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677Y1 -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 - Google Patents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677Y1
KR200250677Y1 KR2020010021852U KR20010021852U KR200250677Y1 KR 200250677 Y1 KR200250677 Y1 KR 200250677Y1 KR 2020010021852 U KR2020010021852 U KR 2020010021852U KR 20010021852 U KR20010021852 U KR 20010021852U KR 200250677 Y1 KR200250677 Y1 KR 200250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cage
poultry farm
poultry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8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순
신현덕
표주혁
박찬흥
Original Assignee
하상순
신현덕
박찬흥
표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순, 신현덕, 박찬흥, 표주혁 filed Critical 하상순
Priority to KR20200100218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6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67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계장의 내부에 일렬로 설치된 케이지의 좌우측으로 소독약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사체를 근접 설치하고, 양계장의 바닥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상기의 분사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분사노즐을 통하여 소독약이 케이지측으로 자동 살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독약의 살포에 소요되는 시간과 제반경비를 현저히 절감시킴과 동시에 소독약의 살포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소독약 살포 이외에 사육환경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다른 여러 가지 용도로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는, 케이지(2)가 일렬로 설치되는 양계장의 바닥부(1) 양측으로 레일(16)이 부설되고, 상기 레일(16)의 상측에는 모터(13)의 구동에 의하여 레일(16)을 따라 이동하는 세로받침대(12)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받침대(12)의 상단에는 가로받침대(11)가 세로받침대(12)와 일체로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로받침대(11)의 전방면에는 유입관(22)을 중앙에 구비하는 메인파이프(21)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파이프(21)의 유입관에는 펌프에 의하여 소독약(4)을 공급하는 호스(24)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파이프(21)의 하측에는 케이지(2)를 사이에 두고 우향분사체(30)와 좌향분사체(40)가 메인파이프(21)의 분기부(23)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우향분사체(30)와 좌향분사체(40)는 최상부의 상단분사노즐(31)(41)과 바닥부(1)의 하단분사노즐(35)(45)을 연결하는주분기관(30a)(40a)으로부터 2 ~ 4개의 분사노즐(32,33,34)(42,43,44)이 분기관(32a,33a,34a)(42a,43a,44a)에 의하여 케이지(2)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A dispersion apparatus of antiseptic for a poultry farm}
본 고안은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계장의 내부에 일렬로 설치된 케이지(Cage: 계사,鷄舍)의 좌우측으로 소독약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사체를 근접 설치하고, 양계장의 바닥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상기의 분사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분사노즐을 통하여 소독약이 케이지측으로 자동 살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독약의 살포에 소요되는 시간과 제반경비를 현저히 절감시킴과 동시에 소독약의 살포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소독약 살포 이외에 사육환경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다른 여러 가지 용도로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란 닭을 사육하여 닭고기와 계란과 같은 생산물을 얻어내기 위한 축산업의 일종으로서, 닭을 사육하는 방법에 따라 방사양계, 평사양계, 케이지 양계 등으로 구분되며, 방사양계는 닭을 뜰에 놓아 기르는 소규모적이고도 전통적인 방법으로 과거 한국 농가에서 흔히 보아온 것이나, 최근에 들어서는 기업화 및 대규모화 된 양계업으로 좁은 면적에 여러 마리의 닭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케이지 양계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종계(種鷄)의 생산이나 육용(식용)계의 비육(살찌우기)에는 평사방식을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케이지 양계는 주로 채란양계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종계 생산업자가 생산한 식용계의 암컷을 좁은 금속제의 케이지 안에 여러 마리를 밀집시켜 사육함으로서 식용란을 대량 생산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며, 닭이 케이지에 개별적으로 수용되기 때문에 닭끼리의 경쟁이 적고, 채식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자동급이기와 자동급수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모이주기와 물주기가 거의 자동화 됨으로서 닭의 