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745Y1 - 비상버턴과비상해제버턴을갖는자동차용원격리모콘 - Google Patents

비상버턴과비상해제버턴을갖는자동차용원격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745Y1
KR200249745Y1 KR2019980025933U KR19980025933U KR200249745Y1 KR 200249745 Y1 KR200249745 Y1 KR 200249745Y1 KR 2019980025933 U KR2019980025933 U KR 2019980025933U KR 19980025933 U KR19980025933 U KR 19980025933U KR 200249745 Y1 KR200249745 Y1 KR 2002497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vehicle
button
signal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436U (ko
Inventor
곽문재
Original Assignee
곽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문재 filed Critical 곽문재
Priority to KR2019980025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745Y1/ko
Publication of KR19990017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7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745Y1/ko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원격시동용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격리모콘(2)의 제어부(4)에 비상버턴(14)과 비상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비상해제 버턴(16)을 접속하여 차량이나 운전자에게 위급상항(응급상황 또는 비상사태)이 발생된 경우, 예컨데 차량(32)의 운전자가 차량기습이나 차량강도 등에 의해 위해(상해)및 감금을 당했거나 당할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차량의 강탈이나 탈취될 처지에 놓이는 경우, 차량납치나 차량의 트렁크에 감금되었을 때 원격리모콘(2)에 부가 접속된 비상버턴(14)을 누르게 되면 코드화 된 비상신호(위급신호)가 무선전파(無線電波)로 송출되고, 상기 비상신호는 당해 차량(32)에 탑재된 무선 중계기(RF Repeator)(26) 또는 블랙박스를 통하여 증폭 송출되고, 상기 무선 중계기(26)나 블랙박스로부터 송출되는 비상신호는 비상신호(도난신호) 수신기(48)가 설치된 인근 검문소 또는 비상신호(도난신호) 수신기를 휴대한 인근 순찰차량 및 도보순찰자가 이를 수신하여 위해(상해)나 감금을 당한 운전자의 구난(救難)이나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난차량을 효과적으로 검문ㆍ검거하여 도난차량에 의한 2차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상버턴과 비상해제 버턴을 갖는 자동차용 원격리모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원격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리모콘에 비상버턴과 비상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비상해제 버턴을 설치하여 차량이나 운전자에게 위급상항(응급상황, 비상사태)이 발생된 경우 비상스위치를 누르면 비상신호(또는 위급신호)가 무선전파로 송출된 다음 차량에 탑재된 무선 중계기를 통하여 비상(도난)신호 수신기가 설치된 인근 검문소 또는 비상신호(도난신호)수신기를 휴대한 인근 순찰차량이나 도보순찰자가 수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위해(또는 상해)나 감금을 당한 운전자의 구난(救難)이나 응급조치(應急措置)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난, 강탈, 탈취차량을 효과적으로 검문하여 검거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난, 강탈, 탈취차량에 의한 2차 범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최근 발생되는 범죄추세를 보면 소위 유괴 납치사건으로 불리는 약취, 유인, 납치범죄가 점증 추세에 있으며 이들 범죄자의 80% 이상이 면식범에 의한 범죄이다.
또한, 영화나 매스컴을 통하여 범죄 검거 상황설명이 자주 보도되므로 흉내내기 범죄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며, 범인 자신의 소유차량으로 납치범행을 했을 때 신분이 쉽게 노출되므로 우발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절취차량을 이용하거나 혹은 번호판을 교체해서 범행하고 있으며, 납치범의 경우 우발적인 사건은 거의 없고 대부분은 치밀한 계획 아래 이루어진다.
특히 최근에는 도난차량이나 위ㆍ변조 또는 훔친 번호판을 부착한 차량을 이용한 납치강도 사건, 특히 화물차 차떼기범 및 은행현금 수송차량 강도 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행락철에는 일부 우범자들이 차량을 절취하여 범죄에 사용한 후 방치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서 이들 차량 확인과 처리에 대한 별도의 대응책을 필요하다.
또한, 도시범죄의 경우 특성상 조직 폭력배 및 차량을 이용한 절도, 납치, 강간 등 여러가지의 유형이 있으나 대다수가 차량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동 및 도주 수단으로 강탈, 절취한 차량을 이용한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또한, 도시범죄의 경우 신속한 도주로의 차단이 어렵기 때문에 차량번호가 확인되어 현장추적이 이루어지더라도 도시의 특성상 사건해결에 어려움이 따른다.
