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308Y1 - 호흡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호흡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308Y1
KR200249308Y1 KR2020010015820U KR20010015820U KR200249308Y1 KR 200249308 Y1 KR200249308 Y1 KR 200249308Y1 KR 2020010015820 U KR2020010015820 U KR 2020010015820U KR 20010015820 U KR20010015820 U KR 20010015820U KR 200249308 Y1 KR200249308 Y1 KR 200249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breathing
main body
us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부경
Original Assignee
이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경 filed Critical 이부경
Priority to KR2020010015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3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308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흡용 마우스피스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은, 치아지지홀이 형성되며 전후방을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마우스피스 본체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의 착용시 구강내의 건조를 방지하도록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의 전방에 지지되는 보습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상습적인 코골이 환자나 코가 막힌 사용자가 착용하여 취침시 발생하는 호흡장애를 방지하며 구강내의 건조를 막고 간편하게 사용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한 호흡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호흡용 마우스피스{A Mouthpiece for Breathing}
본 고안은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환자의 호흡장애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구강내의 건조를 막고 간편하게 사용 될 수 있는 호흡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피스는 구강에 고정 지지되어 기도를 확보하고 호흡을 원활하게 하도록 도와주며 치아를 보호하고, 구강으로 삽입되는 각종튜브나 케이블이 치아에 물려 손상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같은 마우스피스중 호흡용 및 이빨을 과도하게 무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프셋 마우스피스가 국내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90-9104호)에 개시되어 있다.
즉,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1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내부에 오리피스가 형성된 'U'형상의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 오리피스를 갖으며 본체부(10)의 오리피스와 테이퍼 형상으로 연결되며 외측단부에 레그부재들의 형상으로 치아를 지지하게되는 내부날개부재(20)와, 상기의 본체부(10)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본체부 내부의 오리피스와 연결되는 개구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오프셋 마우스피스는, 본체부(10)는 입안에 고정시키기 좋은 'U'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부 전방에 형성된 상기의 개구부(3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공기는 본체내부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지나 본체부(10)에 연결된 내부날개부재(30)의 오리피스를 통해 구강으로 유입되며, 상기 내부날개 부재(30)는 사용자가 이빨로 물어서 지지하게 되어 있으며 이빨을 과도하게 무는 사용자에게 알맞게 적당한 두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호흡용 마우스피스는 장시간 착용시 개구의 계속된 공기유입으로 구강의 건조현상에 의한 장애가 생길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마우스피스는 과도하게 무는 습관을 가진 사용자의 경우에만기능이 국한되어 고안되었기 때문에 본체가 크게 제작되어 구강의 이물감이 과도하여 사용하기가 불편하였다.
이에 따라서, 취침시 호흡이 곤란한 상황이 예상되는 감기나 축농증 환자 또는 코골이 상습자등의 경우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취침시 발생하는 호흡장애를 효과적으로 방지토록하고, 장시간 마우스피스를 사용시 발생하는 구강의 건조를 막을 수 있도록 하며, 이물감 없이 간편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크기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제거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호흡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1는 종래의 호흡용 마우스피스 개략도
도2(a) 및 (b)는 본고안에 따른 호흡용 마우스피스의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3는 본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협폭마스크가 고정된 호흡용 마우스피스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마우스피스 본체 130...보습포
111...치아지지홀
112...개구
120...호흡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수단은, 전후방을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며, 상, 하측면에 치아형상의 치아지지홀이 형성되면서 내측면이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마우스피스 본체;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의 복수의 개구 안에 삽입되는 호흡관;
마우스피스 본체 전방에 부착되는 보습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 및 (b)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피스의 분해사시도와 종단면도로서,본 고안의 구성은, 마우스피스 본체(110)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에 삽입되는 호흡관(120)과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전방에 부착되는 보습포(130)로 구성된다.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는 전면부에 전후방을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112)에는 호흡관(120)이 삽입되어도 좋다. 상기 전면부에서 연장된 상,하부면에는 입술을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지지면(1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부면은 후방으로 가면서 구강의 구조와 일치하도록 하향경사지도록 되어있다. 상기 지지면(113)의 일측에는 치아에 맞는 높이를 가진 치아형상의 치아지지홀(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면은 구강구조와 일치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치아에 의해 자연스럽게 마우스피스 본체(110)가 눌릴 수 있도록 상기의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중간높이에는 전후방 전체에 걸쳐서 좌우측면 단부에서 시작해 전면부 일측까지 요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전방에 부착되는 보습포(130)는, 상기 본체(110)의 정면부와 일치토록 형성되어 본체(110)의 전방으로 본딩에 의해 부착 고정된다.
한편, 도3에서와 같이 상기 보습포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습포(130)는,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 정면에 지지될때 사용자의 코 아래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내측면에 매직테이프(130a)가 부착되어 마우스피스 본체(110)와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좌우 일측에는 사용자의 양귀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끈(130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협폭마스크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호흡용 마우스피스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서와 같이 마우스피스 본체(110)에 형성된 개구(112)에는 호흡관(120)을 삽입고정시켜, 상기 호흡관(120)을 통해 사용자가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게 하며 본체에 커다란 개구를 만들지 않고서 충분한 호흡량을 확보하는 동시에 본체의 크기를 최소화 시키도록 상기 호흡관(120)이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가 삽입된다.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상, 하부면에 형성된 치아지지홀(111)은 사용자의 치아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치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치아지지홀의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를 이물감 없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내측이 호형상으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중간높이에 형성된 형성된 요부(114)는 치아가 누르는 압력에 자연스럽게 변형되도록 공간을 형성시켜 사용자의 턱을 과도하게 벌리지 않고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상기 마우스피스본체(110)를 입안에 고정시키게 한다.
한편,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전방에는 보습포(130)가 본딩에 의해 부착되어 장시간 사용하는 사용자의 구강의 건조현상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의 보습포(130)는 매직테이프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다양한 방법에 의해 부착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습포의 다른 실시예로서,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전방에 매직테이프(130a)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협폭마스크가 고정된다. 상기 협폭마스크를 귀에 지지하고 코를 덮지 않도록 보습포(130)에 끈(130b)을 부착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맞도록 조절하여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하는 사용자의 구강의 건조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피스에 의하면, 상기 마우스피스의 개구전방에 부착된 보습포에 의해 장시간 사용하는 사용자의 구강의 건조에 의한 장애를 방지한다.
또한, 호흡관을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 내부에 삽입시켜 호흡문제를 해결하므로 별도의 커다란 개구가 필요없어 본체의 크기를 최소화 하며,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에 형성된 치아지지홀과 측부에 형성된 요부는 구강에 마우스피스 본체가 자연스럽고 확실하게 지지되게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이탈되지 않으며 이물감이 적게 됨은 물론, 축농증, 감기환자나 코골이 상습자들이 수면시 호흡곤란한 상황에 대비하여 취침시에도 용이하게 사용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극히 용이하게 고안 할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5)