생육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케이지 양계는 좁은 케이지의 내부에 여러 마리의 닭들이 밀집되어 생활하기 때문에, 닭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부족하게 되어 운동부족으로 인한 건강의 손상을 초래하는 일이 많게 되고, 특히 더운 여름철에는 좁은 공간에서 밀집되어 사육되는 닭들의 면역체계가 저하되어 각종 병충해가 기승을 부리게 될 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케이지로 병충해가 매우 빠르게 전파되기 때문에 양계장 내부를 항상 청결히 하고, 병충해 방지를 위한 소독작업을 반드시 행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양계장의 소독작업은 크게 2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 데, 그 중 하나는 양계업자가 소독약 탱크를 등에 짊어지고, 양계장 내부를 돌아다니면서 일일이 케이지의 내부로 소독약을 살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양계장의 내벽이나 천정 또는 바닥 부분에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다수의 배관을 장설하여,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소독약이 양계장의 내부로 살포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양계장 소독작업 중에서 전자에 해당하는 것은, 사람에 의한 직접적인 소독작업으로 인하여 양계장의 구석구석까지 세밀한 소독작업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은 있으나, 넓은 양계장을 사람이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소독약을 살포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독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소독약을 살포하는 사람이 안전장구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경우에는 소독약에 의하여 인체에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후자에 해당하는 소독작업은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소독약에 의하여 양계장 내부의 동시다발적인 소독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분사노즐이 설치된 배관과 가까운 곳에 있는 케이지에는 실질적인 소독이 이루어지지만, 배관과 다소 멀리 떨어진 케이지에는 소독의 효과가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계장의 내벽과 천정 및 바닥 부분에 모두 배관을 설치할 경우에는 소독장치의 전체적인 설치비용이 매우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동일한 면적에 많은 량의 소독약이 살포되어 소독약의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는 양계장의 내부에 일렬로 설치된 케이지의 좌우측으로 소독약의 분사노즐을 구비하는 분사체를 근접 설치하고, 양계장의 바닥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상기의 분사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분사노즐을 통하여 소독약이 케이지측으로 자동 살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독약의 살포에 소요되는 시간과 제반경비를 현저히 절감시킴과 동시에 소독약의 살포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소독약 살포 이외에 사육환경을 최적화시키기 위한 다른 여러 가지 용도로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케이지가 일렬로 설치되는 양계장의 바닥부 양측으로 레일이 부설되고, 상기 레일의 상측에는 모터의 구동에의하여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세로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받침대의 상단에는 가로받침대가 세로받침대와 일체로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로받침대의 전방면에는 유입관을 중앙에 구비하는 메인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파이프의 유입관에는 펌프에 의하여 소독약을 공급하는 호스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파이프의 하측에는 케이지를 사이에 두고 우향분사체와 좌향분사체가 메인파이프의 분기부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 우향분사체와 좌향분사체는 최상부의 상단분사노즐과 바닥부의 하단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주분기관으로부터 2 ~ 4개의 분사노즐이 분기관에 의하여 케이지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하는 일부확대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닥부 2 : 케이지 4 : 소독약
11 : 가로받침대 12 : 세로받침대 13 : 모터
14 : 구동기구 15 : 바퀴 16 : 레일
17 : 안내장선 18 : 전선 19 : 이동클립
21 : 메인파이프 22 : 유입관 23 : 분기부
24 : 호스 25 : C형 앵글 26 : 롤러
26a : 회전축 27 : 후크 30 : 우향분사체
40 : 좌향분사체 30a,40a : 주분기관 31,41 : 상단분사노즐
32,42 : 제 2분사노즐 33,43 : 제 3분사노즐 34,44 : 제 4분사노즐
