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453Y1 -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453Y1
KR200250453Y1 KR2019990010037U KR19990010037U KR200250453Y1 KR 200250453 Y1 KR200250453 Y1 KR 200250453Y1 KR 2019990010037 U KR2019990010037 U KR 2019990010037U KR 19990010037 U KR19990010037 U KR 19990010037U KR 200250453 Y1 KR200250453 Y1 KR 200250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ist
seat means
measuring devic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224U (ko
Inventor
이독권
Original Assignee
이독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독권 filed Critical 이독권
Priority to KR2019990010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45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2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2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453Y1/ko

Links

Landscapes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허리굽히기 측정장치를 대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측정자를 구비하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과, 상기 틀체와 분리 또는 결합되어 형성되는 좌석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허리굽히기 측정장치는 측정대상자가 좌석수단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굽혀 이동판을 밀게하고, 상기 이동판의 밀린거리 또는 못미친 거리를 측정하므로써 측정대상자의 허리의 유연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측정대상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앞으로 넘어져 부상을 입게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허리굽히기 측정장치{A measuring device of back bending}
본 고안은 학생들의 체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의 일종인 허리굽히기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허리굽히기 측정장치는 학생이 사각의 측정단 위에 올라서서 허리를 굽히게 되면 손끝이 가르키는 지점의 측정자눈금을 읽어 이로써 허리굽히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장치는 학생들이 다리나 허리를 지지하는 수단이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사각의 측정단 위에 올라서서 허리를 굽히는 것이므로, 허리를 굽히는 순간 몸이 앞으로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몸의 균형을 잃고 넘어져 부상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서있는 상태에서 학생들이 좀더 나은 측정결과를 얻기위해 무리하게 몸을 굽히다 보면 허리에 무리가 가게되고 이로인해 부상의 우려가 있으므로 일선학교에서는 이와같은 허리굽히기 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점차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허리굽히기 측정장치를 대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측정자를 구비하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봉과, 상기 슬라이드봉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과, 상기 틀체와 분리 또는 결합되어 형성되는 좌석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허리굽히기 측정장치는 측정대상자가 좌석수단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굽혀 이동판을 밀게하고, 상기 이동판의 밀린거리 또는 못미친 거리를측정하므로써 측정대상자의 허리의 유연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측정대상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앞으로 넘어져 부상을 입게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누락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있어서 틀체와 좌석수단의 접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결합된 사시도.
도 4 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5 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있어서 이송관의 상세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허리굽히기 측정장치(이하 측정장치라 한다)
10: 틀체 11: 측정자 20: 슬라이드봉 21: 이동판지지대
30: 이동판 31: 측정자 32: 슬라이딩부 32a: 베어링
33: 볼트 40: 발판 50: 좌석수단 51: 틀체
52: 쿳션 60, 61: 힌지 70: 결합돌기 71: 돌기삽입공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허리굽히기 측정창치(1)는 크게 측정자(11)을 구비하는 사각의 상자형상을 갖는 틀체(10)와, 상기 틀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봉(20)과, 상기 슬라이드봉(2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30)과, 상기 틀체(10)와 분리 또는 결합되어 형성되는 좌석수단(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틀체(10)는 사각의 상자형상을 가지며, 상기 틀체(10)의 상단면에는 측정수단, 즉 눈금이 새겨진 측정자(1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틀체(10)의 일측면에는 허리굽히기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발판(40)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발판(40)은 좌석수단(50)에 앉은 측정대상자의 발바닥을 맞대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발판(40)에는 발바닥모양과 같은 표식을 형성하므로써 사용자들에게 본 고안 장치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쉽게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석수단(50)에 앉은 측정대상자가 발판(40)에 발을 대는 과정에서 발판(40)이 밀리면서 틀체(1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틀체(10)의 하단 일측에는 결합돌기(70)를 형성하고, 좌석수단(50)의 일측에 천공된 돌기삽입공(71)을 형성하므로써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틀체(10)가 밀리지 않도록 하였다.
또 틀체(10)의 상부 중앙에는 슬라이드봉(20)이 양단부가 고정된 상태로 세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봉(20)에는 베어링(32a)에 의해 이동이 원활토록 구성된 슬라이딩부(32)가 이동가능토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32)에는 이동판(30)이 볼트(33)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동판(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측정대상자가 허리를 굽히면서 손끝으로 밀게되면 전진하므로써 측정대상자의 허리굽힘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판(30)의 양단은 예리하게 형성되어 측정자(11)를 가리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동판(30)의 전방에는 돌출된 측정자(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허리의 유연성이 좋지못해 미처 이동판(30)을 밀지 못하는 측정대상자의 허리굽힘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마이너스 눈금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판(30)은 슬라이드 봉(20)과 유사한 구성인 레일수단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는 이동판의 이동이 정밀하지 못해 측정이 용이하지 못한 폐단을 갖는 것이며, 제작 또한 간단하지 않았다.
또 이동판(30)이 슬라이딩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드 봉(20)은 사각봉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는 이송이 원활하지 못해 원형의 슬라이드봉(20)을 사용하였고, 이로인해 이동판(30)이 좌우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판(30)의 좌우를 지지해주는 이동판지지봉(21)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물론 이동판지지봉(21)을 사용하지 않고 이동판(30)의 양단부가 틀체(10)의 상단에 걸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는 소음이 심하고, 측정자(11)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고, 이송 역시 용이하지 못한 것이다.
상기 틀체(10)에 고정 또는 분리되어 설치가능한 좌석수단(50)은 측정대상자들이 운동장에서 체력을 측정하는 경우 땅바닥에 앉아서 체력측정하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에 필요한 구성으로, 상기 좌석수단(50)은 틀체(51)에 쿳션(52)를 덧댄 것이다. 본고안에서 상기 좌석수단(50)은 어떤 것으로도, 심지어는 합판이나 종이재질의 깔판 등으로도 대신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고안 좌석수단(50)은 두 개의 좌석수단(50)을 맞대 힌지(60)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틀체(10) 역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61)를 형성하여 하부를 절곡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써, 본 고안 장치 사용후 틀체(10)와 좌석수단(50)을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운반이 편하고, 보관장소를 좁게 차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허리굽히기 측정장치는 측정대상자가 좌석수단에 앉은상태에서 허리를 굽혀 이동판을 밀게하고, 상기 이동판의 밀린거리 또는 못미친 거리를 측정하므로써 측정대상자의 허리의 유연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측정대상자의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고, 또한 앞으로 넘어져 부상을 입게되는 폐단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측정자(11)와 발판(40)을 구비하는 틀체(10)와, 상기 틀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슬라이드봉(20)과, 상기 슬라이드봉(20)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판(30)과, 상기 틀체(10)와 분리 또는 결합되어 형성되는 좌석수단(50)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10)의 하단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70)와, 상기 좌석수단(50)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삽입공(71)에 의해 상기 틀체(10)와 좌석수단(50)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틀체(10)의 하부가 힌지(61)에 의해 절곡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수단(50)은 두 개의 좌석수단(50)을 맞대 힌지(60)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KR2019990010037U 1999-06-02 1999-06-02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KR200250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037U KR200250453Y1 (ko) 1999-06-02 1999-06-02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037U KR200250453Y1 (ko) 1999-06-02 1999-06-02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224U KR19990035224U (ko) 1999-09-06
KR200250453Y1 true KR200250453Y1 (ko) 2001-11-15

