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667Y1 - 내풍텐트 - Google Patents

내풍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667Y1
KR200250667Y1 KR2020010021663U KR20010021663U KR200250667Y1 KR 200250667 Y1 KR200250667 Y1 KR 200250667Y1 KR 2020010021663 U KR2020010021663 U KR 2020010021663U KR 20010021663 U KR20010021663 U KR 20010021663U KR 200250667 Y1 KR200250667 Y1 KR 200250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pole
wind
resistan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제건
Original Assignee
라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제건 filed Critical 라제건
Priority to KR2020010021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667Y1/ko

Links

Landscapes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몸체를 지탱하는 텐트폴의 지지력을 향상 또는 보강함으로써 텐트의 내풍성을 높인 내풍텐트에 관한 것으로, 텐트폴(120)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지름방향으로 연결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131)의 양측에는 복수의 연결공(132,132')이 형성된 컨넥터(130)와, 상기 연결공(132,132')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텐트폴(120)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폴(140,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텐트폴(120)을 지지하는 지지폴(140,140')을 삽입,연결하도록 삽입홈(171)이 형성된 제1연결부재(170)와, 상기 제1연결부재(17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 보조폴(125)을 연결하는 연결구(184)가 구비된 제2연결부재(180)로 구성되는 컨넥터(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내풍성이 더욱 강화된 텐트를 제공함으로써 바람에 의해 텐트폴이 휘어져서 텐트의 내부공간이 협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내풍텐트{Wind resistance tent}
본 고안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텐트몸체를 지탱하는 텐트폴의 지지력을 향상 및 보강함으로써 텐트의 내풍성을 높여 외풍에 의해 텐트의 실내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내풍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에서 임시 거처할 수 있도록 바닥면과 벽부를 일체로 하는 방수천으로 내실을 형성하고, 이를 유연성과 강성이 겸비된 텐트폴로 지지하도록 하여 간이막사를 형성한 것으로, 텐트폴의 지지력에 의해 그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텐트폴은 다수개가 한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텐트몸체의 외벽 능선을 따라 형성한 고리 형상의 연결부에 고정되면서 텐트몸체가 사방으로 펼쳐지도록 당겨주게 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은 일반 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일반 텐트의 내풍성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1)는 텐트몸체(10) 상에 복수개의 텐트폴 라인(11)이 형성되어 있어, 이 텐트폴 라인(11) 상에 텐트폴(20)을 끼우거나 걸어서 연결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결부(12)가 구비되어 있고, 지면과 맞닿게 되는 상기 텐트폴 라인(11)의 양측 끝단에는 각 텐트폴(20)의 일단이 끼워져서 탄지되는 탄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텐트(1)는 눈 또는 비를 막거나 실내보온을 목적으로 텐트몸체(10)의 외측에 씌워지도록 된 플라이(50)가 추가로 구비되는 바, 이 플라이(50)의 하단에는 상기 텐트몸체(10) 외측에 씌워진 상태에서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텐트(1)는 텐트폴 라인(11)상의 각 연결부(12)에 텐트폴(20)을 연결한 후, 각 텐트폴(20)의 양측 끝단을 상기 끼움공(14)에 끼워서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텐트폴(20)이 반원형상으로 휘어지면서 텐트몸체(10)를 일으켜 세우게 되어 텐트(1) 내부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도록 공간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한편, 각 텐트폴(20)은 양측 끝단이 지면에 힌지된 상태로 텐트몸체(10)를 지지하게 되되, 각 텐트폴(20)이 휨 상태에 있기 때문에 텐트폴(20) 표면에는 소정의 탄발력이 작용하게 되는 바, 이러한 탄발력을 이용하여 텐트(1)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텐트몸체(10)의 외측에 플라이(50)를 씌우고, 별도의 고정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51)를 지면에 고정시키면서 텐트 설치를 마무리짓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텐트(1)는 텐트폴(20)이 지면에 힌지결합으로 지지되어 있어 바람이 강하게 불면 텐트(1)의 내측방향으로 밀리면서 