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908A -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908A
KR20150047908A KR1020130127971A KR20130127971A KR20150047908A KR 20150047908 A KR20150047908 A KR 20150047908A KR 1020130127971 A KR1020130127971 A KR 1020130127971A KR 20130127971 A KR20130127971 A KR 20130127971A KR 20150047908 A KR20150047908 A KR 20150047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unit
filtration unit
spac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9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82931B1 (en
Inventor
한영해
조경민
Original Assignee
한영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해 filed Critical 한영해
Priority to KR1020130127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931B1/en
Publication of KR20150047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9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9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ewag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which can be easily applied to a conventional road system, effectively filters initial rainwater, thereby providing the filtered water to underground soil or a drain pipe, the apparatus comprising: an upper grating (110, 210) which is exposed to the ground, and into which initial rainwater is introduced; a first filter unit (120, 220) which is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upper grating and has a first filter part (121, 221) which is formed to filter the introduced initial rainwater primarily; a filter tank (130, 230) which is disposed on a lower side of the first filter unit, and accommodates the initial rainwater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a second filter unit (140, 240) which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filter bath into an inlet space (131a, 231a) which temporarily stores the inflow water primarily filtered by the first filter unit, and an outlet space (131b, 231b) as the remaining space, and which is formed to secondarily filter the initial rainwater when the introduced initial rainwater moves from the inlet space to the outlet space; and an overflow pipe (131, 231) which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outlet space, and discharges the filtered initial rainwater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bath, wherein a mesh of the first filter unit (120, 220) is bigger than a mesh of the second filter unit (140, 240).

Description

비점오염 저감 장치{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0001]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0002]

본 발명은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도시의 포장 도로변에 구비되어 기존의 도로 빗물받이의 기능과 함께 도로변 유출수의 비점오염을 처리함으로써 하수관에 여과된 초기우수를 공급하기 위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hich is provided at a pavement side of a city to treat non-point pollution of road runoff along with the function of existing road rain- ≪ / RTI >

또한, 본 발명은 빗물침투저류시설과 함께 장착됨으로써 초기우수를 정화하여 지반의 토양에 침투됨으로써 지하수 확보가 가능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together with a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facility to purify the initial stormwater and penetrate the soil of the ground, thereby securing the groundwater.

오염원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대별될 수 있다.Sourc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point sources and non-point sources.

점오염원은 공장, 가정하수, 분뇨처리장 및 축산농가 등 그 오염물질의 배출지점이 특정되어 있으며 명확하다. 또한, 이러한 점오염원은 인위적인 것이므로 자연적 요인에 영향을 적게 받고, 연중 배출량의 차이가 비교적 명확하다. 따라서, 점오염원으로부터 관거를 통해 한 지점(주로 처리장)으로 집중적 배출되며, 처리효율이 높다.Point pollution sources are specific and clear for pollutant discharge points such as factories, domestic sewage, sewage treatment plants and livestock farmers. Also, since these point sources are artificial, they are less affected by natural factors, and the difference in emissions during the year is relatively clear. Therefore, it is concentratedly discharged from a point source to a point (mainly a treatment site) through a conduit, and the treatment efficiency is high.

반면, 비점오염원은 상술한 점오염원과 달리, 배출지점이 불특정하고 불명확하다. 또한, 불특정 장소에서 발생한 오염이 희석 또는 확산되면서 넓은 지역으로 배출되며, 강우 등 자연적 요인에 따른 배출량의 변화가 심하여 예측이 곤란하기 때문에 처리효율이 좋지 않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oint source mentioned above, the nonpoint source is unspecific and uncertain. In addition, the pollution generated at an unspecified place is diluted or diffused and discharged to a large area, and the discharge efficiency is not good because prediction is difficult due to a serious change in emissions due to natural factors such as rainfall.

특히, 도시가 발달하면서 건축 면적이 증가하고, 도로가 포장되면서, 도시지역의 비점오염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Especially, as the city develops, the building area increases and roads become packed, and the problem of non-point pollution in urban areas is emerging.

여기서, 도시 지역의 비점오염원은 대지, 도로, 건물의 지붕 등 다양하지만, 가장 큰 부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도로 노면의 비점오염원이다. 도로 노면에 쌓인 낙엽, 먼지, 유류, 자동차에 의해 기인한 중금속 및 타이어 마모재 등이 강우시 초기우수에 의한 유출의 형태로 배출되기 때문이다.Her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 urban areas vary from land, roads, and roofs of buildings, but the largest share of load is the non-point pollution source on the road surface. This is because the leaves, dust, oil, heavy metals and tire wear materials accumulated on the road surface are discharged in the form of outflow caused by the initial rainfall during rainfall.

또한, 이러한 도로 노면에 구비된 종래 빗물받이 시설은 집수된 빗물을 그대로 우수관거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토양에의 빗물 유입이 차단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ainwater collecting facility provided on such a road surface has a problem that rainwater inflow to the soil is blocked because the collected rainwater is flowed as it is to the excellent canal.

이는 투수 면적이 감소하는 것에 비례하여 지하로 침투하는 수량이 급격하게 감소되고, 이와 더불어 도시의 열섬 효과가 가속화되는 문제점도 야기하기 때문에, 이러한 도로 노면의 비점오염을 감소시키면서도 지하로 여과된 초기우수를 공급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This results in a drastic decrease in the amount of water penetrating into the ground in proportion to the decrease in the permeable area, and in addition, it accelerates the effect of the heat island in the city. Therefore, A need exists for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apparatus that supplies the nonpoint pollution control apparatus.

살펴보면, 특허 제1239227호 및 특허 제1122040호와 같은 종래의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하천 방류지점 부분에 설치하는 구조로 1,2차 처리조와 저류조, 여재에 의한 처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장치는 유역 말단부에 설치됨으로써 설치규모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들며, 현지에서의 비점오염 처리 효과가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conventional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s such as the patent No. 1239227 and the patent No. 1122040 are constructed in the stream discharge point portion, and are composed of the first and second treatment tanks, the storage tanks, and the treatment tanks by the filter media. Such a device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watershed, which results in a large scale installation and a high cost, and has a problem in that the effect of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on site is small.

또한 빗물의 이용 및 침투시설과 함께 장착된 전처리조 등은 기존도시의 도로체계에서 적용되는 빗물받이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Also, the use of rainwater and the pretreatment tank installed with the infiltration facility have not been able to individually implement the functions of the rainwater catcher applied in the existing road system of the city.

한편, 본 발명자는 특허 제978238호와 같은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의 이중 배수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 has proposed a "infiltration and storage system having a purifier and a double pipe" as in Patent No. 978238.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drain pipe of a penetration and storage system having a purge water collecting tank and a double water pip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FIG.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A.

상기 종래기술을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더 상술하면,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의 이중 배수관(200)은 하부면이 개구된 투수관(110)과, 투수관(110)에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면이 개구된 배수관(130) 및 배수관(130)의 개구된 상부에 제공된 그레이팅 덮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이중 배수관(200)은 투수관(110)과 배수관(130)이 각기 대응된 요부(136) 및 철부(116)에 의해 결합되거나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제작될 수도 있다.1A and 1B, the double drain pipe 200 of the infiltration and storage system having the purge water collecting tank and the double water pipe includes a water pipe 110 having a lower surface opened, a water pipe 110 and a grating cover 150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drain pipe 130. The grill cover 150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drain pipe 130 and has a top surface opened. The dual drain pipe 2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may be integrally formed by combining the water pipe 110 and the drain pipe 130 by the recessed portion 136 and the convex portion 116, .