Family

ID=5475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037U KR200250453Y1 (ko) 1999-06-02 1999-06-02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4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224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25107A (en) Collapsible spoon-bottom chair
US6256896B1 (en) Infantometer for measuring height of infants
US3955285A (en) Device for measuring posture-determining parameters of a human body
PT1691899E (pt) Aparelho de exercícios reformer e ensamblagem da barra de escora do batente do carrinho
PT1791606E (pt) Suporte da barra dos pés de um aparelho de exercício reformer
US2914116A (en) Leg-rests
US2295447A (en) Measurement device
KR102454363B1 (ko) 운동기구의 수평 이동 장치
KR20210042232A (ko) 스쿼트운동기구
RU143298U1 (ru) Измер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и оценки гибкости позвоночника с таким измерительным модулем (варианты)
BR102019015042A2 (pt) apoio de suporte articulado, estrutura de suporte e mesa
KR200250453Y1 (ko) 허리굽히기 측정장치
KR101125796B1 (ko) 접이식 유연성 측정장치
EP0897694B1 (en) Sitting-posture body anteflexion measuring device
US11122995B2 (en) Patient measurement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2468977A (en) Pedal extension and footrest attachment for pianos
ES2253249T3 (es) Aparato de musculacion para hacer "bombas".
GB2300919A (en) Leg length inequality meter
CN210612136U (zh) 一种坐位体前屈测试装置
CN209475484U (zh) 一种体育课用体前屈和腿测力装置
CN208968653U (zh) 一种适用于医疗环境的体重秤
JPH0247927Y2 (ko)
CN215598293U (zh) 一种竖向垂直构件垂直度测量仪
CN219125417U (zh) 双腿腿围测量工具
JP6327743B2 (ja) ベッド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