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834Y1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834Y1
KR200250834Y1 KR2020010020455U KR20010020455U KR200250834Y1 KR 200250834 Y1 KR200250834 Y1 KR 200250834Y1 KR 2020010020455 U KR2020010020455 U KR 2020010020455U KR 20010020455 U KR20010020455 U KR 20010020455U KR 200250834 Y1 KR200250834 Y1 KR 200250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strainer
case
h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유천
류외철
류봉선
류동현
김경호
Original Assignee
류유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유천 filed Critical 류유천
Priority to KR2020010020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83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폐 합성수지를 압출하는 장치에 관한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폐 합성수지에 섞여있는 금속이나 작은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폐 합성수지와 함께 압출장치로 유입되어 용융, 압출과정을 거치는 동안 불용성 이물질이 스크루와 스크루케이스사이에 끼어 용융물의 흐름을 막아 압출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며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융이송기에 이물질제거부를 구비하여 손쉬운 이물질제거 및 수선을 가능하게 하고, 용융이송기의 끝단에 회전식헤드부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압출구에 끼어 막히는 현상을 걸름망과 유압배출부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제거하도록 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The waste plastic resin extruding apparatus which is easy to remove impurities}
본 고안은 폐 합성수지를 압출하는 장치에 관한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폐 합성수지에 섞여있는 금속이나 작은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폐 합성수지와 함께 압출장치로 유입되어 용융, 압출과정을 거치는 동안 불용성 이물질이 용융되지 않고 스크루와 스크루케이스사이에 끼어 용융물의 흐름을 막아 압출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며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융이송기에 이물질제거부를 구비하여 손쉬운 이물질제거 및 수선을 가능하게 하고, 용융이송기의 끝단에 회전식헤드부를 구비하여 이물질이 압출구에 끼어 막히는 현상을 걸름망과 유압배출부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제거하도록 한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폐 합성수지 압출장치는 장치내로 공급되는 폐 합성수지에 각종 이물질이 포함되어 유입되므로 압출과정에서 스크루와 스크루케이스사이 또는 압출구에 다량의 금속이나 작은 돌덩이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어려워 전체장치를 헤체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결합해야 하므로 수선 및 검사가 어려웠으며, 다공(多孔)다이로 형성된 압출구에 이물질이 끼어 막히게 됨으로써 재생 합성수지의 압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또한 재생된 합성수지에 작은 금속이나 돌멩이 등이 포함되어 저품질의 재생 합성수지가 생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루와 스크루케이스사이에 끼인 금속이나 작은 돌멩이 등의 이물질을 쉽게 제거하고, 압출구에 이물질이 끼어 압출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재생 합성수지가 연속적으로 생산되도록 하여 고품질의 재생 합성수지를 생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압출 장치의 용융이송기에 스크루케이스의 상하분리가 가능하도록한 이물질 제거부를 구비하고, 용융이송기에 걸름망과 유압배출부 등이 구비된 회전식헤드부를 설치하는 것을 본 고안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용융이송스크루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이물질제거부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회전식헤드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회전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회전식헤드부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회전식헤드부의 저면도
도 8은 도 4의 A-A'선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B-B'선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호퍼 2. 정량조절판
3. 투입구 4. 용융이송기
5. 투입이송부 6. 이물질제거부
7. 용융압출부 8. 용융이송스크루
9. 선단부 10. 중단부
11. 종단부 12. 스크루케이스
13a, 13b, 13c. 밴딩히터
14a, 14b, 14c, 14d, 14e, 14f, 14g, 14h, 14i, 14j. 나사
15. 상부분리케이스 16. 하부분리케이스
17. 스크루케이스 18. 수분 및 가스배출구
20. 회전식헤드부 21. 이송스크루
22. 헤드부내부케이스 23. 회전부
24. 걸름망 25. 헤드부외부케이스
26. 유입구 27a, 27b, 27c, 27d. 기어
28. 모터 29. 걸름망회수부
30. 걸름망제공부 31. 압출구
32. 입구 33. 걸름망교환구
34. 유압배출부 35, 35'. 밴딩히터
36. 불순물걸름구 37. 상부유압실린더
38. 불순물배출구 39. 하부유압실린더
40. 상부실린더 41. 상부피스톤
42. 하부실린더 43. 하부피스톤
44. 배출구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호퍼(1), 용융이송기(4), 회전식헤드부(20)를 차례로 설치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이다.
