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509Y1 -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에 관한 고안 - Google Patents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에 관한 고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509Y1
KR200252509Y1 KR2020010024462U KR20010024462U KR200252509Y1 KR 200252509 Y1 KR200252509 Y1 KR 200252509Y1 KR 2020010024462 U KR2020010024462 U KR 2020010024462U KR 20010024462 U KR20010024462 U KR 20010024462U KR 200252509 Y1 KR200252509 Y1 KR 2002525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container
cap
carbonated
compressi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철
Original Assignee
정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연철 filed Critical 정연철
Priority to KR2020010024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5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5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509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산가스등을 함유하고 있는 탄산음료등의 용기에 관한 고안으로 유통 또는 소비과정에서 잔량의 탄산음료등이 함유하고 있는 탄산가스등의 유실을 억제하고 고유의 청량감을 지속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를 개봉한 후에 간단한 조작으로 용기를 압축함으로써 용기 내부의 압력을 인위적으로 증가시켜 잔량의 탄산음료등으로부터 탄산가스등의 유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에 관한 고안{compressible bottle}
본 고안은 탄산gas등 가스(이하 '탄산gas등' 이라 함)를 함유하고 있는 콜라, 사이다등의 청량음료나 주류등(이하 '탄산음료 등' 이라 함)의 용기에 관한 고안으로 유통과정 또는 소비과정에서 용기에 남은 잔량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탄산음료등에 혼입되어 있는 탄산gas등의 유실을 억제함으로써 탄산음료등의 고유한 청량감을 지속시킬 수 있는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에 관한 고안이다.
종래의 탄산음료 등의 용기는 대체로 플라스틱 계통이나 알루미늄 등 연성의 재질로 된 경우에도 그 형상 구조가 음용부(이하'마개부분'이라 함)가 좁고 돌출되어 있으며 바닥부분이 넓은 고정된 형상을 하고 있어 마개부분을 위로하여 정립시킬 수 밖에 없는 구조를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정된 형태의 용기에 탄산음료 등을 주입하여 판매, 보관을 하게 되면 소비자가 대(大)용량의 용기로 탄산음료 등을 구입. 소비할 경우 용기를 개봉하여 일부를 소비하고 잔여량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마개의 밀폐가 완전하지 아니할 경우 탄산음료등에 혼입되어 있던 탄산가스등이 용출되어 나오므로 해서 탄산가스등의 유실로 인한 고유의 청량감이 상실되게 된다.
둘째. 일단 마개를 개봉하게 되면 용기 내부 공간에 고압으로 충진되어 있던 가스는 즉각 용기 밖으로 유실되어 버리고 용기 내부의 공간은 대기압과 같게 되는 바, 일단 마개를 개봉한 후에는 다시 밀폐하더라도 잔여 탄산음료등에 용존되어있던 탄산가스등의 용출로 인한 용기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잔여량으로부터 더 이상 탄산가스등의 용출이 억제될 수 있을 정도에 이르기까지 잔여 탄산음료등에 용존되어 있던 탄산가스등의 용출이 계속될 것이고, 이렇게 용출된 탄산가스등은 이후 다시 마개를 개봉하게 되면 또 다시 용기 밖으로 유실되어, 이로인해 잔여량으로부터의 탄산가스 용출 → 마개 개봉 → 용기 밖으로 유실과정이 반복되므로써 몇일만 지나면 용기내 잔여량은 그에 용존되어 있던 탄산가스 등을 모두 유실하여 버리고 고유의 청량감이 상실된 소위 김빠진 콜라 김빠진 사이다가 되게된다.
