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477Y1 -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 Google Patents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477Y1
KR200251477Y1 KR2020010023169U KR20010023169U KR200251477Y1 KR 200251477 Y1 KR200251477 Y1 KR 200251477Y1 KR 2020010023169 U KR2020010023169 U KR 2020010023169U KR 20010023169 U KR20010023169 U KR 20010023169U KR 200251477 Y1 KR200251477 Y1 KR 200251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taining wall
wall
formwork
underground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16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용웅
Original Assignee
배용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용웅 filed Critical 배용웅
Priority to KR2020010023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47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477Y1/en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 시공시 지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H빔과 H빔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적층되어 벽을 구성하는 각목과 각목 사이에 끼운 후 회전시켜 상기 벽에 고정하도록 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거푸집의 고정을 견고하게 한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기 연결구의 일측단은 상기 각목들의 사이에 끼운 후 회전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판을 형성하되, 그 고정판의 선단은 끝이 뾰족하게 형성하고, 그 반대 측단은 상기 각목들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는 톱니들을 형성하는 한편, 그 중앙부에는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연결봉을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고리에 인접하는 위치의 연결봉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하는 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공을 갖는 고정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이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that is laminated to fit between the H-beam and H-beam for building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during construction, sandwiched between the lumber and lumber constituting the wall and then rotated to fix the wall. It relates to a connector for building a base retaining wall firmly fixed, the configuration of which one end of the connector is formed between the corners to form a fixed plate to be rotated and fixed, but the tip of the fixing plate is pointed end And the opposite side end forms teeth so as to be firmly supported on the corners, while the center part is integrally configur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a connecting rod formed at the end thereof, and the connecting ro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op There is a fixing nut with a female threaded hole that can be bolted to support the formwork for concrete casting.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scription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omitted}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nector

본 고안은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 시공시 지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H빔과 H빔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적층되어 벽을구성하는 각목과 각목 사이에 끼운 후 회전시켜 상기 벽에 고정하도록 하는 연결구의 구조를 개선하여 거푸집의 고정을 견고하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building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H beam and the H beam for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during construction, sandwiched between the lumber and the lumber constituting the wall and rotating.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to be fixed to the wall is to firmly secure the formwork.

일반적으로 건축 시공시에 지하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 거푸집과 고정시키거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벽과 거푸집 사이에 가로로 각목을 끼워 넣거나, 또는 일측이 뾰족하게 형성된 간격유지구를 설치하며, 거푸집의 고정을 위하여 거푸집 외측에 지지간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in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retaining walls during construction, in order to fix the formwork, or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wall and the formwork to sandwich the lumber, or to install a gap-shaped spacing point formed on one side, To support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bar on the outside of the formwork.

그러나, 이는 거푸집과 벽과의 간격을 유지할 수는 있으나, 거푸집이 견고하게 고정 설치되지 못하므로, 거푸집과 벽 사이에 몰탈을 부어넣게 되면 거푸집이 외측으로 밀려나, 지하 옹벽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못할 뿐아니라, 지하 옹벽의 외벽이 일정면을 갖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is can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wall, but since the formwork cannot be firmly installed, when the mortar is poured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wall, the formwork is pushed outward, and the thickness of the base retaining wall cannot be constant.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outer wall of the base retaining wall does not have a certain surface.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벽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을 간단하고 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for building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that can be fixed simply and firmly to form the formwork is install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wall as to solve such disadvantag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for building a bas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for building a bas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connector for building a bas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building a bas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연결구 12 - 고정판10-End Connection 12-Retaining Plate

