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967Y1 -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967Y1
KR200247967Y1 KR2020010018116U KR20010018116U KR200247967Y1 KR 200247967 Y1 KR200247967 Y1 KR 200247967Y1 KR 2020010018116 U KR2020010018116 U KR 2020010018116U KR 20010018116 U KR20010018116 U KR 20010018116U KR 200247967 Y1 KR200247967 Y1 KR 200247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ll
rail
stopper
driving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근화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8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967Y1/ko

Links

Landscapes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주대차의 고장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자주대차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안전장치는 전면에 동작전원 및 신호선과 구동용 피니언기어가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연부에 위치한 가이더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착되어 주행하는 가이더로울러를 가지며 상기 동작전원의 동력원과 신호선으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이송대차를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주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획된 다수의 설치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직하방향으로 추락하는 상기 이송대차를 저지시키는 추락방지수단과, 상기 추락방지수단과 상기 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행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추락하중에 대응되는 결합력을 갖는 복수개의 고정용 볼트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주행중인 이송대차의 이상동작 및 파손 등에 의해서 직하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명피해는 물론 손실피해를 최소화하고, 주행율을 향상시켜 그 성능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주대차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auto track}
본 고안은 자주대차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주대차의 고장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자주대차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주대차(auto track)는 비교적 큰 건물 즉 대형병원, 공장, 사무용 건물 등에서 부서간으로 이동되는 서류나 검체, 차트 등을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주대차는 수직과 수평구간을 운행하여 레일을 따라 이송대차가 최종 목적지까지 이동하도록 한 것으로, 이송대차에는 전기적 안전장치인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레일에 설치되어 있는 피니언기어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는 휠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휠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브러쉬모터가 이송대차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브러쉬모터는 물론 이송에 따른 정보들에 의해 이송제어하는 제어부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자주대차는 수직구간을 운행하다가 순간적인 이상동작에 의해 하방을 향하여 미끄러지게 되면 1차적으로 전기적인 브레이크로 이송대차를 정지시키지만, 구동장치인 피니언기어와 휠기어가 파손될 경우 합성수지로 성형된 피니언기어의 톱니가 연속적으로 파단되어 이송대차가 중력가속도에 의하여 직하방향으로 추락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추락현상에 의해서 기기의 파손과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주행중인 이송대차의 이상동작 및 파손 등에 의해서 직하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자주대차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전면에 동작전원 및 신호선과 구동용 피니언기어가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연부에 위치한 가이더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착되어 주행하는 가이더로울러를 가지며 상기 동작전원의 동력원과 신호선으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이송대차를 갖는 자주대차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주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획된 다수의 설치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직하방향으로 추락하는 상기 이송대차를 저지시키는 추락방지수단과, 상기 추락방지수단과 상기 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행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추락하중에 대응되는 결합력을 갖는 복수개의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자주대차용 안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의 배면에는 상기 고정용 볼트가 수용되어 주행방행을 따라 상기 추락방지수단의 설치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추락방지수단은 상기 고정용 볼트에 일면이 고정되어 기립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브라켓본체와, 상기 브라켓본체의 절곡면에 스크류결합되어 대칭의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보조브라켓과, 상기 보조브라켓의 상호 대향되는 절곡면에 일직선으로 관통된 회동샤프트와, 상기 회동샤프트의 양측 종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대차의 추락시에 상기 가이드로울러를 원주면으로 접촉하여 추락하중을 전달하는 추락스토퍼와, 상기 보조브라켓과 인접하게 스크류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추락스토퍼의 저지위치에서 상기 추락스토퍼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회동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브라켓의 양측 종단 절곡부에는 상기 추락스토퍼가 상기 이송대차의 추락하중을 완충시키는 탄성부재가 스크류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스토퍼의 양측단에는 상기 추락스토퍼가 회동에 따른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가이더가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주대차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이 결합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주대차의 주행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주대차의 정시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주대차의 추락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일 13 ; 가이더부
15 ; 슬라이더 20 ; 이송대차
21 ; 가이더로울러 30 ; 추락방지수단
31 ; 고정용 볼트 33 ; 브라켓본체
35 ; 보조브라켓 37 ; 회동샤프트
39 ; 추락스토퍼 41 ; 회동 스토퍼
43 ; 탄성부재 45 ; 회동가이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주대차용 안전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주대차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이 결합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주대차의 주행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주대차의 정시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주대차의 추락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자주대차용 안전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과, 이송대차(20)와, 상기 이송대차(20)의 추락을 저지하는 추락방지수단(30)을 기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대차(20)는 약식으로 나타나 있다.
