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785Y1 - 음향 체감기 - Google Patents

음향 체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785Y1
KR200247785Y1 KR2020010017639U KR20010017639U KR200247785Y1 KR 200247785 Y1 KR200247785 Y1 KR 200247785Y1 KR 2020010017639 U KR2020010017639 U KR 2020010017639U KR 20010017639 U KR20010017639 U KR 20010017639U KR 200247785 Y1 KR200247785 Y1 KR 2002477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cover
fixed
cylindrical member
low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6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동진
Original Assignee
문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동진 filed Critical 문동진
Priority to KR20200100176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7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7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785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음향기기 등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사람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하는 음향 체감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는, 돔형의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와 나사 결합되고 그 내주면에 소정 높이의 원통형 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원통형 부재에 권선되는 대형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자장변화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체는 원반 형태의 금속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도넛형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싸는 돔 형태로 자속 흐름의 외부발산을 방지하고 외주면을 따라 홈을 가지는 요크부와, 상기 요크부의 홈에 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 댐퍼와, 상기 댐퍼 아래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음향 체감기는 상부 커버가 돔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 커버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므로 커버의 외벽 전체에 걸쳐서 충분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만족스런 체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음향 체감기 {SOUND BODILY SENSED SYSTEM}
본 고안은 각종 음향기기 등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사람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하는 음향 체감기(Sound Bodily Sensed System)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음향 체감기는 낮은 저음을 강력하게 재현하면서 이를 충격진동으로 전환하여 사람의 신체 깊숙히 전달할 수 있어 청각적으로만 청취한 저음방식을 더욱입체적으로 사람의 신체에 전달함으로써 스테레오 서라운드 사운드 시스템 이상의 더욱 입체적인 음향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향 체감기는 비디오 감상용 소파, PC방 진동의자, 노래방용 쇼파, 음악감상용 진동의자 등 음악·영화·게임 등 다양한 AV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극장·소극장·공연장 의자 및 바루바닥 등에 장착하면 음향의 청취와 함께 진동을 느낌으로써 입체적 감상효과를 낼 수 있다.
예컨대, 국내 특허출원 제1991-181호의 공보에는 상기와 같은 음향 체감기의 예가 예시되어 있다. 특히, 상기 공보의 도 2에 기재된 것은 중앙부에 원형의 구멍이 뚫린 상부 커버, 상기 원형의 구멍을 막는 마개 및 하부 커버로 구성된 케이싱의 내부에 진동체가 설치되며, 상기 진동체가 원판의 중심에 원주형의 돌출부가 솟아있는 중심체, 자석, 지지링 및 탄성 진동판을 고정결합해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공보에 개시된 음향 체감기는 상부와 하부 커버가 완전히 밀폐된 구조로 상부와 하부 커버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방출될 수 없게 되며, 그결과 부하상승 및 전류소모 증가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진동판을 포함하는 돌출부와 자석 및 지지링의 무게중심이 균일하지 못하여 상기 커버의 외벽 전체에 걸쳐서 충분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없어, 만족한 체감 효과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공보에 개시된 음향 체감기는 자석이 보이스 코일(voice coil) 외부에 위치하는 외자형 구조로서, 외부로의 자력 누출이 심하게 발생하여음향 체감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충분한 체감 진동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저음의 진동도 충분히 신체에 전달할 수 있는 고출력의 음향 체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의 결합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 커버 12 : 원통형 부재
14 : 하부 커버 16 : 보이스 코일
20 : 자석 22 : 요크부
24, 26 : 댐퍼 28, 30 : 지지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는, 돔형의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와 나사 결합되고 그 내주면에 소정 높이의 원통형 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원통형 부재에 권선되는 대형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자장변화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체는 원반 형태의 금속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도넛형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싸는 돔 형태로 자속 흐름의 외부발산을 방지하고 외주면을 따라 홈을 가지는 요크부와, 상기 요크부의 홈에 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 댐퍼와, 상기 댐퍼 아래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댐퍼는 내주면에 소정 개수의 돌출편 및 그 둘레에 원형편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편과 