  1. 전후방을 관통하는 복수의 개구(112)가 형성되며, 상, 하부면에 치아지지홀(111)이 각각 형성되는 마우스피스 본체(110)와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전방에 지지고정되어 구강의 건조를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보습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흡용 마우스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112)는,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양측면 및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어 그 내측에 호흡관(120)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우스 피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포(130)는, 개구(112)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마우스피스 본체(110) 전방면에 본딩결합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우스피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는, 내측면이 호형상으로 형성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우스피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전방에 지지고정되는 보습포(130)는, 마우스피스 본체(110)의 매직테이프(130a)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사용자의 귀에 지지되는 끈(130b)으로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협폭마스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용 마우스피스.
KR2020010015820U 2001-05-29 2001-05-29 호흡용 마우스피스 KR2002493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20U KR200249308Y1 (ko) 2001-05-29 2001-05-29 호흡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820U KR200249308Y1 (ko) 2001-05-29 2001-05-29 호흡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308Y1 true KR200249308Y1 (ko) 2001-11-16

Family

ID=7310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820U KR200249308Y1 (ko) 2001-05-29 2001-05-29 호흡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3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225Y1 (ko) 2014-08-01 2014-11-13 박원영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225Y1 (ko) 2014-08-01 2014-11-13 박원영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0624A (en) Oral appliance having hollow body
EP1626669B1 (en) Endoscopic bite block
EP3351283B1 (en) Wearing tool for breathing mask, and breathing mask
KR101636436B1 (ko) 오랄 인터페이스 및 오랄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방법
US7798146B2 (en) Oral appliance
US20180085247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ing Airflow-Related Sleep Problems
AU2009321054B2 (en) Fitting tool for use in wearing breathing mask, and breathing mask
JP2010029615A (ja) 睡眠時無呼吸等の防止用マウスピース
KR101969677B1 (ko)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JP2010142497A (ja) 睡眠時呼吸補助・改善、鼾抑制用のマウスピース
KR200249308Y1 (ko) 호흡용 마우스피스
JP4482207B2 (ja) 口呼吸防止具
KR200428746Y1 (ko) 코골이 방지구
CN211723625U (zh) 通气上牙套及包含该通气上牙套的口呼吸辅助组件
CN211797157U (zh) 一种止鼾器
JP2002052082A (ja) 医療用マスク
CN220370268U (zh) 开口吸氧装置
TWM576053U (zh) Braces type anti-snoring device
JP7235537B2 (ja) 口腔用加湿ガス供給具
JP2000014785A (ja) 鼻酸素吸入管補助ベルト
KR20230035747A (ko) 치아 미백용 마우스피스
CN116747397A (zh) 一种麻醉科用多通道口咽部通气装置
JPH0118584Y2 (ko)
IL172645A (en) Biting for endoscopy
US20050284486A1 (en) Devices and methods to reduce, ease, or eliminate sn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