즉, 경찰병력을 특정사건이 발생된 지역에 집중하고 있는 동안 범인은 차를 버리고 다른 차량을 강탈하여 도주하면 포위망을 유유히 벗어날 수 있어서 검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내용을 일선 경찰은 잘 알고 있으면서도 범인 진행방향에 대한 도주로 차단을 쉽게 하지 못하는 이유는 차도를 막아 임시검문소를 설치하게 되면 차량소통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데 있다. 즉, 교통차단으로 인한 민간인의 피해가 막대하므로 극악범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극히 시행하기 힘들다.
또한, 경찰은 도난차량 및 차량이용 범죄의 집중적인 단속활동이 범죄분위기를 제압하는 첩경으로 인식하고 이들 범죄에 대하여 예방활동과 더불어 형사, 방범, 교통 합동으로 일제 단속 활동을 전개하는 등 강력한 대응을 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차량의 특수성 때문에 사건이 일어나고 범죄차량이 밝혀지기 전에는 단속이 지극히 어렵다.
또한, 번호판 분실 및 도난, 차령도난 사건이 발생하면 즉시 전국으로 수배조치를 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주요간선 도로에 차량번호 판독기를 이용하여 수배 차량임을 확인하고 있으나 이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는 범인들이 차량 절취한 후 번호판을 교체해 버리거나 차량운행 시간을 축소하거나 혹은 출퇴근 시간을 이용하여 도주하므로 번호판 판독기나 고정검문소 등이 이미 무용지물로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원격리모콘에 비상버턴과 비상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비상해제 버턴을 설치하여 차량이나 운전자에게 상기와 같은 범죄나 위급상항(응급상황 또는 비상사태)이 발생된 경우 원격리모콘에 부가 설치된 비상버턴을 누르게되면 코드화 된 비상신호가 고주파(RF)에 변조되어 무선으로 송출되게 하고, 상기 비상신호는 차량에 탑재된 중계기를 통하여 증폭 송출되게 함으로써 (도난)신호수신기가 설치되거나 (도난)신호수신기를 휴대한 인근의 검문소나 순찰차량 및 도보순찰자가 수신한 다음 신속히 이동하여 조치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처리장치(CPU)등으로 구성되는 원격리모콘의 제어부의 입ㆍ출력부에 약 1032까지의 코드를 발생할 수 있는 코드 칩(I.C)으로 구성된 식별코드부를 접속하여 원격리모콘마다 고유의 식별코드(I.D)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부의 입력에 원격 시동버턴과 도어잠금버턴과 도어잠금해제버턴과 비상버턴과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103키 매트릭스방식의 비상해제버턴과 안테나를 갖는 고주파(RF) 송신부를 접속하고, 제어부의 입ㆍ출력부에 식별부호 및 비상해제 암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와 표시부(24)를 접속하고, 차량에 탑재되는 무선 중계기 또는 블랙박스는 본 출원인이 1998. 2. 26 출원한 특허출원 제98-2864호 "차량용 블랙박스"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한편, 차량에 설치되는 무선 중계기(RF Repeator) 또는 블랙박스는 상기 원격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비상신호를 수신한 다음 다소 큰 세력의 신호로 증폭하여 무선전파로 재 송신하도록 함으로써 비상신호 수신기가 설치된 인근 검문소 또는 비상신호(도난신호) 수신기를 휴대한 인근 순찰차량 및 도보순찰자가 이를 수신하여 위해(상해)나 감금을 당한 운전자의 구난(救難)이나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난차량을 효과적으로 검문ㆍ검거하여 도난차량에 의한 2차 범죄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원격리모콘의 비상해제 버턴은 3개 또는 그 이상 복수 개로 설치하여 비상해제 코드(암호)를 103개 전후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해독이 어렵도록 한다.
