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859Y1 -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 Google Patents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859Y1
KR200248859Y1 KR2020010018272U KR20010018272U KR200248859Y1 KR 200248859 Y1 KR200248859 Y1 KR 200248859Y1 KR 2020010018272 U KR2020010018272 U KR 2020010018272U KR 20010018272 U KR20010018272 U KR 20010018272U KR 200248859 Y1 KR200248859 Y1 KR 200248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
bending
sheet
shape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2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호석
Original Assignee
한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호석 filed Critical 한호석
Priority to KR20200100182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859Y1/ko

Links

Landscapes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판형시트로 모니터 전자파 차단용 쉴드를 제작함에 있어서, 판형시트의 절곡에 사용되는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품의 생산속도를 향상시키고 제품의 제조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모니터의 상면부, 측면부, 후면부, 후면하단부, 전방측면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가공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판형시트를 절곡하기 위해 각각의 가공면에 대응하는 절곡면이 형성된 다수의 금형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실린더로 구성된 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 측면부, 후면부, 후면하단부, 전방측면부에 대응하는 절곡면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금형과, 상기 상금형을 지지하기 위한 램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에어실린더로 구성된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금형의 상면부 절곡면에 대응하는 제 1 대응면이 형성된 하금형과, 상기 하금형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금형의 측면부 절곡면에 대응하는 제 2 대응면이 형성되며 구동캠의 회전에 의해 상금형의 측면부 절곡면과 가압 밀착되도록 구성된 제 1 측면금형과, 상기 구동캠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에어실린더로 구성된 하부프레임으로 구성되었다.

Description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Bending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s waves interception shield}
본 고안은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금형, 하금형, 측면금형을 절곡기의 본체와 분리 가능한 구조로 하여 다양한 형상의 판형시트 절곡이 가능하고, 상기 상금형, 하금형, 측면금형을 이용한 5단계의절곡과정으로 이루어져 절곡공정 및 장치를 단순화한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의 전자파 차단용 쉴드는 모니터의 내부 전자부품에서 발생되는 전자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다양한 형상의 모니터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모니터 쉴드를 제작하기 위하여 다수의 절곡기를 설치하여 각 절곡공정을 차례로 수행토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의 절곡기를 설치하는 것은 각각의 절곡기를 운영할 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고가의 장비를 구비해야 함으로써 제품의 단가를 높이게 되며, 생산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국내 출원번호 10-1999-0014252호 및 국내 출원번호 20-1999-0029433호는 도 14와 같이 메인고정블럭(110), 제 1 상승블럭(120), 제 2 상승블럭(130), 제 1 이동블럭(140) 및 제 2 이동블럭(150)을 설치된 하부베이스(100)와, 메인하강블럭(210), 제 1 하강블럭(220), 제 2 하강블럭(230) 및 제 3 하강블럭(240)이 설치된 상부베이스(200)와 상술한 각종 블록들을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유압실린더로 절곡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절곡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메인고정블럭(110)에 