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198Y1 - 폐 합성수지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폐 합성수지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198Y1
KR200251198Y1 KR2020010021687U KR20010021687U KR200251198Y1 KR 200251198 Y1 KR200251198 Y1 KR 200251198Y1 KR 2020010021687 U KR2020010021687 U KR 2020010021687U KR 20010021687 U KR20010021687 U KR 20010021687U KR 200251198 Y1 KR200251198 Y1 KR 200251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case
inlet
synthetic resin
waste syn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유천
Original Assignee
류유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유천 filed Critical 류유천
Priority to KR2020010021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198Y1/ko

Links

Landscapes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 합성수지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 합성수지의 재생공정시 작은 금속이나 돌 등의 불용성 이물질이 폐 합성수지와 함께 재생장치로 유입되어 용융, 압출과정을 거치는 동안 불용성 이물질이 헤드부의 압출구에 끼어 용융물의 흐름을 막아 압출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며 헤드부의 압출구에 걸린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부의 내부회전부가 회전하면서 압출부가 교체되도록 하며 압출부에 걸름망을 끼워 걸름망에서 이물질을 걸름으로써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폐 합성수지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 합성수지 재생 장치{The waste plastic resin regenerated apparatus}
본 고안은 폐 합성수지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 합성수지의 재생공정시 작은 금속이나 돌 등의 불용성 이물질이 폐 합성수지와 함께 재생장치로 유입되어 용융, 압출과정을 거치는 동안 불용성 이물질이 헤드부의 압출구에 끼어 용융물의 흐름을 막아 압출방해하는 것을 방지하며 헤드부의 압출구에 걸린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부의 내부회전부가 회전하면서 압출부가 교체되도록 하며 압출부에 걸름망을 끼워 걸름망에서 이물질을 걸름으로써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폐 합성수지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폐 합성수지 재생장치는 장치내로 공급되는 폐 합성수지에 각종 이물질이 포함되어 유입되므로 용융과정에서 작은 금속이나 돌과 같은 불용성 이물질은 용융되지 않고 압출과정에서 헤드부의 압출구에 다량의 금속이나 돌과 같은 불용성 이물질이 끼게 되어 이물질의 제거가 어려웠으며 이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체장치를 해체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결합해야 하므로 수선 및 검사가 어려웠으며, 압출구에 이물질이 끼어 막히게 됨으로써 재생 합성수지의 압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재생된 합성수지에 작은 금속이나 돌 등이 포함된 저품질의 재생 합성수지가 생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은 금속이나 돌 등의 불용성 이물질이 압출구에 끼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손쉽게 이물질을 제거하며 재생 합성수지가 연속적으로 생산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고품질의 재생 합성수지를 생산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압출 장치의 헤드부에 내부회전부를 구비하고 내부회전부에 압출부를 형성하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망을 구비하는 것을 본 고안의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헤드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내부회전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헤드부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헤드부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호퍼 2. 정량조절판
3. 투입구 4. 용융이송기
5. 용융이송스크루 6. 스크루케이스
7. 밴딩히터 8. 헤드부
9. 이송스크루 10. 내부케이스
11. 유입구 12. 내부회전부
13. 기어 14. 압출구
15a, 15b, 15c, 15d. 압출부 16a, 16b, 16c, 16d. 걸름망
17a, 17b, 17c, 17d. 걸림턱 18. 외부케이스
19. 걸름망교환구 20, 20'. 밴딩히터
21. 용융물입구 22. 배출구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호퍼(1), 용융이송기(4), 헤드부(8)를 차례로 설치한 폐 합성수지 재생 장치이다.
호퍼(1)로 투입된 폐 합성수지는 정량조절판(2)에 의해 적당량이 조절되어 투입구(3)로 투입되고, 용융이송기(4)에 의해 용융, 이송, 압출되어 헤드부(8)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용융이송기(4)는 긴 원통형의 스크루케이스(6)와, 스크루케이스(6) 내부를 관통하는 용융이송스크루(5)와, 스크루케이스(6) 외주면에 밴딩히터(7)로 구성되어 있다.
