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153Y1 - 점프 놀이구 - Google Patents

점프 놀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153Y1
KR200247153Y1 KR2020010006746U KR20010006746U KR200247153Y1 KR 200247153 Y1 KR200247153 Y1 KR 200247153Y1 KR 2020010006746 U KR2020010006746 U KR 2020010006746U KR 20010006746 U KR20010006746 U KR 20010006746U KR 200247153 Y1 KR200247153 Y1 KR 200247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ing
air
ball
jump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신구
Original Assignee
우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신구 filed Critical 우신구
Priority to KR2020010006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153Y1/ko

Links

Landscapes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놀이의 안전성과 휴대의 간편함을 겸비한 경량의 점프 놀이구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의 점프 놀이구는,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와 면적을 가지며 그 면적의 중심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끼움부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발판; 및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하며 공기의 주입에 의한 팽창상태 때를 기준하여 대략 그 중앙의 외주면에 원주상으로 결착홈이 형성되어, 공기의 배출에 의한 수축상태 때 상기 발판의 끼움부에 끼워져 맞닿은 후 공기의 주입에 따른 팽창으로 발판의 끼움부에 탄력적으로 압착되어지는 상단에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점핑볼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점핑볼의 강력한 완충력에 의해 점프 도약 이후의 착지과정에서 발생되는 발목이나 관절등의 손상과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완충력 저하가 미연에 방지되고, 또한 놀이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점핑볼의 공기를 배출하여 발판으로부터 분해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점프 놀이구 {Jump Play Body}
본 고안은 놀이의 안전성과 휴대의 간편함을 겸비한 경량의 점프 놀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성장기의 어린이, 청소년 또는 성인들에게 즐거움과 체력단련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놀이 또는 체력 단련 시에 탄력성을 지닌 점핑볼을 발판에 결합하여 도약에 의한 체력단련을 하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발판과 점핑볼을 분해하여 휴대하도록 하는 점프 놀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점핑용 놀이구의 종류와 형태는 다양하지만, 그들 중에서 탄성력을 지닌 고무재질을 이용하는 점핑용 놀이구의 대부분은 동물형상을 갖는 탄성 고무재질에 공기를 주입하여 도약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의 대부분은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어린이들이 휴대하기에 대단히 불편한 것이며, 이것에 의해, 점핑 놀이구를 이용하여 체력단련과 즐거움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득이 어느 한정된 공간, 예컨대 집안의 좁은 거실에서 체력단련 및 놀이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점핑 행위를 즐거움으로 대체시켜 줄 수 있는 점핑용 놀이구들 중 휴대의 편리성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점핑을 하기 위한 점핑놀이구가 안출되어 제품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점핑놀이구에는 환봉 등에 손잡이와 발판 및 스프링 등을 결합하여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손잡이를 파지한 후 사용자가 몸의 중심을 유지하면서 제자리 또는 전방이나 후방으로 도약 이동하면서, 점핑놀이를 하는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점핑 놀이구는 휴대의 편리성과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는 이점은 있으나, 놀이구를 오랜기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스프링의 완충력이 완화되어 점핑의 도약 높이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사용자에게 점핑놀이의 계속적인 즐거움을 지원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스프링의 충격 흡수기능이 저하되어 사용자가 도약 이동 시, 또는 점핑 이후의 착지과정에서 스프링의 충격 흡수기능이 제대로 아루어지지 않음으로 발목이나 관절 등에 무리를 주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됨과 아울러 제품의 수명을 단축과 제품의 가격이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제품의 비용 면에서는 보다 저가의 점프 놀이구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휴대의 편리성을 제공하고 또한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완충력 저하 및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는 점프 놀이구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점프 도약 이후의 착시과정에서 발생되는 발목이나 관절등의 손상과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완충력 저하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는 점프 놀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점프 놀이구는 사각형상의 발판에 탄력성의 점핑볼을 끼워 공기를 주입한 후 두 발을 발판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상기 점핑볼을 두 발로 압착하여 도약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체력단련과 즐거움을 주면서도 점핑 도약 시에 발바닥에 지압효과를 주도록 하고, 또한 놀이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발판으로부터 점핑볼을 용이하게 분해시켜 휴대하도록 하는 점프 놀이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점프 놀이구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1은 상기 점프 놀이구를 구성하는 발판과 점핑볼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점프 놀이구의 발판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점핑볼이 끼워져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점프 놀이구의 발판에 끼워진 점핑볼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및 도 5는 도 1의 점프 놀이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판 101 : 끼움부
102 : 돌기 103 : 점핑볼
104 : 소볼 105 : 대볼
106 : 결착요홈 107 : 걸림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점프 놀이구에 의하면, (1)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와 면적을 가지며 그 면적의 중심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끼움부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발판; 및 (2)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하며 상기 공기의 주입에 의한 팽창상태 때를 기준하여 그 중앙의 외주면에 원주상으로 결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의 배출에 의한 수축상태 때 상기 발판의 끼움부에 끼워져 맞닿은 후 상기 공기의 주입에 따른 팽창으로 상기 발판의 끼움부에 탄력적으로 압착되어지는 상단에 공기 주입구가 형성된 점핑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발판의 표면에 지압효과를 줄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점프 놀이구 사용 시, 발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끼움부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점핑볼을 끼운 후 그 점핑볼에 공기를 주입하면 점핑볼이 팽창되어 발판의 끼움부에 강력하게 압착됨으로써, 사용자가 발판에 두 발을 올려놓은후 상기 발판을 중심하여 상부로 돌출된 점핑볼을 두 발목 사이에 끼워 압착한 다음 도약 이동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점핑볼의 강력한 완충력에 의해 점프 도약 이후의 