 수평으로 여러층 설치)하여 충진하며 최상부에는 모래층(21)을 설치한다음 모래층(21) 상부에 물흐름 방향과 직각으로 간격을 짧게 만든 그레이팅 카바(22)를 묻는다.2 to 2, in the method, the river water purification facility includes a prefabricated blocking water gate 19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river water channel, and has a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11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in a flow direction under the river bottom channel. Make a plurality of catching holes 13 at the bottom of the downstream wall, and make a catchment 14 thereafter, and install a plurality of overflow pipes 15 at a predetermined height, and at the bottom inside the filling structure 11. Fill the gravel 25a of the largest particle size horizontally and fill the gravel 25b of the small particle size in the upper part, but sequentially stack the gravel of the size so that it does not fall into the lower part (the gravel layer 25b of the small particle size toward the upper part) Filled by installing several layers horizontally) and the sand layer 21 is installed at the top, and then the grating cover 22 made of a shorter interval at right angles to the water flow direction is buried on the sand layer 21.

상기 여과재 충진 구조물(11)은 콘크리트 등으로 만들며 복수로 구성하거나1개지로 만들며, 폭과 길이는 하천의 유량, 수로의 폭, 경사도와 물의 체류 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깊이는 3 ~ 5m 정도가 좋으며 충진 구조물 바닥(12)은 침전된 슬러지가 잘 배출되도록 상류에서 하류로 경사를 준다.The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11 is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and constituted in plural or one site, and the width and length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of the river, the width of the channel, the slope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water, and the depth is about 3 to 5 m. The filling structure bottom 12 is inclined from upstream to downstream so that the precipitated sludge is well discharged.

또는 바닥에 유공관을 설치하여 슬러지 등이 잘 배출되도록 한다.Or install a perforated pipe on the floor so that the sludge is discharged well.

상기 집수정 하부에서 유입된 물은 상부로 상승하여 집수정(14) 상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월류관(15)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집수정의 크기는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규모로하며 하부를 깊게 만들어 슬러지가 침전되도록 한다.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bottom of the sump is raised to the upp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verflow pipe 15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sump 14, the size of the sump is a scale that can be accessed by people for maintenance Deepen the bottom to allow sludge to settle.

한편, 상기 여과재는 일반적으로 자갈이나 쇄석을 사용하며 무연탄, 제오라이트 등의 자연석이나 인공 자갈,담체,플라스틱 여과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 medium is generally using gravel or crushed stone, natural stone, such as anthracite, zeolite, artificial gravel, carrier, plastic filter medium and the like can be us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은 여과재 충진 구조물내에 하부로 갈수록 큰 입경의 자갈층(25a)을 수평으로 다층 설치하면 공극이 하부로 갈수록 커지므로 상부의 작은 자갈에서 탈리된 슬러지가 하부로 쉽게 이동하여 공극폐쇄 현상이 방지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when the multi-layered gravel layer 25a having a larger particle size is horizontally installed in the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the sludge desorbed from the small gravel of the upper part easily moves to the lower part because the pores become larger toward the lower part. The phenomenon is prevented.

최상부 모래층은 0.3 ~ 1m 깊이로 하는 것이 좋다.The top sand layer should be 0.3 to 1m deep.

모래는 강도가 크고 입도가 균일하며 비점성 물질로서 투수성이 좋고 경제적이어서 여과 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흐르는 물에서는 씻겨 내려가거나 이물질들이 혼합되므로 흐르는 물에서는 여과용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Sand is used as a filtration material because of its high strength, uniform particle size, perme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but it is not used for filtration in running water because it is washed down or mixed with foreign matter.

