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396Y1 -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 - Google Patents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1396Y1 KR200251396Y1 KR2020010021260U KR20010021260U KR200251396Y1 KR 200251396 Y1 KR200251396 Y1 KR 200251396Y1 KR 2020010021260 U KR2020010021260 U KR 2020010021260U KR 20010021260 U KR20010021260 U KR 20010021260U KR 200251396 Y1 KR200251396 Y1 KR 2002513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sh
- waste
- present
- pot
- garbag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공원 등의 공공의 장소에 배치되는 화분으로서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쓰레기통이 일체로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화분(1)은, 저면이 밀폐된 본체(10)가 상측전방으로부터 하측후방으로 형성된 경사진 격벽(20)에 의해 상광하협의 화분부(30)와 상협화광의 쓰레기통부(40)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화분부(30)는 배수구(32)가 형성된 흙받침대(31)에 의해 상측의 흙투입부(33)와 하측의 저수부(34)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쓰레기통부(40)에는 상측의 쓰레기투입구(41)와 전면의 도어(42)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화분(1)에는 상기 쓰레기통부(40)에 투입 및 반출 가능한 별도의 투입통(50)이 더 포함된다. 본 고안화분(1)을 도로변이나 공원 등의 공공장소에 비치하여 사용하면, 화분과 쓰레기통을 별도로 설치 운영하는 것이 비하여 그 설치 및 관리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또한 지저분한 시설로 인식된 쓰레기통을 아름다운 화분으로 치장함으로써 공공장소의 미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에 친근감을 주어 시민들의 기초질서의식을 더욱 고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기술분야)
본 고안은 쓰레기통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공원 등의 공공의 장소에 배치되는 화분으로서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쓰레기통이 일체로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도로나 공원 등 많은 차량과 사람들이 분비는 공공장소에는 미관과 청결을 위하여 화분과 쓰레기통이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공공장소에 배치되는 이들 화분과 쓰레기통은 서로 독립적으로 제작 및 비치되고 사용 및 관리되었기 때문에, 지자체와 같은 이들 화분과 쓰레기통을 관리하는 단체에서는 그 설치와 관리에 적지 않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분과 쓰레기통은 아름다움과 지저분함의 서로 상반된 이미지를 가지는 시설물이지만, 도로나 공원 등의 공공장소에 쓰레기통 기능을 겸비한 화분을 설치한다면, 중복설치에 따른 비용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저분한 시설로 인식된 쓰레기통을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화분으로 치장함으로써 공공장소의 미관을 좋게 하고 쓰레기통에 대한 친근감을 주어 시민 기초질서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화분과 쓰레기통에 관련된 설치 및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공장소에 널리 설치되는 화분에 쓰레기통 구조를 일체로 통합시킴으로써, 중복설치에 따른 비용부담을 경감시키고 공공장소 미관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의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화분 2: 화초
3: 흙 4. 물
10: 본체 20: 격벽
30: 화분부 31: 흙받침대
32: 배수구 33: 흙투입부
34: 저수부 40: 쓰레기통부
41: 쓰레기투입구 42: 도어
50: 투입통