14 - 톱니 16 - 연결봉14-tooth 16-connecting rod

18 - 고리 20 - 고정너트18-Ring 20-Lock Nut

상기 목적은 건축 시공시 지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H빔과 H빔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적층되어 벽을 구성하는 각목과 각목 사이에 끼운 후 회전시켜 상기 벽의 일측에 고정하도록 하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의 일측단은 상기 각목들의 사이에 끼운 후 회전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판을 형성하되, 그 고정판의 선단은 끝이 뾰족하게 형성하고, 그 반대 측단은 상기 각목들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는톱니들을 형성하는 한편, 그 중앙부에는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연결봉을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고리에 인접하는 위치의 연결봉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하는 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공을 갖는 고정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The purpose of the connector i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H-beam and H-beam for building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during construction, sandwiched between the wood and the wood constituting the wall and then rotated to fix on one side of the wall, the One end of the connector forms a fixing plate to be inserted and rotated between the corners of the neck, the tip of the fixing plate is formed with a sharp end, the opposite side to form teeth to be firmly supported by the corners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project a connecting rod formed at the end of the r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onnecting ro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ing has a female screw hole that can be coupled to the bolt to support the formwork for concrete placement It is achievable by the connector for building the base retaining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nut hav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평면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a connector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10)는 반원형상으로 된 고정판(12)이 일측에 구비되고, 그 고정판(12)에 일체로 구성되어 돌출되는 연결고리(18)의 끝단에는 고리(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리(18)에 인접하는 위치의 연결봉(16)에는 거푸집을 고정하도록 하는 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고정너트(20)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너트(20)에는 암나사공(22)이 형성되어 있어 거푸집을 고정하고 있는 볼트를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도 1과 도 2 및 도 3에는 상기 고정너트(20)를 고리(18)의 끝단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고정너트(20)의 설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최소한 고리(18)측에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and 3, the connec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mi-circular fixing plate 12 is provided on one side, the connecting ring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late 12 (protruding) At the end of the ring 18, a ring 18 is formed. In addition, the connecting rod 16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ring 18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fixing nut 20 that can be coupled to the bolt to fix the formwork, the fixing nut 20 is female threaded hole ( 22) is formed so that the bolt fixing the formwork can be easily fastened. 1, 2, and 3 show a state in which the fixing nut 2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ring 18, but does not limi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xing nut 20, but at least the ring 18 It is preferable to provide in the position adjacent to a side.

상기 고정판(12)의 형상은 대략 반원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고, 그 선단에는 상기 각목(32)들의 사이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뾰족하게 구성하고, 그 후단은 상기 각목(32)들에 끼워진 후 회전되어 고정될 때 견고히 고정되도록 톱니(14)들이 형성되어 있다.The shape of the fixing plate 12 is preferably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the tip is configured to be pointed so that it can be easily sandwiched between the box 32, the rear end is fitted to the box 32 The teeth 14 are formed to be firmly fixed when it is rotated and fixed afterwards.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연결구(10)는, 그 연결구(10)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판(12)을 H빔(30)과 H빔(30)사이에 끼워지도록 적층되어 벽을 구성하는 각목(32)과 각목(32)의 사이에 끼운 후 회전시켜 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벽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너트(20)의 암나사공(22)에 거푸집을 고정하고 있는 볼트(36)를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거푸집을 벽과 일정 거리가 유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또 그 벽과 거푸집의 사이를 시멘트 몰탈(38)을 시공하여 지하옹벽을 구축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so that the fixing plate 1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nector 10 is sandwiched between the H beam 30 and the H beam 30 to form a wall 32. ) And the wooden box 32 is fixed to the wall by rotating so as to stand vertically. In such a state, by fastening the bolt 36 fixing the formwork to the female threaded hole 22 of the fixing nut 20, the formwork can be installed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all, and the wall and the formwork The cement mortar 38 can be constructed therebetween to build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의 설치상태를 도 4와 도 5에 나타내었다.4 and 5 show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bas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bas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하 옹벽을 구축함에 있어서는 통상일정깊이와 일정넓이로 땅을 파고, 지하벽 일측으로 H빔(30)을 일정 간격으로 박은 다음 상기 H빔(30)과 H빔(30)의 사이에 각목(32)들을 차례로 끼워서 적층하여 벽을 형성함으로서 땅을 판 지하벽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벽으로부터 거푸집을 일정간격 설치한 다음, 상기 벽과 거푸집(34)의 사이에 시멘트 몰탈(38)을 시공하여 지하 옹벽을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4 and 5, in constructing the base retaining wall, the ground is dug at a predetermined depth and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H beam 30 is drive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 one side of the underground wall, and then the H beam 30 and the H beam. By inserting the lumbers 32 in turn between the 30 to form a wall to prevent the ground plate underground wall from flowing down, and to install a formwork from the wall at a certain interval, the wall and the formwork 34 The cement mortar 38 is constructed in between to build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이때, 상기 거푸집(34)은 벽과의 일정거리를 안정성 있게 유지하면서 견고하게 설치하지 않으면, 지하 옹벽이 설계된 대로 구축되지 못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거푸집(34)을 설계함에 있어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벽과의 거리를 일정간격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ormwork 34 is not installed firmly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the wall, the base retaining wall is not built as designed, but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o install a solid in designing the formwork 34 Of course, the distance from the wall can be maintained at a certain interval.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벽을 구성하는 각목(32)과 각목(32)의 사이에 본 고안의 연결구(10)에 구비된 고정판(12)을 끼워 상기 고정판(12)이 박히게 하는데 상기 고정판(12)은 그 선단이 뾰족하게 구성되어 있어 용이하게 각목(32)들의 사이에 끼울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xing plate 12 is sandwiched between the lumber 32 and the lumber 32 constituting the wall as described above to sandwich the fixing plate 12 provided in 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late 12 is stuck. ) Is pointed at the tip can be easily sandwiched between the lumber (32).