용융이송스크루(5)는 헤드부(8)로 갈수록 스크루축이 점점 넓게 테이퍼지고 스크루날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있어 스크루케이스(6)와 용융이송스크루(5)의 마찰에 의한 마찰열로 폐 합성수지를 용융, 믹싱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밴딩히터(7)는 스크루케이스(6) 외주면에 설치되어 초기가동시 예열 및 수분을 증발시키고 용융시 가열온도를 높여주거나 가동중단 후 응고된 용융물을 가열 제거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8)는 용융이송기(4)의 출구부분에 용융이송기(4)와는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의 통상의 구동수단으로 구동되는 이송스크루(9)를 중심으로 내부케이스(10), 내부회전부(12), 외부케이스(18)가 차례로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다.
내부케이스(10)는 원통형으로 이송스크루(9)를 둘러싸고 있으며 고정볼트에 의하여 외부케이스(18)에 고정되어 있고, 원통형의 내부케이스(10)의 가운데 부분 즉, 용융이송기(4)와 헤드부(8)가 연결된 위치에는 내부케이스(10) 내부로 용융물이 유입되는 원형의 유입구(11)가 뚫려져 있다.
내부회전부(12)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내부케이스(10)와 외부케이스(18)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회전부(12)의 상부에는 기어(13)가 형성되어 있어 통상의 구동수단으로 구동되는 구동장치에 의한 기어구동으로 내부회전부(12)를 타이머 장치에 의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90°씩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고, 내부회전부(12)가 90°회전시마다 벨소리가 울리도록 하여 벨소리를 듣고 걸름망을 교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부회전부(12) 중앙의 외주면에는 4개의 압출부(15a)(15b)(15c)(15d)가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위치는 내부케이스(10)의 유입구(11)가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압출부(15a)(15b)(15c)(15d)는 원형으로 다공의 압출구(14)가 고르게 원형의 압출부(15a)(15b)(15c)(15d)에 천공되어 있고, 원형의 압출부(15a)(15b)(15c)(15d) 외측에는 걸림턱(17a)(17b)(17c)(17d)이 형성되어 있어 걸름망(16a)(16b)(16c)(16d)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케이스(18)는 원통형으로 용융이송기(4)의 출구측과 연설되어 용융물이 들어오게 되는 용융물입구(21)와, 걸름망교환구(19)와, 하단부에 용융물이 배출되는 다수의 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와 하부 외주면에 밴딩히터(20)(20')를 구비하고 있다.
외부케이스의 용융물입구(21)는 용융물이 용융이송기(4)를 통해 외부케이스(18)로 유입되는 입구로서 내부케이스(10)의 유입구(11)와, 내부회전부(12)의 압출부(15a)(15b)(15c)(15d)가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걸름망교환구(19)는 내부케이스(10)의 유입구(11)가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유입구(11)의 반대편에 위치하며,압출부(15a)(15b)(15c)(15d)의 압출구(14)에 이물질이 끼어 막혔을 경우 압출구(14)의 이물질 제거 및 수선을 손쉽게 하고, 걸름망(16a)(16b)(16c)(16d)을 압출부(15a)(15b)(15c)(15d)의 걸림턱(17a)(17b)(17c)(17d)에 끼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압출부(15a)(15b)(15c)(15d)와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22)는 내부회전부(12)의 압출구(14)와 내부케이스(10)의 유입구(11)를 통해 내부케이스(10)로 유입된 용융물이 이송스크루(9)에 의해 아래로 밀려내려가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외부케이스(18)의 하단부에 원형으로 배열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퍼(1)로 투입된 작은 금속이나 돌과 같은 불용성 이물질이 포함된 폐 합성수지는 정량조절판(2)에 의해 일정량이 조절되어 투입구(3)를 통해 용융이송기(4)내부로 투입되고, 용융이송스크루(5)에 의해 믹싱이송되면서 용융이송스크루(5)와 스크루케이스(6)사이에서 마찰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열로 인해 용융되는데, 상기 마찰열을 최대한 발생시키기 위해 용융이송스크루(5)는 스크루축이 점점 넓게 테이퍼지고 스크루날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밴딩히터(7)를 스크루케이스(6) 외주면에 설치하여 초기 가동시 예열 및 수분을 증발시키고 용융시 가열 온도를 높여주거나 가동 중단 후 응고된 용융물을 가열 제거하도록 한다.