착시과정에서 발생되는 발목이나 관절등의 손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완충력 저하가 미연에 방지되고, 또한 놀이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점핑볼의 공기를 배출하여 발판으로부터 분해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점프 놀이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한 점프 놀이구를 구성하는 발판과 점핑볼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점프 놀이구의 발판에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점핑볼이 끼워져 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점프 놀이구의 발판에 끼워진 점핑볼에 공기를 주입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점프 놀이구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와 면적을 가지며 그 면적의 중심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끼움부(101)가 형성되고 상기 두 발이 올려지는 부분쪽의 표면에는 지압효과를 지원하도록 다수의 돌기(102)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발판(100)과,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하며 상기 공기의 주입에 의한 팽창상태 때를 기준하여 그 중앙의 외주면에 원주상으로 결착요홈(106)이 형성되고 그 결착요홈(106)의 상부에는 동심원 상으로 걸림돌기(107)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공기의 배출에 의한 수축상태 때, 발판(100)의 끼움부(101)에 끼워져 맞닿은 후 상기 공기의 주입에 따른 팽창으로 발판(100)의 끼움부(101)에 탄력적으로 압착되어지는 상단에 공기 주입구(108)가 형성된 점핑볼(10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점핑볼(103)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부의 공기 주입구(108)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킬 때, 발판(100)을 중심하여 소볼(104)과 대볼(105)로 나누어지며, 소볼(104)은 발판(100)에 올려진 두 발목의 사이로 끼워지고 대볼(105)은 도약 시에 지면에 탄력적으로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점프 놀이구를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점프 놀이구를 이용하여 체력단련 또는 즐거움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먼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가 빠져 수축되어 있는 점핑볼(103)의 소볼(104)이 발판(100)에 대하여 상부쪽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점핑볼(103)의 대볼(105)을 발판(100)에 형성된 끼움부(101)를 통해 끼운 다음 점핑볼(103)의 소볼(104)과 대볼(105) 사이에 형성된 결착요홈(106)을 끼움부(101)의 면과 맞닿게 한다.
이후 소볼(104)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주입구(108)에 펌프와 같은 공기주입장치를 끼워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점핑볼(103)의 소볼(104)과 대볼(105)이 도 3과 같이 팽창되고 이 팽창결과에 의해서 점핑볼(103)의 결착요홈(106)과 발판(100)의 끼움부(101)의 면이 강력하게 밀착되짐과 아울러 그 밀착부분의 외경보다 상기 소볼(104)과 대볼(105)의 외경이 더 크게 됨으로써, 점핑볼(103)이 발판(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즉 다시 말해 대볼(105)이 도 1 및 도 3과 같이, 발판(100)을 떠 받쳐 주게됨으로써, 점핑 도약 시에 발판(100)이 점핑볼(103)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점핑볼(103)이 발판(100)에 끼워져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핑볼(103)의 소볼(104)을 중심하여 두 발을 발판(100)에 올려 놓은 후 두 발목으로 소볼(104)을 압착하면서 상측으로 점핑을 한 뒤, 착지를 하면 점핑볼(03)의 대볼(105)이 압축되고, 그 후 상기 대볼(105)의 공기압 탄성력에 의해 점프 놀이구 본체가 상측으로 점핑이 됨으로, 이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제자리 점핑 도약 또는 전방이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점핑놀이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점핑놀이 과정을 오랜기간 반복적으로 하더라도 팽창되어 있는 점핑볼(103)의 소,대볼(104)(105)에 의해 탄성력이 증진되어 완충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점핑볼(103)의 완충력이 하강되어 도약의 높이가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충격흡수 기능을 상승시켜 발목부상이나 관절 등에 무리를 주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발판(100)의 표면에 돌기(102)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도약 때마다 발바닥의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점프 놀이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공기주입구(108)를 통해 점핑볼(103)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그 점핑볼(103)이 수축되어 발판(100)으로부터 상기 점핑볼(103)을 손쉽게 이탈시켜 각각 휴대할 수가 있는 편리성이 제공된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 환봉 등에 손잡이와 발판 및 스프링 등을 결합하여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손잡이를 파지한 후 사용자가 몸의 중심을 유지하면서 제자리 또는 전방이나 후방으로 도약 이동하면서, 점핑놀이를 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발판의 중심부에 형성된 끼움부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점핑볼을 끼운 후 그 점핑볼에 공기를 주입하면 점핑볼이 팽창되어 발판의 끼움부에 강력하게 압착됨으로써, 사용자가 발판에 두 발을 올려놓은 후 상기 발판을 중심하여 상부로 돌출된 점핑볼을 두 발목 사이에 끼워 압착한 다음 도약 이동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점핑볼의 강력한 완충력에 의해 점프 도약 이후의 착시과정에서 발생되는 발목이나 관절등의 손상이 방지됨과 아울러 장기간 사용에 따른 완충력 저하가 미연에 방지되고, 또한 놀이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점핑볼의 공기를 배출하여 발판으로부터 분해함으로써, 휴대가 간편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점프 놀이구에 의하면, 발판에 끼워진 점핑볼의 강력한 완충력에 의해 점프 도약 이후의 착시과정에서 발생되는 발목이나 관절등의 손상과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점프 놀이구의 완충력 저하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또한 놀이구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점핑볼을 발판으로부터 간편하게 분해하여 휴대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1) 발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와 면적을 가지며 그 면적의 중심부에 소정의 직경을 갖는 끼움부(101)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발판(100); 및
    (2)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하며 상기 공기의 주입에 의한 팽창상태 때를 기준하여 대략 그 중앙의 외주면에 원주상으로 결착요홈(106)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의 배출에 의한 수축상태 때, 발판(100)의 끼움부(101)에 끼워져 맞닿은 후 상기 공기의 주입에 따른 팽창으로 발판(100)의 끼움부(101)에 탄력적으로 압착되어지는 상단에 공기 주입구(108)가 형성된 점핑볼(103)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놀이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100)의 표면에 지압효과를 주고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10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프 놀이구.
KR2020010006746U 2001-03-13 2001-03-13 점프 놀이구 KR200247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46U KR200247153Y1 (ko) 2001-03-13 2001-03-13 점프 놀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746U KR200247153Y1 (ko) 2001-03-13 2001-03-13 점프 놀이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153Y1 true KR200247153Y1 (ko) 2001-10-08

