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457Y1 - 광심선 분리유닛 - Google Patents

광심선 분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457Y1
KR200248457Y1 KR2020010018062U KR20010018062U KR200248457Y1 KR 200248457 Y1 KR200248457 Y1 KR 200248457Y1 KR 2020010018062 U KR2020010018062 U KR 2020010018062U KR 20010018062 U KR20010018062 U KR 20010018062U KR 200248457 Y1 KR200248457 Y1 KR 2002484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protective tube
hole
spl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정
오성근
김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스텍
Priority to KR2020010018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4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4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457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광섬유심선(이하 광심선이라 한다)으로 구성되는 광튜브 또는 리본광섬유를 각각의 광심선으로 분리하는 광심선 분리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의 일측 단부는 광심선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안쪽으로 가면서 직경이 좁아지는 광심선 삽입홀을 갖는 광심선 분리구를 갖도록 하여 광심선 분리작업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광심선 분리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심선 분리유닛{Fan-out}
본 고안은 다수의 광심선으로 구성되는 광튜브 또는 리본광섬유를 각각의 광심선으로 분리하는 광심선 분리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의 일측 단부는 광심선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안쪽으로 가면서 직경이 좁아지는 광심선 삽입홀을 갖는 광심선 분리구를 갖도록 하여 광심선 분리작업이 용이하도록 고안된 광심선 분리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통신에 비하여 광통신은 수만배의 정보 전송효율을 갖는다. 따라서 초고속 광통신망의 구축은 정보화 사회로 가는 기반이며, 우리나라는 이를 위하여 전국을 초고속 광통신망화 하는 작업을 추진중이다.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는 빛의 전달매개체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유리로 된 광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섬유는 빛의 굴절율이 다른 2개의 층으로 이루어 진다.
광섬유에 빛이 입사되면 빛은 외부로 투과되지 못하고 전반사되어 광섬유를 타고 전달되는 것이다. 이러한 광섬유는 다수의 광심선이 일렬로 배열된 형태인 리본광섬유 또는 원형의 튜브 (이하 광튜브라 한다)에 내장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광튜브는 다수개가 광케이블에 내설되어 전국적인 광통신망을 구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광튜브는 다수의 단일 광심선이 내설된 것으로, 이러한 광튜브는 광케이블로 부터 분기되며, 분기된 광튜브는 옥내로 인입되어 각각의 시스템에 광심선이 일대일로 접속되도록 각각의 광심선으로 분리시켜야 한다.
이렇게 광튜브를 다수개의 광심선으로 분리시키는 지점에는 광심선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보호할 수 있는 광심선 분리유닛이 사용된다.
이러한 광심선 분리유닛은 통상적으로 인입부가 형성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에 내설되는 광심선 분리구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케이스에는 인입된 광튜브를 절피하여 내부의 광심선들이 지나가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내부로 상기 광심선이 삽입되는 보호튜브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광심선 분리구가 상기 상,하부케이스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광심선 분리유닛은 상기 광심선 분리구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이 모든 부분에서 동일 직경으로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보호튜브가 관통홀의 일측단으로 부터 타측단까지 삽입되며, 이때 보호튜브의 선단은 관통홀의 선단까지 위치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광심선을 상기 보호튜브의 내공으로 삽입하여야 한다.
즉, 미세한 보호튜브의 내공으로 광심선을 육안으로 보면서 삽입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힘들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광심선 분리유닛은 광심선 분리구를 하부케이스에 접착수단을 사용하여 고착하는 방식을 사용하므로, 한번 설치 후에는 다시 분리가 불가능하여 보수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광심선 분리유닛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광심선 분리구의 관통공 내부로 광심선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광심선 분리유닛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광심선 분리구를 케이스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광심선 분리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광심선 분리구의 관통홀의 일측 단부를 광심선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쪽으로 가면서 직경이 좁아지는 광심선 삽입홀로 구성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하부케이스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상부케이스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광심선 분리구의 사시도
도 4는 도3의 정면도
도 5는 도3의 평면도
도 6은 도3의 좌측면도
도 7은 도3의 우측면도
도 8은 도3의 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부케이스 2: 상부케이스
3: 광튜브 인입부 4: 광심선 분리구
7: 광튜브 8: 광심선
9: 보호튜브 10: 분리구 고정홈
11: 분리구 고정돌부 14: 보호튜브 삽입홀
15: 광심선 삽입홀
도1은 본 고안의 하부케이스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상부케이스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형상은 종래의 광심선 분리유닛과 유사하다.