판형시트를 안착시키고, 상기 제 1 상승블럭(120)을 상승하여 판형시트의 후면부(C)을 지지하며, 상기 제 2 상승블럭(130)이 상승하여 판형시트의 후면하단부(D)을 지지하고, 상기 메인하강블럭(210)과 제 3 하강블럭(240)이 하강하여 판형시트의 측면부(B)을 상기 상부면(A)에서 절곡시키며, 상기 제 1 하강블럭(220)이 하강하여 판형시트의 후면부(C)을 상기 제 1 상승블럭에 가압 밀착하고, 상기 제 2 하강블럭(230)이 하강하여 판형시트의 후면하단부(D)을 상기 제 2 상승블럭(130)에 가압 밀착하며, 상기 제 2 상승블럭(130)이 초기 위치로 하강하고 상기 제 2 하강블럭(230)이 소정 간격 더 하강하여 후면부(C)에서 상기 후면하단부(D)을 절곡시키며, 상기 제 1 상승블럭(120)이 초기 위치로 하강하고 상기 제 2 하강블럭(230)이 소정 간격 더 하강하여 판형시트의 상부면(A)에서 후면부(C)를 절곡시키며, 상기 제 1 이동블럭(140)이 이동하여 판형시트의 전방측면부(E)을 메인고정블럭(110)에 가압 밀착하여 그 전방측면부(E)을 측면부(B)에서 절곡시키는 것으로 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절곡장치는 특정모델전용으로 복잡한 구조상 타모델과 호환성이 없어 특정모델 변경 및 단종시 대응성이 없고 각 개별 작동부가 많아 제품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며 1대의 장치로 내부 절곡용 상,하형 금형만을 빠른시간내에 교체하여 여러 가지 모델을 생산할 수 있어 라이프 사이클이 단축되고 다모델 소량 생산에 부합하는 절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상금형, 하금형, 제 1,2 측면금형으로 절곡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상금형은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램의 상하이동에 의해 하금형과 판형시트를 가압하여 판형시트의 상면부와 후면부를 절곡하고, 상기 하금형과 제 1,2 측면금형은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 1,2 측면금형은 구동캠에 의해 90도 회전하여 판형시트의 측면부를 절곡하고, 상기 상금형에 업캠을 설치하여 판형시트의 후방하부면을 절곡토록 함으로써, 판형시트의 절곡공정을 판형시트의 안착→상금형의 하강→업캠의 회전→제 1,2 측면금형의 회전→제 2 측면금형의 전진의 5단계로 이루어져 제품을 완성할 수 있는 판형시트의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로 구성되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장치에 각각의 금형을 설치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판형시트의 전개도
도 4 는 하금형과 상금형의 가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는 업캠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제 2 에어실린더의 작동과 이에 따른 측면금형의 회전을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상금형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8 은 위치선정 스토퍼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 도 13 은 본 고안에 따른 판형시트의 절곡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 는 종래의 절곡장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상면부 (B) 측면부
(C) 후면부 (D) 후면하단부
(E) 전방측면부 (X) 판형시트
(1) 상부프레임 (2) 하부프레임
(3) 제 1 에어실린더 (4) 제 2 에어실린더
(5) 제 3 에어실린더 (6) 제 4 에어실린더
(7) 가이드 샤프트 (8) 고정구
(9) 체결볼트 (10) 램
(11) 위치선정 핀홀 (12) 볼트 체결공
(20) 상금형 (21) 상면부 절곡면
(22) 측면부 절곡면 (23) 후면부 절곡면
(24) 전방측면부 절곡면 (25) 위치선정핀
(26) 가이드 (30) 업캠
(31) 절곡펀치 (32) 누름판
(33) 스프링 (40) 하금형
(41) 가압블록 (42) 몸체
(43) 스프링 (44) 핀 게이지
(45) 안내게이지 (46) 제 1 대응면
(50) 구동캠 (51) 제 1 가이드
(52) 제 2 가이드 (53) 측면금형 고정판
(54) 회전축 (55) 실린더 지지 브라켓
(60) 제 1 측면금형 (61) 제 2 대응면
(62) 제 2 측면금형 (63) 제 3 대응면
(70) 슬라이드판 (71) 가이드 홈
(80) 하금형 고정판 (81) 가이드 포스트
(90) 측면금형 위치조절판 (91) 위치선정 스토퍼
(92) 볼트 (93) 광선식 안전기
(100) 하부베이스 (110) 메인고정블럭
(120) 제 1 상승블럭 (130) 제 2 상승블럭
(140) 제 1 이동블럭 (150) 제 2 이동블럭
(200) 상부베이스 (210) 메인하강블럭
(220) 제 1 하강블럭 (230) 제 2 하강블럭