상기 레일(10)은 전면에 이송대차(20)가 주행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는데, 전면결합영역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직류의 동작전원단자가 한 쌍의 브러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작전원단자의 브러쉬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이송대차(20)의 브러쉬모터(미도시)에게 도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선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브러쉬모터의 구동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는 횔기어(미도시)와 맞물려 주행을 안내하는 피니언기어(미도시)가 주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일(10)의 연부에는 상기 이송대차(20)를 슬라이드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더부(13)가 날개처럼 펄처져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대차(20)는 상기 가이더부(13)에 결합되어 슬라이드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가이더로울러(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추락방지수단(30)은 상기 레일(10)의 배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특히 건물전체에 각각의 부서별로 종착지점을 경유하는 경로를 갖는 레일(10)에 주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획된 다수의 설치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이송대차(20)가 직하방향으로의 추락을 저지하고 정지시킨다. 상기 추락방지수단(30)은 상기 레일(10)에 고정결합되는데, 먼저 상기 이송대차의 주행에 따르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하고, 상기 추락하중에 대응되는 결합력을 갖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용 볼트(31)가 상기 추락방지수단(30)과 상기 레일(10) 사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용 볼트(31)를 고정결합하기 위하여는 상기 주행방향을 따라 상기 추락방지수단(30)의 설치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더(15)가 상기 레일(1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추락방지수단(30)은 상기 고정용 볼트(31)에 일면이 고정되어 기립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브라켓본체(33)와, 상기 브라켓본체(33)의 절곡면에 스크류결합되어 대칭의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보조브라켓(35)과, 상기 보조브라켓(35)의 상호 대향되는 절곡면에 일직선으로 관통된 회동샤프트(37)와, 상기 회동샤프트(37)의 양측 종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대차(20)의 추락시에 상기 가이드로울러(21)를 원주면으로 접촉하여 추락하중을 전달하는 한 쌍의 추락스토퍼(39)와, 상기 보조브라켓(35)과 인접하게 스크류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추락스토퍼(39)의 저지위치에서 상기 추락스토퍼(39)가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정지시키는 회동스토퍼(41)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보조브라켓(35)의 양측 종단 절곡부에는 상기 추락스토퍼(39)가 상기 이송대차의 추락하중을 완충시키는 탄성부재(43)가 스크류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스토퍼(41)의 양측단에는 상기 추락스토퍼(39)가 회동에 따른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가이더(45)가 절곡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자주대차용 안전장치의 동작은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모터와 횔기어에 의해서 이송대차(20)의 가이더로울러(21)가 상기 레일(10)의 가이더부(13)를 따라 주행하게 되는데, 일정한 간격으로 주행로 상에 설치된 추락방지수단(30)의 추락스토퍼(39)가 가이더로울러(21)와 접촉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대차(20)의 가이더로울러(21) 둘 중에 어느 하나가 추락방지수단(30)을 통과한 후에 이송대차(20)에서 이상현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선행하는 이송대차와 출돌 등으로 인하여이송대차(20)의 피니언기어와 횔기어 중 어느 하나의 톱니가 판손될 경우 이송대차(20)는 자중에 의해 레일(10) 위에 정지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직하방향으로 추락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추락스토퍼(39)는 자중에 의해서 반시계방향의 초기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대차(20)가 직하방향으로 추락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회동된 상기 추락스토퍼(39)가 상기 이송대차(20)의 가이더로울러(21)를 원주모양으로 감싸면서 추락을 저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추락스토퍼(39)는 상기 가이더로울러(21)와 접촉되자마다 탄성부재(43)에 의해서 추락하중에 따른 충격이 다소 완되고, 이후 회동스토퍼(41)에 의해서 추락스토퍼(39)의 반시계방향 회동을 완전히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레일(10)의 수직방향 주행경로가 수 10m 이상일 경우, 상기 추락방지수단(30)은 2.5m~4m의 간격으로 다수개가 균등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상이 발생한 이송대차(20)의 추락에 따른 기기의 손상이나, 인명피해가 유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주행중인 이송대차의 이상동작 및 파손 등에 의해서 직하방향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명피해는 