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834Y1 -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 Google Patents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834Y1
KR200248834Y1 KR2020010016790U KR20010016790U KR200248834Y1 KR 200248834 Y1 KR200248834 Y1 KR 200248834Y1 KR 2020010016790 U KR2020010016790 U KR 2020010016790U KR 20010016790 U KR20010016790 U KR 20010016790U KR 200248834 Y1 KR200248834 Y1 KR 200248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skin
color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강
Original Assignee
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강 filed Critical 어강
Priority to KR2020010016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8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83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컬러로 염색된 천소재를 바탕으로 금속 성분(백금(Pt))을 첨가하여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테이프를 인체의 해당 경락부위에 간단히 붙여 줌으로써 전자기적인 금속성분의 침투에 의해 인체의 각종 질환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인체의 경혈을 이용하여 금속 또는 약리 성분이 침투할 수 있도록 피부에 부착시켜는 피부접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천소재로 직조되어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접착부재(10)와; 상기 접착부재(10)에 도포되는 접착제(20)와; 상기 접착제(20)에 착제되는 백금가루(30)와; 상기 접착부재(10)와 접착제(20) 및 백금가루(30)가 일체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테이프(100); 및 상기 테이프(100)가 박리지(40)의 피복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가 제시된다.

Description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THE COLOR TAPE FOR SKIN ADHESION}
본 고안은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컬러로 염색된 천소재를 바탕으로 금속 성분(백금(Pt))을 첨가하여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테이프를 인체의 해당 경락부위에 간단히 붙여 줌으로써 전자기적인 금속성분의 침투에 의해 인체의 각종 질환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는 지금까지의 접착부재는 그 대부분이 염좌, 타박, 근육통 및 골절 등에 적용하기에 적절한 습포용의 파스류나 또는 작은 상처의 일시적 보호를 위한 밴드류 및 거즈나 붕대의 고정을 위한 반창고류 등으로 구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파스류의 경우 일측면에 접착제와 함께 습포용 약리성분들을 도포하여 근육통 등의 통증부위에 직접 부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밴드류는 피부의 상처부위를 통한 2차 감염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막고자 일시적으로 상처가크지 않은 열상 부위에 둘러 상처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반창고류는 단지 붕대나 거즈 등을 상처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전용의 접착성 띠로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실정인 바, 이와 같은 파스류, 밴드류 및 반창고류 모두 어떠한 치료 효과도 지니지 못한 채 나름대로의 목적을 가지고 극히 한정된 용도에만 사용되는 것이 고작이었다.
최근 의학의 치료기술 발달로 통증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치료까지 가능하며, 근력강화나 내과적 치료효과 및 기타 특수질환의 치료 등에 적용 가능하도록 피부의 휴지운동반사의 작용기전에 근거한 테이핑(taping)기술이 이미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테이핑기술은 휴지운동반사의 작용기전에 의한 것으로서, 참고로 이 휴지운동반사의 작용기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부의 휴지운동 반사란 접촉, 두드림 및 온도 등의 다양한 종류의 자극원을 통해 피부를 자극하였을 때 감마운동반사(gamma reflex)를 거쳐 그 피부아래의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외부의 자극에 대한 반사로서의 근수축은 지속적이고 완만한 운동으로 나타난다. 한편 의도적인(수의적인) 명령은 알파운동반사(alpha reflex)를 통하여 근육이 수의운동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러한 수의운동에 대한 근수축은 순간적이고 급격한 운동으로 나타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알파운동반사의 경우, 무거운 짐을 들거나 의도적인 운동(역기의 들어올림등) 등의 경우에서는 순간적으로 많은 힘을 발생시켜 짐이나 역기를 들어올릴 수 있으나,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척수에서 운동신경의 흥분성이 저하되어 곧 근육의 이완이 일어나 이를 장시간 계속하기에는 매우 힘이드는 것으로서, 차츰 짐이나 역기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경험할 수 있는 데서 알 수 있다.
이에 비하여 감마운동반사는 피부에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에 인식되거나(느껴지거나) 또는 인식되지 않는 상태(느껴지지 않는 상태)에서 자극이 가해지는 피하의 대응하는 미세한 운동이 진행되는 것을 일컫는 것이다.