하단부로부터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렇게 되면, 텐트몸체(10)도 상기 텐트폴(20)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결국 텐트(1)의 실내공간이 줄어들면서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의 텐트(1)는 텐트폴(20)에 보강끈(미도시)을 설치하여 지면에 고정시킨 구조로 제공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종전과 마찬가지로 텐트폴(20)이 바람에 의해 휘어지면서 상기 보강끈(미도시)은 텐트폴(20)을 따라 지면방향으로 눕게 되어 결과적으로 텐트(1)의 실내공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텐트몸체를 지탱하는 텐트폴의 지지력을 한층 강화시키는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텐트의 내풍성을 높여 외풍으로부터 텐트의 실내공간을 보호,유지할 수 있도록 된 내풍텐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 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일반 텐트의 내풍성을 도시한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내풍텐트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에 대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내풍텐트의 전체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내풍텐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B'를 일부 절개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내풍텐트의 내풍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텐트 110 : 텐트몸체
111 : 텐트폴 라인 112 : 텐트폴 연결부
113 : 탄지부 115 : 끼움부
116,181 : 끼움공 117,165 : 웨빙
120 : 텐트폴 121, 141,141' : 소경부
125 : 보조폴 130,160 : 컨넥터
131,132,132' : 연결공 140,140' : 지지폴
150 : 플라이 151 : 고정부
152 : 보조연결부재 153 : 봉합부
154 : 지퍼부 161 : 끼움홈
162 : 결합돌기 163 : 선단면
164 : 걸림홈 170 : 제1연결부재
171 : 삽입홈 172 : 지지보
180 : 제2연결부재 182 : 선단면
182a : 걸림돌기 183 : 힌지아암
183a : 힌지공 184 : 연결구
184a : 몸체부 184b : 힌지돌기
184c : 머리부 184d : 절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텐트몸체와, 이 텐트몸체를 지지하는 텐트폴과, 상기 텐트몸체의 외부에 씌워지는 플라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텐트에 있어서, 텐트폴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지름방향으로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의 양측에는 복수의 연결공이 형성된 컨넥터와, 상기 연결공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텐트폴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공은 상호 일정 각도를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는 40˚내지 80˚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공은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형성되되, 상기 연결공으로부터 일정 각도 회전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는 140˚내지 180˚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폴은 상기 연결공에 삽입,고정되도록 일측에 소경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이는 텐트폴의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보조지지부재가 연장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라이는 개폐가능하게 절개된 지퍼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텐트몸체와, 이 텐트몸체를 지지하는 텐트폴과, 상기 텐트몸체의 외부에 씌워지는 플라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텐트에 있어서, 텐트폴을 지지하는 지지폴을 삽입,연결하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 보조폴을 연결하는 연결구가 구비된 제2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컨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일측에 상기 텐트폴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도록 끼움홈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으로부터 이격된 외측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의 일단이 삽입,걸림되도록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는 일측에 상기 텐트폴이 끼워져서 통과되도록 상기 끼움홈과 연통된 끼움공이 형성되되, 이 끼움공으로부터 이격된 외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구의 일단이 힌지돌기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재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어느 한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는 