호퍼(1)로 투입된 폐 합성수지는 정량조절판(2)에 의해 적당량이 조절되어 투입구(3)로 투입되고, 용융이송기(4)에 의해 분쇄, 용융, 압출되어 회전식헤드부(20)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용융이송기(4)는 긴 원통형으로 된 투입이송부(5)와, 이물질제거부(6)와, 용융압출부(7)로 구분되며, 내부에 통상의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한개의 용융이송스크루(8)가 있고, 용융이송스크루(8)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9)와중단부(10)와 종단부(11)로 되어 있다.
투입이송부(5)는 원통형의 스크루케이스(12), 내부를 관통하는 용융이송스크루의 선단부(9), 상부에 호퍼(1)와 연결되는 투입구(3), 밴딩히터(13a)로 구비되며, 용융이송스크루의 선단부(9)는 이물질제거부(6)로 갈수록 스크루축이 점점 넓게 테이퍼져 있어 폐 합성수지를 잘게 분쇄하고 믹싱하면서 이송시켜주며, 밴딩히터(13a)는 스크루케이스(12)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초기가동시 예열하고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가동중단 후 응고된 용융물을 가열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이물질제거부(6)는 투입이송부(5)와 용융압출부(7)사이에 연설되어 있고 나사(14a)(14b)(14c)(14d)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분리케이스(15), 하부분리케이스(16), 용융이송스크루의 중단부(10), 밴딩히터(13b)로 되어 있다.
이물질제거부(6) 내부를 관통하는 용융이송스크루의 중단부(10)는 분쇄 이송된 폐 합성수지를 스크루와 스크루케이스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1차 용융하고 믹싱하기 위하여 용융압출부(7)로 갈수로 스크루축이 점점 넓게 테이퍼지고 스크루날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있는데, 좁은 스크루날의 간격사이와 스크루날과 스크루케이스사이에 작은 금속이나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므로 손쉽게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케이스가 상부분리케이스(15)와 하부분리케이스(16)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부분리케이스(15)와 하부분리케이스(16)의 연결부위로 용융물이 세어나오지 않도록 나사(14e)(14f)(14g)(14h)(14i)(14j)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초기가동시 예열 및 수분을 증발시키고 용융시 가열온도를 높여주거나 가동중단 후 응고된 용융물을 가열제거하기 위한 밴딩히터(13b)가 설치되어 있다.
용융압출부(7)는 이물질제거부(6)와 회전식헤드부(20)사이에 연설되어 있고, 원통형의 스크루케이스(17), 내부를 관통하는 용융이송스크루의 종단부(11), 수분 및 가스배출구(18), 밴딩히터(13c)로 구비되어 있다.
용융이송스크루의 종단부(11)는 1차 용융된 용융물을 스크루와 스크루케이스(17)의 마찰에 의한 마찰열로 2차적으로 용융하고 믹싱하기 위하여 회전식헤드부(20)로 갈수록 스크루축이 점점 넓게 테이퍼지고 스크루날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수분 및 가스배출구(18)는 이물질제거부(6)에서 1차 용융시 발생하는 수분 및 가스와 용융압출부(7)에서 2차 용융시 발생하는 수분 및 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용융압출부(7)의 입구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면에는 초기가동시 예열 및 수분을 증발시키고 용융시 가열온도를 높여주거나 가동중단 후 응고된 용융물을 가열 제거하기 위한 밴딩히터(13c)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식헤드부(20)는 도 4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이송기(4)의 출구부에 용융이송기(4)와는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의 통상의 구동수단으로 구동되는 이송스크루(21)를 중심으로 헤드부내부케이스(22), 회전부(23), 걸름망(24), 헤드부외부케이스(25)이 차례로 외주면에 둘러싸여 있으며, 외측에는 걸름망회수부(29)와 걸름망제공부(30)가 걸름망교환구(33)양측면에 측설되어 있다.
