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972Y1 -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Google Patents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2972Y1 KR200252972Y1 KR2020010022204U KR20010022204U KR200252972Y1 KR 200252972 Y1 KR200252972 Y1 KR 200252972Y1 KR 2020010022204 U KR2020010022204 U KR 2020010022204U KR 20010022204 U KR20010022204 U KR 20010022204U KR 200252972 Y1 KR200252972 Y1 KR 20025297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cket
- hydraulic cylinder
- cover member
- arm
- fixed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크레인' 이라고도 불리우는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에 관한 것으로, 굴삭작업시 발생되는 토사물을 버켓에 담아 트럭의 적재함측으로 운반할 때 버켓으로부터 토사물이 추락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토사물에 포함된 이물질(쓰레기 및 나무 등)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붐대(3)에 설치된 유압실린더(5b)의 동작에 따라 링크타입으로 결합된 아암(4)이 상하운동을 하도록 하고 상기 아암에 설치된 또 다른 유입실린더(7)의 동작에 따라 아암의 끝단에 설치된 버켓(6)이 굴절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버켓의 상측에 위치하는 아암(4)에 고정 설치되고 상측에 링크홀더(9)가 고정되며 하측에는 버켓홀더(10)가 고정된 브라켓(11)과, 상기 버켓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선단에는 버켓(6)에 고정된 투스(15)와 상호 어긋나게 위치하는 투스(12)가 고정된 덮개부재(13)와, 상기 아암의 상측에 설치되어 덮개부재를 회동시켜 버켓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유압실린더(19)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압을 작용시키는 유압호스(20)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설치되어 유압호스의 분리시 유압실린더에 작용되던 유압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21)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포크레인'이라고도 불리우는 굴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굴삭작업시 발생되는 토사물을 담아 트럭의 적재함측으로 운반하는 굴삭기의 버켓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사물을 운반할 때 버켓으로부터 토사물이 추락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토사물에 포함된 이물질(쓰레기 및 나무 등)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는 토사물을 퍼 트럭의 적재함으로 운반하거나, 아스팔트 또는 암반을 파쇄하여 운반하거나, 건물을 해체하는 작업 등 건설현장에서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굴삭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좌, 우로 선회 운동하는 운전실(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운전실의 하부에는 이동수단으로서 엔진(도시는 생략함)의 구동에 의해 일정 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무한궤도(2) 또는 바퀴가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전실(1)의 전방에는 붐대(3) 및 아암(4)이 링크타입으로 상호 연결되어 유압실린더(5a)(5b)의 구동에 따라 상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아암(4)의 선단에는 토사물을 직접 파 트럭의 적재함 등으로 운반하는 버켓(bucket)(6)이 유압실린더(7)의 구동에 의해 관절운동을 하도록 링크(8)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굴삭기를 운전하여 원하는 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토사물을 퍼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붐대(3) 및 아암(4) 그리고 버켓(6)을 관절운동시킴에 따라 버켓(6)내에 토사물이 담겨지게 되므로 운전실(1)을 회동시켜 버켓(6)내에 담겨진 토사물을 다른 장소로 운반하거나, 트럭의 적재함내에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굴삭기를 이용하여 낡은 건물을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붐대(3) 및 아암(4) 그리고 버켓(6)을 적절히 관절운동시킴에 따라 버켓에 의해 건물이 점진적으로 해체되는데, 해체된 건물의 잔해에는 콘크리트, 철근, 목재 등이 혼재되어 있어 이들을 동시에 폐기 처분할 수 없게 되므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이들을 분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만을 버켓(6)으로 퍼 트럭의 적재함으로 운반하거나, 아암으로부터 버켓을 분리한 다음 아암에 별도의 크레인 그래브를 부착하여 크레인 그래브로 협잡물을 분리하여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굴삭기는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의 토사물을 퍼 운반하거나, 손쉽게 건물을 해체할 수 있어 건설현장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철거된 건물로부터 철근, 목재 등의 협잡물을 분리 작업시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었음은 물론 부주의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포되어 있다.