이에 관련한 작용기전을 의학적인 용어로 설명하면, 근방추(spindle)의 추내근섬유(intrafusal fiber)에 분포되어 있는 운동신경을 휴지운동뉴론(감마운동신경이라고도 함)이라 하며, 추외근섬유(extrafusal fiber)에 분포되어 있는 운동신경을 골격운동뉴론(알파운동신경이라고도 함)이라 한다. 이들 세포체는 척수의 전각에 위치하고 상당수의 운동신경이 추내근섬유와 추외근섬유에 동시에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감마운동반사는 강하지는 않으나 근육을 지속적으로 수축할 수 있게 하며, 또한 근육의 수축하는 정도에 대한 정보를 피이드백(feed back)시켜 주어 근육의 수축을 부드럽게 해 주는 것으로 불수의적으로 진행되어 진다. 이때 뇌간은이들 임펄스를 증폭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즉 뇌간망양체형성(brainstem reticular formation)은 신체내의 대부분의 운동에너지가 축적되어 있는 기질로서 뇌간 이상의 고위 운동중추로부터 조절을 받고 있으며, 근육의 토누스(긴장성)조절, 자세의 조절 및 신체의 평형조절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수시로 움직이는 인체에서 피부에 부착되어진 테이프에 의한 피부의 동작이 지치지 않고 부드럽게 근수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은 테이핑 치료의 효과를 분명하게 과학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중요한 기전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많은 근골격계의 질환과 내과적 질환들이 그 일차적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불문하고 결국 근육의 극긴장의 불균형으로 고착되어 악순환과 더불어 만성적 결과를 밟게 되는데 주병변과 부병변의 적절한 긴장조절로 균형을 찾아주는 것이 이상적인 치료법의 하나로서 비탄력성의 테이프를 의학적(해부학적 또는 생리학적) 방법으로 한방에서의 경혈을 이용하여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부착시켜(이를 테이핑이라 한다)소정의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핑효과에 더해 침과 경락의 원리에 색깔이 갖는 파장이 경락에 효과를 미치도록 하여 인체의 질병에 대한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접착부재를 다양한 색깔로 구성하여 종류에 따라 각각 고유한 파장과 진동수를 가지고 있는 빛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각기 다른 색깔에 의한 빛이 경락에 따라 선별된 영향을 주도록 하여 경락의 그 특정부위에 침을 놓는 대신 해당 경락에 해당되는 색깔 및 다양한 모양의 접착부재를 선택적으로 붙여 각종 질환을 치료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색깔 및 모양으로 되는 접착부재의 부착에 있어, 침의 원리와 테이핑의 관계에 대해 보다 근본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침은 다양한 법칙에 의해 치료에 접근할 수 있다. 그 중에서 14경락(12개의 기본경락과 2개의 경락, 즉 임맥과 독맥을 합쳐서 14경락)은 팔꿈치와 무릎이하의 혈로서 보(補)와 사(瀉)를 행할 수 있다. 우선 12경락은, 폐-대장(金), 심-소장(火), 방광-신(水), 담-간(木수), 비-위(土), 그리고 심포와 삼초의 경락으로 구성되며 각 경락은 오행의 이치에 따라 목,화, 토, 금, 수로 구분된다. 이들 목, 화, 토, 금, 수 사이에는 각각 상생상극의 이론이 있는데 목은 화를 살리고, 화는 토를 살리고, 토는 금을 살리고, 금은 수를 살리고, 수는 목을 살린다는 것이다. 또한 목은 토를 죽이고, 토는 수를 죽이며 수는 화를 죽이고, 화는 금을 죽이고, 금은 목을 죽인다는 것이 한의학에서의 오행의 이론이다. 그리고 각 경락은 또한 목, 화, 토, 금, 수에 해당하는 혈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이것들은 상생상극의 이치에 따라 해당 경락이나 타경락을 보하거나 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어, 화인 소장경은 경락안에 금-소택, 수-전곡, 목-후계, 화-양곡,토-소해의 혈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수인 소택은 상생상극의 이론에 의하면 자극이 되었을 때 화인 소장경의 에너지를 낮추는 효과(사, 瀉)가 있고 화인 양곡은 자극이 되었을 때 화인 소장경의 에너지를 높이는 효과(보, 補)가 있다. 목인후계는 자극되었을 때 화인 소장경의 에너지를 높여주는 (보, 補) 등의 이치가 역시 포함되어 침에서의 각 혈을 선택함에 있어 이 이론은 기본이 되어 왔다.
한편 각 혈은 고유의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그 주파수에 맞는 색을 혈위에붙일 경우, 특히 방향을 고려하였을 경우 각경락의 에너지를 높여주거나(보) 또는 낮추어 줄 수 있는 것이다. 각 혈을 각각 목, 화, 토, 금, 수에 해당하는 색깔, 즉 청, 적, 황, 백, 흑과 주파수가 일치가 된다. 따라서 각각의 경락위에 해당하는 색깔의 천 또는 메탈(금속류) 또는 종이류 등을 붙임으로써 치료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에 의한 칼라 테이핑의 원리이며 접착부재의 탄력을 이용한 기존의 밸런스 테이핑과는 또 다른 치료방식이다.