모래는 비중이 2.65 정도이며 흐르는 물속에서 유속이 0.8m/초 전후를 기준하여 침전되거나 떠내려간다.The sand has a specific gravity of about 2.65 and the sedimentation or drifting in the flowing water about 0.8m / sec.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모래를 흐르는 물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수질정화 시설의 부지 확보 문제와 유지 관리 문제를 해결하며 동시에 처리 수질의 향상과 경제성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 of land security and maintenance of the water quality purification facility by using sand in flowing water, which has many advantages, and at the same time solves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모래를 흐르는 물에서 여과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모래층(21) 상부에 물흐름 방향과 직각으로 간격을 짧게 만든 그레이팅 카바(22)를 묻는다.In order to use the sand as a filter medium in the flowing water buried grating cover 22 is made of a short interval at right angles to the water flow direction on the sand layer (21).

이렇게하면 하천에서 유량이 증가하여 유속이 커질 때 그레이팅 속으로는 수평방향의 흐름이 차단되므로 그레이팅 속 모래는 유실되지 않으며 협잡물도 섞이지 않은 안정상태로 있게된다.This prevents the horizontal flow into the grating when the flow rate increases in the stream and the flow rate increases, so that the sand in the grating is not lost and the impurities are not mixed.

그레이팅(22)은 모래 표면 전체를 덮으며 유지 관리를 위하여 소규모로 분할하여 설치하고 소규모 그레이팅(23)들이 흐름에 떠내려가지 않도록 접합부에 천공 졸대판(24)을 사용하여 로프 등으로 다수의 그레이팅을 일체로 결합하고 벽체에 결속시킨다.The grating 22 covers the entire surface of the sand and is divided into small portions for maintenance, and a plurality of gratings are made with ropes or the like by using a perforated plunger plate 24 at the joint so that the small gratings 23 do not float in the flow. Unite integrally and bind to the wall.

그레이팅의 깊이는 유량이 증가하여 수평 유속이 커질 때 이 수평 유속이 그레이팅 속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깊어야하며 그레이팅의 직각 방향 간격, 하천 유량, 표면 경사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The depth of the grating should be deep enough that the horizontal flow rate does not affect the grating when the flow rate increases and the horizontal flow rate increases.

또한, 그레이팅을 2개층으로 나누어 설치하면 이 물질의 혼입시 층별 유지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f the grating is divided into two layer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layer by layer when the substance is mixed.

그레이팅을 묻음으로서 하천에서 모래가 유실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모래 표면을 평탄하게 유지하며 준설 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By burying gratings, not only sand is lost in the stream, but the sand surface is kept flat and the dredging depth is constant.

또한, 준설 작업시 발자국에 의한 모래의 혼합이 일어나지 않고 작업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the workability is improved without mixing of the sand by the footprint during dredging work.

그레이팅 카바는 철재,프라스틱 등으로 만들며 네트, 부직포 등을 함께 사용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The grating cover is made of steel, plastic, etc. and it is more effective to use the net and nonwoven fabric together.

수로 바닥에 설치된 이 정화시설을 필터층 내부가 항상 집수정의 월류 수위까지 물이 차 있으며 월류관의 방류 수위와 하천 수위차(△H)에 의하여 수질정화 기능이 작동하기도 하고 정지하기도 한다.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channel always fills up to the overflow level of the catchment well, and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is activated or stopped by the discharge level of the upstream pipe and the difference of the river level (△ H).

즉 물은 필터층 상부에서 수직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침투되어 필터층 하류부 집수구멍으로 나와서 집수정으로 유입하고 집수정에서 상승하여 월류관으로 유출된다.That is, the water penetrates vertically or diagonal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layer, exits into the collecting hole downstream of the filter layer, flows into the collecting well, rises from the collecting well, and flows out into the overflow pipe.

갈수기에는 필터층 상류쪽부터 물이 침투하게 되며 이 때 물속의 부유물질이 모래 표면에서 여과되고 여과된 이물은 자갈층에서 미생물에 의해 용존성 유기 물질이 분해되어 수질이 정화된다.In the dry season, water penetrates from the upstream of the filter layer. At this time, the suspended solids in the water are filtered from the sand surface, and the filtered foreign matters are dissolved in the gravel layer to dissolve dissolved organic substances and the water quality is purified.