(240) 제 3 하강블럭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절곡장치에 각각의 금형을 설치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절곡장치에 의해 가공되는 판형시트의 전개도를, 도 4 는 하금형과 상금형의 가압과정을 나타낸 예시도를, 도 5 는 업캠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 6 은 제 2 에어실린더의 작동과 이에 따른 측면금형의 회전을 나타낸 예시도를, 도 7 은 상금형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 8은 위치선정 스토퍼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를, 도 9 ~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판형시트의 절곡과정을 나타낸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모니터의 상면부(A), 측면부(B), 후면부(C), 후면하단부(D), 전방측면부(D)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판형시트를 절곡하기 위해 각각의 가공면(A,B,C,D,E)에 대응하는 절곡면이 형성된 다수의 금형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실린더로 구성된 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A), 측면부(B), 후면부(C), 후면하단부(D), 전방측면부(E)에 대응하는 절곡면(21,22,23,24)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금형(20)과, 상기 상금형(20)을 지지하기 위한 램(10)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에어실린더(3)로 구성된 상부프레임(1)과, 상기 상금형(20)의 상면부 절곡면(21)에 대응하는 제 1 대응면(46)이 형성된 하금형(40)과, 상기 하금형(40)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금형(20)의 측면부 절곡면(22)에 대응하는 제 2 대응면(61)이 형성되며 구동캠(50)의 회전에 의해 상금형(20)의 측면부 절곡면(22)에 가압 밀착되도록 구성된 제 1 측면금형(60)과, 상기 구동캠(50)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에어실린더(4)로 구성된 하부프레임(2)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제 1 에어실린더(3)는 상부프레임(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램(10)은 다수의 위치선정 핀홀(11)과 볼트 체결공(12)이 형성되며 제 1 에어실린더(3)와 연결되어 상부프레임(1)과 하부프레임(2)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가이드 샤프트(7)를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었으며, 상기 위치선정 핀홀(11)은 상금형(20)을 램(10)에 설치할 경우 상금형(20)이 설치될 위치의 기준이 되는 것으로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프레임(2)은 'T'형의 가이드 홈(71)이 형성된 슬라이드판(70)과, 그 상단에 설치된 하금형 고정판(80)과, 상기 하금형 고정판(80)의 양측에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이 설치되며, 상기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에 구동캠(50)이 설치되고, 상기 구동캠(5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하부프레임(2)에 설치된 제 2 에어실린더(4)로 구성되어 제 2 에어실린더(4)의 작동에 의해 구동캠(50)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구동캠(50)은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에 설치된 제 1 가이드(51)와 측면금형 고정판(53)이 설치된 제 2 가이드(52)가 회전축(54)에 의해 연결되어 제 2 에어실린더(4)의 작동에 의해 회전축(54)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토록 구성되었으며, 상기 제 2 에어실린더(4)는 도 6과 같이 하부프레임(2)에 실린더 지지 브라켓(55)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제 2 가이드(52)의 회전에 따라 같이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상기 하금형 고정판(80)의 상단에는 원형의 가이드 포스트(81)를 형성하여 상금형(20)에 형성된 가이드(26)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금형(20)과 하금형(40)의 상대적인 위치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상금형(20)은 상기 램(10)에 고정구(8)와 체결볼트(9)에 의해 설치되는 것으로 모니터 쉴드의 상면부(A), 측면부(B), 후면부(C), 후면하단부(D), 전방측면부(E)에 대응하는 절곡면(21,22,23,24)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에 위치선정 핀홀(11)에 대응하는 위치선정핀(25)과 하단에 가이드(26)가 형성되었다.
또한 상기 상금형(20)의 상부전면에 업캠(30)이 힌지결합되고 상금형(20) 내부에 설치된 제 3 에어실린더(5)와 연결되어 제 3 에어실린더(5)의 작동에 의해 업캠(30)이 회전하여 후면하단부(D)를 절곡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업캠(30)은 도 5와 같이 절곡펀치(31)와 누름판(32)이 설치되고, 상기 절곡펀치(31)와 누름판(32)은 스프링(33)에 의해 탄력있게 고정되며, 상기 절곡펀치(31)의 일측모서리에 라운드를 형성하여 금형 조립 및 가공오차가 있어도 절곡작업을 원활히 수행토록 구성되었다.