Family

ID=73063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746U KR200247153Y1 (ko) 2001-03-13 2001-03-13 점프 놀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1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19B1 (ko) * 2010-02-26 2012-06-22 강기태 런닝머신용 진동 완화장치
KR101731984B1 (ko) * 2015-12-09 2017-05-02 정상록 어린이용 놀이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19B1 (ko) * 2010-02-26 2012-06-22 강기태 런닝머신용 진동 완화장치
KR101731984B1 (ko) * 2015-12-09 2017-05-02 정상록 어린이용 놀이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512B1 (en) Pogo ball
US8241185B2 (en) Trampoline with attachment frame assembly
KR200414325Y1 (ko) 점프 운동기구
KR200247153Y1 (ko) 점프 놀이구
KR20100006523U (ko) 다용도 체육기구의 지지베이스
KR200395706Y1 (ko) 점핑유희구
KR102270921B1 (ko) 발과 종아리 근육 강화 및 이완 장치
CN107440216B (zh) 一种具有外力缓冲功能的趣味童鞋
KR200243346Y1 (ko) 운동놀이구
CN213220706U (zh) 一种运动蹦床
KR200295791Y1 (ko) 뜀뛰기 운동기구
KR200385415Y1 (ko) 점핑운동구
KR200247763Y1 (ko) 점프 놀이용 완구
KR200238592Y1 (ko) 뜀뛰기용 놀이구
CN214232775U (zh) 一种益智玩具
KR200150310Y1 (ko) 다리근육 강화용 신발
KR19980056600U (ko) 점핑용 놀이구
KR200281501Y1 (ko) 점프 헬스용 운동기구
AU2021106655A4 (en) Trampoline
JPH084042Y2 (ja) 運動遊戯具
KR200275259Y1 (ko) 점핑 놀이구
KR200220065Y1 (ko) 어린이용 점핑 유희구
KR200299397Y1 (ko) 스카이 런닝 슈즈
KR200328465Y1 (ko) 놀이용 탄성신발
KR20010010517A (ko) 점핑유희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