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483Y1 -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 Google Patents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483Y1
KR200249483Y1 KR2020010013583U KR20010013583U KR200249483Y1 KR 200249483 Y1 KR200249483 Y1 KR 200249483Y1 KR 2020010013583 U KR2020010013583 U KR 2020010013583U KR 20010013583 U KR20010013583 U KR 20010013583U KR 200249483 Y1 KR200249483 Y1 KR 2002494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ing
injection
gun
injection gu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현수
Original Assignee
송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현수 filed Critical 송현수
Priority to KR2020010013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4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4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483Y1/ko

Links

Landscapes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 및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안정성이 있는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을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은, 건 형상으로서 후방에서 스톱핑이 투입되며 내부에 상기 스톱핑을 지지하는 유도관체가 구비된 케이싱(10), 상기 유도관체의 전방으로 고정되고 전방단부에 팁(18)이 형성된 사출관체(16), 상기 사출관체의 일측에 가열판과 히터가 부착되어 상기 스톱핑을 용융시키는 가열장치(30), 상기 유도관체의 후방으로 스톱핑을 밀어주는 작동장치, 상기 가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STOPPING INJECTION GUN FOR TEETH NERVE TREATMENT}
본 고안은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치료를 위해 뚫은 치아의 구멍으로 용융된 스톱핑을 채우게 되는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치과에서 치아의 신경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치아부분을 갈아내어 구멍을 내고 신경을 치료하게 되며 상기 신경치료중 임시로 충전물(일명 스톱핑;Stopping)로서 막아 놓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톱핑은 열가소성 소재로서 봉형상의 고체로 되어 있으며 상기 스톱핑을 녹여 환자의 치아에 생긴 구멍을 막게 된다.
한편, 상기 스톱핑을 용융시키고 치아에 투입시키는 방법으로는 도 2에서와 같이 금속소재로서 주사기 형태의 스톱핑 사출기가 사용된다. 이는 주사기(1)의 전방 토출부분까지 상기 봉체의 스톱핑(5)을 밀어 넣은 다음, 토출부분에 직접적인 화염발생장치 즉, 알콜램프 혹은 가스토치 등의 불꽃을 접촉시켜 가열하게 되면서 내부의 스톱핑(5)을 용융시킨다. 이후, 후방의 피스톤(2)을 밀고 용융된 스톱핑(5)을 사출시키며 치아의 구멍으로 안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별도로 화염발생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며 항상 화재의 위험이 따르게 된다. 특히, 직접열을 가하는 전방 토출부는 스프링(3)에 의해 외부를 감싸고 있지만 고열로서 환자의 입 부분에 접촉될 때는 화상을 입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보조자가 있어야 하며 다루기가 불편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 및 화상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으며, 사용이 간편하고 안정성이 있는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건 형상으로서 후방에서 스톱핑이 투입되며 내부에 상기 스톱핑을 지지하는 유도관체가 구비된 케이싱(10), 상기 유도관체의 전방으로 고정되고 전방단부에 팁(18)이 형성된 사출관체(16), 상기 사출관체의 일측에 가열판과 히터가 부착되어 상기 스톱핑을 용융시키는 가열장치(30), 상기 유도관체의 후방에서 스톱핑을 밀어주는 작동장치, 상기 가열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기의 중앙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주사기 2:피스톤
10:케이싱 12:가이드 레일
14:유도관체 15:단열 피복재
16:사출관체 17:회전장치
20:작동장치 22:레버
28:푸셔 30:가열장치
32:히터 40:전원공급장치
42:충전팩 200:스톱핑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완성된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의 중앙 단면도로서, 후방에서 스톱핑(200)이 투입되는 케이싱(10)과, 상기 스톱핑을 용융시키는 가열장치(30)와, 상기 스톱핑(200)을 밀어주는 작동장치(20)와, 상기 가열장치(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0)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건(Gun) 형상의 케이싱(10) 상측 후방에 구멍(11)이 형성되면서 후방에서 케이싱 내부로 스톱핑(200)이 투입된다. 상기 스톱핑은 봉체로서 이를 지지하여 주는 유도관체(14)가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관체(14) 전방으로 사출관체(16)가 장착되어 있으며 케이싱의 전방으로 길게 노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사출관체의 전방부분은 회전장치(17)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단부에는 노즐의 구조를 가지는 팁(1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 내부의 사출관체(16)에는 팁(18)과 근접한 위치에 가열장치(30)가 장착된다. 상기 가열장치는 사출관체(16)의 외측으로 끼워지는 원통형의 가열판(34)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가열판(34)은 후술하는 전원공급장치(40)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되며 사출관체를 가열시킨다.
한편, 상기 유도관체(14) 후방에는 상기 스톱핑(200)을 전방으로 밀어주기 위한 작동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작동장치(20)는, 케이싱(10)의 손잡이부에 조립된 레버(22)가 회동되도록 조립되며 스프링(21)에 의해 탄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에는 링크(24)에 의해 연결되면서 레버(22)의 작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이송프레임(26)이 조립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송프레임의 내부에는 링크가 전방으로 당길 때 위로 회동하는 푸셔(2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푸셔는 상부의 스톱핑(200)을 물고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면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케이싱(10)의 손잡이부 내측에는 전원공급장치(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40)는 레버(22)의 일차적인 동작으로 스위칭되는 스위치(48)와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는 회로기판(46) 그리고 충전팩(42)을 구비하고있다. 상기 스위치(48)는 동작이 일정한 한계 위치에 이르면 접점이 전환되는 리밋 스위치가 바람직하며, 상기 레버의 후방에 근접한 위치의 프레임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장치(40)와 가열장치(30)는 전선(36)으로 연결되며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전원을 가열장치의 히터(32)에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팩(42)은 일측에 충전용 잭(44)을 구비하여 항상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공급장치(40)의 충전팩(42)에 전원을 충분히 충전시킨 후, 케이싱의 후방으로 스톱핑(200)을 투입시킨다. 이때 상기 스톱핑(200)은 유도관체(14)를 지나 가열장치(30)까지 깊숙하게 삽입시킨다. 이후, 레버(22)를 일차적으로 미세하게 당기면 레버의 후방이 스위치(48)를 접점시키게 되고 충전팩(42)의 전원을 히터(32)으로 인가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히터(32)가 발열하게 되면서 사출관체(16)로 열전달 되고 고온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스톱핑(200)은 용융되기 시작한다. 이후, 상기 레버(22)를 계속 당기게 되면 푸셔(28)가 위로 회동하여 스톱핑을 밀착시키면서 고정시키게 되고 계속되는 레버의 작동으로 이송프레임(26)이 전진하면서 상기 스톱핑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가열장치(30)에서 용융된 스톱핑은 사출관체(16)를 통해 전방의 팁(18)으로 사출된다. 이때, 상기 팁(18)의 끝 부분을 환자의 치아에 대고 사출되는 스톱핑을 치아의 치료부위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출관체(16)의 회전장치(17)를 환자의 치아위치에 따라 적당하게 회전시키면서 사용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은, 스톱핑을 용융시키기 위해 알콜램프 혹은 가스토치 등의 장비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보조자가 필요 없이 용이하게 사용되는 것으로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직접적인 화염이 발생되지 않아 화상 및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환자는 공포감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다. 그리고 충전식으로서 전선이 없고 회전장치에 의해 자유자재로 회전되면서 사용이 편리하고 정확한 위치에 용융된 스톱핑을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건 형상으로서 후방에서 스톱핑(200)이 투입되며 내부에 상기 스톱핑을 지지하는 유도관체(14)가 구비된 케이싱(10)과;
    상기 유도관체(14)의 전방으로 고정되고 전방단부는 케이싱의 외부로 노출되며 단부에 팁(18)이 형성된 사출관체(16)와;
    상기 사출관체(16)의 일측에 히터(32)가 부착되어 상기 스톱핑을 용융시키는 가열장치(30)와;
    상기 유도관체(14)의 후방으로 상기 스톱핑(200)을 밀어주는 작동장치(20)와;
    상기 가열장치(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관체(16)의 전방은 회전장치(17)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관체(16)의 외부로 단열피복제(1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20)는 레버(22)에 연결되어 전/후로 이동하는 이송프레임(26)과 상기 이송프레임의 내측으로 끼워져 상하로 회동하는 푸셔(2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장치(40)는 충전팩(42)을 구비하여 충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신경용 스톱핑 사출 건.
KR2020010013583U 2001-05-10 2001-05-10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KR2002494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583U KR200249483Y1 (ko) 2001-05-10 2001-05-10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583U KR200249483Y1 (ko) 2001-05-10 2001-05-10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483Y1 true KR200249483Y1 (ko) 2001-11-16

