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164Y1 - 독서대 - Google Patents

독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3164Y1
KR200253164Y1 KR2019980012757U KR19980012757U KR200253164Y1 KR 200253164 Y1 KR200253164 Y1 KR 200253164Y1 KR 2019980012757 U KR2019980012757 U KR 2019980012757U KR 19980012757 U KR19980012757 U KR 19980012757U KR 200253164 Y1 KR200253164 Y1 KR 200253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piece
book support
bottom plate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812U (ko
Inventor
조재현
Original Assignee
조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재현 filed Critical 조재현
Priority to KR2019980012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316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3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3164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넓은 판상의 책받침판(10)과 비교적 길고 폭이 좁은 형태의 책받침대(20)와 판상의 바닥판(30)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금구(40)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금구(40)는 서로 90°정도의 각도를 이루는 제1고정편(41)과 제2고정편(4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편(42)에는 회동편(44)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한 다음, 상기 제1고정편(41), 제2고정편(42), 회동편(44)에 상기 책받침판(10), 책받침대(20), 바닥판(30)을 차례로 고정설치하여서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독서대
본 고안은 책을 받쳐놓고 편한 자세로 읽을 수 있게하는 독서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을 받쳐주는 책받침판과 이 책받침판을 경사진 자세로 안정감있게 세워 주는 바닥판을 절첩가능하게 하여 그 사용성을 편리하게 한 독서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책받침판과 바닥판을 서로 절첩가능하게 한 독서대는 다수 안출된 바 있으나, 이들은 책받침판과 바닥판사이가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고, 책받침판을 일정한 경사각도를 받쳐주는 지지대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는 책받침판 또는 바닥판의 어느 한쪽에 별도의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된 것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이에따라 고장율이 증가하고 가격이 비싸지며 절첩된 상태기준으로 볼때 부피가 커져 휴대하기가 불편한 것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독서대에 구비되어 있던 지지대와 경첩기능을 하나의 연결금구로서 해결한 독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독서대는, 책의 후방을 받쳐주는 책받침판과, 이 책받침판의 하단에 거의 90°각도로 부착되는 받침대와, 이 받침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바닥판과, 상기 책받침판, 받침대 및 바닥판을 상호 연결해주면서 책받침판의 경사각도를 한정해주는 연결금구와, 상기 받침대의 정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책누름편 등이 구비된 특징이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접혀진 상태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화시킨 우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바닥판과 책받침판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금구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책받침판 20 : 책받침대
30 : 바닥판 40 : 연결금구
41 : 제1고정편 42 : 제2고정편
44 : 회동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0은 책의 후방을 받쳐주는 책받침판으로, 비교적 넓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0은 책을 얹어 놓을수 있도록 길고 폭이 좁은 형태의 책받침대로서, 상기 책받침판(10)의 하단으로부터 90°각도로 전방을 향하도록 결속되어 있고 이 책받침대(20)의 정면에는 책의 열림상태가 유지되도록 책누름편(21)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30은 상기 책받침판(10)을 안정상태로 세워주는 바닥판으로, 평편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40은 상기 책받침판(10)과 책받침대(20)와 바닥판(30)을 연결해주는 연결금구로서, 이 연결금구(40)는 책받침판(10)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41)과 책받침대(20)에 고정되는 제2고정편(42)이 90°각도를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고정편(41)의 소정개소에 적어도 한개이상의 돌기(4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2고정편(42)의 소정개소에는 바닥판(30)에 고정되는 회동편(44)의 일단이 힌지축(4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회동편(44)의 중간에는 상기 돌기(43)에 대응하는 구멍(46)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회동편(44)은 바닥판(30)이 고정되는 일측고정단부(44a)와 힌지축(45)이 관통하는 타측단부(44b)사이에 연장부(44c)를 두어 회동편(44)에 매달린 바닥판(30)이 책받침판(10)의 전방과 후방으로 회동하여 넘어갈 때 책받침판(10)의 하단 모서리가 방해되지 않도록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배려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금구(40)는 좌우한쌍으로 구성됨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포장, 운반, 휴대, 보관시에는 제2도와 같이 바닥판(30)을 책받침판(10)의 전방으로 접어서 그 전체부피를 축소시켜 포장, 운반 등이 편리하도록 하고, 독서대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도와 같이 바닥판(30)을 책받침판(10)의 후방으로 회동시켜 사용한다.
바닥판(30)이 이와같이 책받침판(10)의 전후방으로 회동할 때는 회동편(44)이 힌지축(4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며 바닥판(30)이 후방에 위치할때는 돌기(43)와 구멍(46)에 의해 책받침판(10)의 기울기가 적정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회동편(44)의 연장부(44c)에 의해 마련된 공간부(S)로 인하여 바닥판(30)이 전후방으로 회동할 때 아무런 장애를 받지않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되는 본 고안은 포장, 운반, 휴대, 보관시에는 바닥판(30)을 책받침판(10)의 전방으로 접어 독서대의 전체부피를 축소시킬수 있어 포장박스 소형화, 운반비 절약, 취급간편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연결금구(40)에 의한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제작이 간편하고 생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비교적 넓은 판상의 책받침판(10)과 비교적 길고 폭이좁은 형태의 책받침대(20)와 판상의 바닥판(30)과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금구(40)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금구(40)는 서로 90°정도의 각도를 이루는 제1고정편(41)과 제2고정편(4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제2고정편(42)에는 회동편(44)을 회동가능하게 연결설치한 다음, 상기 제1고정편(41), 제2고정편(42), 회동편(44)에 상기 책받침판(10), 책받침대(20), 바닥판(30)을 차례로 고정설치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 독서대.
KR2019980012757U 1998-07-11 1998-07-11 독서대 KR200253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757U KR200253164Y1 (ko) 1998-07-11 1998-07-11 독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757U KR200253164Y1 (ko) 1998-07-11 1998-07-11 독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12U KR20000002812U (ko) 2000-02-07
KR200253164Y1 true KR200253164Y1 (ko) 2001-12-28

Family

ID=69503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757U KR200253164Y1 (ko) 1998-07-11 1998-07-11 독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31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191B1 (ko) * 2017-08-17 2019-02-21 (주)나이스통상 독서대의 지지대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812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9568A (en) Multi-way portable writing desk
CA2278879A1 (en) Folding leg mechanism
KR200253164Y1 (ko) 독서대
US5129715A (en) Portable desk with bifolding supports
KR960006835A (ko) 독서대
US3129032A (en) Portable lectern
CN214535397U (zh) 一种固定支架组件及显示装置
CN109557976B (zh) 笔记本电脑
KR200171539Y1 (ko) 탁상용 달력 받침대
KR20210102626A (ko) 독서대
CN215604247U (zh) 下翻折叠桌
CN218737734U (zh) 一种折叠机构和折叠桌
KR200266781Y1 (ko) 접이식 책상
JP3782403B2 (ja) 三面鏡
KR200275781Y1 (ko) 독서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책상
KR101045063B1 (ko) 마찰력 증대용 홀더를 구비한 책갈피 겸용 독서대
KR200208854Y1 (ko) 독서대
KR200175089Y1 (ko) 서적 독서대를 겸한 신문 독서대
JP2767091B2 (ja) 折り畳み式の棚付きテーブル
JP2967467B2 (ja) 卓上三面鏡
KR200201313Y1 (ko) 핸드폰 진열대
CN217827095U (zh) 一种可折叠收纳的桌子
KR200386242Y1 (ko) 접이식 테이블
CN207603727U (zh) 手机日历架
KR200247764Y1 (ko) 독서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학생용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