운전자가 원격리모콘을 이용하여 도난방지 기능이 작동되는 상태에서는 원격시동 이외의 비상신호 송출기능, 비상신호 송출 차단기능, 도난방지기능, 도난방지 해제기능, 도어잠금기능, 도어잠금 해제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원격리모콘의 비상해제 버턴을 누르더라도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아니하면 비상신호가 멈추지 않도록 하고, 암호가 일치하면 비로소 비상신호가 멈추게 함으로써 위급상황이나 도난이 해제된 이후에 비밀번호를 알고 있는 운전자 등이 비상신호의 송출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 본 고안 원격리모콘의 회로 블럭도.
도 2 - 본 고안 원격리모콘의 외관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서 당해 차량에 탑재되는 비상신호 전달용 무선 중계기
(또는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회로 블럭도.
도 4 - 본 고안의 비상신호 전달 계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원격리모콘 (4)(28)--제어부
(6)--식별코드부 (8)--원격 시동버턴
(10)--도어잠금버턴 (12)--도어잠금해제버턴
(14)--비상버턴 (16)--비상해제버턴
(18)(34)(38)--안테나 (20)(40)--송신부
(22)--메모리부 (24)--표시부
(26)--무선 중계기(자동차용 블랙박스) (30)--비상신호 수신기
(32)--차량 (42)--원쇼트 멀티바이브레이터
(44)--비밀번호 저장부
도 1은 본 고안 원격리모콘(2)의 회로 블럭도로, 중앙처리장치(CPU)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4)의 입ㆍ출력부에 약 1032까지의 코드를 발생할 수 있는 코드 칩(I.C)으로 구성된 식별코드부(6)를 접속하여 원격리모콘(2)마다 고유의 식별코드(I.D)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부(4)의 입력에 원격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원격 시동버턴(8)과 도어 잠금과 도난방지 기능을 연동시킬 수 있는 도어잠금버턴(10)과 도어잠김 해제기능과 도난방지 해제기능이 연동되는 도어잠금해제버턴(12)과 비상버턴(14) 및 숫자 또는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103전후의 키 매트릭스방식 비상해제버턴(16)과 안테나(18)를 갖는 고주파(RF) 송신부(20)를 접속하고, 제어부(4)의 입ㆍ출력부에 식별부호 및 비상해제 암호가 저장되는 메모리부(22)를 접속하고, 제어부(4)의 또 다른 출력에 각종버턴(8)(10)(16)(12)(14)들이 눌러지면 발광되는 표시부(24)를 접속하여 버턴 누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송신부(20)의 안테나(18)는 지향성이 없는 출몰식 로드안테나를 이용하여 송신거리 확장이나 전달되는 신호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원격리모콘(2)의 비상해제버턴(16)은 도 2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의 복수 개로 설치하여 비상해제 코드(비밀번호)를 103개 전후 또는 그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독이 거의 불가능하도록 하여 메모리부(2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에서 운전자가 비상버턴(14)을 눌러 비상신호가 송출된 다음 비상해제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당해 차량에 설치되는 무선 중계기(26) 또는 블랙박스의 제어부(28)는 비상신호의 송출을 중단하도록 하고, 만일 비상해제버턴(16)을 누르더라도 코드(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무선 중계기(26)의 제어부(28)는 비상신호를 계속적으로 송출하도록 한다.
또한, 비상버턴(14)은 다른 버턴보다 덜 돌출되게 설치하여 쉽게 눌러지지 않는 구조로 하고, 비상버턴(14)은 약 2초 내지 3초 이상 누르고 있는 경우 비상신호가 송출되게 함으로써 비상신호(14)를 순간적으로 잘못 눌러 발생하는 오동작(비상신호 송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당해 차량(32)에 탑재되는 비상신호 전달용 무선 중계기(26) 또는 자동차용 블랙박스의 회로 블럭도로, 원격 리모콘(2)으로부터 무선송출되는 비상신호를 안테나(34)를 통하여 수신하는 수신부(36)와, 수신된 비상신호를 더욱 큰 세력의 무선전파로 증폭한 다음 안테나(38)를 통하여 송출하는 송신부(40)와, 수신부(36)를 통하여 원쇼트 멀티바이브레이터(one-shot multivibrator)(42)로 비상신호 송출 중단신호가 입력되면 송신부(40)를 차단하는 제어부(28)로 구성된다.
