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422Y1 - 유류 레벨 측정기 - Google Patents

유류 레벨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422Y1
KR200250422Y1 KR20010020377U KR20010020377U KR200250422Y1 KR 200250422 Y1 KR200250422 Y1 KR 200250422Y1 KR 20010020377 U KR20010020377 U KR 20010020377U KR 20010020377 U KR20010020377 U KR 20010020377U KR 200250422 Y1 KR200250422 Y1 KR 2002504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ube
measuring
buoyancy
fix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20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영규
Original Assignee
채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5105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5042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채영규 filed Critical 채영규
Priority to KR20010020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4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4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4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using buoyant 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4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4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bands or wires as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Abstract

본 고안은 주유소에 매장되어 있는 유류 탱크내의 유류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레벨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유류탱크 내에 삽입되는 삽입고정관과, 상기 삽입고정관을 탱크 입구에 고정지지하는 지지관부재와, 상기 삽입고정관 내에 삽입되는 무게추봉 및 부력봉부재와, 상기 무게추봉 및 부력봉부재를 상호 연결하면서 유류의 잔량을 측정하는 측정띠자와, 상기 삽입고정관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측정띠자에 의해 연결된 무게추봉 및 부력봉부재가 도르레방식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부재 양 끝단에 베어링이 삽착된 회전부재와, 상기 삽입고정관 상단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공형태의 고정관뚜껑과, 상기 고정관 뚜껑 상단에 삽착되어 유류의 잔량을 측정한 상기 측정띠자의 측정치를 확대시켜 관찰할 수 있는 확대경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유류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유류의 잔량 측정이 간편한 탁월한 효과와 함께, 상기 유류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의 잔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유류 레벨 측정기{The device for measuring oil level}
본 고안은 주유소에 매장되어 있는 유류 탱크내의 유류레벨을 측정할 수 있는 레벨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류탱크 내에 삽입되는 삽입고정관과, 상기 삽입고정관을 탱크 입구에 고정지지하는 지지관부재와, 상기 삽입고정관 내에 삽입되는 무게추봉 및 부력봉부재와, 상기 무게추봉 및 부력봉부재를 상호 연결하면서 유류의 잔량을 측정하는 측정띠자와, 상기 삽입고정관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측정띠자에 의해 연결된 무게추봉 및 부력봉부재가 도르레방식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부재 양 끝단에 베어링이 삽착된 회전부재와, 상기 삽입고정관 상단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공형태의 고정관뚜껑과, 상기 고정관 뚜껑 상단에 삽착되어 유류의 잔량을 측정한 상기 측정띠자의 측정치를 확대시켜 관찰할 수 있는 확대경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주요소에 매장되어 있는 유류탱크에 설치하므로서, 상기 유류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유류의 잔량 측정이 간편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확한 유류의 잔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유류 레벨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 바닥내에 매장되어 있는 유류 탱크 내의 유류레벨을 측정하는 종래의 방식은, 내부식성의 알루미늄자(도 5 참조)를 상기 유류탱크 내에 삽입하여 상기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유류가 상기 알루미늄자에 묻어 있는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유류탱크 내의 유류레벨을 측정하였으나, 이는 상기 알루미늄자에 묻어 나오는 유류(휘발류)가 증발되기 때문에 상기 알루미늄자에 묻은 유류의 레벨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없어 상기 유류탱크 내의 잔량 계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센서에 의한 컴퓨터 모니터로 잔량이 표시되는 포스 유류 레벨측정장치가 제안되었는데, 이는 장비자체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대형 주유소(LG, SK, 한화, 쌍용 S-oil, 삼성 oil-bank 등)가 아닌 중소형 주요소에서는 설치하는데 드는 비용의 부담감이 큰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기존의 중소형 