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266Y1 - 흡입 치료기 - Google Patents

흡입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266Y1
KR200253266Y1 KR2020010025484U KR20010025484U KR200253266Y1 KR 200253266 Y1 KR200253266 Y1 KR 200253266Y1 KR 2020010025484 U KR2020010025484 U KR 2020010025484U KR 20010025484 U KR20010025484 U KR 20010025484U KR 200253266 Y1 KR200253266 Y1 KR 200253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ank
water
pressure
nozzle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수
양요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텍
Priority to KR2020010025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266Y1/ko

Link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입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흡입 치료기는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 저장탱크와 연통된 수로를 가지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된 증기탱크; 증기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면 상측에 설치된 분리판; 분리판에 형성되어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증기를 상기 분리판 상측으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부; 증기탱크의 상측에 설치되어 증기탱크에서 생성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노즐팁; 증기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약액이 저장된 약액 저장통; 약액 저장통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되 증기노즐팁의 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증기노즐팁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배출압에 의하여 약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약액노즐팁을 구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치료기는 물만을 가열하여 생성한 증기를 배출할 때 약액이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각 장치 내부에 약액이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대기압 이상의 상태에서 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증기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때 사용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더욱이 물의 공급이 자동으로 제어 및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흡입 치료기{A nebulizer}
본 고안은 흡입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을 가열하여 생성한 증기를 배출할 때 배출되는 증기압에 의한 베르누이 원리로 약액이 증기와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흡입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입 치료기는 비염, 축농증, 감기 등과 같은 각종 호흡기성 질환 및 저혈압, 고혈압 등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소정량의 물에 각종 치료에 사용되는 약액을 소량 첨가하여 진동 및 가열에 의하여 생성된 약액이 포함된 증기를 환자가 흡입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약액으로는 솔향 향유, 베이오일, 블렉페퍼 향유, 사이프러스 향유 등이 있다.
종래의 흡입 치료기는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대별된다. 그 하나는 진동자에 의한 진동으로 약액이 포함된 증기를 생성시키도록 한 것과, 다르게는 히터를 사용하여 약액이 포함된 증기를 생성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흡입 치료기들은 모두 약액이 물에 포함된 상태에서 물과 함께 약액이 증기로 생성되기 때문에 증기가 발생하여 진행하는 부분에 약액의 일부가 침투하거나 묻게 되어 약액에 의한 장치의 오염이 발생하고, 이러한 오염된 부분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지 않아 장치의 사용효율이 떨어진다.
그리고 진동에 의하여 증기를 생성시키는 경우는 위와 같은 문제점과 함께 물이 제대로 살균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오염된 물을 잘못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2차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물만을 먼저 가열하여 배출하고, 이때의 압력차이로 발생한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하여 약액이 저장된 부분으로부터 공급되어 증기와 함께 공급되도록 한 흡입 치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과 관련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증기생성을 위하여 물을 가열할 때 물 가열부분에서의 압력상태를 대기압 상태 이상으로 유지시켜 보다 신속하게 물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흡입 치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치료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치료기의 증기탱크와 보조탱크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치료기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메인탱크
200...보조탱크
300...증기탱크
370...증기노즐팁
400...약액통
410...약액노즐팁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치료기는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와 연통된 수로를 가지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된 증기탱크; 상기 증기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면 상측에 설치된 분리판; 상기 분리판에 형성되어 상기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증기를 상기 분리판 상측으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부; 상기 증기탱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탱크에서 생성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노즐팁; 상기 증기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약액이 저장된 약액 저장통; 상기 약액 저장통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되 상기 증기노즐팁의 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증기노즐팁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배출압에 의하여 약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약액노즐팁을 구비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탱크는 메인탱크와 상기 메인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보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탱크의 상측과 상기 보조탱크 상측을 연통시켜 상기 증기탱크와 상기 보조탱크의 기압을 평형하게 유지시키는 기압평형 유지관과 상기 기압평형 유지관에 설치된 기압평형 조절밸브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메인탱크와 상기 보조탱크를 연통시키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에 설치된 펌프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탱크에 저장된 물이 소정량 이하이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보조탱크로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작동 제어센서를 구비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판에는 상기 분리판 하부의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이면 상기 분리판 하부의 증기를 상기 분리판 상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증기 안내부에는 살균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치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외부로부터 상당량의 물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메인탱크(100)와 이 메인탱크(10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보조탱크(200) 그리고 보조탱크(20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증기를 생성하는 증기탱크(300) 및 증기탱크(300)로부터 생성되어 배출되는 증기와 혼합되도록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 저장통(400)을 구비한다.