일측에 상기 텐트몸체상의 웨빙과 연결되는 웨빙이 구비되되, 상기 웨빙에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각 클램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새로운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새로운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내풍텐트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에 대한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에 대한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내풍텐트(100)는 각 텐트폴 라인(111)의 양측 끝단에 구비된 탄지부(113)의 양측으로 끼움부(115)가 구비되어 있고, 이 끼움부(115)에는 각각 끼움공(1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부(115)의 끼움공(116)에 끼움,탄지되어 텐트몸체(110)를 지지하게 되는 텐트폴(120)은 종래 텐트(1)의 텐트폴(20)에 비해 소정길이 만큼 짧게 형성되어 마련되되, 이 텐트폴(120)의 양단은 단턱진 소경부(121)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텐트폴(120)의 양측에 끼움,고정되는 원통형상의 컨넥터(130)가 마련되고, 이 컨넥터(130)는 그 일측에 상기 텐트폴(120)의 소경부(121)가 삽입되도록 연결공(131)이 형성되어 반대측으로 관통되어 있고, 이 연결공(131)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소정각도(β) 회전된 지점에는 연결공(132,132')이 형성되되, 이 연결공(132,132')은 외측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경사져서 반대측으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컨넥터(130)의 연결공(132,132')에 삽입,고정되어 텐트폴(120)을 지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지지폴(140,140')이 더 마련되는데, 이 지지폴(140,140')은 상기 연결공(132,132')에 삽입가능하도록 일단이 단턱진 소경부(141,141')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내풍텐트의 전체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연결구조에 의해 설치된 텐트몸체(110)의 외부에는 플라이(150)가 씌워지게 되는데, 이 플라이(150)는 각 방향 끝단에 지면과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각 텐트폴 라인(111)과 면접촉하게 되는 소정 지점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보조연결부재(152)가 봉재되어 있으며, 이 보조연결부재(152)의 일단이 봉재되어 형성된 봉합부(153)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일측에는 개폐가능하게 절개된 지퍼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내풍텐트(100)는 컨넥터(130)에 형성된연결공(132,132')이 각각 수직방향으로부터 소정각도 만큼 경사져 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공(132,132')에 끼워지는 지지폴(140,140')은 상호 소정각도(α)를 두고 벌어져서 지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연결공(132,132')은 연결공(131)으로부터 소정각도(β)만큼 회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공(132,132')에 끼워지는 지지폴(140,140')은 상기 연결공(131)에 끼워지는 텐트폴(120)과 소정각도(β)만큼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각도(α)는 바람직하게는 40°내지 80°의 범위내에 있으며, 상기 각도(β)는 140°내지 180°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텐트(100)는 텐트폴(120)이 종래 텐트폴(20)에 비해 길이를 축소시킨 구조로 제공되므로 강성이 더욱 커지는 한편, 텐트높이가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어 내풍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텐트(100)는 각 지지폴(140,140')이 바람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텐트폴(120)을 지지하고 있어 텐트폴(120)의 표면에 가해지는 바람의 힘이 지지폴(140,140')에 분산,흡수되므로 내풍성은 더욱 강화된다.
또한, 상기 플라이(150)는 고정부(151)를 통해 지면에 고정되는 한편, 양측이 보조연결부재(152)에 의해 지면에 고정되게 되는 바, 이때 보조연결부재(152)의 표면에 강한 장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텐트폴(120)을 지지력을 보강하게 되어 본 고안의 텐트(100)는 내풍성이 더욱 향상된다.