둘째, 크레인 그래브를 이용하여 협잡물을 분리 제거할 경우에는 별도의 크레인 그래브를 휴대하였다가 아암으로부터 버켓을 분리한 다음 크레인 그래브를 부착한 후 협잡물의 분리작업을 실시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었음은 물론 별도의 크레인 그래브를 휴대하여야 되었으므로 번거로웠다.
셋째, 버켓으로 퍼 올린 토사물 또는 암석(아스콘 덩어리 등)을 트럭의 적재함측으로 운반시 버켓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어 운전실을 회동시켜 버켓의 위치를 가변시킬 때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버켓에 담겨져 있던 토사물 또는 암석이 하방으로 추락하므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넷째, 건물의 철거작업시 벽면의 외측에 버켓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버켓을 내측으로 오므리면서 건물의 외벽을 철거하므로 인해 철거되는 벽면과 인접하고 있던 외벽이 외측으로 넘어져 인접하고 있던 건물에 충격을 가하여 피해를 주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다섯째, 암석이나, 파헤쳐진 아스콘 덩어리를 차체의 전면에 위치된 블레이드를 지지삼아 버켓으로 퍼올리게 되는데, 상기한 작업시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가 블레이드와 지면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이를 버켓내에 담기 위해 버켓을 내측으로 오므리는 순간 블레이드와 지면사이에 끼여 있던 암석이나 아스콘 덩아리가 상측으로 튕겨져 차체에 부딪힐 경우에는 차체가 파손되거나, 운전자가 부상을 입게 되는 폐단이 있었음은 물론 튕겨진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가 차체에 부딪히지 않고 블레이드를 넘어갈 경우에는 차체의 부품이나, 유압호스를 파손시키는 폐단이 있었다.
여섯째, 화단의 정지작업시 보도블럭이 깔린 인도에는 중량체의 굴삭기가 올라갈 수 없기 때문에 통상 도로의 가장자리에 굴삭기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하므로 길이가 한정된 붐대 및 아암을 이용하여 경사진 화단상에서 버켓을 구부려 흙을 퍼 올리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리한 작업 진행으로 화단이 훼손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아암으로부터 버켓을 분리하지 않고도 해체된 건물의 잔해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건물의 해체작업시 인접하고 있는 벽면이 외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해당부위만을 안전하게 건물의 내측으로 넘어뜨리면서 해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토사물 또는 대상물을 지면으로부터 버켓내에 담을 때 버켓을 내측으로 완전히 구부리지 않고도 버켓내에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버켓내에 담겨진 대상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버켓으로부터 추락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붐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링크타입으로 결합된 아암이 상하운동을 하도록 하고 상기 아암에 설치된 또 다른 유입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아암의 끝단에 설치된 버켓이 굴절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버켓의 상측에 위치하는 아암에 고정 설치되고 상측에 링크홀더가 고정되며 하측에는 버켓홀더가 고정된 브라켓과, 상기 버켓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선단에는 버켓에 고정된 투스와 상호 어긋나게 위치하는 투스가 고정된 덮개부재와, 상기 아암의 상측에 설치되어 덮개부재를 회동시켜 버켓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압을 작용시키는 유압호스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설치되어 유압호스의 분리시 유압실린더에 작용되던 유압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굴삭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보조핑거가 아암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로서,
도 2a는 덮개부재가 아암측으로 최대한 접혀진 상태도
도 2b는 버켓에 의해 긁어 모은 토사물을 덮개부재가 버켓측으로 밀어 넣는 상태도
도 2c는 덮개부재에 의해 상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버켓이 토사물을 트럭의 적재함측으로 운반하는 상태도
도 3은 덮개부재의 선단에 고정된 투스의 설치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덮개부재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5는 덮개부재가 아암에 설치된 상태의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회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붐대 4 : 아암
6 : 버켓 11 : 브라켓
12, 15, 18 : 투스 13 : 덮개부재
19 : 유압실린더 20 : 유압호스
21 : 체크밸브 24 : 사이드링크
