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471Y1 - 유압선반의 공구대 - Google Patents

유압선반의 공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471Y1
KR200251471Y1 KR2020010022932U KR20010022932U KR200251471Y1 KR 200251471 Y1 KR200251471 Y1 KR 200251471Y1 KR 2020010022932 U KR2020010022932 U KR 2020010022932U KR 20010022932 U KR20010022932 U KR 20010022932U KR 200251471 Y1 KR200251471 Y1 KR 200251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ite
tool post
piston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춘배
이군석
황금석
Original Assignee
에프에이지 한화 베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에이지 한화 베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에이지 한화 베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229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4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471Y1/ko

Links

Landscapes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선반의 공구대에 관한 것으로서, 공구대 몸체(38)와, 상기 공구대 몸체가 안착하여 고정되는 슬라이더(42)와, 상기 슬라이더를 이송하는 이송실린더(44)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구대 몸체(38)는, 상하 베이스(46)와, 상기 상하 베이스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 몸체(48)와, 그 일단에 바이트가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바이트 고정구(5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하나의 슬라이더만 사용하여 바이트를 전후 좌우방향으로 운동하게 하여 공구대를 단순화, 콤팩트화하고 제조비를 절감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압선반의 공구대{a cross slide of a hydraulic lathe}
본 고안은 유압선반의 공구대에 관한 것이다.
유압선반은 유압을 이용하여 공구대를 이송하는 선반으로서, 동일한 종류의 가공물을 연속적으로 가공하는 전용선반이다.
종래 유압선반의 공구대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대 몸체 전체를 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제1슬라이더(2)를 이동시키는 제1이송실린더(4)와, 바이트를 가공물의 직경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제2슬라이더(6)를 이동시키는 제2이송실린더(8)를 구비한 구조이다. 상기 제2슬라이더(6)의 상측에는 공구대 받침대(10)를 매개로 공구대 몸체(12)가 결합된다.
상기 공구대 몸체(12)는, 상하 조정볼트(14)와 상하 조정볼트 브라켓(16)으로 된 상하 조정수단에 의해 상하로 그 위치가 조정가능케 된 상하 베이스(18)와, 상기 상하 베이스(18)의 우측에 도브테일방식으로 결합되며 바이트 홀더(20)가 고정된 바이트 고정구(22)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유압선반의 공구대는, 공구대 몸체를 유압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실린더와, 바이트를 가공물의 직경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이송실린더에 의해 이송되는 제1, 제2슬라이더를 구비한 구조이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수리 및 제작시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압선반은 가공물의 직경방향으로는 이송거리가 미소한데, 불필요하게 스트로크가 큰 제2이송실린더를 장착하고 있으므로, 설비의 소형화 단순화를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슬라이더만 사용하여 바이트를 전후 좌우방향으로 운동하게 하여 공구대를 단순하고 콤팩트하게 하는 유압선반의 공구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유압선반의 공구대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공구대가 적용된 유압선반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유압선반의 공구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4는 도3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 : 공구대 38 : 공구대 몸체
40 : 공구대 받침대 42 : 슬라이더
44 : 이동실린더 46 : 상하베이스
48 : 실린더 몸체 50 : 바이트 고정구
56 : 피스톤 58 : 피스톤 고정볼트
66 : 고정볼트 68 : 간격 유지링
70, 70' : 스토퍼 72 : 고정구 몸체
76, 78 : 판 스프링 80 : 간격유지 파이프
본 고안에 의한 유압선반의 공구대는, 공구대 몸체와, 상기 공구대 몸체가 안착하여 고정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이송하는 이송실린더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구대 몸체는, 상하 조정수단에 의해 상하로 그 위치가 조정가능케 된 상하 베이스와, 상기 상하 베이스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 몸체와, 그 일단에 바이트가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바이트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이트 고정구는 판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실린더 몸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 몸체에는 상기 바이트 고정구의 이송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공구대가 적용된 유압선반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30)의 상면에는 가공물이 고정되는 척이 장착된 주축대(32)가 결합되고, 상기 주축대(32)의 일측에는 바이트가 고정되어 이송되는 공구대(34)가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30)의 상측에는 유압선반을 조작하도록 제어반(36)이 결합된다.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공구대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2에서 그 측면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공구대(34)는, 공구대 몸체(38)가 공구대 받침대(40)를 매개로 슬라이더(42)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42)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실린더(44)에 의해 유압선반의 길이방향(도3에서는 지면을 꿰뚫는 방향)을 이동하는 구조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구대 몸체(38)는, 상하 베이스(46)가 상하로 그 위치가 조정가능케 되고, 상기 상하 베이스(46)에는 그 내부에 후술하는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 몸체(48)가 고정되며, 상기 바이트 고정구(50)가 후술하는 피스톤에 고정된 구조이다.
상기 상하 베이스(46)는, 상기 실린더 몸체(48)의 상측에 고정된 브라켓(52)과 이 브라켓(52)에 결합된 상하 조정볼트(54)로 된 상하 조정수단에 의해 상하로 그 위치가 조정가능케 된다. 이러한 상하 이동방식은 종래 유압선반의 공구대와 동일하다.
상기 실린더 몸체(48)는 상하 베이스(18)의 우측에 도브테일방식으로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 몸체(48)의 우측면에는 실린더 내벽면을 이루도록 소정깊이로 수용부가 파여 있다. 이 수용부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피스톤(56)이 내장된다.
상기 피스톤(56)은 대경부와 소경부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소경부의 외면에는 피스톤 고정볼트(58)가 결합되어 피스톤이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 피스톤 고정 볼트(58)는, 그 외주면은 상기 실린더 몸체와 나사결합되고, 그 내주면은 상기피스톤(56)의 소경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의 대경부 및 소경부 외주면에는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패킹부재(60)(62)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고정볼트(58)의 좌측에는 피스톤(56)의 이동을 규제하는 걸림판(64)이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56)의 소경부측에는 상기 바이트 고정구(50)를 고정하는 고정볼트(66)가 간격유지 링(68)를 매개로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 몸체(48)의 우측면에는 상기 바이트 고정구(50)의 이송을 규제하는 스토퍼(70)(70')가 결합된다.
상기 바이트 고정구(50)는, 고정구 몸체(72)와, 상기 고정구 몸체(72)의 일단에 결합되어 바이트(B)가 물리게 하는 바이트 홀더(7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구 몸체(72)의 하측은 판 스프링(76)(78)을 매개로 상기 실린더 몸체(48)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 몸체(72)는 그 하측이 실린더 몸체에 슬라이딩가능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린더 몸체의 하단은 돌출된 안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 스프링(76)은 고정구 몸체(72)의 좌측에 결합되고, 상기 판 스프링78)은 고정구 몸체(78)의 우측에 결합된다. 상기 판 스프링(76)(78)은, 고정구 몸체(72)의 길이와 같은 사각판 형상이며, 고정구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볼트에 의해 상기 고정구 몸체(72)에 고정된다.
상기 판 스프링(76)(78)의 상단은 각각 상기 고정구 몸체(72)에 고정되고,상기 판 스프링(76)(78)의 하단은 두개의 판 스프링(76)(78) 사이에 간격유지파이프(80)을 끼운 상태로 볼트(82)에 의해 상기 실린더 몸체(48)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유압선반의 공구대에서, 이송실린더(44)로 공구대 몸체(38)를 유압선반의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주축대에 물린 가공물을 길이방향으로 가공하는 한편, 피스톤(56)의 좌우측에 유압을 가하여 바이트 고정구(50)를 가공물의 직경방향으로 이동시켜 가공물을 가공한다.
상기 피스톤(56)의 우측에 유압을 가하면 고정구 몸체(72)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스토퍼(70)(70')에 밀착되어 그 가공깊이를 일정하게 하는데, 이는 가공물의 치수 정밀도를 높인다. 이와 같은 상태의 그림은 도3에서 판 스프링(76)(78)이 정상상태로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판 스프링이 구부려진 상태이다.
그리고 피스톤(56)의 좌측에 유압을 가하면 고정구 몸체(72)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바이트(B)가 복귀하게 되는데, 판 스프링(76)(78)은 복귀하는 바이트에 탄성력을 주어 가공물에 나선형상의 이송홈이 생기지 않게 한다.
한편, 실린더 몸체(48)와 바이트 고정구(5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다른 종류의 가공물을 가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간격유지 링(68)을 바꾸어 끼움으로써 사이 간격(C)을 조정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유압선반의 공구대에 의하면, 하나의 슬라이더만 사용하여 바이트를 전후 좌우방향으로 운동하게 하여 공구대를 단순하고 콤팩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공물의 치수정밀도를 높이고, 바이트의 복귀시 나선형상의 이송홈이 생기지 않게 한다.