투수관(110)은 하부면이 개구된 중공 구조로서 일측면에 투수공(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면에 철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투수관(110)의 하부는 지면에 수평 기립되며 투수공(112)은 개구된 하부면과 연통되어 있다.The permeable pipe 110 has a hollow structure with a lower surface opened. The permeable hole 112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convex portion 11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Here, the lower part of the water pipe 110 stands upright on the ground, and the water hole 112 communicates with the opened lower surface.

그리고 투수관(110)은 하부가 개구되어 있어, 빗물이 이동하거나 또는 일시 저류되면서 하부의 자갈층으로 침투, 저류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자갈층으로 침투된 빗물은 자연 지반으로 최종 침투된다.Further, the lower part of the water pipe 110 is opened to allow the rainwater to move or temporarily store and penetrate into the lower gravel layer to be stored. And rainwater infiltrated into this gravel layer is finally penetrated into natural ground.

배수관(130)은, 상부면이 개구된 중공 구조로서 양측면에 배수공(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면에는 전술된 투수관(110)의 철부(116)에 삽입 고정되는 요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수관(130)과 투수관(11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수관(130)의 상부 개구면에는 단차면(134)이 형성되어 있다.A drainage pipe 1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ainage pipe 130 and a recess 136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rainage pipe 130 to be fixed to the convex portion 116 of the water pipe 110 . The drain pipe 130 and the water pipe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A stepped surface 134 is formed on the upper opening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pipe 130.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배수관(130)의 배수공(132)은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수관(130) 및 투수관(110)은 요부(136)와 철부(116)를 제외하고는 대칭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배수관(130)과 투수관(110)의 결합에 관련된 요부(136) 및 철부(116)는 단순 안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보다 강력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수관(130)의 요부(136)가 투수관(110)의 철부(116)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하 방향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The drain pipe 130 and the water pipe 110 ar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except for the recessed portion 136 and the convex portion 116. The drain pipe 130 of the conventional drain pipe 13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ame line, . The concave portion 136 and the convex portion 116 relating to the coupling of the drain pipe 130 and the water pipe 1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can be coupled by simple seating. However, in order to provide a stronger bonding force, The recessed portion 136 of the water pipe 110 is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x portion 116 of the water pipe 110 to prevent the upward and downward departure.

그레이팅 덮개(150)는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배수관(130)의 상부 단차면(134)에 안착되며, 빗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장방형 관통구(152)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그레이팅 덮개(150)는 낙엽이나 쓰레기 등이 유출수와 함께 배수관(130)으로 유입되는 경우 부유 물질을 1차적으로 걸려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보행자나 차량으로 인해 하부 시설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grating cover 150 is seated on the upper step surface 134 of the drain pipe 13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has a plurality of rectangular through holes 152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The grating cover 150 functions to primarily suspend suspended solids when waste leaves or trash are introduced into the drain pipe 130 together with the effluent. In addition, it prevents pedestrians and vehicles from damaging the infrastructur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그레이팅 덮개(150)에 단순히 빗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장방형 관통구(152)만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낙엽과 같은 협잡물의 처리에 효과적이지 못하였으며, 이들 협잡물이 상기 관통구(152)를 막아서 오염수의 처리가 원활하지 못하고, 특히 홍수시 우수의 처리가 원활하지 못하여 도로가 쉬이 물에 잠기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rt is formed by only a plurality of rectangular through-holes 152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into the grating lid 150, it is not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contaminants such as fallen leaves, 152), the treatment of contaminated water is not smooth, and the treatment of flood damage is not smooth, resulting in the problem that the road is flooded with water.

특허등록 101239227 (2013. 02. 26.) "비점오염 저감장치"Patent registration 101239227 (Feb. 26, 2013.)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특허등록 101122040 (2012. 02. 23.) "녹지통합형 빗물정화저장장치"Registration of patent 101122040 (2012. 02. 23.) "Greenhouse Integrated Rainwater Purification Storage Device" 특허등록 100978238 (2010. 08. 20.)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Patent Registration 100978238 (Aug. 20, 2010) "Penetration and Storage System with Purification Sink Tank and Dual Drain Pipe"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들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도로체계에 적용이 수월하며 초기우수를 효과적으로 여과하여 지하 토양 또는 하수관에 공급할 수 있으면서도 협잡물의 분리가 쉬우므로 협잡물이 월류관을 막는 현상을 방지가능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applying an existing storm system to an underground soil or a sewage pip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struction from blocking the overflow pip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여과된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 할 수 있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durability and can easily remove filtered pollutant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는, 지면에 노출되어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상부 그레이팅(110; 210); 상기 상부 그레이팅 하측에 구비되며, 유입된 초기우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기 위하여 형성된 제1 여과부(121; 221)를 갖는 제1 여과유닛(120; 220); 상기 제1 여과유닛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여과유닛에 의해 여과된 초기우수가 수용되는 여과조(130; 230); 상기 여과조의 내부를 상기 제1 여과유닛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된 유입수를 임시저장하는 유입공간(131a; 231a)과 그 외의 공간으로서의 유출공간(131b; 231b)으로 구획하며, 유입된 초기우수가 상기 유입공간에서 유출공간으로 이동시 2차적으로 초기우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형성된 제2 여과유닛(140; 240); 및 상기 유출공간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여과된 초기우수를 여과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월류관(131; 23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여과유닛(120; 220)의 메쉬는 제2 여과유닛(140; 240)의 메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comprising: an upper grating (110; A first filtration unit (120; 220) provided below the upper grating and having a first filtration unit (121; 221) formed to primarily filter the introduced initial rainwater; A filtration tank (130; 230) provided below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containing an initial storm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is divided into an inflow space 131a (231a) for temporarily storing inflow water primarily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an outflow space (131b; 231b) A second filtration unit (140; 240) formed to primarily filter the initial storm upon movement from the inflow space to the outflow space; And a drain pipe (131, 23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let space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initial storm to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wherein the mesh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220) (140; 240).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여과유닛(120; 220)은 상기 제1 여과부(121; 221) 쪽으로 경사진 초기 우수를 유도하는 제1 경사부(122; 2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220) has a first inclined portion 122 (222) for guiding an initial storm that is inclined toward the first filtration portion 121 (221).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여과부(221)는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여과부(221)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협잡물 처리부(232a)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filtering unit 221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and the contaminants filtered by the first filtering unit 221 are separated by the impurity treating unit 232a.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경사부(122; 222)의 다른 면에도 제2 경사부(123; 2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부(121; 221) 쪽으로 초기 우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3 (222 ') is also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2 (222) to guide the initial clearance toward the first filtrated portion 121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여과유닛은 상기 여과조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여과조의 유입공간과 유출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econd filtration unit has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ltration tank and divides the inflow space and the outflow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월류관은 상기 유출공간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일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wall-flow pip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let space, the side wall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여과유닛과 여과조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 그레이팅과 제1 여과유닛의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여과조에 고정시키는 고정틀(150; 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fixed frame (150; 250)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the filtration tank for receiving the upper grating and the flange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fixing the flange to the filtration tank .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잡물 처리부(232a)는, 도시 우수관 연결부(232)를 통해 도시 우수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contaminant processing unit 232a is connected to the city gas pipeline through the city gas pipeline connection unit 232.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조의 제2 여과부를 통과하지 못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조의 유입공간 바닥에 구비되는 침전조(160; 2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edimentation tank (160, 226)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flow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to remove contaminants that have not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of the filtration tank.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협잡물 처리부(232a)와 상기 유입공간(231a)은 빗물정화부 구획판(225)에 의해 구별되며, 상기 빗물정화부 구획판(225)과 상기 제1 여과부(221)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the impurity treating section 232a and the inflow space 231a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 rainwater purifying section partition plate 225, and the rainwater purifying section partition plate 225 and the first filtering section 221, Are inclined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경사부(222)는 수평방향에 대해 5~15° 경사를 갖으며, 상기 제1 여과부(221)는 상기 수평방향에 대해 30~60°의 경사를 갖으며, 상기 빗물정화부 구획판(225)은 상기 수평방향에 대해 120~150°의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st preferably,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2 has an inclination of 5 to 15 °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filtering portion 221 has an inclination of 30 to 60 °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ainwater purifying section partition plate 225 has an inclination of 120 to 1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여과유닛(240)은, 2개 이상의 슬라이더홈(241a)이 내부에 형성된 여재 박스(241)와, 상기 슬라이더홈(241a)에 탈착가능하도록 끼워지는 2개 이상의 여재공간구획 필터(242)와, 상기 여재공간구획 필터(242) 사이에 충전되는 여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second filtration unit 240 includes a filter box 241 having two or more slider grooves 241a formed therein, at least two filter media 241a, And a filter material filled between the space partition filter 242 and the filter medium space filter 24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따르면, 초기우수를 상부 그레이팅과 제1 여과부재와 제2 여과부재에서 효과적으로 3번 이상 여과하여 지하 토양 또는 하수관에 깨끗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itial rainwater can be efficiently filtered three times or more from the upper grating, the first filtration member, and the second filtration member to supply clean rainwater to the underground soil or the sewage pipe have.