25 : H링크 28 : 조정스위치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보조 핑거가 아암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덮개부재의 선단에 위치된 투스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덮개부재의 평면도 및 저면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 중 종래의 굴삭기 구성과 동일한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버켓(6)의 상측에 위치하는 아암(4)에는 상측에 링크홀더(9) 및 버켓홀더(10)가 고정된 브라켓(11)이 용접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버켓홀더(10)에는 선단에 투스(12)가 고정된 덮개부재(13)가 핀(1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덮개부재(13)의 선단에 고정된 2개의 투스(12)는 버켓(6)에 고정된 투스(15)와 상호 어긋나게 위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재(13)의 끝단에 고정된 투스(12)의 경사각(α)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재(13)의 상면으로부터 10 ∼ 20° 하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덮개부재(13)의 회동시 투스(12)에 의해 토사물이나, 암석 또는 아스콘 덩어리를 버켓(6)의 개구부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긁어 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버켓홀더(10)에 핀(1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부재(13)는 외곽틀을 이루는 프레임(16)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용접 고정된 장삽(1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장삽(17)의 내측면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1개 이상의 투스(1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장삽(17)의 내측면에 투스(18)를 고정하는 이유는 버켓(6)과 덮개부재(13)를 이용하여 건물의 벽체를 해체하는 작업을 할 때 버켓(6)과 덮개부재(13)에 의해 맞닿는 면을 최소화하여 인접하고 있는 벽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므로서 해당부위의 벽체만을 용이하게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아암(4)의 상측에 토사물 또는 암석, 아스콘과 같은 덩어리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덮개부재(13)를 회동시켜 버켓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유압실린더(19)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유압 인입측과 토출측에는 유압을 작용시키는 유압호스(20)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19)에는 유압호스(20)의 분리시 유압실린더(19)에 작용되던 유압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19)에 체크밸브(21)를 설치하는 이유는 유압실린더(19)에 사용되는 유압원으로 브레이커(도시는 생략함) 유압원을 사용하므로 인해 작업의 용도에 따라 브레이커를 사용하기 위해 유압실린더(19)로부터 유압호스(20)를 분리시켜 유압실린더(19)에 작용하고 있던 유압이 해제되더라도 도 2a와 같이 상측으로 접혀져 있던 덮개부재(13)가 하방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a)를 덮개부재(13)인 장삽(17)의 상면에 고정된 핀홀더(22)에 핀(23)으로 결합하여도 되지만, 이 경우에는 아암(4)의 상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9)의 힌지점이 아암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설정하여야 됨은 물론 유압실린더(19)의 구동시 부하가 많이 걸려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a)를 핀홀더(22)에 직접 힌지 결합하는 것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a)를 덮개부재(13)에 사이드링크(24)와 H링크(25)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링크홀더(9)의 일단에 사이드링크(24)를 핀(26)으로 힌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링크(24)의 다른 일단은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a)에 또 다른핀(27)으로 힌지 결합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a)와 핀홀더(22)에는 H링크(25)의 양단을 각각 힌지 결합하여 유압실린더(19)의 구동에 따라 덮개부재(13)가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재(13)인 장삽(17)의 상면에 고정되는 핀홀더(22)의 폭을 아암(4)의 끝단 폭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덮개부재(13)의 다른 일단에 위치하는 투스(12)의 폭은 붐대(3)의 폭보다 넓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굴삭기의 주행 및 바닥면의 정지작업시에는 아암(4)을 붐대(3)측으로 최대한 접어주게 되는데, 이 때 덮개부재(13)의 선단에 위치하고 있던 투스(12)가 붐대(3)와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도 4a와 같이 붐대(3)의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유압실린더(19)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정스위치(28a)(28b)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조정레버(29a)(29b)의 손잡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는, 굴삭기의 운전 중 필요에 따라 덮개부재(13)의 구동원인 유압실린더(19)를 보다 손쉽게 조작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고안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회로도로서, 운전실(1)의 양쪽에 위치하는 주조정레버(29a)(29b)의 손잡이에 설치된 조정스위치(28a)(28b)를 선택적으로 조작함에 