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149Y1 - 휴대용 때밀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때밀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149Y1
KR200250149Y1 KR2020010017927U KR20010017927U KR200250149Y1 KR 200250149 Y1 KR200250149 Y1 KR 200250149Y1 KR 2020010017927 U KR2020010017927 U KR 2020010017927U KR 20010017927 U KR20010017927 U KR 20010017927U KR 200250149 Y1 KR200250149 Y1 KR 200250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casing
motor
gripping portion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천
Original Assignee
임석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석천 filed Critical 임석천
Priority to KR2020010017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149Y1/ko

Links

Landscapes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때밀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방법이 간단한 휴대용 때밀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때밀이장치{PORTABLE BODY CLEANING APPARATUS}
본 고안은, 휴대용 때밀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욕탕 등에서 사용되는 때타월은 손이 삽입되도록 장갑 형식으로 되어 몸의 때를 미는 것과, 그 길이가 길게 제조되어 양손으로 양 단부를 파지한 채 손이 닿지 않는 등의 때를 미는 것 등이 있다.
사용자는 뜨거운 물이나 증기를 이용하여 몸을 충분하게 불린 후, 전술한 때타월을 이용하여 몸의 때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때타월은 사용자의 힘으로 몸의 때를 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어린 아이나 혹은 노약자의 경우에는 그 힘이 미약하여 타인의 도움 없이는 충분하게 때를 제거할 수가 없다.
이에, 실용 92-3943호를 포함하여 자동으로 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자동 때밀이장치가 무수하게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자동 때밀이장치는 주로 때를 미는 때밀이부가 소정의 길이 구간만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를 때밀이부에 접촉시킴으로써 때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때밀이장치에 있어서는, 대부분 그 크기가 거대하여 일반 공중 목욕탕 등을 제외하고 협소한 가정의 목욕탕에서는 사용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사용 방법에 있어서 어린 아이나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방법이 간단한 휴대용 때밀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때밀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때밀이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케이싱 20 : 모터
40 : 때밀이부재 43 : 때밀이부
50 : 보조때타월 58 : 전원스위치
60 : 제1파지부 70 : 제2파지부
80 : 제3파지부 85 : 로우프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때밀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때밀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때밀이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판상의 때밀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결합부는 상호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이 때밀이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때밀이부는 연성의 고무, 스펀지 및 타월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보조때타월을 끼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1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와는 이격되게 배치되며 길이조절가능한 제2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권취부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3파지부와, 상기 권취부와 상기 제3파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탄성 작동하는 로우프를 더 마련함으로써, 손이 닿지 않는 부분의 때를 용이하게 밀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누전차단기를 마련한다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본체케이싱의 외측에는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겠으며,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때밀이장치는, 본체케이싱(10)과, 본체케이싱(10) 내에 마련되는 모터(20)와, 모터(20)의 회전축(2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때밀이부재(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0) 내의 저부에는 복수의 브래킷(15,17)이 마련되어 있다. 각 브래킷(15,17)에는 모터(20)와 후술할 누전차단기(30)가 각각 지지되어 있다. 모터(20)는 정역 회전가능하며 변속가능한 모터(20)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때밀이부(43)를 이용하여 몸의 때를 밀 경우, 속도를 조절하면서 일방향 혹은 그 반대방향으로 밀게 되면 때 미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모터(20)의 회전축(21)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이 회전축(21)에 결합된 때밀이부(43,43??) 역시,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모터(20)에는 회전속도를 가변하는 변속기(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모터(20)에 인접하게 설치된 브래킷(17)에는 누전차단기(30)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20)를 포함하여 누전차단기(30)는 모두, 모터(20)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58)와, 모터(20)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5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누전차단기(30)는 누전 발생시,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누전차단기(30) 외에도 모터(20)에 과부하가 걸렸을 경우, 모터(20)로 향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차단기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본체케이싱(10)의 판면에는 모터(20) 및 누전차단기(30) 등의 부품들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공(12,12′, 도 1 및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싱(10)에는 때밀이장치를 파지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파지부(60,70,70′,80)가 마련되어 있다.