또한,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여과되어 침적된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가 하면, 여과부재를 성황에 맞게 교체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ditional effect that the durability is excellent, the filtered and deposited contaminants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filtration member can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prospect.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Fur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화 집수조와 이중 배수관을 구비한 침투 및 저류 시스템의 이중 배수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가 매설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비점오염 저감 장치가 결합된 투영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빗물받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투영도.
도 9는 도 6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처리 개념도.
도 10은 도 6의 가변형 제2 여과유닛의 상세도.
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drain pipe of a penetration and storage system having a purge water collecting tank and a double water pip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A.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embedd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mbined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shown in FIG. 3; FIG.
5 is a use state diagram of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including a pretreatment rainwater receiver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in FIG.
8 is a projection view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in FIG.
9 is a process conceptual view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in Fig.
Figure 10 is a detailed view of the variable second filtration unit of Figure 6;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0. FIG.

다만,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and Examples are provided only to facilita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embodiments, It would be easy to know if you are a person who has.

(제1 실시예)(Embodiment 1)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Now,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도 2는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가 매설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비점오염 저감 장치가 결합된 투영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3 is a dis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pollu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5 is a use state diagram of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전술한 것과 같이, 도시가 발달하면서 건축 면적이 증가하고, 도로(1)가 포장되면서, 도시 지역의 비점오염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ity, the building area increases, and the road 1 is packed, and the problem of non-point pollution in urban areas is emerging.

여기서, 도시 지역의 비점오염원은 대지, 도로(1), 건물의 지붕 등 다양하지만, 가장 큰 부하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도로(1) 노면의 비점오염원이다. 도로(1) 노면에 쌓인 낙엽, 먼지, 유류, 자동차에 의해 기인한 중금속 및 타이어 마모재 등이 강우시 초기우수에 의한 유출의 형태로 배출되기 때문이다.Here, the nonpoint source of pollution in urban areas varies from land, road (1), and roof of a building, but the largest share of load is the nonpoint source of road (1). Roads (1) This is because the leaves, dust, oil, heavy metal, and tire wear caused by automobiles accumulated on the road surface are discharged in the form of outflow due to initial rainfall during rainfall.

따라서,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100)는 도로(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road 1.

도 2를 참조하면 지면은 크게 도로(1)와 보도(2)로 구획되며, 이러한 구획은 경계석(3)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보도(2)는 도로(1)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도로(1)와 보도(2)는 경계석(3)을 기준으로 구획되며, 본 발명은 도로(1)변, 즉, 도로(1)와 경계석(3)이 인접하는 곳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ground is largely divided into a road 1 and a sidewalk 2, and these sections are divided based on the boundary stones 3. Specifically, the sidewalk 2 is generally formed higher than the road 1, and the road 1 and the sidewalk 2 are partitioned on the basis of the boundary stones 3, That is, the road 1 and the boundary stones 3 can b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은 도 3에 도시된 비점오염 저감 장치(100)가 결합된 투영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onpoint contamination abatement device 100 shown in FIG. 3 combin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장치(100)는 크게 상부 그레이팅(110), 제1 여과유닛(120), 여과조(130), 제2 여과유닛(140) 및 월류관(131)을 포함한다.3,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n upper grating 110, a first filtration unit 120, a filtration tank 130, a second filtration unit 140, And a sidewall pipe 131.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그레이팅(110)은 지면에 노출되어 초기우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내구성을 고려하여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기우수 및 초기우수에 의해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유입될 수 있도록 비교적 큰 격자구조를 가지고 형성된다.In particular, the upper grating 1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durability because the upper grating 110 is exposed to the ground and the initial storm flows therein. In order to allow the contaminants introduced by the initial storm and the initial storm to be introduced And is formed with a relatively large lattice structure.

상기 제1 여과유닛(120)은 상기 상부 그레이팅(110) 하측에 구비되며, 유입된 초기우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기 위하여 형성된 제1 여과부로서의 제1 메쉬부(121)를 포함한다.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includes a first mesh unit 121 provided below the upper grating 110 and serving as a first filtration unit for primarily filtering incoming initial storms.

또한, 상기 제1 여과유닛(120)은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효과적으로 제1 메쉬부(121)로 집중시키기 위해 유도경사면(122)과 테이퍼면(123)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may include an induction slope 122 and a tapered surface 123 to effectively concentrate the initial storm that flows into the first mesh unit 121.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여과유닛(120)은 상기 제1 메쉬부(121)의 일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 그레이팅(110)을 통해 유입된 초기우수를 상기 제1 메쉬부(121)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경사면(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is sloped at one side of the first mesh part 121 to guide the initial stripe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grating 110 to the first mesh part 121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slope 122 is formed.

또한, 상기 제1 메쉬부(121)는 상기 플랜지부(124)의 내측변과 연결되는 세 개의 측벽과, 상기 유도경사면(122)과 연결되는 하나의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네 개의 측벽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대향하는 측벽과 가까워지게 경사진 테이퍼면(12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mesh portion 121 is formed with three sidewall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flange portion 124 and one sidewall connected to the guide slope 122, And a tapered surface 123 that is inclined so as to be closer to the opposite side wall toward the lower side.

한편, 상기 제1 여과유닛(120)은 상기 제1 여과유닛(12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그레이팅(110)을 지지하기 위한 플랜지부(124)를 포함하여 안정적인 비점오염 저감 장치(100)의 상호 간 체결을 도모할 수 있다.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includes a flange portion 124 formed at an upper edge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to support the upper grating 110 so that the stable non- ) Can be mutually interlocked.

상기 여과조(130)는 상기 제1 여과유닛(120)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여과유닛(120)에 의해 여과된 초기우수가 수용된다. 상기 여과조(130)의 상측면은 상기 제1 여과유닛(120)에 형성된 플랜지부(124)의 하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여과조(130)는 초기우수를 수용하기 위해 비투과성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ltration tank 130 is provided below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and receives the initial storm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ration tank 130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124 formed in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This filtration tank 130 may be formed of a non-permeable concrete material to accommodate the initial storm.

한편, 상기 제2 여과유닛(140)은 상기 여과조(130)의 내부를 상기 제1 메쉬부(121) 하측의 공간으로서의 유입공간(131a)과 그 외의 공간으로서의 유출공간(131b)으로 구획하며, 유입된 초기우수가 상기 유입공간(131a)에서 유출공간(131b)으로 이동시 2차적으로 초기우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형성된 제2 메쉬부(141)를 포함한다.The second filtration unit 140 divides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130 into an inflow space 131a as a space below the first mesh portion 121 and an outflow space 131b as a space outside the first mesh portion 121, And a second mesh portion 141 formed to filter the initial rain when the incoming initial rain is moved from the inflow space 131a to the outflow space 131b.