상기 가이드(26)는 하금형(40) 설치시 하금형(40)의 위치 기준이 되는 것으로 하금형 고정판(80)에 형성된 가이드 포스트(81)와 결합되어 하금형(4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하금형(40)은 하금형 고정판(8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핀 게이지(44)가 형성된 가압블럭(41)과, 상기 가압블럭(41)이 삽입되고 안내게이지(45)가 형성되며 상기 상금형(20)의 상면부 절곡면(21)에 대응하는 제 1 대응면(46)이 형성된 몸체(42)로 구성되고, 상기 가압블럭(41)과 몸체(42) 사이에 스프링(43)을 설치하여 상금형(20)이 하강하여 절곡작업을 시행할 경우, 상금형(20)의 하강에 따라 가압블럭(41)도 하강하며 판형시트(X)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제 1,2 측면금형(60,62)은 구동캠(50)의 측면금형 고정판(53)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 1 측면금형(60)은 상금형(20)의 측면부 절곡면(22)에 대응하는 제 2 대응면(61)이 형성되고, 제 2 측면금형(62)은 상금형(20)의 전방측면부 절곡면(24)에 대응하는 제 3 대응면(63)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측면금형(60)은 하부프레임(2)에 설치된 제 2 에어실린더(4)에 의해 구동되고, 제 2 측면금형(62)은 측면금형 고정판(53)에 설치된 제 4 에어실린더(6)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하금형 고정판(80)과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 사이에는 위치선정 스토퍼(91)를 설치하여 각 모델에 맞는 위치로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되었으며, 상기 위치선정 스토퍼(91)는 양측에 볼트(92)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볼트(92)에 의해 하금형 고정판(80)과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
또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본체의 전면부 양측에 광선식 안전기(93)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 위험을 완전히 배제토록 구성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기와 같은 절곡장치에 각각의 금형을 설치하고, 판형시트의 절곡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금형(20)의 위치선정핀(25)을 램(10)의 위치선정 핀홀(11)에 맞춘 후 고정구(8)와 체결볼트(9)를 이용하여 램(10)에 상금형(20)을 고정시키고, 하금형(40)을 하금형 고정판(80)에 고정하고 램(10)을 조금씩 하강시키면서 상금형(20)의 가이드(26)와 하금형 고정판(80)의 가이드 포스트(81)가 서로 결합되도록 맞추어 하금형 고정판(80)을 슬라이드판(70)에 고정시키며, 위치선정 스토퍼(91)를 이용하여 하금형(80)과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의 거리를 조정하고 슬라이드판(70)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에 설치된 구동캠(50)의 측면금형 고정판(53)에 제 1,2 측면금형(60,62)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각 금형(20,40,60,62)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도 9와 같이 하금형(40)의 가압블럭(41) 상단에 판형시트(X)를 안착시키되,판형시트(X)에 형성된 방열구멍을 가압블럭(41)의 핀 게이지(44)에 삽입하고 안내게이지(45)를 이용하여 판형시트(X)의 위치를 결정하여 안착시킨다.
도 10과 같이 램(10) 및 상금형(20)이 가이드 샤프트(7)를 따라 하강하여 판형시트(X) 및 가압블럭(41)에 압력을 가하면 가압블럭(41)이 하강하며 몸체(42)에 삽입되어 판형시트(X)의 상면부(A)와 후면부(C)가 절곡된다.
도 5 및 도 11과 같이 업캠(30)이 제 3 에어실린더(5)에 의해 회전하여 누름판(32)이 판형시트(X)의 후면부(C)를 고정하고 절곡펀치(31)에 의해 판형시트(X)의 후면하단부(D)가 절곡된다.
도 12와 같이 구동캠(50) 및 제 1,2 측면금형(60,62)이 제 2 에어실린더(4)에 의해 회전하고 제 1 측면금형(60)에 의해 판형시트(X)의 측면부(B)가 절곡된다.
도 13과 같이 제 4 에어실린더(6)에 의해 제 2 측면금형(62)이 전진하여 판형시트(X)의 전방측면부(E)를 절곡하는 것으로 판형시트의 절곡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절곡장치를 기본으로 하여 각 금형만 교체하여 사용 가능토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모니터 쉴드를 제작할 수 있고, 절곡성형은 3차원 형상을 거의 동시에 절곡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품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모니터의 상면부(A), 측면부(B), 후면부(C), 후면하단부(D), 전방측면부(D)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판형시트(X)를 절곡하기 위해 각각의 가공면(A,B,C,D,E)에 대응하는 절곡면이 형성된 다수의 금형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실린더로 구성된 절곡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A), 측면부(B), 후면부(C), 후면하단부(D), 전방측면부(E)에 대응하는 절곡면(21,22,23,24)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금형(20)과, 상기 상금형(20)을 지지하기 위한 램(10)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에어실린더(3)로 구성된 상부프레임(1)과,