침투가 계속됨에 따라서 앞쪽부터 부유물질 등이 쌓이므로 침투지역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As the penetration continues, the floating area accumulates from the front, so the penetration area moves downward.

그러나 강우로 유량이 일정량 이상 증가하면 일부는 침투되지 않고 직접 흘러가게되고 월류관 지점 하천 수위가 월류관의 방류수위와 같아지면(즉 △H=0)이 때부터 필터층으로의 침투는 정지되고 물은 하류로 직접 흘러가게 된다.However, if the flow rate increases by a certain amount of rainfall, some of them will flow directly without being penetrated, and if the water level at the upstream point equals the outlet level of the upstream pipe (ie ΔH = 0), then the infiltration into the filter bed will stop and the water will stop. It goes directly downstream.

더욱 유량이 증가하여 유속이 커지면 표면에 침전되어 있던 부유 물질과 그레이팅 상부의 모래 등이 씻겨 내려가 표면은 세척되고 침투능력은 회복된다.As the flow rate increases and the flow rate increases, the suspended solids and sand on the grating are washed away, the surface is washed, and the penetration ability is restored.

점차 유량이 감소하여 하천 수위가 월류관의 방류 수위보다 낮아지면 물은다시 필터층으로 침투되고 이때부터 정화가 시작된다.As the flow rate gradually decreases and the water level becomes lower than the discharge level of the overflow pipe, the water penetrates into the filter layer again and the purification starts from this time.

만약 하천 수위가 낮으나 월류관에서 방류가 안될때는 그레이팅 상부 표면을 준설한다.If the river level is low but it is not discharged from the overflow pipe, dredge the grating top surface.

또 그레이팅 속까지 막힌 경우는그 부분의 그레이팅을 제거한 후 준설을 한다.If the grating is blocked, remove the grating and dredge.

오염토 준설후 그레이팅을 덮고 결속한 후 새 모래로 충진한다.After dredging the soil, cover and bind the grating and fill it with fresh sand.

또한 홍수후 상부에 많은 모래가 퇴적되어 있을 때에는 모래를 치우고 또는 그레이팅 속 모래가 유실되었을 때에는 새 모래를 보충한다.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sand is deposited after the flood, the sand is removed, or when sand in the grating is lost, new sand is replenished.

이와같이 본시설은 하천의 유량과 수위에 따라서 정화기능의 작용이 결정되므로 유지 관리 측면에서 큰 부담이 없는 시설로서 하천의 유량이 적어서 수질이 악화될 때에는 수위가 낮으므로 정화시설로 침투되어 수질 정화 작용이 일어나며 유량이 풍부하여 수위가 높을 때에는 유속이 커져서 표면에 침전된 협잡물 등을 씻겨 보내어 침투능력이 회복된다.In this way, the facility's action is determined by the flow and water level of the river, so there is no burden on the maintenance side. When the flow rate is low due to the low flow rate of the river, the water level is low. When this happens, the flow rate is abundant, and when the water level is high, the flow rate increases, and the impurities are recovered by washing away the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surface.

하천에서 본 시설은 홍수시 토사의 퇴적이 적은 곳, 직선구간 등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기존의 보 설치지역에 본 시설을 설치하면 좋으며 토사 퇴적량에 많은 지역에서는 상부 표면 경사를 적당히 준다.In rivers, this facility should be installed in areas where there is less sedimentary sediment during the flooding, straight sections, etc., and it is better to install this facility in existing beam installation areas, and the upper surface slope is appropriately given in many areas for sediment deposition.

필터층의 앞 부분에는 충분한 길이로 유입수로를 만들어주고 수로폭이 넓을 때에는 수량 저하시 균등히 흐를 수 있도록 수로 바닥에 좁은 골을 균등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하는 것이 좋다.In the front of the filter layer, it is advisable to make an inflow channel with sufficient length, and when the width of the channel is wide, it is better to install a plurality of narrow valleys at equal intervals at the bottom of the channel so that it can flow evenly when the quantity is reduced.