상기, 원쇼트 멀티바이브레이트(one-shot multivibrator)(42)는 원격리모콘(2)의 비상버턴(14)을 한번 누른 다음 계속하여 누르지 않더라도 비상해제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이상 비상신호를 계속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즉, 제어부(28)는 비밀번호저장부(44)에 기억된 비밀번호와 원격 리모콘(2)의 비상해제버턴(16)을 누름에 따라 수신부(36)로 수신되는 비밀번호를 비교하게되며, 수신부(36)로 입력되는 비밀번호와 비밀번호저장부(44)에 기억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비로소 비상신호 송출을 중단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 비상신호 전달 계통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차량(32)이나 운전자에게 위급상항(응급상황 또는 비상사태)이 발생된 경우, 예컨데 차량(32)의 운전자가 신변의 위협을 느끼거나 차량기습이나 차량강도 등에 의해 위해(상해), 인질, 감금당했거나 당할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차량의 강탈이나 탈취될 처지에 놓이는 경우 운전자가 원격리모콘(2)에 부가 접속된 비상버턴(14)을 2초 내지 3초 이상 누르게 되면 코드화 된 비상신호(위급신호)가 송신부(20)와 안테나(18)를 경유하여 공중으로 무선전파(無線電波)되고, 상기 비상신호는 당해 차량(32)에 탑재된 무선 중계기(RF Repeator)(26) 또는 블랙박스를 통하여 증폭 송출되고, 상기 무선중계기(26)나 블랙박스로부터 송출되는 비상신호는 비상신호(도난신호) 수신기(30)가 설치된 인근 검문소 또는 비상신호(도난신호) 수신기를 휴대한 인근 순찰차량 및 도보순찰자가 이를 수신하여 위해(상해)나 감금을 당한 운전자의 구난(救難)이나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또한 도난차량을 효과적으로 검문ㆍ검거하여 도난차량에 의한 2차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무선 중계기(26) 대신 차량(32)에 본 출원인이 1998. 2. 26 출원한 특허출원 제98-2864호 "차량용 블랙박스"를 설치한 경우 비상신호가 송출되면 당해차량(32)의 차량번호 및 차량의 특징이 무선으로 송출되므로 더욱 쉽게 검거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원격 리모콘(2)의 비상신호가 차량에 탑재된 무선 중계기(26)를 통하여 비상신호 수신기(30)로 전달되게 구성하였으나 상황여건에 따라서는 무선 중계기(26) 없이 비상신호 수신기(30)로 곧바로 전달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원격 리모콘(2)의 무선 주파수와 무선 중계기(26)이 송출하는 무선 주파수는 같게 구성할 수 할 수도 있으나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도록 하여 간섭이나 혼신을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원격리모콘에 비상버턴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이나 운전자에게 위급상항(응급상황 또는 비상사태)이 발생된 경우, 예컨데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기습이나 차량강도 등에 의해 위해(危害)나 감금을 당했거나 이를 당할 우려가 있는 경우, 또는 차량의 강탈이나 탈취될 처지에 놓이는 경우 원격리모콘에 부가 설치된 비상버턴을 누르면 코드화 된 비상신호가 무선전파(無線電波)로 송출되고, 상기 비상신호는 부근의 차량에 탑재된 무선 중계기(RF Repeator) 또는 블랙박스를 통하여 증폭 송출되고, 상기 무선중계기로부터 송출되는 비상신호는 비상신호(도난신호) 수신기가 설치된 인근 검문소 또는 비상신호(도난신호) 수신기를 휴대한 인근 순찰차량 및 도보순찰자가 이를 수신하여 위해나 감금당한 운전자의 구난(救難)이나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난차량을 효과적으로 검문ㆍ검거하여 도난차량에 의한 2차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절취한 차량을 이용하지 못하므로 범죄가 발생되어도 초등수사 정보만 갖고도 손쉽게 검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리모콘에 암호를 갖는 비상해제 버턴이 설치되어 있어서 위급상황이 종료되면 비상해제 버턴으로 암호를 입력시켜 비상신호 송출을 중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번호판을 교체하더라도 당해 차량을 통하여 비상신호가 계속 송출되므로 비상차량ㆍ도난차량의 판별이 용이하며, 휴대용 수신부가 소형, 경량화되어 있어서 도보순찰자가 지참할 수 있으므로 완벽한 범인 검거망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적은 경찰력으로 효율적인 검문ㆍ검색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경우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번호판 식별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부피가 크고 휴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앞 번호판 만 교체해 버리면 무용지물이 되어 버리고, 또한 인공위성을 통한 D.G.P.S 장치가 개발되어 차량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는 있으나 다수의 차량에 부착하기 힘들고 안테나 등이 노출되고 위성 사용료 등 추가 비용 부담이 많아 실용화에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당해 차량에 탑재된 무선 중계기 또는 블랙박스를 통하여 비상신호가 송출되고 인근의 검문소 또는 인근 순찰차량 또는 인근의 도보순찰자가 이를 수신한 다음 신속히 이동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도 위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코드화된 신호를 변조하여 