Family

ID=7310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583U KR200249483Y1 (ko) 2001-05-10 2001-05-10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48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3281B2 (ja) 毛管エアロゾル発生器のためのヒートキャパシタ
US6123545A (en) Mains-operated device for curing by light a polymerizable dental material
MX9700079A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intersticial con laser.
JPH0140621B2 (ko)
JPH02264657A (ja) 皮下注射針の破壊及び殺菌装置及び方法
KR101132750B1 (ko) 치과용 충전기
KR101209811B1 (ko) 인덕션방식에 의해 충전재를 가열하는 치과용 충전기
US20100297571A1 (en) Endotontic instrument for root canal filling and heating tip adapted to the same
EP3636204B1 (en) Device for providing endodontic material having a cartridge includ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heating layer
US3466752A (en) Heater stand and cavity injector
US5960996A (en) Gas-burned glue gun
KR200249483Y1 (ko) 치아신경 치료용 스톱핑 사출 건
US20150079538A1 (en) Dental root canal filling material cartridge having built-in heating mechanism for softening the material
KR101118599B1 (ko) 근관 충전기
US7015423B2 (en) Heating device for dental material
CA2499907A1 (en) Therapeutic causing contraction of mucosal tissue, method of treating diseases relating to mucosal tissues, injector and therapeutic set
KR100990956B1 (ko) 니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근관 충전기
US7008222B2 (en) Root canal plugging apparatus for dental work
KR100317420B1 (ko) 지피포인터 컷팅용 치과기구
KR200382194Y1 (ko) 치과용 근관치료 충전재(充塡材) 처리기구
JPH0258937B2 (ko)
CN220002357U (zh) 一种用于精灸艾柱的点燃器
KR200257460Y1 (ko) 치아치료용 플러거
CN209864101U (zh) 单手柄热牙胶充填仪
CN216455377U (zh) 根管充填机及其机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