홍수시 유속이 빨리 증가하여 소류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때에는 필터층 유입부 상부에 자갈을 포설할 필요가 있다.If there is a concern that the flow rate may increase rapidly during flooding and drift may occur, it is necessary to install gravel on top of the filter layer inlet.

하천의 규모가 커서 항상 흐름이 있을 때 여과재 충진 구조물을 퇴적 토사의 준설, 그레이팅 내부의 청수 등 유지 관리를 위하여 복수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이 경우는 상류층 유입 수로에 2개의 조립식 차단 수문(19)을 설치한다.When the size of the river is large and there is always flow, it is recommended to construct a plurality of filter filler structures for maintenance such as dredging of sedimentary soil and fresh water inside the grating. In this case, two prefabricated barrier gates (19) are provided in the upstream inlet. Install.

그러나 갈수시 유량이 적은 하천이나 수로에서는 충진 구조물은 1개로 하며 충진 구조물 옆으로 별도의 우회 수로를 만들어 유지 관리시 이 수로로 물이 흐르도록 한다.However, in rivers or waterways where the flow rate is low when the water is drained, there is only one filling structure, and a separate bypass channel is created next to the filling structure so that water flows into this water channel during maintenance.

본고안은 유량변동이 큰 중,소규모 하천, 비점오염 물질이 유입하는 수로 및 저수지, 유수관로,합류식 하수관, 하수 등이 유입하는 빗물 펌프장의 유수지, 우수 유출 저감을 위한 침투 집수정 등에 적용하면 효과가 좋다.This study is effective when applied to medium and small rivers with large fluctuations in flow rate, waterways and reservoirs where non-point pollutants flow, inflow pipes, combined sewer pipes, sewage pumping stations in which sewage flows, and infiltration basins to reduce rainwater. Is good.

본고안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실시예1)Example 1

도8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고안은 비점 오염물질 함유수의 오염 물질 저감을 위한 저류지, 연못 등의 바닥에 적용한 것이다.As shown in FIG. 8,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bottom of a reservoir, a pond, and the like for reducing pollutants of non-point pollutant-containing water.

기존 저류지의 경우는 유입부에서 먼쪽의 바닥에 여과 시설을 설치하고 새로 만드는 저류지는 연못을 장방향으로 길게 만들어 유입부쪽에는 침전지역(41)을 만들고 그 나머지에 여과 지역(42)을 만든다.In the case of an existing reservoir, a filtration facility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inlet, and the newly created reservoir is made to have a long po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reate a sedimentation zone 41 on the inlet side and a filtration zone 42 on the rest.

또는 본시설을 인공습지와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is facility may be installed in conjunction with wetlands.

저류지 하부의 여과시설은 상부에 그레이팅(22) 카바를 묻은 모래층(21)을형성하고 그 하부에 입경별로 수평 자갈층(25)을 설치한다.The filtration facility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forms a sand layer 21 buried with the grating 22 cover on the upper part, and a horizontal gravel layer 25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by particle diameter.

여과지역 중앙부에 하부로 집수되는 집수정(14)을 설치하며 이 집수정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저류지의 홍수 수위까지 연장시켜 저류지의 물이 필터층(26)을 거치지 않고 직접 집수정(14)으로 유입하지 않도록 하며 집수정(14) 상부에 월류관(15)을 설치하여 외부로 연결된다.In the center of the filtration area, a collecting basin 14 is collected at the bottom, which is open at the top and extends to the flood level of the reservoir, so that the water of the reservoir is directly directed to the collecting basin 14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layer 26. Do not enter and is connected to the outside by installing the overflow pipe 15 on the top of the sump (14).

저류 시설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여과재 충진 구조물(11)을 토사 등으로 만들면 경제적이다.If the storage facility is large, it is economical to make the filter medium-filled structure 11 out of soil.