즉, 상기 유입공간(131a)은 상기 제1 메쉬부(121) 하측에 구획되어 상기 제1 메쉬부(121)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된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공간이고, 상기 유출공간(131b)은 상기 유입공간(131a)에서 초기우수가 유입될 때 제2 메쉬부(141)에 의해 2차적으로 여과된 초기우수가 유입되어 외부로 유출된다.That is, the inflow space 131a is a space partitioned below the first mesh part 121 and primarily inflowed by the first mesh part 121, and the inflow space 131b, When the initial storm flows in the inflow space 131a, the initial storm filtered by the second mesh portion 141 is flowed in and out.

이러한 제2 여과유닛(140)은 상기 여과조(130)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여과조(130)의 유입공간(131a)과 유출공간(131b)을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수량이 많은 경우, 여과조(130)의 상단부분, 즉, 상기 제2 여과유닛(140)이 위치하지 아니한 부분으로 초기우수를 유입공간(131a)에서 유출공간(131b)으로 신속히 이동시켜 초기우수의 오버플로우(over flow)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second filtration unit 140 may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ltration tank 130 to partition the inflow space 131a and the outflow space 131b of the filtration tank 130. [ When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s large, the initial storm is quickly moved from the inflow space 131a to the outflow space 131b by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ration tank 130, that is,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filtration unit 140 is not located, Because it can limit overflow.

한편, 상기 월류관(131)은 유출공간(131b)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여과된 초기우수를 여과조(130)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외부라 함은 지하 토양 또는 하수관일 수 있다. 상기 월류관(131)은 상기 유출공간(131b)의 일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2 메쉬부(141)에 의해 여과되지 아니한 최종 침전물을 침전시키고 깨끗한 초기우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유출공간(131b)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 pipe 13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let space 131b to discharge the filtered initial effluent to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130. Here, external may be underground soil or sewage. The drain pipe 13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flow space 131b so as to deposit the final sediment that has not been filtered by the second mesh unit 141 and to discharge clean initial storages to the outside.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131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 그레이팅(110)과 제1 여과유닛(120)의 안정적인 체결을 도모하며, 최종적으로 상부 그레이팅(110), 제1 여과유닛(120) 및 여과조(130)의 견고한 체결을 도모하기 위한 고정틀(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grating 110 and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are securely fastened to each other and finally the upper grating 110,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and the filtration tank 130 are tightly fastened. And may further include a fixed frame 150 for supporting the robot.

이러한 고정틀(150)은 상기 제1 여과유닛(120)과 여과조(130)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 그레이팅(110)과 제1 여과유닛(120)의 플랜지부(124)를 수용하여 상기 여과조(130)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견고한 고정을 위해, 상기 고정틀(150)은 철재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ed frame 15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and the filtration tank 130 so as to receive the upper grating 110 and the flange portion 124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130). Also, for rigid fixation, the fixture 150 is preferably formed of a steel structure.

한편, 상기 제1 메쉬부(121)를 통과하지 못한 오염물은 상기 상부 그레이팅(110)을 탈거하여 제거할 수 있으나, 상기 제2 메쉬부(141)를 통과하지 못한 오염물을 손쉽게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조(130)의 유입공간(131a) 바닥에 구비되는 침전조(16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contaminant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first mesh part 121 can be removed by removing the upper grating 110. However, in order to easily remove contaminants that have not passed through the second mesh part 141, And a sedimentation tank 16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flow space 131a of the filtration tank 130.

이러한 침전조(160)는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입공간(131a)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한편, 상기 침전조(160)의 측벽은 상기 제2 여과유닛(140) 높이의 절반 이하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여과유닛(140)의 제2 여과부로서의 제2 메쉬부(141)를 상기 침전조(160) 측벽이 막게 된다면 여과 성능 및 초기우수의 유동을 방해하기 때문이다.The sedimentation tank 160 has a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is detachably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flow space 131a. The sidewall of the sedimentation tank 160 may have a height of less than half the height of the second filtration unit 140. If the sidewalls of the sedimentation tank 160 block the second mesh portion 141 as the second filtration portion of the second filtration unit 140, filtration performance and flow of the initial storm are disturbed.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state of use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점오염 저감 장치(100)의 사용 상태도이다.5 is a use state diagram of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일단 지면에서 초기우수가 오염 물질들과 함께 상부 그레이팅(110)을 통과한다. 상기 상부 그레이팅(110)은 비교적 큰 격자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오염물들, 예를 들면, 낙엽, 담배 꽁초, 먼지, 타이어 분진 등이 초기우수와 함께 유입된다.Referring to FIG. 5, once the ground surface has passed through the upper grating 110 with contaminants. Since the upper grating 110 has a relatively large lattice structure, contaminants having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leaves, cigarette butts, dust, tire dust, etc., are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initial storm.

이 후,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제1 여과유닛(120)에 형성된 유도경사면(122) 또는 테이퍼면(123)을 통해 제1 메쉬부(121)로 집중되어 낙엽, 담배 꽁초 등과 같이 입자 크기를 갖지 아니한 비교적 큰 오염물들이 1차적으로 여과된다.The initial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mesh unit 121 through the guided inclined surface 122 or the tapered surface 123 formed in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Relatively large contaminants that do not have a particle size, such as leaves, cigarette butts, etc., are primarily filtered.

이 후, 1차적으로 여과된 초기우수는 여과조(130) 내부로 유입되고, 제2 여과유닛(140)으로써 구획된 유입공간(131a)에 유입된다. 유입된 초기우수는 침전조(160)에 수용되다가, 침전조(160)의 측벽 높이 이상 수용되면 상기 제2 여과유닛(140)을 통과하여 유출공간(131b)으로 이동된다.Thereafter, the primary filtrate that has been primarily filtered flows into the filtration tank 130 and flows into the inflow space 131a defined by the second filtration unit 140. The introduced initial rainwater is received in the sedimentation tank 160 and then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ration unit 140 and moved to the outflow space 131b when the height of the sedimentation tank 160 is greater than the sidewall height.

물론, 강우량이 많은 경우는 상기 제2 메쉬부(141)를 통과하지 못한 채 수위가 높아지게 되며, 이러한 경우 오버플로우 방지를 위해 상기 제2 여과유닛(140) 위로 빠르게 초기우수가 유동될 수 있다.Of course, when the amount of rainfall is large, the water level becomes high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mesh part 141. In this case, the initial stormwater can flow quickly onto the second filtration unit 140 to prevent overflow.

상기 제2 여과유닛(140)에는 여과재로서 안스라사이트, 제올라이트, 버미큘라이트, 활성탄 등을 두어 중금속 및 오염물질을 여과하므로, 초기우수는 깨끗한 상태로서 오염물들이 제거될 수 있다. 이렇게 2차적으로 오염물이 제거된 초기우수는 상기 유출공간(131b) 바닥면에서부터 수용되어 가다가 상기 월류관(131)의 높이 이상 수용되면, 상기 월류관(131)을 통해 외부로 유출된다.In the second filtration unit 140, anslasthite, zeolite, vermiculite, activated carbon, and the like are filtered to filter heavy metals and pollutants, so that the initial pollutants are clean and the pollutants can be removed. The initial clearance, from which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is receiv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flow space 131b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verflow pipe 131 when the contaminant is received over the height of the overflow pipe 131.

상기 월류관(131)이 일정 높이 이상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유출공간(131b)에 수용되는 초기우수의 미세한 잔여 침전물이 걸러질 수 있는 것이다. Since the overflow pipe 131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r higher, fine residual deposits in the initial storages received in the outflow space 131b can be filtered.