물론 손실피해를 최소화하고, 주행율을 향상시켜 그 성능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면에 동작전원 및 신호선과 구동용 피니언기어가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주행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연부에 위치한 가이더부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착되어 주행하는 가이더로울러를 가지며 상기 동작전원의 동력원과 신호선으로 목적지까지 주행하는 이송대차를 갖는 자주대차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주행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획된 다수의 설치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며, 직하방향으로 추락하는 상기 이송대차를 저지시키는 추락방지수단과;
    상기 추락방지수단과 상기 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주행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고 상기 추락하중에 대응되는 결합력을 갖는 복수개의 고정용 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수단은,
    상기 고정용 볼트에 일면이 고정되어 기립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브라켓본체와;
    상기 브라켓본체의 절곡면에 스크류결합되어 대칭의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보조브라켓과;
    상기 보조브라켓의 상호 대향되는 절곡면에 일직선으로 관통된 회동샤프트와;
    상기 회동샤프트의 양측 종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대차의 추락시에 상기 가이드로울러를 원주면으로 접촉하여 추락하중을 전달하는 추락스토퍼와;
    상기 보조브라켓과 인접하게 스크류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추락스토퍼의 저지위치에서 상기 추락스토퍼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회동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라켓의 양측 종단 절곡부에는 상기 추락스토퍼가 상기 이송대차의 추락하중을 완충시키는 탄성부재가 스크류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스토퍼의 양측단에는 상기 추락스토퍼가 회동에 따른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가이더가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배면에는 상기 고정용 볼트가 수용되어 주행방행을 따라 상기 추락방지수단의 설치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KR2020010018116U 2001-06-18 2001-06-18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KR200247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116U KR200247967Y1 (ko) 2001-06-18 2001-06-18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116U KR200247967Y1 (ko) 2001-06-18 2001-06-18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244A Division KR100436298B1 (ko) 2001-06-18 2001-06-18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967Y1 true KR200247967Y1 (ko) 2001-10-18

Family

ID=73066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116U KR200247967Y1 (ko) 2001-06-18 2001-06-18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9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298B1 (ko) * 2001-06-18 2004-07-22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6298B1 (ko) * 2001-06-18 2004-07-22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7043B2 (en) Track and bogie for suspended vehicles
US3525306A (en) Suspended railway
US10435043B2 (en) Funicular driven by a cable with two towing sec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funicular
US5992575A (en) Personal rapid transit braking systems
US3122105A (en) Monorail system
CN103269966B (zh) 具有双层轿厢的电梯设备
KR200247967Y1 (ko)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GB2426971A (en) Power-assisted parking
KR100436298B1 (ko) 자주대차용 안전장치
CN110723168B (zh) 一种平移变轨机构
US4050546A (en) Elevator structure
KR20120007727U (ko) 자주대차설비의 대차추락방지장치
CN112520331B (zh) 旋转式道岔
US1043793A (en) Truck for monorailway-cars.
CN210310339U (zh) 一种智能巡逻设备
CN111237615A (zh) 一种用于地铁车辆设备柜安装的轨道交通工程安装设备
CN113027270B (zh) 一种用于改变行走方向的悬吊轨道转折装置
CN110644299A (zh) 一种变轨机构、防脱轨道岔及变轨系统
CN217602409U (zh) 基于站台门的移动盒导向驱动系统
CN213923679U (zh) 一种室内电梯安全防护锁止机构
CN215621992U (zh) 一种城轨车辆防脱轨装置
KR101583708B1 (ko) 상부 복합방식의 다구간 이송용 엘리베이터 장치
KR102531303B1 (ko) 캐빈의 자세제어용 완충수단이 구비된 현수식 모노레일
RU2774304C1 (ru) Комплекс мобильного ограждения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путевых работ
CN211995544U (zh) 一种轨道交通站台门用底部支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