제1파지부(60)는 본체케이싱(10)의 상면에 마련되며 손가락으로 감아쥘 수있게 마련된다. 제1파지부(60)는 주로 때밀이장치를 휴대하는데 이용된다. 제2파지부(70,70′)는 제1파지부(60)와는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본 고안에서 제2파지부(70,70′)는 본체케이싱(10)의 후단부에 설치되도록 하고 있으며, 제1파지부(60)와는 달리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제2파지부(70)는, 본체케이싱(10)에 고정된 고정파지부(72)와, 회동축(74)을 중심으로 고정파지부(72)에 대해 접힐 수 있는 가동파지부(73)를 포함한다. 이에, 때밀이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가동파지부(73)를 고정파지부(72) 측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제2파지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케이싱(10)에 고정된 고정파지부(72')와, 고정파지부(72')가 삽입가능한 가동파지부(73')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때밀이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파지부(72')로부터 가동파지부(73')를 이동시켜 이용하고, 때밀이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파지부(72')를 가동파지부(73') 내로 삽입시켜 그 부피를 축소할 수 있다. 이 때, 가동파지부(73') 및 고정파지부(7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가동파지부(7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76)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파지부(80)는 제1파지부(60)에 중심으로 제2파지부(70,70′)의 대향된 위치에 마련된다. 제3파지부(80)는 제2파지부(70,70′)와 더불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등을 미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제3파지부(80)는 로우프(85)에 의해본체케이싱(10)의 수용부(16, 도 2 참조) 내에 마련된 권취부(84)와 연결되어 있다. 권취부(84)에는 도시 않은 스프링이 마련되어 로우프(85)가 항상 권취부(84)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제3파지부(80)를 본체케이싱(10)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기면, 로우프(85)는 권취부(84)로부터 권취 해제되는 방향으로 풀린 후, 본체케이싱(10)에 형성된 로우프공(13)을 통해 본체케이싱(1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이 때, 제3파지부(80)를 파지 해제하면, 로우프(85)는 권취부(84)에 권취 해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취부(84)에 감김으로써, 제3파지부(80)는 로우프공(13)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한편, 때밀이부재(40,40′)는 모터(20)의 회전축(21)에 결합되는 결합부(42,42′)와, 결합부(42,42′)로부터 연장되는 판상의 때밀이부(43,43′)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20)의 회전축(21)과 결합부(42)는 상호 스플라인 결합됨으로써, 때밀이부재(4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결합부(42)의 내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스플라인(4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21)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플라인결합부(19)에 의해 고정된 외측스플라인부재(51)가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외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의 내측에는 비원형 형상의 보스공(42a′)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도록 모터(20)의 회전축(21)에는 보스결합부(51′)를 마련하여, 보스결합부(51??)를 보스공(42a′)에 끼워 넣은 후, 상호 연통하는 키홈(54a,54b)으로 키(54)를 삽입함으로써 때밀이부재(4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거의 'D'형상을 갖는 보스공(42a′)을 채용하고 있으나, 이 형상 외에 다른 형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럴 경우, 보스공(42a′)과 형상맞춤되는 보스결합부(51′) 역시 동일한 형상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모터(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직접 몸의 때를 제거하는 때밀이부(4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체가 직접 때를 미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럴 경우, 때밀이부(43)의 판면은 연성의 고무, 스펀지 및 타월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때 미는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판면에 소정의 돌기나 요철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때밀이부(43′)에 밴드개구(50a)가 있는 별도의 보조때타월(50)을 끼워 때를 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자동때밀이는 각 파지부(60,70,80) 중 어느 하나 혹은 2개를 파지하여 때밀이부(43)의 판면이 때를 밀고자 하는 몸의 각 부위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한 후, 전원스위치(58)를 온시켜 모터(20)를 작동시킴으로써 회전하는 때밀이부(43)의 판면으로 인해 때를 밀 수 있다. 이 때, 속도조절스위치(59)를 이용하여 적절한 모터(20)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때를 미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방법이 간단한 휴대용 때밀이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사용자가 파지부를 쥐었을 경우, 비눗기 등으로 인해 미끌려 때밀이장치가 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파지부에는 미끌림을 방지하도록 돌기부(P)나 혹은, 미끌림방지패드 등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모터의 작동을 위한 전원은 일반 110V 및 220V 교류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외에도 본체케이싱 내에 소정의 전지수용부를 마련하고 건전지 등을 이용하여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방법이 간단한 휴대용 때밀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9)