따라서, 본 실시예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따르면, 초기우수를 상부 그레이팅과 제1 여과부재와 제2 여과부재에서 효과적으로 3번 이상 여과하되 크기 순으로 차례로 여과하므로, 특히 협잡물이 제1 여과부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어 협잡물의 분리가 쉬우므로 협잡물이 월류관을 막는 현상을 방지가능하고, 지하 토양 또는 하수관에 깨끗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itial rainwater is effectively filtered three times or more in order from the upper grating, the first filtration member, and the second filtration mem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struction from blocking the overflow pipe and to supply the clean soil to the underground soil or the sewage pipe.

기타 추가적인 효과는, 추후 제2 실시예와 함께 설명되어 진다.
Other additional effect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the second embodiment.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빗물받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ow,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pretreatment rainwater recei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빗물받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투영도이고, 도 9는 도 6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처리 개념도이며, 도 10은 도 6의 가변형 제2 여과유닛의 상세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including a pretreatment rainwater 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of FIG. 6, Fig. 9 is a process conceptual diagram of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of Fig. 6, and Fig. 10 is a detailed view of the variable second filtration unit of Fig.

본 발명은 사각형의 콘크리트 구조체를 가진 몸체로서의 여과조(230)와 유출수 내에 포함된 협잡물과 큰 입상의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스크린으로서의 제1 여과유닛(220)을 포함하고 있으며, 분리된 유입수의 오염을 정화하기 위해 여재를 넣는 여재박스로서의 제2 여과유닛(240)을 포함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ltration tank 230 as a body having a rectangular concrete structure and a first filtration unit 220 as a separation screen for separating contaminants and large granular materials contained in the effluent, And a second filtration unit 240 as a filter box for filtering the filter material to purify the filtration media.

본 발명은 도로변에서 발생되는 표면유출수의 수질을 정화하여 침투 및 저류시키기 위한 전처리 빗물받이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로 빗물의 유도판(222, 222')에 의해 가속된 빗물이 분리스크린(220)에 의하여 협잡물과 큰 입상의 물질을 분리하고 분리된 빗물이 여재가 포함된 여재박스(240)를 통과함으로써 오염도를 처리하고 최종적으로 침투 및 저류시설로 배출할 수 있는 전처리 시설로 사용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apparatus including a pretreatment rainwater collecting apparatus for purifying and infiltrating surface runoff water generated on the road side, wherein rainwater accelerated by the rainwater induction plates 222, 222 ' ), It is possible to use the separated rainwater as a pretreatment facility capable of treating the contamination degree and finally discharging it to the infiltration and storage facility by passing the separated rainwater through the filter box 240 containing the filter materi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1차적으로 전처리 빗물받이로 유도하기 위해 5~15° 경사를 갖는 빗물유도판(222, 222')과, 2차적으로 협잡물 및 큰 입상의 물질을 분리하는 구조의 30~60°의 경사를 갖는 협잡물 분리 경사 스크린(220)과, 분리스크린을 통과하여 4~5시 방향의 경사를 갖는 빗물정화부쪽의 공간으로 유입된 빗물이 여재박스(240)를 통과하여 정화되며, 정화된 빗물이 침투시설로 유입되는 월류관(231)과, 협잡물 수거부의 하단에 연결된 도시우수관 연결부(232)를 포함하는 비점오염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ainwater guiding plate having a rainwater guiding plate (222, 222 ') having a slope of 5 to 15 degrees to guide rainwater flowing from the upper part to the pre- A slope separation screen 230 having a slope of 30 to 60 占 of a structure for separating the granular material and rainwater flowing into the space of the rainwater purification section through the separation screen and having a slope at 4 to 5 o'clock direction, Point pipe 231 which is purified by passing through the box 240 and into which the purified rainwater flows into the infiltration facility and an outflow pipe connection 232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minant rejection.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빗물받이의 내부는 협잡물 수거부와 빗물정화부 두 개의 공간으로 분리된다.Preferably, the inside of the rainwater collector of this embodiment is divided into two spaces, namely, the rainwater rejection section and the rainwater purification section.

바람직하게는 제1 여과유닛(220)은 상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1차적으로 전처리 빗물받이로 유도하기 위한 빗물유도판(222, 222')과, 가속된 빗물이 2차적으로 협잡물 및 큰 입상의 물질을 분리하는 구조를 가진 협잡물 분리스크린(221)과, 빗물정화부 구획판(도 6 내지 도 8에서 4-5시 방향의 경사를 갖는 판)(225)과 협잡물 분리스크린에 의해 걸려진 협잡물 등이 흘러들어가는 도시우수관 연결부(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first filtration unit 220 includes a rainwater guide plate 222, 222 'for guiding the rainwater introduced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pre-treatment rainwater collector, and a rainwater guide plate 222, (A plate having a slope in the direction of 4-5 o'clock in Fig. 6 to Fig. 8) 225 and a contaminant trapping screen (not shown) attached to the contaminant separating screen And a city bridging pipe connection part 232 through which the bricks and the like flow.

바람직하게 제2 여과유닛(240)은, 빗물정화부 구획판(225)에 의해 구획되고 분리스크린(221)에서 분리된 빗물이 유입되어 정화할 수 있는 여재(미 도시됨)를 포함한 여재박스(241)와, 정화된 빗물이 침투시설로 들어갈 수 있게 유도하는 월류관(2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여재박스(241)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슬라이더홈(241a)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슬라이더홈으로 여재공간구획 필터(242)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며, 그러한 필터 사이에 적정한 여재가 채워짐으로써, 그때그때 필터와 여재를 적절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갖도록 가변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cond filtration unit 240 includes a filtration box (not shown) including a filter medium (not shown) partitioned by the rainwater purification section partition plate 225 and capable of purifying the rainwater separated by the separation screen 221 241), and a sidewall pipe (231) for guiding the purified rainwater into the infiltration facility. At this time, a slider groove 241a is formed in the filter box 241 at an appropriate interval, and the filter space filter 242 is inserted into the slider groove in a sliding manner. , It is more preferable to have a variable shape so as to have an advantage that the filter and the filter material can be appropriately replaced at that time.

더 추가하여 상술하면, 일례로 사각 프레임 형상의 고정틀(250) 상측에는 상부그레이팅(210)이 안착되며, 이는 빗물구조틀의 보호와 도로면의 빗물 유입이 가능한 그레이팅 구조를 가진 철물 구조로 기존 도로용 그레이팅을 대체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upper grating 210 is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ctangular frame-shaped fixed frame 250, which is a metal structure having a grating structure capable of protecting the rainwater structure and inflow of rainwater on the road surface. You can replace the grating.

아울러, 상기 고정틀(250) 내측 및 저부에는 제1 여과 유닛(220)이 구비되는바, 이는 다시, 상기 고정틀(250)에 일측에 고정되는 플랜지부(224)와, 안쪽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1 빗물유도판(222)이 구비됨으로써 표면유출수를 제1 여과부에 해당하는 협잡물 분리 스크린(221)으로 유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틀(250)에 타측에 제2 빗물유도판(222')이 구비됨으로써 타측에서도 역시 표면유출수를 상기 협잡물 분리 스크린(221)으로 유도하는 것이 좋다.The first filtration unit 220 is disposed inside and on the bottom of the fixed frame 250. The first filtration unit 2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flange portion 224 fixed to one side of the fixed frame 250, The rainwater guide plate 222 is provided to guide the surface run-off water to the contaminant separation screen 221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ltration unit. Preferably, the second rainwater guide plate 222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frame 250 to guide the surface runoff water to the contaminant separation screen 221 on the other side.