주요소에 상기 포스 측정기를 설치할 경우, 유류탱크 내에 있는 유류를 다른 곳으로 옮긴 다음 상기 포스 측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주유소의 영업을 중단해야하는 등의 영업손실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상기 유류탱크 내에 잔량의 유류를 제거한다 하더라도 완전하게 제거가 어려워 상기 유류탱크 벽이나 바닥부분에 소량의 유류가 존재한 상태에서 상기 포스 측정장치를 유류탱크 내에 설치고정에 따른 용접작업을 할 경우 상기 용접작업을 통해 발생되는 불꽃이 상기 유류탱크 벽이나 바닥부분에 존재하는 소량의 유류에 옮겨 붙어 커다란 화재나 폭발이 일어날 수 있는 커다란 문제점 또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주요소에 매장되어 있는 유류탱크 상단 내에 설치하여 상기 유류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유류의 잔량 측정이 간편하도록 함과 동시에, 정확한 유류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류탱크 내에 삽입되는 삽입고정관과, 상기 삽입고정관을 탱크 입구에 고정지지하는 지지관부재와, 상기 삽입고정관 내에 삽입되는 무게추봉 및 부력봉부재와, 상기 무게추봉 및 부력봉부재를 상호 연결하면서 유류의 잔량을 측정하는 측정띠자와, 상기 삽입고정관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측정띠자에 의해 연결된 무게추봉 및 부력봉부재가 도르레방식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부재 양 끝단에 베어링이 삽착된 회전부재와, 상기 삽입고정관 상단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공형태의 고정관뚜껑과, 상기 고정관 뚜껑 상단에 삽착되어 유류의 잔량을 측정한 상기 측정띠자의 측정치를 확대시켜 관찰할 수 있는 확대경으로 구성된 본 고안의 유류 레벨 측정기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유류 레벨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유류 레벨 측정기의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유류 레벨 측정기의 실시예도.
도 4 는 유류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 레벨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상태도로서, 도 4a 는 유류가 탱크내에 2/3정도 저장된 상태이고, 도 4b 는 유류가 탱크내에 1/3정도 저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는 종래의 유류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유류의 레벨측정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유류 레벨 측정기 10. 삽입고정관 11. 지지관부재
20. 부력봉부재 21. 중공관 22. 공기주입기
23. 부력체 24. 우레탄 발포제 25. 철구
26. 무게추봉 30. 측정띠자 40. 회전부재
50. 고정관뚜껑 60. 확대경 70. 유류탱크
71. 입구관
도 1 은 본 고안의 유류 레벨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유류 레벨 측정기의 설치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유류 레벨 측정기(1)는, 유류탱크(70) 상단 입구관(71) 내에 삽입되는 중공형태의 삽입고정관(10)과;
상기 삽입고정관(10)을 탱크 입구관(71)에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사다리꼴형이면서 중앙에 일정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관부재(11)와;
상기 삽입고정관(10) 내에 삽입되어 상기 유류탱크(70)에 저장된 유류의 잔량 위치만큼 부상되는 부력봉부재(20); 및 상기 부력봉부재(20)의 부상위치만큼 이동된 측정자(30)를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추역활을 하는 무게추봉(26)과;
상기 부력봉부재(20) 및 무게추봉(26)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부력봉부재(20)의 부상위치에 의해 유류의 잔량을 측정하는 측정띠자(30)와;
상기 삽입고정관(10)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측정띠자(30)에 의해 연결된 부력봉부재(20) 및 무게추봉(26)이 도르레 방식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부재 양 끝단에 베어링이 삽착된 회전부재(40)와;
상기 삽입고정관(10) 상단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공형태의 고정관뚜껑(50)과;
상기 고정관뚜껑(50) 상단에 삽착되어 유류의 잔량을 측정한 상기 측정띠자(30)의 측정치를 확대시켜 관찰할 수 있는 확대경(6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력봉부재(20)는 일정길이의 중공관(21)과; 상기 중공관(21) 상단에 삽착 고정되어 있으면서, 공기의 주입 및 토출이 가능한 공기주입기(22)와; 상기 중공관(21)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주입기(22) 및 중공관(21)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일정크기로 팽창되는 부력체(2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부력봉부재(20)의 중공관(21)과 상기 무게추봉(26)의 재질은 스테인레스나 또는 황동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부력봉부재(20)의 중공관(21) 하단에 고정된 부력체(23)의 경우 주입된 공기가 세지 않으면서 팽창력이 좋은 폴리에틸렌수지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부력체(23) 내에 일정의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일정량의 물(약 1.5㎏)이 체워져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유류 레벨 측정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실시예도로서, 이는 도 1 에 도시된 본 고안인 유류 레벨 측정기(1)의 구성요소중 부력봉부재(20)의 중공관(21)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부력체(23) 대신 일정형태의 우레탄 