따라 유압분배기(30) 및 솔레노이드밸브(31)에 의해 유압라인이 결정되어 유압실린더(19)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덮개부재(13)가 펼쳐지거나, 오므러들게 되는데, 상기 유압분배기(30)에서 나온 파이프에 오버로드밸브(32)를 장착하여 오일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굴삭기의 주행 및 바닥면의 정지작업시에는 유압실린더(5b)의 구동으로 아암(4)을 붐대(3)측으로 최대한 접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버켓(6)의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던 덮개부재(13)의 선단에 위치된 투스(12)가 붐대(3)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되어 있어 붐대(3)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붐대(3)의 양측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버켓(6)을 이용하여 토사물을 퍼 올려 다른 장소로 운반하거나, 트럭의 적재함으로 운반하고자 할 경우에는 붐대(3)에 최대한 접혀져 있던 아암(4) 및 덮개부재(13)를 도 2a와 같이 펼친 다음 유압실린더(5a)(5b)(7)를 적절히 구동하여 버켓(6)내에 토사물을 퍼 담은 후 버켓내의 토사물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버켓(6)내에 담겨져 있던 토사물이 하방으로 진동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버켓의 개구부를 폐쇄하여야 된다.
이를 위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조정레버(29)에 설치된 조정스위치(28)를 누르면 솔레노이드밸브(31) 및 유압분배기(30)에 의해 유로가 형성되어 유압호스(20)를 통해 유압실린더(19)에 유압이 작용되므로 유압실린더에 최대한 수용되어 있던 로드(19a)가 전진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유압실린더(19)의 로드(19a)가 전진하면 아암(4)에 접혀져 있던 덮개부재(13)가 사이드링크(24) 및 H링크(25)를 통해 도 2c와 같이 펼쳐지면서 버켓(6)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되므로 버켓(6)내에 담겨져 있던 토사물을 원하는 위치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덮개부재(13)는 브라켓(11)과 사이드링크(24) 그리고 H링크(25)에 의해 4절링크를 구성하게 되므로 유압실린더(19)에 작용하는 유압이 약하더라도 강력한 힘으로 버켓(6)의 개구부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지면에 있는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를 버켓(6)내에 담거나, 도로의 가장자리에 굴삭기가 위치된 상태에서 화단의 정지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버켓(6)으로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 또는 토사물을 도 2b와 같이 긁어 모은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19)를 작동시키면 덮개부재(13)가 내측으로 오므러 들면서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 또는 토사물을 버켓(6)내에 담게 된다.
즉, 유압실린더(19)가 구동하면 아암(4)에 접혀져 있던 덮개부재(13)가 버켓(6)측으로 이동하면서 선단에 고정된 투스(12) 및 장삽(17)이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 또는 토사물을 버켓(6)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되므로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가 상측으로 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 화단이 훼손되는 현상 또한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 또는 토사물이 버켓(6)내에 담겨지고 나면 아암(4)에 설치된 유압실린더(7)를 작동시켜 버켓(6)을 완전히 내측으로 구부린 다음 버켓(6)내에 담겨진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 또는 토사물을 원하는 장소로 운반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많은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가 버켓(6)으로부터 추락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이 구비된 굴삭기를 이용하여 건물을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부재(13)를 아암(4)측으로 최대한 접혀지도록 한 상태에서 건물의 외벽에버켓(6)을 위치시켜 벽체에 버켓(6)이 접속되도록 한 다음 유압실린더(19)를 작동시켜 아암(4)에 최대한 접혀져 있던 덮개부재(13)를 펼쳐주면 장삽(17)의 내측면에 고정된 투스(18)가 건물의 벽체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건물의 외측에 버켓(6)이 접속되고 장삽(17)에 고정된 투스(18)는 건물의 내측에 접속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7)(19)를 동시에 구동시켜 버켓(6)과 덮개부재(13)를 동시에 건물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들의 접속면(버켓의 외측면 및 투스의 접속면)에서 부하가 최소화되므로 버켓(6)과 덮개부재(13)가 물어준 부위의 벽체만이 건물의 내측으로 허물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철거하고 있던 벽체와 인접하고 있던 다른 벽체는 손상을 입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건물의 벽체를 완전히 해체하고 나면 건물의 해체에 따라 콘크리트 덩어리에는 철근과 목재 등의 협잡물이 혼재하게 되는데, 콘크리트를 폐기 처분하기 위해서는 이들로부터 철근 및 목재 등의 협잡물을 분리하여야 된다.