먼저 메인탱크(100)는 사용자가 직접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면에 물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하부 바닥에 인접해서는 메인탱크(100) 내부의 물의 양을 감지하는 수위센서(120)가 설치된다. 이 수위센서(120)는 메인탱크(100) 내부의 물의 양이 소정수위(이하 '제 1소정수위' 라고 한다.) 이하라고 판단하였을 경우 이를 외부로 통지하여 사용자가 메인탱크(100) 내부로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외부로 물부족을 통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보조탱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탱크(100) 보다는 작은 크기로 구현되며, 메인탱크(100)로부터 물을 직접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를 위하여 메인탱크(100)와 보조탱크(200) 사이에는 연통관(130)이 설치된다.
또한, 이 연통관(130)에는 메인탱크(100)의 물을 자동으로 보조탱크(200)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펌프(140)가 장착되며, 연통관(130)의 출구 측에는 보조탱크(200) 내부로 공급된 물이 메인탱크(100)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150)가 설치된다.
또한, 보조탱크(200)의 내부에는 보조탱크(200) 내부의 물의 양을 감지하여 보조탱크(200) 내부의 물의 양이 소정수위(이하 '제 2소정수위'라 한다.) 이하라고 판단되면 펌프(140)를 작동시켜 메인탱크(100)의 물이 연통관(130)을 통하여 공급되도록 하여 항상 보조탱크(200)에 제 2소정수위 이상의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하는 펌프작동 제어센서(210)가 장착된다.
그리고 보조탱크(200)의 하부에는 보조탱크(200) 내부와 증기탱크(300) 내부를 서로 연통시키는 수로(220)가 마련된다.
계속해서 증기탱크(300)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320)가 바닥에 설치되고, 내부 상측에는 증기탱크(300)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도록 하는 분리판(310)이 설치된다.
그리고 분리판(310)에는 증기탱크(300) 하부에서 가열된 증기가증기탱크(300) 상부로 안내될 수 있도록 하는 증기 안내부(330)가 설치된다. 이 증기 안내부(3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310)에 형성된 안내홀(331)과 이 안내홀(331)의 상측으로 설치되며 다수의 홀이 형성된 안내캡(332)으로 구현되며, 안내캡(332)과 안내홀(331)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증기를 살균시키는 살균필터(333)가 마련된다. 이 살균필터(333)는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분리판(310)에는 증기탱크(300) 하부에서 생성된 증기압이 소정압력 이상이 될 때, 즉 과다한 압력상승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 증기압을 강제 배출하기 위한 배출밸브(340)가 설치된다. 이 배출밸브(340)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를 적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무게추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다른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증기탱크(300)의 상부와 보조탱크(200)의 상측부분은 별도의 기압평형 유지관(350)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고, 이 기압평형 유지관(350)에는 기압 평형 상태의 유지 및 조절을 위한 기압평형 유지밸브(26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증기탱크(300) 내부와 보조탱크(200) 내부는 서로 그 기압상태가 평형을 유지하도록 구현되며, 동시에 생성된 증기에 의하여 대기압 이상상태의 압력이 유지된다. 그러므로 히터(320)에 의하여 가열되는 물은 통상적인 대기압 상태에서 보다 훨씬 빨리 끊게 되어 증기의 생성속도를 향상시키며, 동시에 물의 가열을 위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증기탱크(300)의 상부 일측에는 외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증기탱크(300) 상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노즐팁(370)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약액 저장통(400)은 증기탱크(300) 외부 일측에 장착되며 내부에 상당량의 약액이 저장되어 있으며, 그 상측으로는 약액 저장통(300)으로부터 증기노즐팁(370)의 입구 측에 인접하도록 연장 설치된 약액노즐팁(410)이 설치된다.