Claims (3)

  1. 공구대 몸체와, 상기 공구대 몸체가 안착하여 고정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이송하는 이송실린더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구대 몸체는,
    상하 베이스와,
    상기 상하 베이스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피스톤이 내장된 실린더 몸체와,
    그 일단에 바이트가 고정되며 상기 피스톤에 고정된 바이트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선반의 공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 고정구는 판 스프링을 매개로 상기 실린더 몸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선반의 공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몸체에는 상기 바이트 고정구의 이송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선반의 공구대.
KR2020010022932U 2001-07-28 2001-07-28 유압선반의 공구대 KR200251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32U KR200251471Y1 (ko) 2001-07-28 2001-07-28 유압선반의 공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932U KR200251471Y1 (ko) 2001-07-28 2001-07-28 유압선반의 공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471Y1 true KR200251471Y1 (ko) 2001-11-22

Family

ID=73067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932U KR200251471Y1 (ko) 2001-07-28 2001-07-28 유압선반의 공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4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6603B1 (en) Steady rest with independent vertical and horizontal adjustments
EP0922509B1 (en) Press device
US525350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ending and forming sheet material
WO2004024388A3 (en) Reconfigurable workholding fixture
CN103692253A (zh) 径向调节夹持尺寸的夹具
US4027867A (en) Workpiece holder
GB0329979D0 (en) Workpiece support
GB1405707A (en) Chuck
US5988618A (en) Work-holding device
CN105458669A (zh) 凸轮轴的装配工装
EP0835699A3 (de) Hydraulische Tiefzieheinrichtung
CN106078303A (zh) 双刀库同步换刀机构
CN205799051U (zh) 双刀库同步换刀机构
KR200251471Y1 (ko) 유압선반의 공구대
JP3323222B2 (ja) ハイドロエラスティック式の深絞り装置
US4527808A (en) Chuck for machine tools
US7243521B2 (en) Cushion pin, wear plate, load supporting device, die cushion, press machine and pressing method
US6203256B1 (en) Column and Z-axis slide mounting arrangement for a vertical cutting metal-working machine
US5662441A (en) Small scale milling machine
WO1995033954A3 (de) Haltevorrichtung für ein nicht ideal starres werkstück
WO1999044767A1 (en) Transfer system
US4993189A (en) Floating fixture platen
CN208879735U (zh) 普通车磨机床用液压扩张内夹式简易夹套
CN112277380A (zh) 围框捋合成型工艺及围框捋合机构
GB1175117A (en) Improved Work Support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