원형편 사이에 파도형 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편은 상기 요크부의 홈에 고정되고 상기 원형편은 상기 상부 커버의 내벽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커버, 하부 커버, 요크부 및 원반 형태의 금속부재는 중앙에 센터보정을 위한 각각의 홀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체감기에 대하여 도 1 내지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음향 체감기는, 돔형의 상부 커버(10)와, 상기 상부 커버(10)와 나사 결합되고 그 내주면에 소정 높이의 원통형 부재(12)를 구비하는 하부 커버(14)와, 상기 하부 커버(14)의 원통형 부재(12)에 권선되는 대형 보이스 코일(16)과, 상기 대형 보이스 코일(16)의 자장유도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커버(10)는 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는 돔 형태로 구성되는데, 중앙에 센터보정을 위한 홀(10a)을 가지고 하부 커버(14)와의 나사결합을 위해 테두리부(10b)와 체결홀(10c)을 가진다.
상기 하부 커버(14)는 중앙에 센터보정을 위한 홀(14a)을 가지고, 상부 커버(10)의 테두리부(10b)가 삽입고정되고 실질적으로 상부 커버(10)의 테두리부(10b)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삽입홈(13)을 구비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커버(10)의 테두리부(10b)가 살짝 끼워져서 나사홀(10c)(13a)을 통해 상부 커버(10)와 하부 커버(14)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 커버(14)에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부재(12)는 그 상부에 보이스 코일(16)이 권선되며, 상기 코일(16)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12a)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커버(10)와 하부 커버(14)는 방열효과를 최대화하여 원활한 진동을 제공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체는 원반 형태의 금속부재(18)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형 부재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도넛형 자석(20)과, 상기 자석(20)을 감싸는 형태로 자속 흐름의 외부발산을 방지하는 요크부(22)와, 상기 요크부(22)를 지지해주는 상부 및 하부 댐퍼(24)(26)와, 상기 댐퍼 아래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댐퍼(24)(26)를 견고히 고정하는 상부 및 하부 지지링(28)(30)을 서로 고정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요크부(22)는 중앙부에 센터보정을 위한 홀(22a)을 구비하고, 외주면을 따라 댐퍼(24)(26)가 고정되는 2개의 홈(22b)(22c)을 가지는데, 상기 홈(22b)에는 상부 댐퍼(24)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홈(22c)에는 하부 댐퍼(26)가 고정결합된다.
또한, 상기 요크부(22)는 자석(20)을 완전히 감싸는 돔 형태의 요크부로서, 바람직하게 종래기술에 따른 보이스 코일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는 보이스 코일과 연동하여 음향 체감기의 출력 증강을 보장한다. 따라서, 더 낮은 저음 재생대역에서 강력한 진동음의 전달이 가능해진다.
상기 상부 및 하부 댐퍼(24)(26)는 내주면에 3개의 돌출편(24a)(26a) 및 그 둘레에 원형편(24b)(26b)을 구비하며, 상기 돌출편과 원형편 사이에는 진동효율을 높이도록 3개의 대칭적인 파도형 홈(24c)(26c)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댐퍼(24)(26)의 내주면은 소정 형태의 곡선부(24d)(26d)로 처리된다.
상기 내주면의 돌출편들(24a)(26a)은 각각 상기 요크부(22)의 홈(22a)(22b)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외주면의 원형편들(24b)(26b)은 상기 상부 커버(10)의 내벽에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 및 원형편들은 접착제에 의해 커버(10)의 내벽 및 요크부(22)의 홈에 견고히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지지링(28)(30)이 접착제에 의해 상부 커버(10)의 내벽에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상기 원형편들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써 진동효율을 높여준다.
여기에서 미설명 부호 11은 외부 단자 연결부이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20)이 코일(16)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자형 구조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외자형 구조의 음향 체감기에서와 같은 외부로의 자력 누출 문제가 감소되므로 자력 효율이 향상되어 음향 체감기의 진동효율 및 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향 체감기는 하부 커버(14)의 체결홈(14a)을 통해 자동차 시트, 거실의 쇼파, 비디오 감상용 소파, PC방 진동의자, 노래방용 시트, 음악감상용 흔들의자 등 음악·영화·게임 등 다양한 AV시스템 의자에 부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오디오 엠플리파이어(도시되지않음)로부터 음향신호가 출력되면 음향신호의 전기신호가 보이스 코일(16)을 통해 흐르면서 진동체(20, 22, 24, 26)에 자속의 흐름을 형성하고, 그결과 전기적인 신호가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만족스런 체감 효과를 느끼게 한다.
물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정신 밑에서의 다양한 설계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는 상부 커버가 돔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 커버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므로 커버의 외벽 전체에 걸쳐서 충분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만족스런 체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는 자석이 코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자형 구조로 형성되고 반경이 큰 요크부 및 보이스 코일이 사용되므로, 자력 누출의 문제가 감소될 수 있고 음향 체감기의 진동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음향 체감기는 상부 커버, 요크부, 자석이 고정되는 원반 및 하부 커버 중앙의 홀을 통해 정확한 센터 보정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음향 체감기에 비하여 보다 광범위하고 미세한 중저음의 재생이 가능하다.
이외에,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방열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어 부하상승 및 과도한 전류소모가 방지된다는 효과도 갖는다.