용융물은 헤드부(8)로 유입되며 용융이송스크루(5)에 의해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용융물의 압력으로 외부케이스의 용융물입구(21)를 지나걸름망(16a)(16b)(16c)(16d)과 압출구(14)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 때 용융물 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름망(16a)(16b)(16c)(16d)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걸름망(16a)(16b)(16c)(16d)에 걸러진 이물질은 내부회전부(12)의 회전으로 걸름망교환구(19)에서 걸름망(16a)(16b)(16c)(16d)을 교환하게 되는데, 타이머 장치에 의하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자동작동하는 통상의 구동수단에 의해 내부회전부(12)가 기어구동하며, 이 때 구동수단에 의해 내부회전부(12)는 90°간격으로 회전하게 되고, 내부회전부(12)의 회전과 동시에 벨이 울리도록 되어 있어 벨소리를 듣고 걸름망교환구(19)에서 걸름망(16a)(16b)(16c)(16d)을 교환하게 된다.
이 때 여러가지 입도의 걸름망(16a)(16b)(16c)(16d)을 걸름망교환구(19)에서 자유롭게 교체 사용할 수 있어 폐 합성수지의 상태에 따라 이물질의 제거가 용이하고, 압출구(14)에 이물질이 끼어 막혔을 경우 걸름망교환구(19)를 통해 압출구(14)의 이물질 제거 및 수선을 손쉽게 할 수 있다.
걸름망(16a)(16b)(16c)(16d)을 통과한 용융물은 내부회전부(12)의 압출구(14)를 통과한 후 내부케이스(10)의 유입구(11)로 유입되고 내부케이스(10) 내부에 구비된 이송스크루(9)에 의해 아래로 압착되면서 밀려내려가 이송스크루(9) 아래에 형성된 외부케이스(18)의 배출구(22)를 통해 긴 선상으로 연속하여 빠르게 배출되며, 외부케이스(18)의 상부와 하부 외주면의 밴딩히터(20)(20')에 의해 용융물이 헤드부(8) 내부에서 굳지 않고 계속적으로 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되도록 열을 가해주며 초기가동시 예열하고 수분을 증발시키거나 가동중단 후 응고된 용융물을 가열 제거 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작은 금속이나 돌과 같은 불용성 이물질이 포함된 폐 합성수지가 장치내로 유입된 경우 용융되지 않고 남아 있는 불용성 이물질을 걸름망에서 걸러주어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고품질의 재생 합성수지를 생산할 수 있으며, 걸름망교환구를 통하여 걸름망을 수시로 교체함으로써 헤드부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하여 압출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며, 압출구가 막힌 경우에도 걸름망교환구를 통해서 손쉽게 수선 및 검사할 수 있어 폐 합성수지 재생장치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주어 재생 합성수지의 생산성을 증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호퍼와 용융이송기와 헤드부가 차례로 설치된 폐 합성수지 재생장치에 있어서, 헤드부(8)는 용융이송기(4)의 출구부분에 직각방향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내부의 이송스크루(9)를 중심으로 원통형의 내부케이스(10)와 내부회전부(12)와 외부케이스(18)가 차례로 이송스크루(9)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내부케이스(10)는 원통형이며 용융이송기(4)와 헤드부(8)가 연결된 위치에 내부케이스(10) 내부로 용융물이 유입되는 원형의 유입구(11)가 뚫려져 있고, 내부회전부(12)는 원통형으로 내부케이스(10)와 외부케이스(18)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외주면 상부에는 기어(13)가 형성되어 있어 통상의 구동장치에 의한 기어구동으로 내부회전부(12)를 타이머장치에 의해 일정한 기간 간격으로 90°씩 회전과 동시에 벨소리가 울리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부회전부(12) 중앙의 외주면에는 내부케이스(10)의 유입구(11)가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위치에 4개의 원형의 압출부(15a)(15b)(15c)(15d)가 9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압출부(15a)(15b)(15c)(15d)에는 다공의 