한편, 본 고안의 내풍텐트(100)는 보조연결부재(152)가 봉재된 봉합부(153)로부터 하방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손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지퍼부(154)가 갖추어져 있어, 습도가 높거나 비가올 때 지퍼부(154)를 개방시켜 통풍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컨넥터를 제공하는 바,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내풍텐트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내풍텐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B'를 일부 절개한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컨넥터(160)는 텐트폴(120)이 끼워지도록 일측에 원통형의 끼움홈(161)이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움홈(161)의 양측에는 각 방향으로 소정각도 벌어져서 연장된 제1연결부재(1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161)의 일측에는 상기 텐트폴(12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조폴(125)을 연결하도록 제2연결부재(18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연결부재(170)는 일측에 지지폴(140,140')이 끼워지도록 삽입홈(171)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지지보(172)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끼움홈(161)은 입구측에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결합돌기(162)가 형성되되, 이 결합돌기(162)는 그 선단면(163)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걸림홈(16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180)는 중앙에 텐트폴(120)이 끼워져서 통과하도록끼움공(181)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끼움공(181)은 상기 끼움홈(161)과 연통하도록 양방향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공(181)의 외측방향으로 일측 선단면(182)에는 상기 결합돌기(162)의 걸림홈(164)에 끼워져서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걸림돌기(182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끼움공(181)의 외주면에는 상호 이격되어 일측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복수의 힌지아암(183)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각 힌지아암(183)의 일측에 상호 대향하여 형성된 힌지공(183a)에는 보조폴(125)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84)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84)는 몸통부(184a)를 중심으로 일측에 상기 힌지공(183a)에 끼워져서 체결되는 힌지돌기(184b)가 양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는 상기 보조폴(125)의 내부에 끼워져서 면밀착하도록 상기 몸통부(184a)의 둘레면을 따라 반지름 방향으로 단턱진 원형 또는 다각형의 머리부(184c)가 형성되되, 상기 보조폴(125) 내부에 삽입시 반지름 방향으로 조여지면서 반발력이 작용하여 면밀착되도록 상기 머리부(184c)로부터 몸통부(184a)에 걸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84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텐트몸체(110)상의 텐트폴라인(111)에는 웨빙(117)이 형성되되, 이 웨빙(117)은 일측에 공지의 클램프(117a)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보(172)에는 상기 웨빙(117)과 상호 연결되도록 웨빙(165)이 구비되되, 이 웨빙(165)의 일측에는 상기 클램프(117a)에 삽입,결합되는 공지의 클램프(16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다른 구조로 된 컨넥터(160)를 구비한 본 고안의내풍텐트(100')는 텐트폴(120)의 양측에 각각 컨넥터(160)가 구비되되, 상기 각 컨넥터(160)의 끼움홈(161)에는 텐트폴(120)의 끝단을 끼워서 연결하고, 각 제1연결부재(170)의 삽입홈(171)에는 각 지지폴(140,140')을 끼워서 연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켄넥터(160)에는 텐트폴(12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보조폴(125)을 연결하게 되는데, 먼저 제2연결부재(180)를 회전시켜 상호 대향하도록 방향각을 맞추고, 연결구(184)를 회전시켜서 상하 경사각을 조절한 다음, 상기 연결구(184)에 보조폴(125)을 연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텐트몸체(110)는 텐트폴라인(111) 상에 걸림구조로 된 웨빙(1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연결부재(170)도 지지보(172) 상에 걸림구조의 웨빙(165)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웨빙(117)(165)을 상호 체결시킴으로써 텐트몸체(110)의 처짐을 방지하고 표면장력을 높여주어 바람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내풍텐트의 내풍성을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내풍텐트(100)(100')는 텐트폴(120) 자체의 증강된 탄발력과 상기 텐트폴(120)의 후방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폴(140,140')의 지지력에 의해 내풍성이 한층 향상되어 텐트(100)(100')의 일측방향으로부터 바람이 불어올 경우, 텐트폴(120)의 하부가 텐트(100)(100')의 내측방향으로 밀려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내풍텐트(100)(100')는 실내공간을 대부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내풍텐트(100)(100')는 상기 플라이(150)와 함께 설치할 경우, 보조연결부재(152) 표면에 형성되는 장력에 의해 내풍성이 더욱 강화되어 강풍이 불더라도 텐트폴(120)이 부러지지 않는 한 텐트가 쓰러지는 일은 절대로 없게 된다.