발포제(24)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우레탄 발포제(24) 내에는 일정무게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철구(25)가 삽입된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인 유류 레벨 측정기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유류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 레벨에 따른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 는 유류가 탱크내에 2/3정도 저장된 상태이고, 도 4b 는 유류가 탱크내에 1/3정도 저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상기 도 4a 에 도시한 유류탱크(70) 내에 저장된 유류 레벨에서 도 4b 에 도시한 유류탱크(70) 내의 유류 레벨로 변화될 경우, 부력봉부재(20)의 부력체(23)가 도 4b 에 도시한 유류의 잔량 레벨에 맞게 하강하게 되면, 상기 부력봉부재(20)와 측정띠자(30)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무게추봉(26)이 회전부재(40)의 도르레 원리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상기 부력봉부재(20)의 하강에 따라 이동된 측정띠자(30)를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유류탱크(70) 내에 저장된 잔량의 유류레벨을 확대경(60)을 통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유류탱크(70) 내의 유류레벨이 도 4b 에서 도 4a 로 상승하게 되면, 상승된 유류의 레벨에 맞게 부력봉부재(20)의 부력체(23)가 상승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부력봉부재(20)와 측정띠자(30)로 연결된 무게추봉(26)이회전부재(40)의 도르레 원리에 의해 하강하면서, 측정띠자(30)를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유류탱크(70) 내의 상승된 유류의 레벨을 확대경(60)을 통해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유류 레벨 측정기(1)는, 유류탱크(70) 내에 저장된 유류의 레벨에 따라 부력봉부재(20)와 무게추봉(26)이 상호 회전부재(40)의 도르레 원리에 의해 상승 하강하면서 상기 유류탱크(70) 내에 저장된 유류의 잔량이 측정된 측정띠자(30)를 확대경(60)을 통해 간편하게 측정함과 동시에, 정확한 유류의 잔량을 측정할 수 있는 탁월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의 유류 레벨 측정기는, 주요소에 매장되어 있는 유류탱크 상단 내측에 설치하므로서, 상기 유류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레벨에 따라 부력봉부재와 무게추봉이 상호 회전부재의 도르레 원리에 의해 상승 하강하면서 상기 유류탱크 내에 저장된 유류의 잔량이 측정된 측정띠자를 확대경을 통해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유류 잔량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와 함께, 상기 유류탱크 내의 유류 잔량 또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유류탱크(70) 상단 입구관(71) 내에 삽입되는 중공형태의 삽입고정관(10)과;
    상기 삽입고정관(10)을 탱크 입구관(71)에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사다리꼴형이면서 중앙에 일정직경의 관통홀이 형성된 지지관부재(11)와;
    상기 삽입고정관(10) 내에 삽입되어 상기 유류탱크(70)에 저장된 유류의 잔량 위치만큼 부상되는 부력봉부재(20); 및 상기 부력봉부재(20)의 부상위치만큼 이동된 측정자(30)를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추역활을 하는 무게추봉(26)과;
    상기 부력봉부재(20) 및 무게추봉(26)의 상단을 상호 연결하여 상기 부력봉부재(20)의 부상위치에 의해 유류의 잔량을 측정하는 측정띠자(30)와;
    상기 삽입고정관(10) 상단에 위치되어 상기 측정띠자(30)에 의해 연결된 부력봉부재(20) 및 무게추봉(26)이 도르레 방식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부재 양 끝단에 베어링이 삽착된 회전부재(40)와;
    상기 삽입고정관(10) 상단에 나선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중공형태의 고정관뚜껑(50)과;
    상기 고정관뚜껑(50) 상단에 삽착되어 유류의 잔량을 측정한 상기 측정띠자(30)의 측정치를 확대시켜 관찰할 수 있는 확대경(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레벨 측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봉부재(20)는 일정길이의 중공관(21)과; 상기중공관(21) 상단에 삽착 고정되어 있으면서, 공기의 주입 및 토출이 가능한 공기주입기(22)와; 상기 중공관(21) 하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주입기(22) 및 중공관(21)을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일정크기로 팽창되는 부력체(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레벨 측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봉부재(20)의 중공관(21) 하단에 고정되어 있는 부력체(23) 대신 일정형태의 우레탄 발포제(24)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우레탄 발포제(24) 내에는 일정무게를 유지하도록 다수의 철구(25)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류 레벨 측정기.
KR20010020377U 2001-07-06 2001-07-06 유류 레벨 측정기 KR2002504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0377U KR200250422Y1 (ko) 2001-07-06 2001-07-06 유류 레벨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20377U KR200250422Y1 (ko) 2001-07-06 2001-07-06 유류 레벨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422Y1 true KR200250422Y1 (ko) 2001-11-16