상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1차적으로 전처리 빗물받이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진 유도판(222, 222')에 의해 가속을 시키고, 가속된 빗물은 2차적으로 협잡물 및 큰 입상의 물질을 분리하는 구조를 가진 경사진 협잡물 분리 스크린(221)에 의하여 빗물과 협잡물을 분리시킨다. Acceleration is performed by inclined guide plates 222 and 222 'for guiding the rainwater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pre-treatment rainwater basin, and accelerated rainwater is used for separating the contaminants and large granular materials And separates the rainwater and the contaminants by the inclined contaminant separation screen (221).

즉, 상기 협잡물 분리 스크린은, 유출수 내에 포함된 협잡물과 큰 입상의 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분리스크린으로서, 유출수 내 도로변 협잡물 (쓰레기, 담배꽁초, 낙엽, 모래와 같은 큰 입자의 물질 등)을 분리하고, 빗물을 여과조(230)가 있는 공간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경사진 스크린은 빗물유도판에 의해 가속된 빗물을 중력에 의해 빗물은 스크린의 아래로 떨어지게 하고, 한편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은 경사스크린 하단의 협잡물 처리부(232a)로 보내지며, 최종적으로 협잡물 처리부에서는 지속적인 유지관리와 물 고임현상에 의한 해충의 서식지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단부를 도시우수관 연결부(232)를 통해 도시우수관과 연결하여 배출한다. 즉, 도시우수관의 맨홀과 같은 부분에서 협잡물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 (226)은 제1 여과 유닛(220)의 침전조이다.That is, the screen for separating contaminants is a separation screen for separating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effluent and the large granular substances, and separates roadside contaminants (such as waste, cigarette butts, leaves, sand, etc.) And guiding the rainwater into the space where the filtration tank 230 is located. The inclined screen causes the rainwater accelerated by the rainwater guiding plate to fall down by the gravity by the rainwater, while the obstruction filtered by the screen is sent to the obstacle processing unit 232a at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creen, , The lower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city gutter through the connection pipe 232 of the city gutter to discharge the habitat of the insect caused by the continuous maintenance and the water gutter phenomen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contaminants at the same time as the manhole of the city gutter. Reference numeral 226 denotes a settling tank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220.

이제, 협잡물이 제거된 우수는, 제2 여과 유닛(240)을 포함하는 여과조(230)로 향하게 되는바, 상기 여과조(230)는 상기 빗물정화부 구획판(225)에 의해 규정되는 도 6 및 도 7의 좌측에 위치하는 협잡물 처리부(232a)와, 상기 빗물정화부 구획판(225)과 상기 제2 여과 유닛(230)에 의해 규정되는 중앙의 유입 공간(231a), 및 상기 제2 여과 유닛(230)에 의해 규정되는 도 6 및 도 7의 우측에 위치하는 유출 공간(231b)으로 이루어진다.6 and 7, which are defined by the rainwater purifying section partition plate 225, are directed to the filtration tank 230 including the second filtration unit 240 A central inflow space 231a defined by the rainwater purification section partition plate 225 and the second filtration unit 230 and a second inflow space 231b defined by the rainwater purification section partition plate 225 and the second filtration unit 230, And an outflow space 231b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Fig. 6 and Fig.

상기 제2 여과 유닛(240)은, 가변형 복합 여재박스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적용되는 공간의 오염도에 따라 여재와 필터의 종류 및 양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여재박스(241)를 포함한다. 즉, 다양한 여재를 적용하기 위하여 여재박스(241) 내 공간구획 슬라이더홈(241a)(필터 끼움틀)에 알루미늄 필터(242)를 끼워둠으로써, 여재 간에 섞이지 않게 하며, 또한 알루미늄 필터는 유입수에 포함된 기름기 및 오염물질을 스크린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여재박스 내 여재공간구획필터는, 처리하고자 하는 유출수의 오염도 및 성상에 따라 여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공간을 구획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자체적으로도 스크린 기능을 갖는다. 즉, 상기 필터(242) 및 여재가 제1 여과부에 대응되는 제2 여과부를 형성한다.The second filtration unit 240 includes a filter media box 241 designed to selectively apply the filter media and the type and amount of filter media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pplied space as described above do. That is, in order to apply various filter media, the aluminum filter 242 is fitted to the space dividing slider groove 241a (filter inserting frame) in the filter box 241 so as not to be mixed in the filter media, And screening of greasy and contaminants. That is, the filter media partition filter in the filter box functions to partition the space in order to selectively use the filter media according to the pollution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the effluent to be treated, and also has a screen function by itself. That is, the filter 242 and the filtering material form a second filter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first filtering part.

마지막으로, 상기 여과조(230)는 유출부측인 우측에, 월류부로서의 유출 공간(231b) 및 월류관(231)을 갖는바, 상기 가변형 복합여재박스에서 처리된 유입수가 일시적으로 모이는 유출 공간인 월류부에 정체된 처리수는 측면에 조성된 월류관(231)을 통하여 침투 및 저류시설 또는 외부로 배출된다.
Finally, the filtration tank 230 has a flow-out space 231b and a flow-over pipe 231 as a ridge portion on the right side on the side of the outflow portion, and the inflow water processed in the variable- The treated water stagnated in the runner is discharged to the infiltration and storage facility or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wall 231 formed on the side surface.

이제, 도 9를 참조하여, 도로표면수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Now, referring to FIG. 9, a method of processing the road surface number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200)는, 도로의 상부 하중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빗물받이 구조체로서의 고정틀(250) 및 상부 그레이팅(210)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1차적으로 전처리 빗물받이인 제1 여과 유닛(220)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진 유도판(222, 222')에 의해 가속을 시키고, 가속된 빗물은 2차적으로 협잡물 및 큰 입상의 물질을 분리하는 구조를 가진 경사진 협잡물 분리 스크린(221)에 의하여 빗물과 협잡물을 분리시킨다.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xed frame 250 and an upper grating 210 as concrete rain storm receiving structures to structurally solve an upper load of a road, Accelerated by the inclined guide plates 222 and 222 'for guiding to the first filtration unit 220 which is a pretreatment rainwater reservoir, and accelerated rainwater has a structure for separating contaminants and large granular materials Separates the rainwater and the contaminants by the inclined contaminant separation screen (221).

이때, 분리된 협잡물은 측면부 하단에 위치한 도시우수관 연결부(232)를 통해 도시우수관으로 바로 보내지며, 따로 차집된 빗물은 3차적으로 여재박스를 포함하는 제2 여과 유닛(240)을 통과함으로서 유입수의 오염도를 처리한다. At this time, the separated contaminants are directly sent to the city gutters through the city gutters connecting section 232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ide part, and the rainwater collected separately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ration unit 240 including the filter box, Handles pollution.

최종적으로 처리된 처리수는 월류부인 유출 공간(231b)의 측면에 위치한 월류관(231)을 통하여 침투 및 저류시설로 월류된다. The finally treated water is passed to the infiltration and storage facility through the overflow pipe 231 located on the side of the overflowing effluent space 231b.

이때, 상기 여재박스는, 지역별 또는 구간별 오염도에 대응하기 위하여 여재의 종류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오염도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가변식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filter box can be selectively applied to correspond to the pollution degree by region or se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variable so that the pollution degree can be efficiently removed.

따라서, 본 제2 실시예의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따르면, 제1 실시예에 비해, 협잡물이 아예 도시 우수 관거로 빠져 나가도록 되어 있어, 협잡물의 분리가 더욱 쉬우므로 협잡물이 월류관을 막는 현상을 완전 방지가능하고, 지하 토양 또는 하수관에 깨끗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pollutants are allowed to escape into the urban stormwater conduit entirely,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ollutants are more easily separated,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clean rainwater to underground soil or sewage pipes.