본 고안은 탄발력이 향상된 텐트폴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폴의 연결구조와, 플라이의 양측에 다수 형성된 보조연결부재를 포함하여 내풍성이 현저히 강화된 내풍텐트를 제공함으로써, 보조연결부재가 풀리거나 컨넥터 또는 지지폴이 부러지지 않는 한 바람에 의해 텐트의 내부공간이 협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매우 튼튼한 텐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3)

  1. 텐트몸체(100)와, 이 텐트몸체(100)를 지지하는 텐트폴(120)과, 상기 텐트몸체(110)의 외부에 씌워지는 플라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텐트에 있어서,
    텐트폴(120)의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지름방향으로 연결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131)의 양측에는 복수의 연결공(132,132')이 형성된 컨넥터(130)와,
    상기 연결공(132,132')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 텐트폴(120)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폴(140,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132,132')은 상호 일정 각도(α)를 두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α)는 40˚내지 80˚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공(132,132')은 상기 연결공(131)으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되, 상기 연결공(131)으로부터 일정 각도(β) 회전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β)는 140˚내지 180˚범위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폴(140,140')은 상기 연결공(132,132')에 삽입,고정되도록 일측에 소경부(141,141')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150)는 텐트폴(120)의 지지력을 보강하도록 보조지지부재(152)가 연장하여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150)는 개폐가능하게 절개된 지퍼부(15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9. 텐트몸체(100)와, 이 텐트몸체(100)를 지지하는 텐트폴(120)과, 상기 텐트몸체(110)의 외부에 씌워지는 플라이(150)를 포함하여 구성된 텐트에 있어서,
    텐트폴(120)을 지지하는 지지폴(140,140')을 삽입,연결하도록 삽입홈(171)이 형성된 제1연결부재(170)와,
    상기 제1연결부재(170)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 보조폴(125)을 연결하는 연결구(184)가 구비된 제2연결부재(180)로 구성되는 컨넥터(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170)는 일측에 상기 텐트폴(120)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도록 끼움홈(161)이 형성되고, 이 끼움홈(161)으로부터 이격된 외측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180)의 일단이 삽입,걸림되도록 걸림홈(16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재(180)는 일측에 상기 텐트폴(120)이 끼워져서 통과되도록 상기 끼움홈(161)과 연통된 끼움공(181)이 형성되되, 이 끼움공(181)으로부터 이격된 외측에는 상기 걸림홈(164)에 착탈가능하게 삽입,걸림되는 걸림돌기(18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184)의 일단이 힌지돌기(184b)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재(18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연결구(184)의 어느 한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부(184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170)는 일측에 상기 텐트몸체(110)상의 웨빙(117)과 연결되는 웨빙(165)이 구비되되, 상기 웨빙(117)(165)에는 상호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각 클램프(117a)(165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풍텐트.
KR2020010021663U 2001-07-18 2001-07-18 내풍텐트 KR200250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663U KR200250667Y1 (ko) 2001-07-18 2001-07-18 내풍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663U KR200250667Y1 (ko) 2001-07-18 2001-07-18 내풍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667Y1 true KR200250667Y1 (ko) 2001-11-17

Family

ID=7306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663U KR200250667Y1 (ko) 2001-07-18 2001-07-18 내풍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6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784A (ko) * 2001-08-09 2003-02-15 라제건 내풍텐트
WO2011149452A1 (en) * 2010-05-25 2011-12-01 Gallinger, Gf Tent having wind resistant fr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784A (ko) * 2001-08-09 2003-02-15 라제건 내풍텐트
WO2011149452A1 (en) * 2010-05-25 2011-12-01 Gallinger, Gf Tent having wind resistant fr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2352A (en) Insulated tent
US4236543A (en) Portable tent
US20070295377A1 (en) Battery pack for powering multiple electrical appliances in a tent
US7178537B2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US20020000241A1 (en) Tent with exterior screen house
US20010050098A1 (en) Quick-pitch tent
KR200492954Y1 (ko) 텐트
JP2013501170A (ja) テントもしくはシェルタのためのベント
US20100243014A1 (en) Strut and Arch Structure for Tent
KR20070010629A (ko) 향상된 내풍성 및 환기성을 가지는 텐트
KR200250667Y1 (ko) 내풍텐트
CA2466021C (en) Tent ventilation structure
US7261116B2 (en) Tent with extendable windows
US20020092555A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sun tent extension canopy
US20100018561A1 (en) Negative angle window for tent
US20050178421A1 (en) Tent with asymmetrical pole sleeves
KR200314973Y1 (ko) 텐트폴 커넥터
US8555908B2 (en) Support system for tents and shelters
KR200163305Y1 (ko) 차양텐트
KR102606182B1 (ko) 지붕 개폐형 캠핑용 텐트
CN218715654U (zh) 户外雨衣帐篷
KR200359126Y1 (ko) 대형 차양막 프레임 구조체의 삼각 보강 지지수단
KR200250664Y1 (ko) 텐트폴 지지구조
KR102230500B1 (ko) 텐트
KR200201566Y1 (ko) 칸막이가 형성된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