  1. 본체케이싱과;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때밀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때밀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때밀이부재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판상의 때밀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때밀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결합부는 상호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때밀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때밀이부는 연성의 고무 및 타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때밀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때밀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케이싱의 상면에 마련되는 제1파지부와, 상기 제1파지부와는 이격되게 배치되며 길이조절가능한 제2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때밀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권취부와, 상기 본체케이싱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3파지부와, 상기 권취부와 상기 제3파지부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방향으로 탄성 작동하는 로우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때밀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 내에 마련되는 누전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때밀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의 외측에 마련되며, 상기 모터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모터의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조절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때밀이장치.
KR2020010017927U 2001-06-15 2001-06-15 휴대용 때밀이장치 KR200250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27U KR200250149Y1 (ko) 2001-06-15 2001-06-15 휴대용 때밀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27U KR200250149Y1 (ko) 2001-06-15 2001-06-15 휴대용 때밀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149Y1 true KR200250149Y1 (ko) 2001-11-16

Family

ID=7306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927U KR200250149Y1 (ko) 2001-06-15 2001-06-15 휴대용 때밀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14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557A (ko) * 2001-11-27 2003-06-02 박찬석 개인 휴대용 자동 때밀이 장치
KR20030044436A (ko) * 2001-11-30 2003-06-09 김병근 안마겸용 때밀이 용구
KR101354487B1 (ko) 2012-03-27 2014-01-27 윤미경 회전식 때밀이 장치
KR20220033722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루트팜 피부 미백 및 세신기능을 갖는 기능성 뷰티기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557A (ko) * 2001-11-27 2003-06-02 박찬석 개인 휴대용 자동 때밀이 장치
KR20030044436A (ko) * 2001-11-30 2003-06-09 김병근 안마겸용 때밀이 용구
KR101354487B1 (ko) 2012-03-27 2014-01-27 윤미경 회전식 때밀이 장치
KR20220033722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루트팜 피부 미백 및 세신기능을 갖는 기능성 뷰티기기
KR102355522B1 (ko) * 2020-09-10 2022-03-18 주식회사 루트팜 피부 미백 및 세신기능을 갖는 기능성 뷰티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33830A (en) Electric hand mixer
WO2014032347A1 (zh) 一种作业工具
US20030097724A1 (en) Electrically-driven portable dirt scrubber
KR200250149Y1 (ko) 휴대용 때밀이장치
WO2018168421A1 (ja) 携帯用研磨機
US6732394B1 (en) Positionable body scrubbing device
FR2798575B1 (fr) Batteur-mixeur electrique a main
US6113017A (en) Paper shredder with a safe impelling roller
KR100665466B1 (ko) 휴대용 전동 때 밀이 기구
WO2014000345A1 (zh) 一种电动角磨机
KR200286777Y1 (ko) 전동 때밀이 장치
WO2014000344A1 (zh) 一种带开启锁定功能的电动角磨机
NZ503792A (en) Wall slot milling unit with on-off switch on one handle and safety switches on a second handle
KR200450789Y1 (ko) 소형 비누 분쇄기
KR200302922Y1 (ko) 휴대용 자동 때밀이기
KR200273925Y1 (ko) 전동 때밀이 장치
CN216753487U (zh) 一种便携式开椰器
CN218274357U (zh) 一种开关电源防护机构
CN110394905B (zh) 一种建筑用墙体开槽装置
RU2815109C2 (ru) Моторный блок электробытового прибора, выполненны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удержания рукой
KR200240485Y1 (ko) 휠체어의 분리형 구동장치
US20040177763A1 (en) Sound insulating appliance for coffee grinders
KR200386803Y1 (ko) 휴대용 안마기 겸용 때밀이
CN204053725U (zh) 作业工具
KR200306799Y1 (ko) 때밀이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