이와 같은 치료방식에 의한 적응증은
(1) 모든 연부조직의 병변(근, 건, 인대, 관절 디스크 등)에서의 기능이상과 통증의 치료, 임부에서의 요통
(2) 예방적 차원에서의 치료와 치료의 유지 및 통증의 예방
(3) 근력의 강화 차원에서의 근육의 이완은 물론 근력강화를 위한 테이핑 상태에서의 운동
(4) 내과적 이용으로서 불면증, 변비, 방광이상, 구내염, 생리이상 및 소화기 이상 등
(5) 중추신경계의 질환에 대한 이용으로서 중풍, 뇌성마비 및 척추손상 등을 들 수 있다.
더우기 근육에 대한 테이핑의 임상적 이용예로서 근육의 이완 또는 스트레칭의 보조, 근육의 강화, 근육의 작용 방향의 조절 및 스포츠 손상의 치료, 기능강화 및 손상의 예방 등에도 효과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파스류, 밴드류 및 반창고류 등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테이핑에는 부적절한 것으로서 테이핑에 적절한 별도의 접착부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컬러로 염색된 천소재를 바탕으로 약리 성분을 첨가하여 제작된 다양한 형태의 테이프를 인체의 해당 경락부위에 간단히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써 본 고안은 약리 성분을 첨가한 다양한 색깔을 갖는 천소재의 비탄력 접착부재를 소정의 크기 또는 특정 형태의 모양으로 재단하여 테이프로 제작함으로서 침의 원리를 이용하여 인체의 혈에 색깔에 맞추어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피부에 장기간 부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저자극성의 자체 접착력을 갖는 피부접착용 비탄력 컬러 테이프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격자형, 삼각형, 장방형, 원형, 육각형 컬러 테이프의 예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컬러 테이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접착부재 20 : 접착제
30 : 백금가루 40 : 박리지
100 : 테이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그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격자형, 삼각형, 장방형, 원형, 육각형 컬러 테이프의 예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컬러 테이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를 살펴보면, 비탄력의 천소재로 직조되어 소정의 형상을 갖는접착부재(10)와, 상기 접착부재(10)에 도포되는 접착제(20)와, 상기 접착제(20)에 착제되는 백금가루(30)와, 상기 접착부재(10)와 접착제(20) 및 백금가루(30)가 일체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테이프(100)로 제작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100)는 박리지(40)의 피복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컬러 테이프(100)는 다양한 색깔 및 형태로 되는 각기 다른 개개의 특정 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여 도 3a,3b에서와 같이 박리지(40)를 벗겨 인체의 각 경혈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부착함으로써 침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 삼각형, 장방형, 원형, 육각형 등을 갖는 테이프의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색깔 또한 검정색, 빨간색, 노란색, 흰색, 청색 등 다양한 컬러 색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천소재의 다양한 색깔을 갖는 띠형태 또는 개개의 특정형태로 되는 컬러 테이프(100)는 직조하여 일정한 면적을 갖는 면판의 연속 또는 일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천소재의 경우 장기간동안 착용하더라도 피부에 대해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일측면에 도포되어지는 접착제는 피부와의 접착력을 유지하면서도 피부에 대해 어떠한 알러지반응도 일으키지 않는 통상의 파스류 등에 사용되는 접착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한 천소재의 다양한 색깔을 갖는 띠형태 또는 개개의 특정 형태로 되는 접착부재(10)의 접착제(20)가 도포되어진 면에는 백금(Pt)가루(30)가 착제되어 있다. 이는 접착부재(10)에 전자기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이 때, 백금가루(30) 대신에 은(Ag)가루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한 천소재의 띠형태 또는 개개의 특정형태로 되는 접착부재(10)의 접착제(20)가 도포되어진 면에는 파스류에서 널리 사용되는 습포용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성분들 이외에도 이들 약리성분들의 합침여부와는 별개로 알로에, 쑥, 솔잎 등 자연물을 이용하여 피용자에게 상쾌감을 갖게 하거나 한방적인 작용효과를 기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비접착면, 즉 천에는 각종 방향성분의 함침 처리가 가능하며 이때 함침처리되는 방향성분 역시 적절한 방향성분의 선택 및 그의 제조 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따른 피부접착용 비탄력 컬러 테이프는 특히 다양한 색깔로 염색된 천연면을 직조하여 띠형태 또는 다양한 특정형태로 되는 개개의 접착부재로서 형성하여, 그 일측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고, 필요에 따라 습포작용을 나타내는 각종 약리성분들을 접착면에 함침시키는 동시에 비접착면에는 다양한 방향성분들을 함침시켜 피부에의 접촉, 특히 국소부위의 압통점(반응점)에 대한 접촉에 의해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테이핑의 