Family

ID=40510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20377U KR200250422Y1 (ko) 2001-07-06 2001-07-06 유류 레벨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4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6251A1 (en) * 2007-06-20 2008-12-24 Ki Bong Choi Device for measuring level of liquid
KR102026340B1 (ko) * 2019-02-28 2019-10-01 정창호 거름관을 이용한 부표식 레이저 수위계
KR102026339B1 (ko) * 2019-02-26 2019-10-02 정창호 부표식 레이저 수위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56251A1 (en) * 2007-06-20 2008-12-24 Ki Bong Choi Device for measuring level of liquid
KR100915382B1 (ko) * 2007-06-20 2009-09-03 최기봉 액량계
KR102026339B1 (ko) * 2019-02-26 2019-10-02 정창호 부표식 레이저 수위계
KR102026340B1 (ko) * 2019-02-28 2019-10-01 정창호 거름관을 이용한 부표식 레이저 수위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0841B2 (en) Slope level
KR200250422Y1 (ko) 유류 레벨 측정기
KR101258482B1 (ko) 액체 수위 및 밀도 측정 장치
EP0057481A1 (en) Differential level-monitoring float device
US3572122A (en) Measuring stick type gauge
US7284422B1 (en) Fluid level measurement device
US4116062A (en) Removable tank gauge float
CA1292885C (en) Portable liquid level gauge
JP5289495B2 (ja) 液位計及び該液位計を用いたポンプ機能検査方法
KR102246375B1 (ko) 수위 측정부를 포함하는 연료 탱크
US6167756B1 (en) Pivotal float for liquid level detection apparatus
JP3103054U (ja) 液量計
KR100553658B1 (ko) 부유식 측정장비용 지지장치
JP7129240B2 (ja) 計測装置および計測方法
US3407660A (en) Liquid level determining device
US3548508A (en) Center locater device
JP6465985B2 (ja) 逆充填炭素及び温度ドロップインセンサ
US3942379A (en) Floating wave stilling chamber for liquid level indicator
US4183246A (en) Insulation presence sensing probe
JP5650096B2 (ja) 冠水表示装置
CN112693576A (zh) 船舶倾斜试验装置
US6138509A (en) Water level monitoring float system
KR200446726Y1 (ko) 연약지반 계측장비의 수직 지지 브래킷
KR200267834Y1 (ko) 저유량 레벨 측정기
KR200414407Y1 (ko) 선박 배관의 관통관 패드용 외경 측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510

Effective date: 2004112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202

Effective date: 2006111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1214

Effective date: 20070720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810

Effective date: 200912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22

Effective date: 20100326

EXTG Extinguishment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