본 고안에 따라,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은, 저면이 밀폐된 본체가 상측전방으로부터 하측후방으로 형성된 경사진 격벽에 의해 상광하협의 화분부와 상협화광의 쓰레기통부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화분부는 배수구가 형성된 흙받침대에 의해 상측의 흙투입부와 하측의 저수부로 분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부에는 상측의 쓰레기투입구와 전면의 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쓰레기통부에 투입 및 반출 가능한 별도의 투입통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쓰레기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예시적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다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의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시적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1)은, 본체(10)가 화초(2)를 심는 화분부(30)와 쓰레기를 버리는 쓰레기통부(40)로 격벽(20)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본체(10)는 화분과 쓰레기통으로 적합한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이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길게 신장된 원통형(또는 직육면체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공간은, 상측 전방(도2에서 상측우방)으로부터 하측 후방(도2에서 하측좌방)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격벽(20)에 의해 위가 넓고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화분부(30)와 위는 좁고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화광의 쓰레기통부(40)로 분할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화분(1)은 본체(10)의 상단 전체면과 그 아래쪽의 후방 공간이 화분으로 사용되고 본체(10)의 하단 전체면과 그 위쪽의 전방 공간이 쓰레기통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체(10)의 화분부(30)와 쓰레기통부(40)의 공간분할비율은, 화초(3)를 생육시킬 수 있는 화분으로서의 공간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쓰레기통으로서의 공간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비율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면 쓰레기통부(40)의 체적이 화분 전체(본체 전체)의 1/4 내지 2/5의 체적을 차지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광하협의 화분부(30)는 흙받침대(31)에 의해 상측의 흙투입부(33)와하측의 저수부(34)로 분할되어 있다. 흙받침대(31)는 흙투입부(33)에 투입된 화초용 흙(3)을 지지하여 줌으로써 그 아래에 저수부(34)가 형성되도록 하며, 여기에는 흙(3)을 투과하여 아래로 흘러내린 물(4)이 배수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구(32)가 형성되어 있다. 흙받침대(31)의 형성 위치는, 그 위에 수용되는 흙(3)의 분량이 심어진 화초(2)의 생육에 충분할 정도로 흙투입부(33)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을 위치이면 족하다.
이상과 같은 화분부(30)의 형상에 따라, 본체(10)의 상단 전체면과 그 아래쪽의 후방 공간에 흙(3)이 수용됨으로써 화초(2)를 위한 토양을 형성하게 되며, 흙(3)의 함수량을 초과하여 흘러내리는 물(4)은 흙받침대(31)의 배수구(32)를 통해 흘러서 저수부(34)에 모이게 된다. 저수부(34)에 저장되어 있던 물(4)은 건조할 때 증발하여 함수량이 낮은 상태에 있는 흙(3)에 수분을 보충하게 된다.
상협화광의 쓰레기통부(40)에는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쓰레기투입구(41)가 그 상측에 형성되어 있고 충전된 쓰레기를 외부로 반출하기 위한 도어(42)가 전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쓰레기투입구(41)로 유입된 각종 쓰레기는 쓰레기통부(40)의 공간에 축적되고, 축적된 쓰레기는 도어(42)를 열고 청소하게 된다.
쓰레기통부(40)에 축적된 쓰레기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쓰레기통부(40)의 내부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별로의 투입통(50)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투입통(50)을 사용할 경우, 투입통(50)에 쓰레기봉투를 씌워 쓰레기통부(40)에 투입한 상태로 사용하고, 쓰레기를 청소할 때에는 상기 도어(42)를 통해 투입통(50)을 반출하여 쓰레기봉투를 쓰레기차량에 적재하고, 쓰레기를 비운 투입통(50)은 다시 쓰레기봉투를 씌워 쓰레기통부(40)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쓰레기를 수거할 수 있으므로, 쓰레기 청소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도1과 도2는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가 행하여지지 않는 장소, 예를 들면 도로변에 설치하기 바람직한 화분(1)을 도시한 것이고, 도3은 쓰레기 분리수거가 행하여지는 장소, 예를 들면 공원 등에 설치하기 바람직한 화분(1)을 도시한 것이다.