따라서 약액은 별도의 동력원 없이 증기노즐팁(370)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압에 의한 베르누이 원리로 약액노즐팁(410)을 통하여 소량이 배출되게 되어 증기와 함께 혼합되어 흡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의 증기와 약액의 흡입을 위하여 별도의 노즐장치가 설치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 노즐장치에 대한 구성은 생략하였는바, 이는 다양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노즐장치 없이 직접 흡입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치료기에 대한 작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치료기는 증기의 생성과 배출 뿐만 아니라 물의 보충과 압력 유지를 위한 작동이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이루어진다.
그 작동상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탱크(100)의 수위 조절을 위한 작동에서는 수위센서(120)가 메인탱크(1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였을 때(S10) 이 감지된 메인탱크(100)의 수위가 제 1소정수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S11) 별도의 작동 변경 없이 그 상태를 위치하며, 계속해서 메인탱크(100)의 수위를 감지한다.
반면에 메인탱크(100)의 수위가 제 1소정수위 이하라고 판단되면(S11) 이를 즉각 외부로 표시하여 메인탱크(100)의 물 투입구(110)를 통하여 사용자가 물을 메인탱크(1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S12)
그리고 보조탱크(200)의 수위조절 작동은 보조탱크(200)의 수위를 펌프작동 제어센서(210)가 감지하였을 때(S20) 그 감지된 수위가 제 2소정수위 이하라고 판단하였을 경우(S21), 펌프작동 제어센서(210)는 이를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는 즉각 펌프(140)를 작동시켜(S23) 메인탱크(100)의 물을 연통관(130)을 통하여 보조탱크(200) 내부로 공급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보조탱크(200)의 수위를 감지하여(S20) 그 수위가 제 2소정수위 이상이라고 판단되면(S24) 펌프(140)의 작동을 오프시키고(S25), 반대로 수위가 계속해서 제 2소정수위 이하라고 판단되면 계속해서 제 2소정수위 이상으로 보조탱크(200)가 채워질 때까지 펌프(140)를 작동시킨다.
한편, 증기탱크(300)에서의 작동은 먼저 히터(320)가 온됨으로써(S30) 물의 가열이 이루어지고, 물이 가열되면 증기가 생성되어 증기 안내부(330)를 통하여 증기탱크(300)의 상부로 증기가 배출된다.(S31)
그리고 증기탱크(300) 상부로 안내된 증기는 다시 증기노즐팁(37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증기노즐팁(370)의 출구에서 배출되는 증기압에 의하여 증기노즐팁(370)의 출구에 인접하여 설치된 약액노즐팁(410)으로부터 소량의 약액이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배출되어 증기와 함께 약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이와 같이 배출된 약액이 포함된 증기를 환자가 흡입함으로써 흡입 치료가 이루어진다.
이때 히터(320)의 작동 중 계속적으로 생성된 증기의 양이 더욱 증가하여 증기탱크(300) 하부의 증기압이 소정압력 이상이라고 판단되면(S32)(S33) 히터(320)의 작동은 그 순간에 오프되고(S34), 배출밸브(340)가 작동하여 증기탱크(300) 하부의 증기를 증기탱크(300) 상부로 배출시키며 과압력 상태를 해소시킨다.