위치 및 방법은 주로 의사나 한의사 또는 치료사 등의 전문가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일반인도 근육의 결이나 각 경혈의 위치에 따라 부착시키거나, 접촉검사 등의 방법에 의한 피부의 전기적 변화를 이용하여 부착시키거나, 척추반사 등을 이용하여 부착시키거나 또는 사전에 지시받거나 확인되어진 반응점 등에 부착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시행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비신축성의 컬러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 피부에 테이핑 또는 부착한 상태에서 알러지 등의 부작용을 거의 나타내지 않아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언제, 어디서나 그 적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의료적 치료 또는 근력 강화 등의 예방적 차원에서의 침의 원리와 인체의 각 형질이 갖는 고유의 주파수를 이용한 테이핑에 의한 피부특정 부위의 자극으로 완만하고도 지속적인 근수축 등을 유도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침과 경락의 원리에 색깔이 갖는 파장이 경락에 미치도록 하여 빛의 종류에 따라 다른 각각의 고유한 파장과 진동수로 하여금 경락에 선별된 영향을 주도록 함으로써 각종 질환의 치료 효과도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은 쉽게 테이핑 및 접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 사용이 편의성도 도모하고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특허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4)

  1. 인체의 경혈을 이용하여 금속 또는 약리 성분이 침투할 수 있도록 피부에 부착시키는 피부접착용 테이프에 있어서,
    천소재로 직조되어 소정의 형상을 갖는 접착부재(10)와;
    상기 접착부재(10)에 도포되는 접착제(20)와;
    상기 접착제(20)에 착제되는 백금가루(30)와;
    상기 접착부재(10)와 접착제(20) 및 백금가루(30)가 일체로 혼합되어 형성되는 테이프(100); 및
    상기 테이프(100)가 박리지(40)의 피복에 의해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100)는 격자형, 삼각형, 장방형, 원형, 육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100)는 한 장의 박리지(40)에 띠형태 또는 개개의 특정 형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20)에 착제되는 백금가루(30) 대신에 은가루가 착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KR2020010016790U 2001-06-05 2001-06-05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KR200248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790U KR200248834Y1 (ko) 2001-06-05 2001-06-05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790U KR200248834Y1 (ko) 2001-06-05 2001-06-05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834Y1 true KR200248834Y1 (ko) 2001-11-16

Family

ID=7310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790U KR200248834Y1 (ko) 2001-06-05 2001-06-05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8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852A (ko) * 2001-09-21 2001-10-12 김효진 붙이는 변비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9852A (ko) * 2001-09-21 2001-10-12 김효진 붙이는 변비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83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soft tissue injuries
US20040030270A1 (en) Compression garment with electro-stimulation
CA2836377A1 (en) Kinesiologic tape
KR200248834Y1 (ko) 피부접착용 컬러 테이프
DE4404842A1 (de) Gerät zur antipruriginösen Elektrotherapie (APET)
CN109700929A (zh) 一种治疗近视中药贴敷治疗贴及其制备方法
WO2020026219A2 (ru) Способ тейпирования
KR19980017975A (ko) 피부점착용 비탄력 컬러 점착부재
Billian et al. Upper extremity applications of functional neuromuscular stimulation
CN102481452B (zh) 用于表层施加的神经肌肉电刺激的复合传导垫/塞
KR20140102967A (ko) 피부 테라피용 패치
KR20190036960A (ko) 경락지압효과를 높이는 키네시올로지 테이프
JPS6137255A (ja) 磁石とゲルマニウムを併用して健康維持と治療を行う方法と用具
JP3073193B2 (ja) 巻着式鎮痛材
JP3086861U (ja) 膝関節固定用粘着テープ
KR101231679B1 (ko) 생체 전류 활성용 밴드
CN2149883Y (zh) 中药眼袋
CN109528911A (zh) 一种硅凝胶疤痕贴及制备方法
JPH10222A (ja) アンダーウエア
KR200316034Y1 (ko) 안면 주름 완화 및 피부 탄력 회복용 테이핑 키트
CN215020480U (zh) 一种具有提拉穴位的肌内效贴
JP3569911B2 (ja) 粘着テープ体
CN214511524U (zh) 一种头颅创伤术后伤口治疗头套
CN211461325U (zh) 一种治疗痔疮的穴位贴
KR200234594Y1 (ko) 수지용 지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