압출구(14)가 고르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출부(15a)(15b)(15c)(15d) 외측에는 걸림턱(17a)(17b)(17c)(17d)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걸림망(16a)(16b)(16c)(16d)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외부케이스(18)는 원통형으로 용융이송기(4)를 통해 외부케이스(18)로 용융물이 유입되는 용융물입구(21)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케이스(10)의 유입구(11)가 형성된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유입구(11)와는 반대편에 압출구(14)의 이물질 제거 및 수선과 걸름망(16a)(16b)(16c)(16d)의 교환을 위한 원형의 걸름망교환구(1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합성수지 재생장치.
KR2020010021687U 2001-07-18 2001-07-18 폐 합성수지 재생 장치 KR200251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687U KR200251198Y1 (ko) 2001-07-18 2001-07-18 폐 합성수지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687U KR200251198Y1 (ko) 2001-07-18 2001-07-18 폐 합성수지 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198Y1 true KR200251198Y1 (ko) 2001-11-17

Family

ID=7310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687U KR200251198Y1 (ko) 2001-07-18 2001-07-18 폐 합성수지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1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873B1 (ko) 2009-07-13 2009-12-24 박금연 용융수지의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873B1 (ko) 2009-07-13 2009-12-24 박금연 용융수지의 이물질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30139B (zh) 一种大型橡胶生产造粒机
JP2654720B2 (ja) 流体、特に、熱可塑性合成樹脂材料流体用の濾過装置
KR101430897B1 (ko) 연속작업이 가능한 스크린 체인져
KR100638838B1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제거장치
CN210773291U (zh) 一种塑料颗粒烘干机
KR100411954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 합성수지 압출 장치 및 방법
KR200251198Y1 (ko) 폐 합성수지 재생 장치
KR101594678B1 (ko) 합성수지 용융압출기의 여과판 막힘 방지장치
KR100795355B1 (ko) 용융 압출기용 스크린 장치
KR101612617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합성수지 압출기의 여과장치
KR20130102729A (ko) 폐합성수지 재활용 시스템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661422B1 (ko)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폐합성수지 압출기의 여과장치
KR200408945Y1 (ko) 슬러지 압출장치
CN217802932U (zh) 高效预处理注塑机
KR101681843B1 (ko) 합성수지 불순물 제거장치
KR20190105780A (ko) 수지 여과 시스템
CN215315716U (zh) 一种具有筛分机构的管材加工用造粒装置
KR101171496B1 (ko) 드럼체 및 유동물질 중 이물질 분리 장치
KR102260792B1 (ko) 합성수지 용융 압출기
KR100236545B1 (ko) 폐 플라스틱 재생방법 및 재생기
KR200362037Y1 (ko) 폐합성수지 재생장치의 압출기
CN110625846A (zh) 用于熔融态塑料泡沫自动化成型的造粒工艺
DE102020117680A1 (de) Pelletier-Einrichtung zur Herstellung von Polymer-Pellets
CN110722708A (zh) 用于泡沫塑料回收处理的熔融态塑料输送组件
KR102059953B1 (ko) 압출기용 필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