헤드부내부케이스(22)는 원통형으로 이송스크루(21)를 둘러싸고 있으며 고정볼트에 의하여 헤드부외부케이스(25)에 고정되어 있고, 원통형의 헤드부내부케이스(22)의 가운데 부분 즉, 용융이송기(4)와 회전식헤드부(20)가 연결된 위치에는 헤드부내부케이스(22) 내부로 용융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6)가 뚫려져 있다.
회전부(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헤드부내부케이스(22)와 헤드부외부케이스(25)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회전부(23)의 상부에 기어(27c)가 형성되어 있어 먼저 모터(28)의 기어(27a)에 의한 기어구동으로 걸름망회수부(29)의 기어(27b)가 연속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걸름망회수부(29)에 의해 걸름망(24)이 회수됨과 동시에 회전부(23)의 기어(27c)도 같이 구동시키므로 회전부(23)도 걸름망(24)이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부(23)의 기어(27c)가 다시 걸름망제공부(30)의 기어(27d)를 구동시켜 걸름망(24)이 회전부(23)중앙에 형성된 압출구(31)와 헤드부외부케이스(25)사이로 공급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공(多孔)의 압출구(31)가 회전부(23) 중앙의 외주면에 고르게 형성되어 있는데 그 위치는 헤드부내부케이스(22)의 유입구(26)와 동일한 위치에 있으며, 압출구(31)가 형성된 가운데 둘레면의 외주에는 압출구(31)가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걸름망(24)이 둘러싸고 있어 용융이송기(4)로부터 용융이송된 용융물은 걸름망(24)에 의해 작은 금속이나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걸러진 후 다공(多孔)의 압출구(31)를 통해 헤드부내부케이스(22)의 유입구(26)로 유입된다.
헤드부외부케이스(25)은 원통형의 외부케이스로서 용융이송기(4)와 연설되어 용융물이 들어오게 되는 입구(32)와, 걸름망교환구(33)와, 하단부에 용융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44)가 형성되어 있으며,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유압배출부(34)와 상부와 하부 외주면에 각각 밴딩히터(35)(35')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부외부케이스의 입구(32)는 용융물이 용융이송기(4)를 통해 헤드부외부케이스(25)로 유입되는 입구로서 헤드부내부케이스(22)의 유입구(26)와, 회전부(23)의 압출구(31)가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걸름망교환구(33)는 압출구(31)에 이물질이 끼어 막혔을 경우 압출구(31)의 이물질 제거 및 수선을 손쉽게 하고 걸름망(24)을 전부 사용한 후 다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걸름망제공부(30)와 걸름망회수부(29)사이에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용융물이 회전하는 걸름망(24)과 회전부(23)의 회전방향을 따라 걸름망교환구(33)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걸름망(24)과 압출구(31)가 1회전하여 돌아오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44)는 압출구(31)와 유입구(26)를 통해 헤드부내부케이스(22)로 유입된 용융물이 이송스크루(21)에 의해 아래로 밀려내려가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헤드부외부케이스(25)의 하단부에 원형으로 배열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유압배출부(34)는 도 5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3)와 걸름망(24)이 회전하는 방향의 헤드부외부케이스 입구(32)측에 위치하며 헤드부외부케이스(25)을 상하로 길게 관통하여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위에서 부터 차례로 상부유압실린더(37), 불순물걸름구(36), 불순물배출구(38), 하부유압실린더(39)로 구비되어 있다.
상부유압실린더(37)는 원통형의 상부실린더(40)와 상부실린더(40) 내부에 통상의 구동장치로 구동되는 상부피스톤(41)으로 구성되며, 상부피스톤(41)은 헤드부외부케이스(25)의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되어 있고 회전부(23)의 압출구(31) 상단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상부피스톤(41)이 위로부터 삽입되어 있어 상부피스톤(41)의 하단면은 불순물걸름구(36)의 상부를 막게 된다.