저류지에 유입한 물은 침전지역(41)에서 토사 등이 침전되고 여과지역(42)에서 필터등으로 수직으로 통과하고 집수정(14)에서 모인 후 월류관(1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Water introduced into the reservoir is precipitated in the sedimentation zone (41), sedimentation, etc. in the filtration zone (42) vertically passed through the filter, and collected in the sump (14)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verflow pipe (15).

이들 저류 시설은 퇴적토 준설 등 유지 관리를 위하여 2개 이상이 다수지로 만들어 1지씩 돌아가면서 퇴적토 준설, 청소, 보수 등의 유지 관리를 하면 좋고 비상용 여수로(43)를 설치한다.These storage facilities are made of two or more sites for maintenance such as sedimentary dredging, and one by on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d maintain sedimental dredging, cleaning, and repair, and install an emergency waterway 43.

(실시예2)Example 2

도9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편 본시설은 우수 유출 저감 시설에도 적용 가능하다.As shown in Fig. 9, the present facility is also applicable to storm water discharge reduction facilities.

강우에 의한 홍수 예방과 지하수 자원확보를 위한 우수 유출 저감 시설로서 우수 침투 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It is necessary to install stormwater infiltration facilities as stormwater discharge facilities to prevent flooding due to rainfall and to secure groundwater resources.

현재 사용되는 우수 침투 시설로서는 여러가지 시설이 있으나 본 고안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서는 건물 및 도로의 빗물받이 바닥에 자갈과 그 하부에 모래를포설한 침투통 방법과; 주택 사이 공간등에 자갈과 모래를 포설하여 빗물의 침투를 유도하는 쇄석 공극 침투 방법,도로측구 또는 우수관로상의 맨홀(집수정)을 설치하여 자갈과 모래를 포설하여 침투 집수정으로 사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There are a variety of facilities currently used in the stormwater penetration facility, which i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penetration barrel method in which gravel and sand are disposed on the bottom of rain gutters of buildings and roads; Crushed air gap penetration method that induces rainwater penetration by laying gravel and sand in the space between houses, and installing manholes on road side or storm pipe have.

그러나 이들 방법은 표면층에 공극이 큰 자갈을 사용함으로서 짧은 시간에 많은 침투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강우 유출수중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 부유물질 및 협잡물 등이 자갈의 공극을 폐쇄하게 됨으로서 사용수면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se methods have the advantage of securing a large amount of infiltration in a short time by using gravel with large porosity in the surface layer, but it is used because the soil, suspended matter and contaminants contained in rainfall runoff close the gravel pores. There was a disadvantage of shortening sleep.

따라서 이러한 시설의 상부에 그레이팅이 묻힌 모래층을 깔고 그 하부에 다단계로 수평 자갈층을 도입함으로서 공극 폐쇄방지로 수명연장과 함께 수질 정화 기능을 강화함으로서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by laying a layer of sand with gratings on the upper part of the facility and introducing a horizontal layer of gravel in multiple stages at the bottom, it prevents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strengthening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 along with life extension by preventing gap closure.

또한 본 시설은 강우시 침수 방지를 위하여 설치해 놓은 빗물 펌프장의 유수지 바닥에 설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is facility can be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of rainwater pumping station installed to prevent flooding during rainfall.

이들 빗물 펌프장의 유수지는 대부분이 합류식 하수 관거가 설치되어 있는 저지대에 있다.Most of the reservoirs at these rainwater pumping stations are in the lowlands where the combined sewer pipes are installed.

따라서 유수지에는 평상시에는 하수가 유입되므로 이들을 정화하기 위하여 유수지의 청천시 수로 바닥에 하천수 정화 시설과 같은 방법으로 정화 시설을 설치하면 된다.Therefore, since the sewage flows into the reservoir as usual, a purification facility may be installed in the same way as the river water purification facility at the bottom of the Cheongcheon waterway of the reservoir.

