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798Y1 -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798Y1
KR200252798Y1 KR2020010020233U KR20010020233U KR200252798Y1 KR 200252798 Y1 KR200252798 Y1 KR 200252798Y1 KR 2020010020233 U KR2020010020233 U KR 2020010020233U KR 20010020233 U KR20010020233 U KR 20010020233U KR 200252798 Y1 KR200252798 Y1 KR 200252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blocking device
sewer
rain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봉
Original Assignee
(주)평강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강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평강산업개발
Priority to KR2020010020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7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798Y1/ko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그레이팅(10a) 하부에 구비되고, 하수구맨홀(10)의 악취는 방지하되, 빗물의 유입은 용이하도록 하는 하수구의 악취차단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악취차단장치(100)는 상기 그레이팅(10a)이 구비되는 단턱(11)에 안착되는 플랜지(111)와, 상기 플랜지(111) 하측의 하수구맨홀(10) 내벽에 밀착되고, 상, 하부로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통(110)과;
상기 사각통(110)의 하측에 장착된 힌지핀(112)과 측단면상으로 역삼각형의 상단중심에 힌지결합되고, 평상시에는 냄새를 차단하는 마구리역할을 하되, 우천시에는 측단면상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유입되는 빗물등의 무게에 의해 힌지회동하도록 하여 빗물의 유입은 용이하도록 하고, 하측방으로 돌출된 수평유지부(121)의 내부에는 비유동성 중량물이 구비되어 하측으로 작용하는 무게중심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는 차단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차단밸브에 의해 빗물등의 유입은 용이하도록 하되, 악취는 원천적으로 차단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BAD SMELL CUTOFF EQUIPMENT OF DRAIN MANHOLE}
본 고안은 하수구 맨홀에 구비되는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맨홀 상부에 그레이팅이 구비되도록 형성된 단턱에 걸치도록 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상기 맨홀의 내벽에 밀착되되, 상, 하부가 개구된 사각통과, 상기 사각통의 하측에 단면상으로 역삼각형으로 형성된 차단밸브의 상부 중심에 힌지결합된 힌지핀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우천시 빗물의 유입은 용이하도록 하고, 하부중심에는 하측방으로 돌출된 수평유지부 내부에 콘크리트(Concreate) 또는 납(Pb)등의 비유동성(非遊動性) 중량물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평상시에는 맨홀 하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차단하도록 하는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구 맨홀의 악취를 차단하도록 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18233호로 '하수구 맨홀용 냄새방지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냄새방지장치(1)는 아랫쪽으로 내려갈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된 중공의 깔때기형 몸체(2) 상부와, 상기 몸체(2) 상부의 최상부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맨홀 뚜껑(1a)의 바로 아래에 안치되도록 된 환상 돌출부(3)와, 상기 몸체(2) 상부와 일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2) 상부와V자형을 이루도록 꺾여져 있는 몸체(2) 하부와,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면이 상기 몸체(2) 하부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는 추(錐)(4)와, 상기 몸체(2) 상부내부에 설치된 지지막대(5)와, 상기 지지막대(5)와 상기 원뿔형 추(4)의 꼭지점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탄성체(6)로 구성되어서 상기 맨홀 두껑(1a)을 통하여 물이 유입될 때, 그 중량에 의해 상기 추(4) 및 상기 탄성체(6)가 아랫쪽으로 밀려 내려 가면서 통수로를 제공하고, 상기 물의 양이 줄어들어서 상기 물의 중량이 상기 탄성체(6)의 복원력보다 작게 되었을 때에 상기 탄성체(6) 및 추(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탄성체, 즉, 압축코일 스프링은 다수회의 압축과 인장을 거듭하는 과정에서 금속재질 특유의 탄성한도가 벗어나면 그 탄성력을 상실하여 상기한 추가 하향으로 구비되어 냄새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폭우시 많은 양의 빗물이 유입되면 상기 탄성체에 부하가 걸려 끊어지거나 탄성체 각 단의 연결부위가 이탈되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사용자들은 스프링을 신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의 손상 또는 이탈에 의해 잦은 보수공사를 시행함으로써, 관계관청의 시공예산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한번의 시공으로 차단밸브의 힌지회동에 의해 빗물을 유입하도록 하는 간단한 구성의 장치에 의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며 하수구의 악취를 차단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의 가)와 나)는 종래 하수구 맨홀의 악취를 방지하는 수단의 구성과 차단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악취차단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악취차단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2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악취차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부 4변에 통상의 고무재질의 패킹을 장착하여 악취차단을 극대화하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맨홀 10a;그레이팅