불순물걸름구(36)는 내부가 파인 원통형으로 회전부(23)의 압출구(31)가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위치로 헤드부외부케이스의 입구(32)측면에 위치하며, 걸름망(24)에 걸린 이물질이 회전부(23)와 걸름망(24)의 회전에 따라 불순물걸름구(36)에 걸려 들어오도록 걸름망(24)에 근접하여 세로방향으로 길고 좁은 틈새가 형성되어 있으며, 불순물걸름구(36)의 상부는 상부피스톤(41)의 하단면으로 막혀 있고 하부는 하부피스톤(43)의 상단면으로 막혀있어 용융물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하부유압실린더(39)는 원통형의 하부실린더(42)와 통상의 구동장치로 구동되는 하부피스톤(43)으로 구성되며, 하부피스톤(43)은 회전부(23)의 압출구(31) 하단면과 동일한 높이까지 하부피스톤(43)이 아래로부터 삽입되어 있어 하부피스톤(43)의 상단면은 불순물걸름구(36)의 하부를 막게 된다.
불순물배출구(38)는 하부유압실린더(39)와 헤드부외부케이스(25) 하단면사이에 위치하며 다수의 구멍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어, 타이머장치에 의해 정해진 시간대별로 상부피스톤(41)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상부피스톤(41)의 하단면이 불순물걸름구(36)에 모인 이물질을 아래로 밀고 헤드부외부케이스(25) 하단면까지 내려감과 동시에 하부피스톤(43)도 불순물배출구(38) 바로 아래까지 내려가 정지하여 상부피스톤(41)에 의해 밀려내려온 이물질이 상부피스톤(41)과 하부피스톤(43)사이의 불순물배출구(38)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유압배출부(34)의 상부유압실린더(37)와 하부유압실린더(39)는 필요에 따라 공기압실린더로 대체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퍼(1)로 투입된 이물질이 포함된 폐 합성수지는 정량조절판(2)에 의해 일정량이 조절되어 투입구(3)를 통해 용융이송기(4)의 투입이송부(5)로 투입되고, 용융이송스크루의 선단부(9)에 의해 분쇄 믹싱되면서 이송되는데, 외주면의 밴딩히어(13a)에 의해 초기가동시 예열하고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가동중단 후 응고된 용융물을 가열제거하도록 한다.
이송된 분쇄물은 이물질제거부(6)의 용융이송스크루의 중단부(10)와 스크루케이스사이에서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해 1차 용융(대략 90 ~ 95%정도)되는데, 상기 마찰열을 최대한 발생시키기 위해 용융이송스크루의 중단부(10)는 스크루축이 점점 넓게 테이퍼지고 스크루날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스크루케이스를 상부분리케이스(15)와 하부분리케이스(16)로 분리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좁은 스크루날사이와 스크루케이스사이에 작은 금속이나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끼어도 상부분리케이스(15)와 하부분리케이스(16)를 분리하여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밴딩히터(13b)를 이물질제거부(6)의 외주면에 설치하여 초기가동시 예열 및 수분을 증발시키고 용융시 가열온도를 높여주거나 가동중단 후 응고된 용융물을 가열제거하도록 한다.
1차 용융된 용융물은 용융압출부(7)의 용융이송스크루의 종단부(11)와 스크루케이스(12)사이에서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해 2차 용융(대략 95 ~ 100% 정도)되는데, 상기 마찰열을 최대한 발생시키기 위해 용융이송스크루의 종단부(11)는 스크루축이 점점 넓게 테이퍼지고 스크루날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밴딩히터(13c)를 용융압출부(7)의 외주면에 설치하여 초기가동시 예열 및 수분을 증발시키고 용융시 가열온도를 높여주거나 가동중단 후 응고된 용융물을 가열제거하도록 한다.
1차와 2차 용융시 발생하는 수분 및 가스는 수분 및 가스배출구(18)로 배출되어 용융물이 쉽게 굳지 않으며 재생 합성수지에 수분이나 가스가 포함되지 않아 재생 합성수지의 인장강도 저하를 방지해 준다.