35, 45 : 하단분사노즐 31a~34a,41a~44a : 분기관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하는 일부확대 정면도이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은 케이지의 지주(버팀목)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계장의 바닥부 양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16)이 부설되고, 상기 레일(16)의 상측에는 세로받침대(1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세로받침대(12)의 상단면에는 가로받침대(11)가 세로받침대(12)와 일체로 형성되어 개략 'ㄷ'자 형태로 되는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받침대(12)의 하부에는 모터(13)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세로받침대(12)의 양측 하단부에는 벨트나 체인과 같은 구동기구(14)로 모터(13)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레일(16)을 타고 회전하는 한 쌍의 바퀴(15)가 설치됨으로서, 상기 모터(13)의 구동에 따른 바퀴(15)의 회전으로 가로받침대(11)와 세로받침대(1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이 레일(16)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받침대(12)의 바로 윗부분에 해당하는 양계장의 천정 부분에는 한 쌍의 안내장선(17)이 레일(16)과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내장선(17)에는 다수 개의 이동클립(19)이 안내장선(17)을 타고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각각의 이동클립(19)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세로받침대(12)에 설치된 상기한 모터(13)에 전력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선(18)이 걸쳐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가로받침대(11)의 전방면에는 가로받침대(11)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메인파이프(21)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파이프(21)의 중앙부에는 유입관(2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의 유입관(22)에는 도시되지 않은 소독약의 저장탱크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펌프를 통하여 메인파이프(21)의 내부로 소독약을 공급하는 호스(24)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파이프(21)의 양측으로는 메인파이프(21)의 내부로 유입된 소독약을 나누어 공급시킬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분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메인파이프(21)는 용접에 의하여 가로받침대(11)와 일체로 형성시킬수도 있고, 상기 가로받침대(11)에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나 걸림턱을 형성시켜 메인파이프(21)를 가로받침대(11)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으나, 수리나 유지보수 뿐만 아니라, 사료공급기와 같은 다른 장치들과의 원활한 교체 사용을 위하여 가급적 후자의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파이프(21)의 유입관(22) 상부측에 해당하는 양계장의 천정 부위에는 양계장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C형 앵글(25)과, 상기 C형 앵글(25)의 내부에 회전축(26a)과 함께 삽입되어 C형 앵글(2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롤러(26)와, 상기 롤러(26)의 회전축(26a)에 연결되어 C형 앵글(25)의 개구된 저부로 연장 설치되는 후크(27)로 이루어지는 호스(24)의 안내수단이 설치됨으로서, 가로받침대(11)와 세로받침대(1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이 레일(16)을 따라 이동할 시, 상기 메인파이프(21)의 유입관(22)에 연결되는 호스(24)가 다수 개의 후크(27)에 걸쳐진 상태로 양계장의 천정 부위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파이프(21)의 하측에는 케이지에 소독약을 살포시키기 위한 우향분사체(30)와 좌향분사체(40)가 각 분기부(23)로부터 서로 마주보도록 하향 연장되어 설치되며, 상기한 각각의 분사체(30)(40)는 메인파이프(21)의 분기부(23)와 연결되는 최상단에 상단분사노즐(31)(41)이 분기관(31a,41a)에 의하여 연장 형성되고, 상기한 분기부(23)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주분기관(30a)(40a)에는 상부로부터 제 2분사노즐(32)(42), 제 3분사노즐(33)(43) 및 제 4분사노즐(34)(44)이 분기관(32a,33a,34a)(42a,43a,44a)에 의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주분기관(30a)(40a)의 최하단에는 하단분사노즐(35)(45)이 양계장의 바닥부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각 분사체(30)(40)의 세부적인 구성과 설치관계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우향분사체(30)와 좌향분사체(4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단분사노즐(35)(45)을 제외한 나머지 노즐이 케이지(2)를 향하는 방향에 따라 구분된 것으로서, 우향분사체(30)는 도면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각 분사노즐(31~34)이 케이지(2)측을 향하고, 좌향분사체(40)는 도면상에서 왼쪽 방향으로 각 분사노즐(41~44)이 케이지(2)측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우향분사체(30)와 좌향분사체(40)가 서로 한조가 되어 케이지(2)에 소독약을 살포하는 하나의 살포 단위체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계장의 바닥부(1)에 케이지(2)가 2열로 설치된 경우에는 우향분사체(30)와 좌향분사체(40)로 이루어지는 살포 단위체 2개가 설치되며, 3열 또는 그 이상으로 케이지(2)가 설치된 경우에는 설치된 케이지(2)의 열(列)수만큼 상기의 살포 단위체가 메인파이프(2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계장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지(2)의 열수가 많을수록 가로받침대(11)의 강성을 고려하여 메인파이프(21)에 각 분사체(30)(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양계장의 중앙부에 상기한 레일(16)과 세로받침대(12)를 하나 더 증설하여 가로받침대(11)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분사체(30)(40)의 노즐이 