이와 같이 끼워진 고정판(12)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판(12)은 수직하게 세워지게 되어 각목(32)들의 사이로 다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12)에 형성된 톱니(14)들에 의해 그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판(12)이 수직하게 설치되어 고정될 때 상기 톱니(14)들이 각목(32)들에 박히는 형태로 됨으로서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현상은 본 고안의 연결구(10)에 거푸집을 고정하도록 하는 볼트(36)를 체결시에 당겨지는 힘에 의해 더욱 더 견고히 박혀지게 된다.When the fixed plate 12 is rotated so that the fixed plate 12 is vertically erected so as not to fall back between the squares (32). At this time, by the teeth 14 formed in the fixing plate 12 it can be firmly fixed. That is, when the fixing plate 12 is vertically installed and fixed, the teeth 14 are fixed to the corners 32 so as to be firmly fixed, and this phenomenon is fixed to the connecto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 36 is tightened even more firmly by the pulling force at the time of tightening.

또한, 상기 고정판(12)을 회전시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예컨데, 길이가 긴 파이프 등)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18)의 끼운 후 회전시키게 되면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18)에는 시멘트 몰탈을 시공한 후에 돌출되는 철선(미도시)들이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고리(18)에는 거푸집을 고정하는 볼트의 끝단에 후크를 형성(타이볼트)하여 그 후크를 상기 고리(18)에 거는 것에 의해 거푸집이 일정 간격을 유지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otate the fixing plate 12, by inserting the ring 18 by using a separate tool (for example, a long pipe, etc.), it can be easily rotated with a small force. In addition, the wire 18 may be fixed to the wires (not shown) protruding after the construction of cement mortar. In addition, the hook 18 can be installed by forming a hook at the end of the bolt fixing the formwork (tie bolt) so that the formwork is hel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y hanging the hook on the hook 18.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거푸집(34)을 고정하는 볼트(36)를 고정너트(20)의 암나사공(22)에 체결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볼트(36)의 끝단에 후크를 형성한 것과 형성하지 않은 모든 것의 볼트를 사용하여 거푸집을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ply installed by fastening the bolt 36 for fixing the formwork 34 to the female screw hole 22 of the fixing nut 20.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formwork is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by using the bolt of the hook formed at the end of the bolt 36 and all that is not formed.

이와 같이 거푸집이 설치되면 그 사이(벽과 거푸집)에 시멘트 몰탈을 시공하여 건물물의 지하 옹벽을 구축하는 것으로, 거푸집이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아 지하 옹벽의 두께가 일정하게 되고, 또 지하 옹벽의 외벽이 일정면을 갖도록 된다.In this way, when the formwork is installed, cement mortar is constructed between them (wall and formwork) to build the base retaining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form of the base retaining wall is not pushed outwar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base retaining wall becomes constant. It will have a certain surface.