후자의 분기 수거용 쓰레기통이 구비된 화분(1)의 경우, 상기 쓰레기통부(40)가 분리할 쓰레기의 종류별로 여러 개의 구획으로 분할되어 있음은 당연하며, 바람직하게 각각의 분할구획 마다 별도의 투입구(41)를 형성하고 도어(42)를 장착하며 각각 투입통(50)을 투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1)은 비록 흙(3)이 후방으로 편중 투입되어 그 무게 중심이 후방에 있게 되지만, 본체(10)의 전체적인 형상을 균형 있게 형성하고 쓰레기통부(40)에 무게를 가해주면 이런 무게중심의 편중 문제는 쉽게 극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부(30)의 상단부분을 쓰레기통부(40)의 상단 둘레에까지 확장하는 것도 무게중심 편중을 최소화하는 구조의 하나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1)은, 널리 화분이나 쓰레기통의 제작에 사용되는 재질들, 예를 들어 철판, 스테인리스스틸,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1)은, 비록 화분과 쓰레기통을 일체로 통합 형성한다는 간단한 아이디어에서 출발된 것이지만, 본 고안의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1)을 도로변이나 공원 등의 공공장소에 비치하여 사용하면, 화분과 쓰레기통을 별도로 설치 운영하는 것이 비하여 그 설치 및 관리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또한 지저분한 시설로 인식된 쓰레기통을 아름다운 화분으로 치장함으로써 공공장소의 미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통에 친근감을 주어 시민들의 기초질서의식을 더욱 고양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 저면이 밀폐된 본체(10)가 상측전방으로부터 하측후방으로 형성된 경사진 격벽(20)에 의해 상광하협의 화분부(30)와 상협화광의 쓰레기통부(40)로 분할되어 있고, 상기 화분부(30)는 배수구(32)가 형성된 흙받침대(31)에 의해 상측의 흙투입부(33)와 하측의 저수부(34)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쓰레기통부(40)에는 상측의 쓰레기투입구(41)와 전면의 도어(42)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부(40)에 투입 및 반출 가능한 별도의 투입통(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260U KR200251396Y1 (ko) | 2001-07-13 | 2001-07-13 |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1260U KR200251396Y1 (ko) | 2001-07-13 | 2001-07-13 |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1396Y1 true KR200251396Y1 (ko) | 2001-11-17 |
Family
ID=7310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1260U KR200251396Y1 (ko) | 2001-07-13 | 2001-07-13 |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1396Y1 (ko) |
-
2001
- 2001-07-13 KR KR2020010021260U patent/KR20025139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36999A (en) | Waste-collecting container with a ventilating device | |
IE900788L (en) | Ventilation system for waste containers | |
US5735304A (en) | Rainwate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apparatus and method | |
KR101781334B1 (ko) | L형 측구를 활용한 다기능 배수관 | |
US6626321B2 (en) | Bin for collecting valuable biological materials | |
US5849185A (en) | Gravity vacuum system | |
CN207836277U (zh) | 一种节水型绿化带结构 | |
KR200251396Y1 (ko) | 쓰레기통이 구비된 공공장소용 화분 | |
CN207192014U (zh) | 一种景观式环保垃圾桶 | |
KR20050095806A (ko) | 이중맨홀 | |
JP2003113625A (ja) | 雨水貯水用タンク | |
CN203392294U (zh) | 一种城市公用垃圾桶 | |
KR20000006701U (ko) | 우수(雨水)피트커버(pit cover) | |
DE69605162T2 (de) | Hundetoilette | |
US20050252079A1 (en) | Plastic container for collecting rain water | |
KR200157302Y1 (ko) | 정보지수납부를 구비한 복합쓰레기통 | |
KR200243909Y1 (ko) | 공중 쓰레기통 | |
KR200195656Y1 (ko) | 쓰레기 통 | |
CN215923310U (zh) | 一种具有排液防臭功能的物业用垃圾箱 | |
US20220009708A1 (en) | Container with built-in pot | |
KR102297778B1 (ko) | 플랜터 | |
KR200376583Y1 (ko) | 분리형 정화조를 구비한 이동화장실 | |
JP4170456B2 (ja) | ルーフドレインにおける土砂回収装置 | |
JP2596995Y2 (ja) | 厨芥類の処理容器 | |
KR200431520Y1 (ko) | 습윤재가 매입된 배수구용 맨홀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010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