케이지(2)측을 향하도록 설치된것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분사노즐(31)(41)의 선단부가 최상부측에 설치된 케이지(2)의 상부에 각각 위치하고, 그 하부로 단지게 형성된 케이지(2)의 상부측으로 제 2분사노즐(32)(42)의 선단부가 위치하는 식으로, 각 분사노즐(31~34)(41~44)의 선단부가 여러 단으로 단지게 형성된 각 케이지(2)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이로 인하여 분사노즐(31~34)(41~44)이 연결되는 각 분기관(31a~34a) (41a~44a)의 길이가 하부로 갈수록 짧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은 케이지(2)가 4단으로 단지게 형성된 것이고, 이로 인하여 각 분사체(30)(40)에 연결된 분사노즐(31~34)(41~44)의 개수가 하단분사노즐(35)(45)을 제외하고 총 4개로 구성되어 있느나, 케이지(2)가 3단 또는 5단으로 단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각 분사체(30)(40)의 노즐개수 또한 케이지(2)의 단수에 맞추어 조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하단분사노즐(35)(45)이 연결되는 주분기관(30a)(40a)을 포함하여 각 분사노즐(31~34)(41~44)이 연결되는 분기관(31a~34a)(41a~44a)은 소독약(4)의 최적분사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임의의 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한 가요성 금속관(Flexible metal pip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독약(4)의 살포를 위한 세팅단계로서, C형 앵글(25)의 하부로 연장 설치된 다수 개의 후크(27)에 상기의 호스(24)를 걸쳐 놓은 상태에서 호스(24)의일측단은 메인파이프(21)의 유입관(22)에 연결시키고, 호스(24)의 타측단은 도시되지 않은 소독약 탱크와 배관으로서 연결되는 펌프측에 결합시킨 다음, 세로받침대(12)에 설치된 모터(13)와 전선(18)에 의하여 연결되는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가로받침대(11)와 세로받침대(1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을 소독약(4)의 살포를 위한 최초의 위치(보통, 양계장의 내부 전방측에 해당한다)로 이동시켜 놓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독약(4)의 살포를 위한 세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일차적으로 펌프를 가동시켜 소독약 탱크로부터 호스(24)를 통하여 메인파이프(21)의 내부로 소독약(4)을 유입시키게 되면, 메인파이프(21)의 각 분기부(23)를 통하여 소독약(4)이 각 분사체(30)(40)의 내부로 나뉘어 공급되고, 이로 인하여 각 분사체(30)(40)에 설치된 분사노즐(31~35)(41~45)을 통하여 소독약(4)이 양계장의 바닥부(1)와 케이지(2)측으로 살포되기 시작한다.
상기의 시점에서 전선(18)에 의하여 모터(13)와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콘트롤러를 조작함으로서 모터(13)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모터(13)의 구동에 따라 세로받침대(12)에 설치된 바퀴(15)가 회전하여 가로받침대(11)와 세로받침대(1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이 레일(16)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메인파이프(21)의 하측에 설치된 각 분사체(30)(40)가 양계장 내부에 일렬로 설치된 케이지(2)의 좌,우측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양계장의 바닥부(1)와 케이지(2)측으로 소독약을 살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받침대(11)와 세로받침대(1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이레일(16)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독약(4)의 공급을 위한 호스(24)와 모터(13)의 구동을 위한 전선(18)은 각각 C형 앵글(2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후크(27)와 안내장선(17)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클립(19)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진행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서 소독약(4)의 지속적인 공급과 모터(13)의 지속적이 구동이 가능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각 분사체(30)(40)가 케이지(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지(2)와 양계장 바닥부(1)에 지속적으로 소독약(4)을 살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가로받침대(11)와 세로받침대(1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이 최초의 위치에서 살포완료의 위치(보통, 양계장의 내부 후방측에 해당한다)로 가게 되고, 상기의 시점에서 메인파이프(21) 내부로의 소독약(4) 공급을 중지(펌프의 정지)시킨 다음, 도시되지 않은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모터(13)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프레임이 레일(16)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최초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살포완료의 위치로부터 최초의 위치로 프레임을 복원시키는 과정에서 한번 더 소독약을 살포하고자 할 경우에는, 메인파이프(21)의 내부로 소독약(4)을 지속적으로 공급시킴과 동시에 도시되지 않은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모터(13)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프레임이 레일(16)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 분사체(30)(40)의 분사노즐(31~35)(41~45)로부터 케이지(2)와 양계장 바닥부(1)측으로 소독약이 재살포된다.