그리고 증기탱크(300) 내부와 보조탱크(200)는 수로(220)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상부가 기압평형 유지관(350)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증기탱크(300)와 보조탱크(200)의 상측은 서로 평형한 상태의 압력 유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증기탱크(300)와 보조탱크(200)의 수면을 거의 동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이때의 압력평형으로 증기탱크(300)의 물이 보조탱크(20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보조탱크(200)의 물이 증기탱크(3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압평형 유지밸브(260)를 조절하여 보조탱크(200)의 압력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의 기압평형 유지밸브(260)의 작동을 수동 또는 별도의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메인탱크(100)와 보조탱크(200)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저장탱크만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인데, 이때에는 하나의 저장탱크와 증기탱크(300의 압력 평형 유지를 위한 또 다른 구성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치료기는 제시한 구성과 작동상태 외에 보다 다양한 실시상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지만, 기본적으로 저장탱크와 증기탱크를 설치하여 물을 별도로 가열하여 분사하도록 하고, 이때 분사되는 증기압에 의한 베르누이 원리로 약액이 분사되도록 한 것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치료기는 물만을 가열하여 생성한 증기를 배출할 때 약액이 베르누이 원리에 의하여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각 장치 내부에 약액이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대기압 이상의 상태에서 물을 가열하기 때문에 보다 신속하게 증기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때 사용되는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더욱이 물의 공급이 자동으로 제어 및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물이 저장된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와 연통된 수로를 가지되 내부에 히터가 설치된 증기탱크;
    상기 증기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면 상측에 설치된 분리판;
    상기 분리판에 형성되어 상기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증기를 상기 분리판 상측으로 안내하는 증기 안내부;
    상기 증기탱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탱크에서 생성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노즐팁;
    상기 증기탱크의 외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약액이 저장된 약액 저장통;
    상기 약액 저장통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연장 설치되되 상기 증기노즐팁의 출구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증기노즐팁으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배출압에 의하여 약액이 배출되도록 하는 약액노즐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메인탱크와 상기 메인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보조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탱크의 상측과 상기 보조탱크 상측을 연통시켜 상기 증기탱크와 상기 보조탱크의 기압을 평형하게 유지시키는 기압평형 유지관과 상기 기압평형 유지관에 설치된 기압평형 조절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치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탱크와 상기 보조탱크를 연통시키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에 설치된 펌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치료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탱크에 저장된 물이 소정량 이하이면 상기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보조탱크로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작동 제어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치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에는 상기 분리판 하부의 압력이 소정압력 이상이면 상기 분리판 하부의 증기를 상기 분리판 상측으로 배출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치료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안내부에는 살균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치료기.
KR2020010025484U 2001-08-22 2001-08-22 흡입 치료기 KR200253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484U KR200253266Y1 (ko) 2001-08-22 2001-08-22 흡입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484U KR200253266Y1 (ko) 2001-08-22 2001-08-22 흡입 치료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732A Division KR20030017740A (ko) 2001-08-22 2001-08-22 증기 온열 흡입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3266Y1 true KR200253266Y1 (ko) 2001-11-22

Family

ID=7310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484U KR200253266Y1 (ko) 2001-08-22 2001-08-22 흡입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2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0419A (en) High-volume disposable and semi-disposable cartridge humidifier with self-contained cartridge sterilizing means, and related method
EP3045198B1 (en) Humidifier for respirator and respirator
JP6972085B2 (ja) 積み重ね型水素生成装置
ES2339548T3 (es) Sistema de flujo de liquido continuo.
JP2006341915A (ja) 飲料水ディスペンサ
US20050150491A1 (en) Steam inhaler
KR200253266Y1 (ko) 흡입 치료기
KR20030017740A (ko) 증기 온열 흡입 치료기
CN106456909B (zh) 加湿装置
KR20110077961A (ko) 피톤치드 잔여량을 표시하는 수위표시기가 구비된 피톤치드 휘산장치
EP2132372B1 (en) Steaming system
NL8601611A (nl) Voedingssysteem voor een bevochtiger.
KR100808744B1 (ko) 산소호흡기
US20210307983A1 (en) Nursing machine host and nursing machine to which same belongs
JP4360502B1 (ja) オゾン水生成装置
US8205610B2 (en) Diffusion barrier in a delivery apparatus for pressurized medical liquids
JP6786753B2 (ja) 携帯式ガス供給装置
JPH04348758A (ja) 吸入器
JP2873295B2 (ja) 医療用ホースレス型スプレー装置
JP2022090949A (ja) オゾンミスト発生装置
KR200403846Y1 (ko) 좌욕기
CN216712446U (zh) 衣物处理装置
CN112494761A (zh) 一种中药雾化吸入装置
EP0550495B1 (en) Sump for an anaesthetic vaporiser
KR200481405Y1 (ko) 진동자 방식 기화 부재를 포함하는 기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