결국, 본 발명의 기본적인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따르면, 초기우수를 상부 그레이팅과 제1 여과부재와 제2 여과부재에서 효과적으로 3번 이상 여과하되 크기 순으로 차례로 여과하므로, 특히 협잡물의 분리가 쉬우므로 협잡물이 월류관을 막는 현상을 방지가능하고, 지하 토양 또는 하수관에 깨끗한 우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basic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itial rainwater is effectively filtered three times or more in order from the upper grating, the first filtration member, and the second filtration member in order of siz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blocking the overflow pipe, and it is possible to supply clean rainwater to the underground soil or the sewage pipe.

또한, 상기 제1 경사부(122; 222) 및 제2 경사부(123; 2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부(121; 221) 쪽으로 초기 우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되도록 하면서 제1 여과부(121; 221)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2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123 'are formed so that the initial clearance can be more effectively guided toward the first filtration portion 12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121 (221).

상기 제1 여과부(221)는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여과부(221)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협잡물 처리부(232a)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협잡물의 처리가 용이하며, 상기 협잡물 처리부(232a)가 도시 우수관 연결부(232)를 통해 도시 우수관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협잡물의 처리가 더욱 처리가 용이해진다.The first filtration unit 221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and the contaminants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221 are separated by the contaminant treatment unit 232a so that the treatment of the contaminants is easy and the contaminants treatment unit 232a Is connected to the city gutter through the city grate pipe connecting part 232, the processing of the grate can be further facilitated.

특히, 상기 협잡물 처리부(232a)와 상기 유입공간(231a)은 빗물정화부 구획판(225)에 의해 구별되며, 상기 빗물정화부 구획판(225)과 상기 제1 여과부(221)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경우, 협잡물이 처리수와 완전히 분리되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경사부(222)는 수평방향에 대해 5~15° 경사를, 상기 제1 여과부(221)는 상기 수평방향에 대해 30~60°의 경사를, 상기 빗물정화부 구획판(225)은 상기 수평방향에 대해 120~150°의 경사를 갖는 것이 협잡물의 처리 및 관리에 있어 최적인 상태가 된다.Particularly, the impurity treating section 232a and the inflow space 231a are distinguished by the rainwater purifying section partition plate 225. The rainwater purifying section partition plate 225 and the first filtering section 221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2 is inclined at 5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filtering portion 221 is inclined at an angle of 5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rainwater purifying section partition plate 225 has an inclination of 120 to 1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optimal for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the contaminants.

아울러, 상기 제2 여과유닛은 상기 여과조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여과조의 유입공간과 유출공간을 구획하는 경우, 제2 여과부에 의해 처리 전과 처리 후가 완전히 분리되어 바람직하며, 홍수 시와 같이 우수가 매우 많을 경우에는 홍수로 인한 배출수의 정체를 막을 수가 있다는 추가 효과를 갖는다.When the second filtration unit has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ltration tank and separates the inflow space and the outflow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filtration unit completely separates the before and after treatment from each other, In the case of very high storms, the additional effect is that flood water can be prevented from stagnating.

더욱이, 상기 월류관은 상기 유출공간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일측면에 구비된 경우, 제2 여과장치를 통과한 미세한 분진의 누적으로 인한 월류관의 막힘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overflow pip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flow space, the clogging of the overflow pipe due to accumulation of fine dust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ing apparatus can be minimized.

상기 제1 여과유닛과 여과조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 그레이팅과 제1 여과유닛의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여과조에 고정시키는 고정틀(150; 250)을 더 포함함으로서, 견고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가 가능하다.And a fixed frame (150; 250)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the filtration tank for receiving the upper grating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fixing the flange to the filtration tank, Device is possible.

상기 여과조의 제2 여과부를 통과하지 못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조의 유입공간 바닥에 구비되는 침전조(160; 226)를 더 포함하는 경우, 침전조만 들어내서 여과되어 침적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면 되므로, 여과되어 침적된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In order to remove contaminants that have not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ration unit of the filtration tank, when the filtration tank further includes a sedimentation tank 160 (226)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flow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only the sedimentation tank is filtered to remove the deposited contaminants There is an additional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deposited contaminants by filtration.

마지막으로, 상기 제2 여과유닛(240)을 가변형으로 구성하여, 여과부재를 성황에 맞게 교체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Finally, the second filtration unit 24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variable shape, so that the filtration member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rosperity.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제1 실시예)
100: 비점오염 저감 장치 110: 상부 그레이팅
120: 제1 여과유닛 121: 제1 메쉬부
122: 유도경사면 123: 테이퍼면
124: 플랜지부 130: 여과조
131: 월류관 140: 제2 여과유닛
141: 제2 메쉬부 150: 고정틀
160: 침전조
(제2 실시예)
200: 비점오염 저감 장치 210: 상부 그레이팅
220: 제1 여과유닛 221: 제1 여과부
222, 222': 빗물유도판 224: 플랜지부
225: 빗물정화부 구획판 226: 침전조
230: 여과조 231: 월류관
132: 우수연결관 연결부 240: 제2 여과유닛
241: 여재박스 242: 여재공간구획 필터
(Embodiment 1)
100: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110: Upper grating
120: first filtration unit 121: first mesh part
122: guiding inclined surface 123: tapered surface
124: flange portion 130: filtration tank
131: Wetting pipe 140: Second filtration unit
141: second mesh portion 150: fixed frame
160: settling tank
(Second Embodiment)
200: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210: Upper grating
220: first filtration unit 221: first filtration unit
222, 222 ': Rainwater guide plate 224:
225: Rainwater purifying compartment partition plate 226: Settling tank
230: Filtration tank 231:
132: Excellent connector connection 240: Second filtration unit
241: Filter box 242: Filter space filter

Claims (12)