상기와 같이 가로받침대(11)와 세로받침대(12)로 이루어지는 프레임이 최초위치와 살포완료의 위치 사이를 왕복하는 과정에서도, 소독약(4)의 공급을 위한 호스(24)와 모터(13)의 구동을 위한 전선(18)이 각각 C형 앵글(2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후크(27)와 안내장선(17)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클립(19)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프레임의 진행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서프레임의 왕복이동과 소독약(4)의 공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망하는 횟수만큼 프레임을 계속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소독약(4)을 케이지(2)와 양계장의 바닥부(1)측으로 수 회 살포시킬 수 있게 되는 작용관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는 레일(16)을 타고 이동이 가능한 프레임의 가로받침대(11)에 소독약(4)을 유입시키는 메인파이프(21)를 설치하고, 이 메인파이프(21)의 하측에 우향분사체(30)와 좌향분사체(40)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살포 단위체를 양계장의 내부에 설치된 케이지(2)의 열(列)수에 맞추어 설치한 구성이기 때문에, 케이지(2)의 전체적인 길이에 상관없이 살포장치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경우와 같이 양계장의 내벽이나 바닥 또는 천정 전체에 걸쳐 배관을 장설하는 것에 비하여 그 설치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상기의 메인파이프(21)를 가로받침대(11)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살포장치의 유지보수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분사체(30)(40)에 설치된 분기관(31a~34a)(41a~44a)을 임의 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한 가요성 금속관으로 형성시킬 경우에는, 각종 케이지(2)에 대한소독약(4)의 최적분사위치로 분사노즐(31~34)(41~44)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하여 본 고안의 살포장치에 의한 소독약 살포작업이 인력에 의한 소독약 살포작업과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세밀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인력에 의한 살포작업에 비하여 소독약 살포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적재적소에 적정량의 소독약(4)을 살포하여 소독약(4)의 낭비를 방지하고 소독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무더운 여름철과 같이 양계장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닭들의 사육환경이 저하될 경우에는, 소독약 탱크 대신 물탱크를 펌프와 연결시킨 다음, 본 고안의 살포장치를 이용하여 양계장의 바닥부(1)와 케이지(2)의 내부로 물을 분사시킴으로서 양계장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닭들의 사육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대용량의 펌프를 사용하여 물을 다소 강하게 분사시킬 경우에는, 케이지(2)에 묻어 있는 닭의 배설물이나 각종 오물의 제거는 물론이고, 닭의 몸에 묻어 있는 여러 이물질까지 제거시켜 최적의 사육환경을 손쉽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는 케이지의 전체적인 길이에 상관없이 살포장치의 구조를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종래의 경우와 비교하여 그 설치비용 또한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메인파이프를 가로받침대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경우에는 살포장치의 유지보수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분사체에 설치된 분기관을 임의 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한 가요성 금속관으로 형성시킬 경우에는, 소독약의 최적분사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하여 인력에 의한 살포작업과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소독약의 세밀한 살포작업이 가능하면서도 소독약 살포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적재적소에 적정량의 소독약을 살포하여 소독약의 낭비를 방지하고 소독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독약 대신 물을 분사시킴으로서 무더운 여름철에 양계장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줌과 동시에, 케이지에 묻어 있는 닭의 배설물이나 각종 오물의 제거 및 닭의 몸에 묻어 있는 여러 이물질의 제거와 같이 양계장의 사육환경을 최적화시키는 다른 여러 