100악취차단장치 110;사각통
111;플랜지 112;힌지 핀
120;차단밸브 121;수평유지부
122;패킹 WT;중량물
본 고안은 그레이팅 하부에 구비되어 하수구맨홀의 악취는 방지하되, 빗물의 유입은 용이하도록 하는 하수구의 악취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악취차단장치는 상기 그레이팅이 구비되는 단턱에 안착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하측의 하수구맨홀 내벽에 밀착되고, 상, 하부로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통과;
상기 사각통의 하측방에 장착된 힌지핀과 측단면상으로 역삼각형의 상단중심에 힌지결합되고, 평상시에는 냄새를 차단하는 마구리역할을 하되, 우천시에는 측단면상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유입되는 빗물등의 무게에 의해 힌지회동하도록 하여 빗물의 유입은 용이하도록 하고, 하측방으로 돌출된 수평유지부의 내부에는 비유동성 중량물이 구비되어 하측으로 작용하는 무게중심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는 차단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악취차단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악취차단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 2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악취차단장치의 다른실시예로서, 상부 4변에 통상의 고무재질의 패킹을 장착하여 악취차단을 극대화하도록 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악취차단장치(100)는 공지의 콘크리트재 맨홀(10) 상부에 형성된 단턱(11)에 안착되는 플랜지(111)가 형성되고, 상, 하측이 개구(開口)된 사각통(110)과, 상기 사각통(110)의 하부에 형성된 힌지홀(113)을 관통하는 힌지핀(112)에 의해 단면상으로 역삼각형의 상부 중심에 힌지결합되어 빗물의 중량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힌지회동하는 차단밸브(120)로 대별된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기 힌지홀(113)은 외측으로 카운터 싱크(Counter Sink)를 형성하여 접시머리를 구비한 접시머리볼트(KS B 1017-82)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힌지핀(112)은 공지의 평행핀(KS B 1320-85) 또는 헤드붙이 핀(DIN 1434)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120)는 평면상으로 상기 사각통(110)의 내부에 구비되되, 회동은 용이하도록 사각형상을 구비하고, 측단면상으로는 하측이 돌출된 역삼각형으로 형성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부양측 절곡부(120a)는 상기 힌지핀(112)에 의해 차단밸브(120)가 힌지회동할 때,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라운드로 절곡하였다.
상기 차단밸브(120)의 양단에는 상기 힌지핀(112)이 관통하여 힌지회동이 용이하도록 핀 관통공(PH)이 형성된 마구리(120b)가 장착되는데, 상기 마구리(120b)를 장착하기 전에 상기 차단밸브(120)의 돌출된 수평유지부(121)의 내측으로 비유동성 중량물(WT), 즉, 최초에는 점상(粘狀)의 상태에서 경화가 완료되면 출렁거리거나,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또는 납등의 중량물을 소정량 삽입하고, 상온(常溫)에서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마구리(120b)를 장착하면 본 고안 차단밸브(120)의 제작은 완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중량물을 구비하는 이유로는 상기 사각통(110)의 내부에 차단밸브(120)를 힌지핀(112)에 의해 힌지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차단밸브(1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하부중앙에 돌출된 수평유지부(121)의 내측에 중량물(WT)을 구비시키는 것이다. 즉, 우천시에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본 고안의 차단밸브(12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힌지회동은 용이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돌출된 중앙에 구비된 상기 중량물(WT)에 의해 무게중심이 하측방으로 작용하여 차단밸브(1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것은 설치가 완료된 본 고안의 악취차단장치(1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유지부(121)의 내측으로 구비된 중량물(WT)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한 본 고안의 차단밸브(120)는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의 중량에 의해 수평상태가 무거운 쪽으로 기울게 되면 차단밸브(120)는 힌지회동으로 기울며 양측으로 빗물이 통과하도록 하여 노상(路上)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비가 그친 평상시에는 상기 중량물(WT)이 구비된 수평유지부(121)에 의해 수평으로 된 원상태로 복귀하며 하수구의 악취를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 차단밸브(12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차단밸브(120)의 4변에 통상의 고무재질의 패킹(Packing)(122)을 통상의 접착제로장착하여 상기한 사각통(110)의 내벽에 밀착되도록 하여 악취차단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패킹(122)은 연질(軟質)고무로 용이하게 압축이 가능한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한 중량물(WT)에 의해 수평상태가 될 때, 다소 압축되며 사각통(110)의 내벽에 접촉되면 틈새가 없으므로 악취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120)의 