셋째. 뿐만 아니라 소량의 잔여량을 보관하는 경우에도 용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없으므로 불필요한 과대 부피의 용기에 소량의 잔여량을 보관할 수 밖에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용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일단 용기의 마개를 개봉한 다음에는 즉시 용기 내부의 압력을 인위적으로 증가시켜 잔량의 탄산음료등으로 부터 탄산gas등의 유실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용기의 부피가 압축. 축소되는 등 용기의 부피를 가변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용기내 잔여 내용물의 보관을 편리하게 하고 나아가 용기 자체를 역립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마개를 통한 탄산gas등의 유실을 억제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제1도 : 본 고안 용기의 정단면도
제2도 : (가)는 본 고안 용기의 압축부 정단면도
(나)(다)는 본 고안 압축부의 다른 실시예 정단면도
제3도 : (가)는 압축캡(cap)의 정단면도
(나)(다)(라)는 압축캡(cap)의 다른 실시예 정단면도
제4도 : (가)는 제1도 A-A선 평단면도
(나)는 다른 실시예의 A-A선 평단면도
제5도 : 제4도의 (나)의 전개도
제6도 : (가)는 본 고안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의 정단면도
(나)는 (가)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1) : 마개 부분
(2)(2') : 용기의 상단부
(3) : 용기의 측면 벽
(4)(4')(4') : 용기의 압축부의 측면
(5)(5') : 용기의 바닥
(6)(6') : 용기의 압축캡(cap)과의 연결 부위
(7)(7') : 압축캡(cap)
(8)(8')(8') : 압축캡(cap)의 나사산
(9) : 압축캡(cap)의 바닥
(10)(10') : 압축캡(cap)의 용기와의 연결 부위
(11)(11') : 압축캡(cap)의 나사골의 폭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제1도. 제2도, 제3도. 제4도.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 몸체의 측면 벽의 전부 또는 일부분이 둥근 형 혹은 각진 형태의 나사산 구조(4)(4')를 갖는 주름관 형상의 볼트형 압축부에, 내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이에 대응하는 너트 구조를 갖춘 압축 캡(7)(7')을 부착하여 이 압축 캡을 회전·압축함으로써 용기를 압축할 수 있는 구조와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를 역립하여 보관하기 용이하도록 마개부분(1)을 용기 상단(2')과 수평 또는 그 이하에 위치하거나 마개 자체의 크기를 크게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압축cap은 제2도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의 중앙부(10)와 용기 몸체의 하단 중앙부(6)가 끼워진 형태로 회전, 압축할 수 있거나 제2도 (다)에서와 같이 상단부(10')가 용기 몸체의 어깨 부위(6')에 끼워 걸린 형태로 회전, 압축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이 압축cap을 회전, 압축시킴으로써 용기 몸체의 바닥 부분(5)이 압축되거나 또는 용기 몸체의 측면 나사산 부분이 하부 또는 상부로부터 누적적으로 접히면서 용기가 압축되게 된다. 이때 하부 압축의 경우에는 용기를 역립하여 압축하거나 상부 압축의 경우에는 용기를 정립한 채 압축하면 압축이 용이하다.