2차 용융된 용융물은 회전식헤드부(20)로 유입되는데, 용융이송스크루(8)에 의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물의 압력으로 헤드부외부케이스의 입구(32)를 지나 걸름망(24)과 압출구(31)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때 용융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름망(24)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걸름망(24)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걸름망(24)과 회전부(23)의 기어구동에 의한 회전으로 불순물걸름구(36) 틈새로 유입되어 불순물걸름구(36)에 저장되고, 상부유압실린더(37) 내부의 상부피스톤(41)이 빠르게 내려가면서 불순물걸름구(36)에 저장된 이물질을 밀어내리고 이와 동시에 하부유압실린더(39)의 하부피스톤(43)도 아래로 빠르게 내려가면서 불순물배출구(38)의 바로 아래에서 멈추어 헤드부외부케이스(25) 하단부까지 상부피스톤(41)에 의해 밀려 내려온 이물질이 모두 하부피스톤(43)과 헤드부외부케이스(25)하단부에 형성된 불순물배출구(38)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며 타이머장치에 의해 정해진 시간대별로 자동적으로 상부유압실린더(37)와 하부유압실린더(39)가 작동되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걸름망(24)을 통과한 용융물은 회전부(23)의 압출구(31)를 통과한 후 헤드부내부케이스(22)의 유입구(26)로 유입되고 헤드부내부케이스(22) 내부에 구비된 이송스크루(21)에 의해 아래로 압착되면서 밀려내려가 이송스크루(21) 아래에 형성된 헤드부외부케이스(25)의 배출구(44)를 통해 긴 선상으로 연속하여 빠르게 배출되며, 헤드부외부케이스(25)의 상부와 하부 외주면의 밴딩히터(35)(35')에 의해 용융물이 회전식헤드부(20) 내부에서 굳지 않고 계속적으로 배출구(44)를 통해 배출되도록 열을 가해주며 초기가동시 예열하고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가동중단 후 응고된 용융물을 가열 제거 하도록 한다.
또한, 헤드부내부케이스(22)와 헤드부외부케이스(25)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회전부(23)는 상부에 기어(27c)가 형성되어 있어 먼저 모터(28)의 기어(27a)에 의한 기어구동으로 걸름망회수부(29)의 기어(27b)가 연속적으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걸름망회수부(29)에 의해 걸름망(24)이 회수됨과 동시에 회전부(23)의 기어(27c)도 같이 구동시키므로 회전부(23)도 걸름망(24)이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며, 회전부(23)의 기어(27c)가 다시 걸름망제공부(30)의 기어(27d)를 구동시켜 걸름망(24)이 헤드부내부케이스(22)와 회전부(23)사이로 공급되도록 하여 깨끗한 걸름망(24)을 계속적으로 투입하여 용융물 속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여러가지 입도의 걸름망(24)을 걸름망교환구(33)에서 자유롭게 교체사용할 수 있어 폐 합성수지의 상태에 따라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고, 압출구(31)에 이물질이 끼어 막혔을 경우 걸름망교환구(33)를 통해 압출구(31)의 이물질 제거 및 수선을 손쉽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금속이나 작은 돌멩이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폐 합성수지가 장치내로 유입되어 용융이송기내에 걸린 경우 이물질제거부의 상부분리케이스와 하부분리케이스를 분리하여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폐 합성수지 용융시 발생하는 수분 및 가스는 수분 및 가스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켜 용융물이 쉽게 굳지 않을뿐아니라 합성수지에 수분이나 가스가 포함되지 않아 물질저하를 방지하며, 내부로 유입된 용융물 중의 이물질도 걸름망에 의해 걸러져 불순물걸름구로 모아져 외부로 배출되므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는 고품질의 재생 합성수지가 생산되며, 걸름망교환구를 통하여 걸름망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고 압출구에 끼인 이물질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유압배출부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이물질이 배출되어 압출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주어 재생 합성수지의 생산성을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호퍼와 용융이송기와 헤드부가 차례로 설치된 폐 합성수지 압출장치에 있어서, 용융이송기(4)는 투입이송부(5)와 이물질제거부(6)와 용융압출부(7)가 차례로 연설되어 있으며,