절곡부(120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로 장착할 때 장착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절곡부에 통상의 금속재의 연신율에 의해 발생하는 라운드는 가능하면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측에 상세 도시한 것은 절곡부의 라운드를 작게 형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금속가공기인 플래너(Planer)로 V자 홈을 형성한 후, 상기 V자 홈 부위에 절곡을 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라운드가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120)와 사각통(110)은 수분에 의한 부식, 즉, 녹이 발생하지 않는 알루미늄(Aluminumn), 스테인레스(Stainless) 또는 통상의 금속판의 표면에 도금처리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한번의 시공으로 고장수리가 없이 긴 수명으로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한번의 시공으로 차단밸브의 힌지회동에 의해 빗물을 유입하도록 하는 간단한 구성의 악취차단장치에 의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며 하수구의 악취를 차단한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장치를 신뢰하지 못하는 사용자들에게 상기한 바와 같이 간단한 구성으로 구비되되, 확실한 악취차단효과로 신뢰감을 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그레이팅(10a) 하부에 구비되고, 하수구맨홀(10)의 악취는 방지하되, 빗물의 유입은 용이하도록 하는 하수구의 악취차단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악취차단장치(100)는 상기 그레이팅(10a)이 구비되는 단턱(11)에 안착되는 플랜지(111)와, 상기 플랜지(111) 하측의 하수구맨홀(10) 내벽에 밀착되고, 상, 하부로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통(110)과;
    상기 사각통(110)의 하측방에 장착된 힌지핀(112)과 측단면상으로 역삼각형의 상단중심에 힌지결합되고, 평상시에는 냄새를 차단하는 마구리역할을 하되, 우천시에는 측단면상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유입되는 빗물등의 무게에 의해 힌지회동하도록 하여 빗물의 유입은 용이하도록 하고, 하측방으로 돌출된 수평유지부(121)의 내부에는 비유동성 중량물이 구비되어 하측으로 작용하는 무게중심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는 차단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부(121) 내부에 구비된 비유동성 중량물은 콘크리트 또는 납중 어느 것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밸브(120)의 상단 4변에는 악취차단을 극대화하도록 고무재질의 패킹(122)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2020010020233U 2001-07-05 2001-07-05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200252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233U KR200252798Y1 (ko) 2001-07-05 2001-07-05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233U KR200252798Y1 (ko) 2001-07-05 2001-07-05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798Y1 true KR200252798Y1 (ko) 2001-11-26

Family

ID=73104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233U KR200252798Y1 (ko) 2001-07-05 2001-07-05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7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419A (ko) * 2002-07-03 2004-01-13 (주)일산금속 맨홀
KR20040003421A (ko) * 2002-07-03 2004-01-13 (주)일산금속 맨홀
KR101956480B1 (ko) * 2017-11-30 2019-03-08 김영곤 싱크대 배수구용 악취 차단 배수마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419A (ko) * 2002-07-03 2004-01-13 (주)일산금속 맨홀
KR20040003421A (ko) * 2002-07-03 2004-01-13 (주)일산금속 맨홀
KR101956480B1 (ko) * 2017-11-30 2019-03-08 김영곤 싱크대 배수구용 악취 차단 배수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336B1 (ko) 배수트랩
KR102262405B1 (ko) 우수 배수구의 악취 차단장치
KR100562712B1 (ko) 악취방지용 덮개
KR101266114B1 (ko) 악취 방지용 맨홀
KR200252798Y1 (ko) 하수구 맨홀의 악취차단장치
KR100359464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해충 배출방지구
KR200404280Y1 (ko) 수밀성 맨홀 뚜껑 조립체
KR100604449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상하수도용 맨홀
KR101042442B1 (ko) 가변 조립식 악취차단장치
KR101629399B1 (ko) 보수형 잠금구조를 갖는 맨홀뚜껑
JP4759169B2 (ja) 人孔蓋受枠、マンホールの人孔蓋飛散防止構造
KR101639585B1 (ko) 악취 차단 기능을 갖는 배수구 덮개
US9394678B1 (en) Floor drain sealing valve
KR20120000758U (ko) 맨홀의 악취방지장치
KR200379714Y1 (ko) 하수구의 악취 및 해충 배출방지구
KR102012395B1 (ko)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100556297B1 (ko) 조립형 프레임을 이용한 맨홀 장치
KR200415650Y1 (ko) 맨홀덮개
KR200229385Y1 (ko) 하수구의 악취 및 해충 배출방지구
JP3412750B2 (ja) 地下構造物用の排圧用中蓋
KR200306637Y1 (ko) 맨홀의 잠금장치
KR200375976Y1 (ko) 역류방지 및 악취차단장치
CN219840189U (zh) 防臭复合井盖
KR100566098B1 (ko) 배수트랩
JPS6032220Y2 (ja) 地下構造物用蓋の蝶番揺動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