압축cap(7)(7')의 나사골의 형태는 제3도 (가)와 같은 둥근 형 (나)(다)와 같은 각진 형 또는 (라)와 둥근 형과 각진 형을 순차 겸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라)의 경우는 용기 몸체의 압축부 나사산이 둥근 형인 경우 용기 몸체 측면의 접힘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압축cap의 나사골의 폭은 제3도 (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으나 (나)(다)(라)의 경우와 같이 나사골을 순차적으로 축소(11)(11')하여 압축cap을 회전·압축하는 과정에서 용기 몸체의 압축부 측면 나사산의 접힘이 보다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압축으로 인한 용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여 압축cap이 역회전·후퇴하게 되는 경우에는 제4도(나),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 몸체의 압축부 나사산이나 나사골의 형태를 팔랑개비 형의 돌기 형태(4')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압축cap의 나사산 또는 나사골의 형태를 구성(8')하거나, 이와 유사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요철 구성을 취하면 용기 내부의 압력이 증가된 경우에도 압축cap의 역회전 후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용기에 탄산음료등을 담아 판매, 소비하게 되면 일부를 소비한 후에도 용기 내의 압력을 인위적으로 증가시켜줌으로써 잔여량으로부터 탄산 gas등의 유실을 억제하고 잔량 모두를 소비할 때까지 그 고유의 청량감을 지속시킬 수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용기 몸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둥근 형 또는 각진 형태의 나사산 구조를 갖는 주름관형상의 볼트형구조의 압축부로 하고, 이에 내벽의 전부 또는 일부가 용기몸체의 압축부에 대응하는 너트형 구조를 갖는 압축cap(7)(7')을 부착하여, 압축cap을 압축·회전시킴으로써 용기 압축부의 바닥부분 또는 측면 나사산 부분을 누적적으로 접히게 하여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압축cap의 나사산의 형태가 둥근 형(8)과 각진 형(8')을 순차 겸유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압축cap을 부착한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압축cap의 나사골의 폭(11)(11')을 순차로 좁게 함으로써 용기의 압축부 측면 나사산 부분의 접힘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압축cap을 부착한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용기 몸체의 압축부 나사산이나 나사골에 돌기 형태(4')를 구성하고 압축cap의 나사산이나 나사골을 이에 대응하도록 구성(8')하여 압축으로 인한 용기 내부의압력 증가시 압축cap의 역회전 후퇴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용기의 마개부분(1)이 용기의 상단(2 )과 수평 또는 그 이하에 위치하거나 마개 자체의 크기를 역립 보관이 용이하도록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압축용 용기
KR2020010024462U 2001-08-11 2001-08-11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에 관한 고안 KR2002525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462U KR200252509Y1 (ko) 2001-08-11 2001-08-11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에 관한 고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462U KR200252509Y1 (ko) 2001-08-11 2001-08-11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에 관한 고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509Y1 true KR200252509Y1 (ko) 2001-11-22

Family

ID=7310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462U KR200252509Y1 (ko) 2001-08-11 2001-08-11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에 관한 고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5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88B1 (ko) 2007-01-26 2008-03-24 애경산업(주) 디스펜서
KR200468264Y1 (ko) 2013-05-15 2013-08-01 정형석 물통과 그 물통을 포함하는 착용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288B1 (ko) 2007-01-26 2008-03-24 애경산업(주) 디스펜서
KR200468264Y1 (ko) 2013-05-15 2013-08-01 정형석 물통과 그 물통을 포함하는 착용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10384C (en) Bottle holder
US5465835A (en) Bottle closure cap for two-component packings
US5758789A (en) Carbonated beverage bottle
US20050061764A1 (en) Variable volume beverage container
KR200252509Y1 (ko) 탄산음료등의 압축용 용기에 관한 고안
GB2370555A (en) Multi-function container
KR200446283Y1 (ko) 세로접이선이 구비된 용기
CN2450136Y (zh) 保鲜饮料箱
GB2319238A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0261100Y1 (ko) 다단으로 적층되는 음료용기
JP3135772U (ja) 清涼飲料水用袋容器
KR100429708B1 (ko) 통체의 2중 분할 구조와 마개의 컵 겸용 구조를 갖는음료수 병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KR200284872Y1 (ko) 이중 유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KR200244484Y1 (ko) 음료용 페트병 구조
KR200330302Y1 (ko) 거꾸로 병마개 페트병
KR200300958Y1 (ko) 주름관이 형성된 음료수 병
KR200225681Y1 (ko) 절첩식 음료수 페트병
GB2373492A (en) Containers for beverages
KR20060102820A (ko) 이중 나사부에 의한 수밀구조를 갖는 용기
KR19990037046U (ko) 탄산음료용용기구조
KR200251343Y1 (ko) 컵 겸용 마개
KR200179872Y1 (ko) 음료수 용기
KR200393417Y1 (ko) 컵 겸용 병뚜껑
KR200415293Y1 (ko) 수납공간을 갖은 음료용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