    상기 상금형(20)의 상면부 절곡면(21)에 대응하는 제 1 대응면(46)이 형성된 하금형(40)과, 상기 하금형(40)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금형(20)의 측면부 절곡면(22)에 대응하는 제 2 대응면(61)이 형성되며 구동캠(50)의 회전에 의해 상금형(20)의 측면부 절곡면(22)과 가압 밀착되도록 구성된 제 1 측면금형(60)과, 상기 구동캠(50)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에어실린더(4)로 구성된 하부프레임(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10)은 다수개의 위치선정 핀홀(11)과 볼트 체결공(12)이 형성되고,상기 위치선정 핀홀(11)과 결합되도록 예정된 위치선정핀(25)이 상금형의 상부에 형성되어 고정구(8)와 체결볼트(9)에 의해 램(10)에 설치·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은 'T'형 가이드 홈(71)이 형성된 한쌍의 슬라이드판(70)과, 상기 슬라이드판(70) 상단에 설치되고 가이드 포스트(81)가 형성된 하금형 고정판(80)과, 상기 하금형 고정판(80)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과, 상기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에 설치된 구동캠(50)과, 상기 구동캠(50)과 연결된 제 2 에어실린더(4)로 구성되어,
    상기 하금형 고정판(80)에 하금형(40)을 고정하고, 상기 구동캠(50)에 측면금형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50)에 설치되고 상금형(20)의 전방측면부 절곡면(24)에 대응하는 제 3 대응면(63)이 형성되며 구동캠(50)에 설치된 제 4 에어실린더(6)의 작동에 의해 상금형(20)의 전방측면부 절곡면(24)과 가압 밀착되도록 구성된 제 2 측면금형(6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모서리에 라운드가 형성된 절곡펀치(31)와, 판형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누름판(32)이 설치되고, 상기 상금형(20)의 상부전면에 힌지결합된 업캠(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캠(50)은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에 설치된 제 1 가이드(51)와, 상기 제 1 가이드(51)와 회전축(54)에 의해 연결되고 측면금형 고정판(53)이 설치된 제 2 가이드(52)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에어실린더(4)는 일측이 측면금형 고정판(53)과 연결되고 타측이 하부프레임(2)의 실린더 지지 브라켓(55)에 의해 고정되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금형 고정판(80)과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 사이에 설치되고, 양측에 볼트가 체결되어 볼트의 체결정도에 따라 하금형 고정판(80)과 측면금형 위치조절판(90)의 사이간격을 조정가능토록 위치선정 스토퍼(9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KR2020010018272U 2001-06-19 2001-06-19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KR200248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72U KR200248859Y1 (ko) 2001-06-19 2001-06-19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272U KR200248859Y1 (ko) 2001-06-19 2001-06-19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626A Division KR20020096271A (ko) 2001-06-19 2001-06-19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859Y1 true KR200248859Y1 (ko) 2001-11-16

Family

ID=73103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272U KR200248859Y1 (ko) 2001-06-19 2001-06-19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8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02037B (zh) 一种冲压方法
CN104772392A (zh) 一种加工led面板条的防跳冲压模具
KR20020096271A (ko)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방법 및 그 장치
KR200248859Y1 (ko) 판형시트 다곡면 복합 절곡장치
CN210817010U (zh) 一种同时成型两种支架的模具
KR20080021357A (ko) 무포스트 금형장치
CN217121359U (zh) 一种可多角度调节的板材弯折装置
CN213613794U (zh) 一种铝材加工用冲压装置
CN214290671U (zh) 一种过渡链板的折弯成型冲头及模具
CN112045071B (zh) 一种滤清器咬口成型机
CN209999585U (zh) 注塑机模具固定调节机构
CN112045922A (zh) 一种橡胶密封件硫化处理设备
CN214022867U (zh) 一种偏心冲压组件
CN219881093U (zh) 五金模具定位工装
CN215824055U (zh) 一种汽车离合器压盘盖冲孔压角专用模具
CN216095739U (zh) 一种折弯机用定位夹紧工作台
CN219443079U (zh) 一种电脑壳体斜冲模具
CN219724440U (zh) 一种铜线长短线压印模组
CN219401963U (zh) 一种电子产品冲压模具
CN216064957U (zh) 折弯压平模及折弯装置
CN212384364U (zh) 一种汽车大梁类零件冲压成型模具
CN219703236U (zh) 一种卡扣模具
CN217964364U (zh) 汽车钣金件冲压模具的旋转压料定位机构
CN219597828U (zh) 一种冲孔夹具
CN216911787U (zh) 一种浮动内定位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