즉, 상기 연결구(10)에 의해 거푸집(34)을 고정한 볼트(36)가 체결되어 거푸집(34)이 벽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또한 거푸집(34)과 벽과의 사이에 시공되는 시멘트 몰탈로 된 지하옹벽이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도 지하 옹벽면이 일정하게 되는 것으로, 시공이 간단하고, 거푸집 설치가 더욱 견고해진다.That is, the bolt 36 fixing the formwork 34 by the connector 10 is fastened so that the formwork 34 is kept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wall, and is also constructed between the formwork 34 and the wall. Although the base retaining wall made of cement mortar has a certain thickness, the base retaining wall surface becomes constant, so that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formwork is more firmly installed.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for building a base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나타낸 연결구(10)는 위에서 설명한 연결구(10)와의 모든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다만 고정너트(20)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가 약간 변경된 것으로, 상기 고정너트(20)가 연결봉(16)의 고리(18)가 형성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너트(20)는 고리(18)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The connector 10 shown in FIG. 6 has all the same components as the connector 10 described above. However, as the fixing nut 20 is installed slightly changed pos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fixing nut 20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ring 18 of the connecting rod 16 is formed. Here it can be seen that the fixing nut 2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ring (18).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에 의하면, 건축 시공시 지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H빔과 H빔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적층되어 벽을 구성하는 각목과 각목 사이에 끼운 후 회전시켜 상기 벽에 고정하도록 하는 연결구의 일측단에 구비된 고정판의 선단은 뾰족하게 하여 쉽게 각목들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고, 또 그 고정판의 후단에 형성된 톱니들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벽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설치되는 거푸집을 간단하고 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어 거푸집과 벽과의 사이에 시공되는 시멘트 몰탈로 된 지하옹벽이 일정 두께를 가지면서도 지하 옹벽면이 일정하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단하고 거푸집 설치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connector for constructing an undergroun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ding is laminated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he H beam and the H beam for constructing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during construction.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lat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or to rotate and secure to the wall is to be pointed so that it can be easily fitted between the lumber, and firmly fixed by the teeth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plate. In addition, the formwork installed by keeping the distance from the wall can be fixed simply and firmly so that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made of cement mortar between the formwork and the wall has a certain thickness but Not only does the retaining wall have a constant effect, but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the formwork is more robust. It is a very useful design.

Claims (1)

건축 시공시 지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H빔과 H빔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적층되어 벽을 구성하는 각목과 각목 사이에 끼운 후 회전시켜 상기 벽에 고정하도록 하는 연결구에 있어서,In the connector to be laminated between the H-beam and H-beam for building the underground retaining wall during construction, sandwiched between the wood and the wood constituting the wall and then rotated to fix the wall, 상기 연결구의 일측단은 상기 각목들의 사이에 끼운 후 회전시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판을 형성하되, 그 고정판의 선단은 끝이 뾰족하게 형성하고, 그 반대 측단은 상기 각목들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하는 톱니들을 형성하는 한편, 그 중앙부에는 끝단에 고리를 형성한 연결봉을 소정 길이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구성하고, 상기 고리에 인접하는 위치의 연결봉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도록 하는 볼트를 결합할 수 있는 암나사공을 갖는 고정너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옹벽 구축용 연결구.One end of the connector forms a fixing plate to be inserted and rotated between the wooden blocks to be fixed,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late is formed with a sharp point, the opposite side is formed teeth to be firmly supported by the wooden boxes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portion is integrally configured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connecting rod formed at the end of the end, and the connecting rod in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ring can be coupled to the female threaded bolts to support the formwork for concrete casting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nut having a.
KR2020010023169U 2001-07-30 2001-07-30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KR20025147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169U KR200251477Y1 (en) 2001-07-30 2001-07-30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169U KR200251477Y1 (en) 2001-07-30 2001-07-30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477Y1 true KR200251477Y1 (en) 2001-11-22

Family

ID=73067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169U KR200251477Y1 (en) 2001-07-30 2001-07-30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47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5582B2 (en) Concrete form & stak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990065B1 (en) Joint of PC column using steel block
KR200249941Y1 (en) fixing device of form with built for under ground retaining wall
KR200251477Y1 (en) Undergrou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connector
KR200157465Y1 (en) Anchor for fixing form panels
JP6861991B2 (en) Wall structure
KR100760220B1 (en) Base concrete mold for a streetlight
JPH11270134A (en) Veranda supporting reinforcement anchor
JP2967816B1 (en) Balcony structure
KR200306744Y1 (en) Concrete form fixing tool for underground breast wall
KR200362839Y1 (en) Fixing structure for big-size concrete form
JP2020159153A (en) Wall tie mount metal fitting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emporary scaffold using metal fitting
KR200277912Y1 (en) Concrete form fixing tool for underground breast wall
US20220228384A1 (en) Stem Wall Bracket System and Method
KR200257342Y1 (en) A fixing and supporting structure of flash board for a builing
KR970005544Y1 (en) Device for tying forms
KR200163198Y1 (en) Constructing device of mold for concrete construction
KR200376947Y1 (en) Euroform support structure
KR100515793B1 (en) Base assembly anchor using architecture
KR200174952Y1 (en) Light weight steel frames fabricating construction
JP3048981B2 (en) Width stopper for foundation concrete formwork
JP3744922B2 (en) PC foundation beam member and its connection structure
JPH0227001Y2 (en)
KR0140817Y1 (en) Device for tying wall forms
KR200242485Y1 (en) A sheeting structure of wall concrete for a concret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50112

Effective date: 20051020

EXTG Extingu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