이상과 같이 본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동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

상기와 같은 본고안은 첫째, 하천이나 저류지 등에서 수질정화 시설 설치를 위한 별도의 부지가 필요없고, 둘째, 수위차 확보를 위한 펌프 시설 또는 보가 필요없으며, 셋째, 그레이팅 카바 사용과 다단계 수평 자갈 필터층을 도입함으로서 흐르는 물에서 모래를 여과재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래층의 표면 여과로 수질정화 효과가 크고, 토사에 의한 자갈층 매몰을 방지하며, 슬러지의 원할한 하부 배출로 자갈층 공극 폐쇄 가능성이 적어서 정화 시설의 사용 수명이 길어지고, 넷째, 제거 대상 발생 슬러지량이 적으며, 다섯째, 강우시 매몰의 염려가 없고 자동적으로 표면이 세척되는 등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으며, 여섯째, 특히 유량이 적어서 수질이 악화되는 갈수기에 그 효과가 크게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this paper, first,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ite for installing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in rivers or reservoirs, and second, there is no need for pump facilities or beams to secure water level differences. Third, the use of grating covers and multi-level horizontal gravel filter layers The sand can be used as a filter medium in the flowing water, so the surface filtration of the sand layer has a high water purification effect, prevents the gravel layer from buried by the soil, and the possibility of closing the gravel layer voids due to the smooth discharge of sludge. Fourth, the sludge amount to be removed is small, fifth, there is no fear of investment during rainfall, and the surface is automatically washed, and the maintenance is easy and can be selectively maintained only when necessary. There is little effect that the effect is greater in the dry season when the water quality is worse.

Claims (3)

하천 바닥 수로 밑에 흐름 방향으로 길게 상부가 개방된 콘크리트재 여과재 충진 구조물(11)을 만들되 상류 입구의 유입수로에는 조립식 차단 수문 설치대(18)를 만들어 수문(19)을 개폐할 수 있도록하고 하류부 벽체(14a) 밑부분에는 다수의 집수 구멍(13)을 형성하며, 상기 하류부 벽체의 뒤에는 소정의 높이에 다수의 월류관(15)이 설치된 집수정(14)을 만들되 유지 관리를 위해 사람의 출입이 가능한 규모로 제작하는 한편, 상기 여과재 충진 구조물(11) 내부에는 최하부에 가장 큰 입경의 자갈층(25a)을 수평으로 충진하고 그 위에는 상부로 올라갈수록 입경이 작은 자갈층(25b)을 순차적으로 충진하되 상부에 적층된 입경이 작은 자갈은 하부에 적층된 자갈층의 공극 사이로 빠지지 않는 크기의 자갈을 사용한 자갈층(25)을 형성하고 최상부에는 0.3 ~ 1m 깊이의 모래층(21)을 형성한 다음 모래층(21) 상부에 물흐름 방향과 직각으로 위치되도록 간격을 짧게 만든 그레이팅 카바(22)를 묻어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A concrete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11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in a flow direction under a river bottom channel is created, but a prefabricated blocking water gate mount 18 is formed in an inflow passage at an upstream inlet so that the water gate 19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downstream wall ( 14a) a plurality of catching holes 13 are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and a collecting well 14 having a plurality of overflow pipes 15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behind the downstream wall can be made accessible to a person for maintenance. On the other hand, the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11 is filled with the gravel layer 25a of the largest particle size horizontally at the bottom and filled with the gravel layer 25b having a smaller particle size as the upper portion thereof rises upward. Gravel having a small particle diameter forms a gravel layer 25 using gravel having a size that does not fall between the pores of the gravel layer stacked below, and has a depth of 0.3-1 m at the top. After forming the bottom layer 21, the river water quality purification device by river filt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buried grating cover 22 is made to be buried in the sand layer 21 to be located at right angles to the direction of water flo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충진 구조물(11)은 수로의 상시 유량의 규모에 따라서 1개지 또는 복수지로 분할구성하고 폭과 길이는 하천의 유량, 수로의 폭, 경사도와 물의 체류 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고 깊이는 3 ~ 5m 정도가 좋으며 충진 구조물 바닥(12)은 침전된 슬러지가 잘 배출되도록 상류에서 하류로 경사짐을 특징으로한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11 is divided into one or a plurality of sit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stant flow of the water channel, the width and length of the flow considering the flow rate of the river, the width of the channel, the slope and the residence time of the water, etc. Depth of about 3 ~ 5m is good and the bottom of the filling structure 12 is a stream water purification device by river filt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lanted from upstream to downstream to discharge the sludge is well dischar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충진 구조물(11)내에 적층되는 여과재는 자갈이나 쇄석, 무연탄, 제오라이트의 자연석이나 인공 자갈,담체,플라스틱 여과재 등을 사용함을 특징으로하는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material laminated in the filter medium filling structure 11 is a river water purification device by river filt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natural stone or artificial gravel, carrier, plastic filter material, such as gravel, crushed stone, anthracite coal, zeolite, etc. are used.
KR2020010022936U 2001-07-28 2001-07-28 a rivers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 KR20025333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36U KR200253332Y1 (en) 2001-07-28 2001-07-28 a rivers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36U KR200253332Y1 (en) 2001-07-28 2001-07-28 a rivers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685A Division KR100429768B1 (en) 2001-07-28 2001-07-28 a rivers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 and that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332Y1 true KR200253332Y1 (en) 2001-11-22