즉, 다수의 광심선을 내장하는 광튜브가 인입되어 다수의 광심선으로 분리되어 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된 다수의 광심선과 보호튜브가 삽입·지지되는 광심선 분리구(4)와 상기 광심선 분리구가 설치되는 상부케이스(2) 및 하부케이스(1)로 구성됨은 대동소이하다.
하부케이스(1)의 일측단은 광튜브가 들어오는 광튜브 인입부(3)로 형성되고, 상기 광튜브 인입부로 들어온 광튜브가 탈피되어 광심선이 삽입되는 가이드벽(5)이 하부케이스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하부케이스의 타측단부에는 광심선 분리구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광심선 분리유닛에 있어서, 본 고안은 광심선 분리구의 구조 및 그 설치구조를 개량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조는 도3 내지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의 일측 단부는 광심선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쪽으로 가면서 직경이 좁아지는 광심선 삽입홀(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심선이 삽입되는 입구인 광심선 삽입구(12)의 직경보다 안쪽의 직경이 더 작도록 하여 광심선 삽입홀(15)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광심선 삽입홀(15)은 외부의 보호튜브(9)가 삽입되는 보호튜브 삽입홀(14)과 이어진다.
이때 상기 광심선 삽입홀(15)의 안쪽단은 직경이 확장되도록 보호튜브 걸림턱(17)이 형성되고, 보호튜브 걸림턱에서 부터 타측단 까지는 상기 확장된 직경이 유지되며 이어지는 보호튜브 삽입홀(14)로 구성되게 된다.
이를 보호튜브 삽입홀(14)의 측면에서 보면, 광심선이 삽입되는 중공이 형성된 보호튜브가 삽입되는 보호튜브 삽입홀(14)은 동일직경으로 구성되며, 상기 보호튜브 삽입홀의 안쪽 선단에는 통로 중심으로 돌출하는 보호튜브 걸림턱(17)이 형성되어 상기 보호튜브 걸림턱(17)에 의하여 관통홀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며, 상기 걸림턱(17)에서 부터 광심선 삽입구(12)까지 다시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을 갖게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관통홀은 동일 직경의 보호튜브 삽입홀(14)과 직경이 좁아지는 광심선 삽입홀(15)로 양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관통홀은 적정한 다수개를 정렬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예에서는 12개로 형성하였다.
본 고안의 광심선 분리구(4)의 상면과 하면에는 분리구 고정돌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분리구 고정돌부와 치합되는 분리구 고정홈(10)을 형성하여(도1 및 도2 참조) 광심선 분리구의 착탈이 자유롭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 광심선 분리구를 하부케이스에 분리구 고정돌부가 고정홈에 끼워지도록 삽입하고 이에 상부케이스를 덮으면 상기 광심선 분리구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분리구 고정홈에 분리구 고정돌부(11)가 삽입되어 견고히 고정되며, 상부케이스를 분리하면 하부케이스로 부터 광심선 분리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분리구 고정돌부(11)는 광심선 분리유닛의 방향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양쪽이 구분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사용상태를 도4, 도8 및 도9를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심선 분리구의 보호튜브 삽입구(13)로 보호튜브(9)를 삽입한다. 보호튜브는 통상적으로 탄력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그 직경 또한 일정 이상의 직경을 가지므로 용이하게 보호튜브 삽입구로 삽입할 수 있다.
보호튜브는 보호튜브 삽입구를 통하여 보호튜브 삽입홀로 삽입되며, 보호튜브 걸림턱에 이르게 되면 더이상의 진행이 차단되게 된다.
하부케이스의 광튜브 인입부(3)에 외피를 절피하여 광심선(8)을 일정 길이로 노출시킨 광튜브(7)를 절피부분까지 장입한다.