Claims (5)

  1. 각종 음향기기 등에서 출력되는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기계적인 진동으로 변환하여 사람의 신체에 전달하도록 하는 음향 체감기에 있어서,
    돔형의 상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와 나사 결합되고 그 내주면에 소정 높이의 원통형 부재를 구비하는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원통형 부재에 권선되는 대형 보이스 코일과;
    상기 보이스 코일의 자장변화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체는 원반 형태의 금속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원통형 부재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도넛형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싸는 돔 형태로 자속 흐름의 외부발산을 방지하고 외주면을 따라 홈을 가지는 요크부와, 상기 요크부의 홈에 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 댐퍼와, 상기 댐퍼 아래에 각각 삽입되는 지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체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내주면에 소정 개수의 돌출편 및 그 둘레에 원형편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편과 원형편 사이에 파도형 홈이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편은 상기 요크부의 홈에 고정되고 상기 원형편은 상기 상부 커버의 내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체감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 하부 커버, 요크부 및 원반 형태의 금속부재는 중앙에 센터보정을 위한 각각의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체감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상부 커버의 테두리부가 삽입고정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감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댐퍼 및 지지링을 고정시키는 수단은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체감기.
KR2020010017639U 2001-06-13 2001-06-13 음향 체감기 KR2002477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639U KR200247785Y1 (ko) 2001-06-13 2001-06-13 음향 체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639U KR200247785Y1 (ko) 2001-06-13 2001-06-13 음향 체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3207A Division KR100415652B1 (ko) 2001-06-13 2001-06-13 음향 체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785Y1 true KR200247785Y1 (ko) 2001-10-29

Family

ID=7310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639U KR200247785Y1 (ko) 2001-06-13 2001-06-13 음향 체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78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632A (ko) * 2002-11-28 2004-06-05 이광훈 이중 보이스 코일이 구비된 진동 스피커
KR20040046631A (ko) * 2002-11-28 2004-06-05 이광훈 진동 스피커
KR20040046630A (ko) * 2002-11-28 2004-06-05 이광훈 센터코아가 구비된 진동 스피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6632A (ko) * 2002-11-28 2004-06-05 이광훈 이중 보이스 코일이 구비된 진동 스피커
KR20040046631A (ko) * 2002-11-28 2004-06-05 이광훈 진동 스피커
KR20040046630A (ko) * 2002-11-28 2004-06-05 이광훈 센터코아가 구비된 진동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4895B2 (en) Loudspeaker
JPWO2015198683A1 (ja) 骨伝導スピーカ
KR101481740B1 (ko) 마사지 장치
US20110243364A1 (en) Structure of loudspeaker for reducing thickness and mounting depth
US6671383B2 (en) Electromagnetic transducer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9483922B2 (en) Shake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of transmitting vibrational energy to recipients
JP2011119913A (ja) ハイブリッド型スピーカーユニットおよびハイブリッド型スピーカー
KR200247785Y1 (ko) 음향 체감기
US20210138508A1 (en) Haptic Transducer Device and Insole for Receiving The Same
KR100415652B1 (ko) 음향 체감기
KR100415651B1 (ko) 음향 체감기
JP2005204215A (ja) 電気音響変換器
JP2006174432A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これを用いたヘッドフォン、ヘッドレスト、枕
JPS6167400A (ja) 電気機械振動変換装置
KR200245531Y1 (ko) 음향 체감기
JP2005323054A (ja) 骨伝導スピーカ
JPH06311597A (ja) 電気−機械振動変換器
US11666942B2 (en) Haptic transducer and footplate coupled to the same
KR20100097869A (ko) 골전도 헤드셋용 스피커부
KR20120107413A (ko) 스피커
KR950011496B1 (ko) 체감 스피커
JPS6033800A (ja) 電気機械変換器
KR930008729B1 (ko) 체감스피커
JP2003324795A (ja) スピーカおよびその駆動方法
WO2018006544A1 (zh) 扬声器和可穿戴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