Family

ID=73067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936U KR200253332Y1 (en) 2001-07-28 2001-07-28 a rivers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332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981B1 (en) * 2002-09-13 2004-12-03 반도건설주식회사 Experimental filtering apparatus for river water and filtering method using it
KR100709121B1 (en) 2006-04-13 2007-04-19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oduction well for riverbed filtr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981B1 (en) * 2002-09-13 2004-12-03 반도건설주식회사 Experimental filtering apparatus for river water and filtering method using it
KR100709121B1 (en) 2006-04-13 2007-04-19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oduction well for riverbed filt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953B2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KR100706269B1 (en) A contaminant purification apparatuss of non-point sources by the early-stage storm runoff
KR100949325B1 (en) The reduction apparatus nonpoint pollution sources being able to adopt at the front of the water storing place
KR100854314B1 (en) Sanitation facilities of early rainfall
US20060169648A1 (en) Integrated below-ground vault with a filtered catch basin
KR20090124660A (en) Open-type initial rainwater treatment system
KR101252736B1 (en) Reducing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of turvulent filtration type
KR101703319B1 (en) Rainwater permeate retention system
KR101622222B1 (en) Rainwater utilizing apparatus for drought and flood damage and sink hole prevention
KR101207293B1 (en) Water Treatment Facility for Underground Infiltration of Early Rainwater
KR20140023521A (en) Drainage system and reduction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or bridge
KR20150114224A (en) infiltration institution of rainwater in rainwater treatment
KR100437075B1 (en) the purificate method of a rainwater in an underflow pond and that equipments
KR100429768B1 (en) a rivers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 and that method
KR20150047908A (e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KR101380776B1 (en) A Monolithic street tree box with side gutter
KR200253332Y1 (en) a rivers the quality of water purgation equipment by a riverbed filtering
KR100763119B1 (en) Purification system for runoff
JP4112532B2 (en) Road surface wastewater treatment tank
KR100529500B1 (en) Method for drainage of road
KR100983160B1 (en) Method for introducing rainwater into a underground using existing case of rainwater, and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KR200287647Y1 (en) the purificate equipments of a rainwater in an underflow pond
KR101888850B1 (en) Apparatus for Treatment Rainwater Using Buoyancy Member
KR100930723B1 (en) A manhole structure for change from drained water to ground water
KR101036279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the osmotic non-point pollution material in water collecting and distribu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