지면에 노출되어 초기우수가 유입되는 상부 그레이팅(110; 210);
상기 상부 그레이팅 하측에 구비되며, 유입된 초기우수를 1차적으로 여과하기 위하여 형성된 제1 여과부(121; 221)를 갖는 제1 여과유닛(120; 220);
상기 제1 여과유닛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여과유닛에 의해 여과된 초기우수가 수용되는 여과조(130; 230);
상기 여과조의 내부를 상기 제1 여과유닛에 의해 1차적으로 여과된 유입수를 임시저장하는 유입공간(131a; 231a)과 그 외의 공간으로서의 유출공간(131b; 231b)으로 구획하며, 유입된 초기우수가 상기 유입공간에서 유출공간으로 이동시 2차적으로 초기우수를 여과하기 위하여 형성된 제2 여과유닛(140; 240); 및
상기 유출공간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여과된 초기우수를 여과조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월류관(131; 23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여과유닛(120; 220)의 메쉬는 제2 여과유닛(140; 240)의 메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An upper grating (110; 210) exposed to the ground to introduce initial storms;
A first filtration unit (120; 220) provided below the upper grating and having a first filtration unit (121; 221) formed to primarily filter the introduced initial rainwater;
A filtration tank (130; 230) provided below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containing an initial storm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tank is divided into an inflow space 131a (231a) for temporarily storing inflow water primarily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an outflow space (131b; 231b) A second filtration unit (140; 240) formed to primarily filter the initial storm upon movement from the inflow space to the outflow space; And
And a drain pipe (131; 23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let space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initials to the outside of the filtration tank,
Wherein the mesh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120; 220) is larger than the mesh of the second filtration unit (140; 2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유닛(120; 220)은 상기 제1 여과부(121; 221) 쪽으로 경사진 초기 우수를 유도하는 제1 경사부(122; 2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ltration unit has a first slope part for guiding an initial slope toward the first filtration part and a second slope part for guiding the initial slope toward the first filtratio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부(221)는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 여과부(221)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이 협잡물 처리부(232a)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iltration part (221)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and the contaminants filtered by the first filtration part (221) are separated into the impurity treatment part (232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122; 222)의 다른 면에도 제2 경사부(123; 2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여과부(121; 221) 쪽으로 초기 우수가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inclined portions 123 and 222 'are formed on the other surfaces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s 122 and 222 so that initial voids are more effectively guided toward the first filtering portions 121 and 221, Wherein the non-point pollution abatement devic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유닛은 상기 여과조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고 상기 여과조의 유입공간과 유출공간을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filtration unit has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ltration tank and divides the inflow space and the outflow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관은 상기 유출공간의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일측면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ain pip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let spac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유닛과 여과조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상부 그레이팅과 제1 여과유닛의 플랜지부를 수용하여 상기 여과조에 고정시키는 고정틀(150; 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ture (150; 250) provided between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the filtration tank, for receiving the upper grating and the flange of the first filtration unit and fixing the flange to the filtration tan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처리부(232a)는, 도시 우수관 연결부(232)를 통해 도시 우수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aminant processing unit (232a) is connected to the city gas pipeline through the city gas pipeline connection unit (2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의 제2 여과부를 통과하지 못한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조의 유입공간 바닥에 구비되는 침전조(160; 2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dimentation tank (160; 226)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inflow space of the filtration tank to remove contaminants that have not passed through the second filtration section of the filtration tan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 처리부(232a)와 상기 유입공간(231a)은 빗물정화부 구획판(225)에 의해 구별되며, 상기 빗물정화부 구획판(225)과 상기 제1 여과부(221)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aminant treatment unit 232a and the inflow space 231a are distinguished by the rainwater purifying unit partition plate 225. The rainwater purifying unit partition plate 225 and the first filtering unit 221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부(222)는 수평방향에 대해 5~15° 경사를 갖으며, 상기 제1 여과부(221)는 상기 수평방향에 대해 30~60°의 경사를 갖으며, 상기 빗물정화부 구획판(225)은 상기 수평방향에 대해 120~150°의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inclined portion 222 has an inclination of 5 to 1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rst filtering portion 221 has an inclination of 30 to 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partition plate (225) has an inclination of 120 to 15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유닛(240)은,
2개 이상의 슬라이더홈(241a)이 내부에 형성된 여재 박스(241)와,
상기 슬라이더홈(241a)에 탈착가능하도록 끼워지는 2개 이상의 여재공간구획 필터(242)와,
상기 여재공간구획 필터(242) 사이에 충전되는 여재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점오염 저감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iltration unit (240)
A filter box 241 in which at least two slider grooves 241a are formed,
Two or more filter media separating filters 242 which are detachably fitted to the slider grooves 241a,
The filter media 242 filled between the filter media
Wherein the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device comprises:
KR1020130127971A 2013-10-25 2013-10-25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KR101582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971A KR101582931B1 (en) 2013-10-25 2013-10-25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971A KR101582931B1 (en) 2013-10-25 2013-10-25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908A true KR20150047908A (en) 2015-05-06
KR101582931B1 KR101582931B1 (en) 2016-01-07

Family

ID=5338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971A KR101582931B1 (en) 2013-10-25 2013-10-25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93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78B1 (en) * 2016-08-23 2017-03-14 (주)신명건설기술공사 Sewer pipe having filtration mesh
CN109024853A (en) * 2017-06-12 2018-12-18 上海景域园林建设发展有限公司 A kind of ecological garden water circulation utilization system
CN111807433A (en) * 2020-07-11 2020-10-23 彭素荣 Water treatment rose box
CN113998804A (en) * 2021-11-19 2022-02-01 北京北排装备产业有限公司 Initial rainwater purifier
KR102373102B1 (en) * 2020-10-23 2022-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Hybrid rain water collection uni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25B1 (en) * 2003-02-18 2003-10-17 Bluegrenlink Co Ltd Apparatus for purifying runoff
KR20070016638A (en) * 2005-08-04 2007-02-08 나상철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KR100978238B1 (en) 2007-08-23 2010-08-26 한영해 Hoding tank for purification, Dual-structure drainpipe and Infiltration and detention system with them
KR20100113943A (en) * 2009-04-14 2010-10-22 현수건설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KR101122040B1 (en) 2009-12-31 2012-03-13 주식회사 한설그린 Rainwater purification and storage apparatus combining green area
KR101235008B1 (en) * 2012-05-04 2013-02-21 주식회사 그린텍 Non 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KR101239227B1 (en) 2012-08-13 2013-03-05 쎄파주식회사 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625B1 (en) * 2003-02-18 2003-10-17 Bluegrenlink Co Ltd Apparatus for purifying runoff
KR20070016638A (en) * 2005-08-04 2007-02-08 나상철 A sanitation facility of first rainwater-spilled water for bridge
KR100978238B1 (en) 2007-08-23 2010-08-26 한영해 Hoding tank for purification, Dual-structure drainpipe and Infiltration and detention system with them
KR20100113943A (en) * 2009-04-14 2010-10-22 현수건설 주식회사 Apparatus for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KR101122040B1 (en) 2009-12-31 2012-03-13 주식회사 한설그린 Rainwater purification and storage apparatus combining green area
KR101235008B1 (en) * 2012-05-04 2013-02-21 주식회사 그린텍 Non 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KR101239227B1 (en) 2012-08-13 2013-03-05 쎄파주식회사 Nonpoint pollution decrease apparatu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378B1 (en) * 2016-08-23 2017-03-14 (주)신명건설기술공사 Sewer pipe having filtration mesh
CN109024853A (en) * 2017-06-12 2018-12-18 上海景域园林建设发展有限公司 A kind of ecological garden water circulation utilization system
CN111807433A (en) * 2020-07-11 2020-10-23 彭素荣 Water treatment rose box
CN111807433B (en) * 2020-07-11 2023-04-14 陕西久扬环保科技有限公司 Water treatment rose box
KR102373102B1 (en) * 2020-10-23 2022-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Hybrid rain water collection unit
CN113998804A (en) * 2021-11-19 2022-02-01 北京北排装备产业有限公司 Initial rainwate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931B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656B1 (en) Eco-friendly Filtration Grit Chamber AND Rain Water Recirculation System Using Thereof
US8858804B2 (en) Storm water pretreatment chamber
US6905599B2 (en) Prefilter for water treatment
KR100949325B1 (en) The reduction apparatus nonpoint pollution sources being able to adopt at the front of the water storing place
KR100959161B1 (en) Treating System of Rainwater
KR101410194B1 (en) First rainwater induction pipe construction with bridge and equipment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JP2001507091A (en) Total pollutant filtration equipment
KR101688845B1 (en) Rainwater reservoir of sewer structure for water transmission performance
KR101582931B1 (en) Apparatus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KR101703319B1 (en) Rainwater permeate retention system
KR10057095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aminant in road surface drainage of road drain facilities
KR100991175B1 (en) Device for decreasing non-point pollutant of road
KR20150114224A (en) infiltration institution of rainwater in rainwater treatment
KR101656664B1 (en) Cartridge modular infiltration trench preprocessing tank, filtr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rainwater filtr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4445168B2 (en)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KR100922895B1 (en) Rain Purification device of Rainfall Inlet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KR100750645B1 (en) Rain water box with multi function
KR200378313Y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contaminants in road surface drainage of road drain facilities
KR100933376B1 (en) Manhole Trap for Rain Receiving
JP3873255B2 (en) Rainwater collection method, rainwater collection apparatus, and drinking water production apparatus
KR100614766B1 (en) Road drainage with first flush treatment ability
KR101888595B1 (en) Small-scale sedimentation purification equipment for low-impact development facilities
KR101154026B1 (en) Rain water reducing equipment using road-drainway
KR101311001B1 (en) Equipment and method for decrease non­point pollution sources using sand filtering tank
KR20100059750A (en) Hoding tank for purification, dual-structure drainpipe and infiltration and detention system with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