가지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케이지(2)가 일렬로 설치되는 양계장의 바닥부(1) 양측으로 레일(16)이 부설되고, 상기 레일(16)의 상측에는 모터(13)의 구동에 의하여 레일(16)을 따라 이동하는 세로받침대(12)가 설치되고, 상기 세로받침대(12)의 상단에는 가로받침대(11)가 세로받침대(12)와 일체로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로받침대(11)의 전방면에는 유입관(22)을 중앙에 구비하는 메인파이프(21)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파이프(21)의 유입관(22)에는 펌프에 의하여 소독약(4)을 공급하는 호스(24)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메인파이프(21)의 하측에는 케이지(2)를 사이에 두고 우향분사체(30)와 좌향분사체(40)가 메인파이프(21)의 분기부(23)에서 하부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우향분사체(30)와 좌향분사체(40)는 최상부의 상단분사노즐(31)(41)과 바닥부(1)의 하단분사노즐(35)(45)을 연결하는 주분기관(30a)(40a)으로부터 2 ~ 4개의 분사노즐(32,33,34)(42,43,44)이 분기관(32a,33a,34a)(42a,43a,44a)에 의하여 케이지(2) 측으로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파이프(21)의 유입관(22) 상부에는 양계장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C형 앵글(25)과, 상기 C형 앵글(25)의 내부에 회전축(26a)과 함께 삽입되는 롤러(26)와, 상기 롤러(26)의 회전축(26a)에 연결되어 C형 앵글(25)의 개구된 저부로 연장 설치되는 후크(27)로 이루어지는 호스(24)의 안내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향분사체(30)와 좌향분사체(40)의 각 분기관(30a~34a)(40a~44a)은 임의방향으로 절곡이 가능한 가요성 금속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
KR2020010021852U 2001-07-19 2001-07-19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 KR200250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852U KR200250677Y1 (ko) 2001-07-19 2001-07-19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852U KR200250677Y1 (ko) 2001-07-19 2001-07-19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677Y1 true KR200250677Y1 (ko) 2001-11-17

Family

ID=7310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852U KR200250677Y1 (ko) 2001-07-19 2001-07-19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6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712A (zh) * 2019-08-22 2019-11-15 河北科技师范学院 一种规模化鸡养殖场消毒装置
KR102243614B1 (ko) * 2020-09-08 2021-04-22 정종철 가금류 케이지 구조체용 약제 분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48712A (zh) * 2019-08-22 2019-11-15 河北科技师范学院 一种规模化鸡养殖场消毒装置
KR102243614B1 (ko) * 2020-09-08 2021-04-22 정종철 가금류 케이지 구조체용 약제 분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21208A (zh) 一种兽医用宠物狗清洗设备
CN211355244U (zh) 一种生物养殖用猪舍地面清洗装置
KR20110091085A (ko) 축사용 자동 방역 장치
CN210519781U (zh) 一种畜牧业养殖用牲畜清洗装置
KR200250677Y1 (ko) 양계장용 소독약 살포장치
CN211793657U (zh) 一种用于畜禽养殖的淋浴按摩消毒装置
CN110463619B (zh) 一种动物皮毛寄生虫快速清洗去除装置
CN213663116U (zh) 一种便于粪便清理的鸡舍
CN213911567U (zh) 一种家禽养殖业的带鸡消毒装置
KR101485254B1 (ko) 온실용 방제장치
CN214713588U (zh) 一种用于养鸡舍的消毒装置
CN110122365B (zh) 一种猪用洗澡消毒机
KR20190086095A (ko) 전복 양식용 수조 청소장치
CN112352695A (zh) 一种组合式奶牛养殖用全自动奶牛辅助杀菌设备
CN210647435U (zh) 一种新型鸡舍清洗消毒装置
RU2226822C2 (ru) Передвижной доильный агрегат
CN107412809A (zh) 一种畜牧繁殖用器具消毒装置
CN219719381U (zh) 一种智能养猪房
JP3634445B2 (ja) 動物飼育用ケージの洗浄装置
CN218356450U (zh) 一种用于家畜的打针系统
CN211751260U (zh) 一种鸡舍消毒装置
CN214339363U (zh) 一种组合式奶牛养殖用全自动奶牛辅助杀菌设备
CN112294996B (zh) 一种养殖场用消毒装置
CN216232173U (zh) 一种畜牧车辆用清洗消毒装置
CN219660639U (zh) 一种病猪隔离用猪圈分隔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