    회전식헤드부(20)는 용융이송기(4)의 끝부분에 직각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이송스크루(21)를 중심으로 원통형의 헤드부내부케이스(22)와 회전부(23)와 걸름망(24)과 헤드부외부케이스(25)이 차례로 이송스크루(21)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외측에는 걸름망회수부(29)와 걸름망제공부(30)가 걸름망교환구(33) 양측면에 측설되어 있고, 헤드부내부케이스(22)는 가운데 부분에 용융이송기(4)를 통해 내부로 용융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6)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부(23)는 모터(28)의 기어구동에 의해 기어(27a)(27b)(27c)(27d)가 연속적으로 맞물려 걸름망(24)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동시에 걸름망회수부(29)에서 걸름망(24)을 회수하고 걸름망제공부(30)에서 걸름망(24)을 계속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다공(多孔)의 압출구(31)가 회전부(23)의 중앙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데 그 위치는 헤드부내부케이스(22)의 유입구(26)와 같은 위치에 있고, 헤드부외부케이스(25)은 원통형의 외부케이스로서 용융이송기(4)와 연설되어 용융물이 들어오는 입구(32)와, 걸름망교환구(33)와, 하단부에 용융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44)가 형성되어 있으며,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유압배출부(34)와 상부와 하부 외주면에 각각 밴딩히터(35)(35')를 구비하고 있고, 걸름망교환구(33)는 압출구(31)가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사각형으로 뚫려 있으며 용융이송기(4)의 직각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유압배출부(34)는 헤드부외부케이스 입구(32)측에 위치하며 헤드부외부케이스(25)을 상하로 길게 관통하여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유압실린더(37), 불순물걸름구(36), 불순물배출구(38), 하부유압실린더(39)가 위로부터 차례로 구비되어 있어 불순물걸름구(36)에 모인 이물질을 타이머에 의해 작동되는 상부피스톤(41)과 하부피스톤(43)으로 밀어 불순물배출구(38)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이물질제거부(6)는 이물질제거가 용이하도록 스크루케이스가 상부분리케이스(15)와 하부분리케이스(16)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장치.
KR2020010020455U 2001-07-06 2001-07-06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KR200250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455U KR200250834Y1 (ko) 2001-07-06 2001-07-06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455U KR200250834Y1 (ko) 2001-07-06 2001-07-06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415A Division KR100411954B1 (ko) 2001-07-06 2001-07-06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834Y1 true KR200250834Y1 (ko) 2001-10-19

Family

ID=7310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455U KR200250834Y1 (ko) 2001-07-06 2001-07-06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8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75B1 (ko) * 2015-10-20 2016-12-27 남정욱 가등급 비드법2종 스티로폼 폐기물을 활용한 난연 폴리스티렌 원료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9675B1 (ko) * 2015-10-20 2016-12-27 남정욱 가등급 비드법2종 스티로폼 폐기물을 활용한 난연 폴리스티렌 원료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275B1 (ko) 열 가소성 물질의 가스 제거 장치
FI80612B (fi) Anordning foer att avlaegsna rensar och/eller siktningsmaterial fraon i en raenna stroemmande vaetska.
KR101935995B1 (ko) 합성수지 용융압출기
KR100411954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및 방법
JP5552131B2 (ja) プラスチック押出機
ITMI20000586A1 (it) Granulatore sommerso e procedimento per la granulazione di materiali termoplastici
CN115155457B (zh) 一种蜂蜜加工的振动提纯设备
ITTO970630A1 (it) Impianto di riciclaggio di polietilene, particolarmente in foglia.
KR200250834Y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KR20130102729A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CN113211675A (zh) 一种用于造粒机的过滤器
CN204604637U (zh) 造粒机
KR20150144539A (ko) 합성수지 용융압출기의 여과판 막힘 방지장치
KR102249220B1 (ko) 폐합성수지 펠렛화 장치의 이물질 거름장치
CN217802932U (zh) 高效预处理注塑机
CN215282863U (zh) 一种注塑机中熔融塑料杂质过滤装置
KR200251198Y1 (ko) 폐 합성수지 재생 장치
KR102260792B1 (ko) 합성수지 용융 압출기
CN210082195U (zh) 一种尼龙生产用粉碎装置
CN110871515A (zh) 塑料颗粒挤出成型工艺
KR200362037Y1 (ko) 폐합성수지 재생장치의 압출기
CN110722708A (zh) 用于泡沫塑料回收处理的熔融态塑料输送组件
JP2005046814A (ja) 汚水中の夾雑物除去・脱水装置
CN218803302U (zh) 一种塑料粉碎混炼造粒一体机
EP3077170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granulieren von schmelze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