무선전파로 송출하는 자동차용 원격리모콘에 있어서, 원격 리모콘(2)의 제어부(4)에 차량이나 운전자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비상신호를 무선전파로 송출하는 비상버턴(14)과, 상기 비상버턴(14)에 의해 송출되는 비상신호를 비밀번호로 해제할 수 있는 비상해제 버턴(16)과, 상기 비상신호를 수신하여 순찰차량이나 도보순찰자가 휴대하는 비상신호 수신기(48)로 송출하는 무선중계기(26)로 구성하여서 된 비상버턴과 비상해제 버턴을 갖는 자동차용 원격리모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어부(4)의 입ㆍ출력부에 코드칩(I.C)으로 약 1032까지의 코드를 발생시켜 원격리모콘(2)의 고유 식별코드(I.D)를 설정할 수 있는 식별코드부(6)를 접속하여서 된 비상버턴과 비상해제 버턴을 갖는 자동차용 원격리모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상해제버턴(16)은 숫자와 문자로 조합되는 103전후의 키 매트릭스방식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버턴과 비상해제 버턴을 갖는 자동차용 원격리모콘.
KR2019980025933U 1998-12-18 1998-12-18 비상버턴과비상해제버턴을갖는자동차용원격리모콘 KR2002497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933U KR200249745Y1 (ko) 1998-12-18 1998-12-18 비상버턴과비상해제버턴을갖는자동차용원격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933U KR200249745Y1 (ko) 1998-12-18 1998-12-18 비상버턴과비상해제버턴을갖는자동차용원격리모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36U KR19990017436U (ko) 1999-05-25
KR200249745Y1 true KR200249745Y1 (ko) 2001-12-17

Family

ID=6950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933U KR200249745Y1 (ko) 1998-12-18 1998-12-18 비상버턴과비상해제버턴을갖는자동차용원격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7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5239B1 (ko) * 1999-06-22 2002-08-07 박담주 운전자간 도난차량 정보통신시스템
KR20010087829A (ko) * 2001-06-26 2001-09-26 양성모 Fm 라디오를 이용한 차량도난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436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4805A (en) Remotely operable vehicle identification and disabling system
US6232884B1 (en) Remotely operable vehicle disabling system
US6897762B2 (en) Vehicle immobilization system
US9082237B2 (en) Vehicle access and security based on biometrics
US64702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motor vehicles
US7129852B2 (en) Remote vehicle immobilization
WO2005091882A2 (en) Vehicle stopper system
US6411217B1 (en) Vehicle disabling system
US20030006886A1 (en) System for disabling vehicles having air brake systems
GB2285704A (en) Vehicle security systems
US6392531B1 (en) Vehicle disabling system employing global positioning satellite
JP3857600B2 (ja)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
KR200249745Y1 (ko) 비상버턴과비상해제버턴을갖는자동차용원격리모콘
EP0919442A2 (en) Security system
US20050073395A1 (en) Method of disabling a stolen car utilizing a pager
RU2081012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автомобиля от угона и противоуг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автомобиля
RU2326776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т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RU22624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от угона и краж
KR200249744Y1 (ko) 자동차도난방지장치
RU2230367C2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RU54566U1 (ru) Система обнаружения угнан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RU2198803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несанкционированного пользо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ым средством
EP1169201A2 (en) A system of securing motor vehicles against stealing and misuse incorporating a cellular and/or satellite network
WO1999035014A1 (en) Remotely operable vehicle disabling system
JP2002190081A (ja) 自動車識別情報送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