상기 콘크리트로부터 혼재된 협잡물을 분리 수거하기 위해서는 버켓(6)과 덮개부재(13)가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아암(4)으로부터 이들이 하방을 향하도록 한 다음 원하는 협잡물사이에 버켓(6)과 덮개부재(13)를 위치시키고 유압실린더(7)(19)를 동시에 구동시키면 버켓(6)과 덮개부재(13)가 동시에 내측으로 오므러지면서 협잡물을 파지하게 되므로 콘크리트로부터 협잡물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버켓(6)에 고정된 투스(15)와 덮개부재(13)의 선단에 고정된 투스(18)는 손가락을 깍지낀 것과 같이 상호 어긋나게 되므로 협잡물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굴삭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철거된 건물로부터 철근, 목재 등의 협잡물을 분리 작업할 때 별도의 크레인 그래브를 휴대하지 않고도 유압실린더의 구동으로 버켓과 덮개부재에 의해 협잡물을 집어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게 되므로 협잡물의 분리작업이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둘째, 버켓으로 퍼 올린 토사물 또는 암석(아스콘 덩어리 등)을 트럭의 적재함측으로 운반할 때 버켓의 상면을 덮개부재로 폐쇄한 상태에서 버켓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운전실의 회동시켜 버켓의 위치를 가변시킬 때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버켓에 담겨져 있던 토사물 또는 암석 덩어리가 하방으로 추락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버켓으로부터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 등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셋째, 건물의 철거작업시 벽면의 외측에 버켓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유압실린더를 작동시켜 덮개부재로 해체하고자 하는 벽체를 파지할 때 덮개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된 투스가 벽체에 접속되므로 철거하고자 하는 해당 벽체만을 건물의 내측으로 해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해체하고자 하는 벽체에 인접하고 있던 벽체가 건물의 외측으로 넘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넷째, 암석이나, 파헤쳐진 아스콘을 버켓으로 퍼 올릴 때 차체의 전면에 위치된 블레이드를 지지삼아 버켓으로 퍼올리지 않고 버켓이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를 긁어모은 상태에서 덮개부재가 이들을 버켓의 개구부측으로 밀어 넣게 되므로 이들이 상측으로 튕겨지거나, 블레이드를 넘어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차체의 부품이나, 유압호스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운전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다섯째, 화단의 정지작업시 보도블럭이 깔린 인도에는 중량체의 굴삭기가 올라갈 수 없기 때문에 통상 도로의 가장자리에 굴삭기가 위치된 상태에서 작업을 실시하더라도 암석이나 아스콘 덩어리를 퍼 올릴 때와 마찬가지로 덮개부재가 긁어모은 토사물을 버켓의 내부로 밀어 넣게 되므로 화단을 훼손시키지 않고도 화단의 정지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 붐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링크타입으로 결합된 아암이 상하운동을 하도록 하고 상기 아암에 설치된 또 다른 유입실린더의 동작에 따라 아암의 끝단에 설치된 버켓이 굴절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굴삭기에 있어서, 상기 버켓의 상측에 위치하는 아암에 고정 설치되고 상측에 링크홀더가 고정되며 하측에는 버켓홀더가 고정된 브라켓과, 상기 버켓홀더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선단에는 버켓에 고정된 투스와 상호 어긋나게 위치하는 투스가 고정된 덮개부재와, 상기 아암의 상측에 설치되어 덮개부재를 회동시켜 버켓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압을 작용시키는 유압호스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설치되어 유압호스의 분리시 유압실린더에 작용되던 유압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링크홀더의 일단에 사이드링크를 힌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사이드링크의 다른 일단은 유압실린더의 로드에 힌지 결합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덮개부재의 사이에는 H링크의 양단을 각각 힌지 결합하여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덮개부재가 회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부재는 외곽틀을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용접 고정된 장삽으로 구성하여 상기 장삽의 