상기 광튜브의 광심선(8)을 광심선 분리구의 광심선 삽입구(12)를 통하여 광심선 삽입홀(15)로 삽입한다. 이때, 상기 광심선 삽입구(12)는 보호튜브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매우 직경이 작은 광심선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광심선은 삽입되면서 상기 광심선 삽입홀(15)의 내부의 경사진 경사면(16)을 따라 보호튜브 삽입홀(14)로 삽입되며, 이때 보호튜브 걸림턱(17)의 직경이 보호튜브의 내경보다 작도록 하면 상기 광심선은 보호튜브 걸림턱(17)에 까지 삽입된 보호튜브의 내공으로 매우 용이하게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광섬유를 보호튜브의 다른 단부로 인출될 때 까지 삽입한다.(다른 광심선을 모두 동일한 방법으로 보호튜브에 삽입한다. ) 이와 같이 하여 광심선의 삽입을 모두 마친 광심선 분리구(4)를 하부케이스의 소정위치에 끼우고 상부케이스를 그위에 덮으면 광심선 분리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본 고안은 차후 일부 광심선의 교체 등에도 상기 광심선 분리구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광심선을 보호튜브의 내공에 직접 삽입할 필요가 없이, 광심선 분리구의 직경이 넓은 광심선 삽입구(12)로 삽입하면 삽입되면서 자연스럽게 보호튜브의 내공으로 들어가게 되어있다.
따라서 광심선의 보호튜브로의 삽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설치 후에도 언제든지 광심선 분리구를 케이스로 부터 분리하여 간편하게 광심선 교체작업등을 수행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 또한 더욱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다수의 광심선을 내장하는 광튜브가 인입되어 다수의 광심선으로 분리되어 인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분리된 다수의 광심선과 보호튜브가 삽입·지지되는 광심선 분리구와 상기 광심선 분리구가 설치되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구성되는 광심선 분리유닛에 있어서;
    상기 광심선 분리구는 다수의 관통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나란히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의 일측 단부는 광심선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쪽으로 가면서 직경이 좁아지는 광심선 삽입홀(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심선 분리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심선 삽입홀(15)의 안쪽단은 직경이 확장되도록 보호튜브 걸림턱(17)이 형성되고, 보호튜브 걸림턱에서 부터 타측단 까지는 상기 확장된 직경이 유지되며 이어지는 보호튜브 삽입홀(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심선 분리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심선 분리구의 상면과 하면에는 분리구 고정돌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저면에는 상기 분리구 고정돌부와 치합되는 분리구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광심선 분리구는 착탈이 자유롭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심선 분리유닛.
KR2020010018062U 2001-06-16 2001-06-16 광심선 분리유닛 KR2002484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062U KR200248457Y1 (ko) 2001-06-16 2001-06-16 광심선 분리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062U KR200248457Y1 (ko) 2001-06-16 2001-06-16 광심선 분리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457Y1 true KR200248457Y1 (ko) 2001-10-31

Family

ID=73066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062U KR200248457Y1 (ko) 2001-06-16 2001-06-16 광심선 분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4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3652B2 (en) Fiber optic cable assembly with integrated shuffle and fabrication method
US7272283B2 (en) Distribution fiber optic cables for fiber to the subscriber applications
EP0530744B1 (en) Multicore optical connector
JP2001281497A (ja) 複数の光ファイバの編成および整列装置と方法
AR241835A1 (es) Un cable submarino para telecomunicaciones de fibras opticas y procedimiento para fabricarlo.
US11079555B2 (en) Fiber management enclosure for a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0248457Y1 (ko) 광심선 분리유닛
CN212781435U (zh) 一种方便接线的光纤分路器
JPH11248970A (ja) 光コネクタ用超多芯フェル―ル及びそのフェル―ルに光繊維を挿入する方法
JP4395389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保護部材及び光ファイバコネクタフェルールの接続方法
JP2017207594A (ja) 光ケーブル、及び挿抜方法
KR100290181B1 (ko)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KR100295460B1 (ko) 적층형 리본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KR20110009064U (ko) 보호튜브를 갖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기구
KR200230008Y1 (ko) 리본형다심광섬유분리형커넥터
US20220206229A1 (en) Cable with connector
CN213843610U (zh) 一种400g高速光模块内连接连接器
KR200294708Y1 (ko) 다심분리형 광점퍼코드
CN215678869U (zh) 一种新型光纤跳纤
KR100305377B1 (ko)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CN210775913U (zh) 一种防止毛细管尾纤损伤的装置
KR20000012853U (ko) 광분배기의 단심코드부 정렬장치
KR101080374B1 (ko) 인입용 광케이블 분기세트
JP2002267902A (ja) コネクタ付き光ケーブルの端末構造
CN110609366A (zh) 一种多芯mtp回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