내측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투스를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부재의 끝단에 고정된 투스의 경사각이 덮개부재의 상면으로부터 10 ∼ 20°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덮개부재에 아암의 끝단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핀홀더를 고정하여 상기 핀홀더에 H링크를 연결하고 덮개부재의 다른 일단에 위치하는 투스의 폭은 붐대의 폭보다 넓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정스위치가 주조정레버의 손잡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2204U KR200252972Y1 (ko) | 2001-07-23 | 2001-07-23 |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2204U KR200252972Y1 (ko) | 2001-07-23 | 2001-07-23 |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44163A Division KR20010085032A (ko) | 2001-07-23 | 2001-07-23 |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2972Y1 true KR200252972Y1 (ko) | 2001-11-26 |
Family
ID=73105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2204U KR200252972Y1 (ko) | 2001-07-23 | 2001-07-23 |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297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5696B1 (ko) * | 2011-03-31 | 2012-07-18 | 주식회사 코엘 |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
KR102044346B1 (ko) | 2019-02-26 | 2019-11-15 | 장성교 | 선회체와 무관하게 버켓의 좌우회전이 가능한 포크레인 |
-
2001
- 2001-07-23 KR KR2020010022204U patent/KR20025297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5696B1 (ko) * | 2011-03-31 | 2012-07-18 | 주식회사 코엘 | 굴삭기의 유압식 크레인장치 |
KR102044346B1 (ko) | 2019-02-26 | 2019-11-15 | 장성교 | 선회체와 무관하게 버켓의 좌우회전이 가능한 포크레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02821A (en) | Combined shovel and rock breaking chisel for an excavator | |
US5921706A (en) | Method and means for on-roadway recycling of pavement and recovering steels therefrom | |
US6308440B1 (en) | Excavation attachment for powered loader | |
CN108035233A (zh) | 一种市政道路路面结构层施工工程智能破碎清理机 | |
US6751896B2 (en) | Combination bucket/breaker apparatus for excavator boom stick | |
US20070110519A1 (en) | Culvert opening and cleaning apparatus | |
US9127442B1 (en) | Bucket, breaker, and gripping apparatus for an excavator boom stick | |
CA2186677A1 (en) | Excavator and earthen material excavator bucket apparatus | |
US7407017B2 (en) | Locking mechanism | |
KR200252972Y1 (ko) |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
US6658769B2 (en) | Self-cleaning hydraulic clam bucket | |
KR20010085032A (ko) | 굴삭기 버켓용 보조핑거 | |
EP1967655A2 (en) | Excavator bucket and crusher for a loader or excavator | |
JP2000220163A (ja) | バケット及び挟持具を有する油圧ショベル | |
US10745882B1 (en) | Soil collection attachment with automated gate | |
US5953839A (en) | Excavating attachment for earth moving equipment | |
JP3594758B2 (ja) | オールケーシング工法の既設構造物回収方法及び既設構造物回収装置 | |
KR200171738Y1 (ko) | 집게장치를 갖는 굴삭기 | |
JP2649703B2 (ja) | ショベル系掘削機のフロントアタッチメント | |
JPH0452285Y2 (ko) | ||
KR200418704Y1 (ko) | 커버장치를 갖는 굴삭기용 버킷 | |
AU2012216738B2 (en) | An excavating tool | |
RU219569U1 (ru) | Рабочий орган для очистки закрепленного дна мелиоративных каналов | |
GB2564867A (en) | Sweeper apparatus for a working machine | |
WO2002022966A1 (en) | Digg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