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925Y1 - 출입문용잠금장치의잠금구 - Google Patents

출입문용잠금장치의잠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925Y1
KR200246925Y1 KR2019980027027U KR19980027027U KR200246925Y1 KR 200246925 Y1 KR200246925 Y1 KR 200246925Y1 KR 2019980027027 U KR2019980027027 U KR 2019980027027U KR 19980027027 U KR19980027027 U KR 19980027027U KR 200246925 Y1 KR200246925 Y1 KR 200246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ing
shaft
groov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7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764U (ko
Inventor
서정헌
Original Assignee
박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호진 filed Critical 박호진
Priority to KR2019980027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925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7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7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925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주택이나 아파트 현관의 출입문에 설치하는 출입문용 잠금 장치의 잠금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 잠금구를 걸어 잠근 후에는 잠금위치에서 보안을 완벽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잠금구는 열쇠 또는 상,하누름구(4a)(4b)의 누름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더(5) 및 슬라이더(5)의 승강에 따라 선회하여 잠금쇠(3)를 괘정 또는 해정시키는 회동레버(6)와; 상기 회동레버(8)를 잠그는 잠금봉과 연결되고 두부(8)의 양쪽으로 돌출된 버튼(10)의 조작으로 타원형 제어스프링의 돌부를 앞판(2)의 축홈(2b)에 걸어 잠그게 한 잠금구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앞판(2) 전,후 축홈(2a)(2b)사이의 양쪽에 형성한 걸림턱(22)과; 앞판(2)의 전,후 축홈(2a)(2b)에 목부가 끼워지는 잠금봉(28)과 일체형이며 내면 후측에 축홈(48)을 대칭형으로 형성한 두부(18)와; 상기 목부의 요홈(38)에 위치하는 돌기(19), 버튼(10)을 끼우는 돌부(39)가 외측으로 향하고 후단에는 축홍(48)에 축설치하는 구형의 축부(29)를 형성한 2개를 1조로 하여 대칭형으로 설치하는 걸림대(9)와; 걸림대(9)사이의 돌부(39) 내측에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걸림대(9)를 외측으로 밀어 내는 탄발스프링(11)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출입문용 잠금장치의 잠금구
본 고안은 일반주택이나 아파트 현관의 출입문에 설치하는 출입문용 잠금 장치의 잠금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서 잠금구를 걸어 잠근 후에는 잠금위치에서 보안을 완벽하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관에 설치하는 출입문은 대개가 힌지식 도어로서 밖에서 열쇠로 잠그는 잠금장치 외에도 방범 및 보안상의 안전을 고려하여 출입문의 안쪽에서 걸어 잠글 수 있는 별도의 잠금장치를 부착하고 있다.
이러한 출입문 잠금장치는 회동레버의 레버운동으로 잠금쇠를 승강시켜 괘정 또는 해정되도록 한 레버식이다.
레버식의 출입문 잠금장치는 문틈이나 출입문 하부에 마련된 소물투입구로 긴 막대기나 끝이 꼬부라진 철사 등의 비정상적인 도구를 집어넣어서 잠금구를 조작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실내에서 잠금구로 잠금쇠를 승강시키는 회동레버를 걸어 잠근 후에도 안심을 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잠금장치의 잠금쇠를 승강시키는 회동레버를 실내에서 완벽하게 걸어 잠글 수 있는 잠금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목적을 두고 안출된 잠금구가 본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8-2078호(이하 "선출원고안"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선출원고안은 회동레버의 뒤편에 잠금구를 헐겁게 끼워서 제한된 범위내에서 양쪽의 버튼을 눌러 제어스프링 양단의 돌부가 걸림턱을 벗어나게 한 후 축방향으로 전진시켜 잠그고, 잠금상태를 풀 때는 반대로 후진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잠금구는 두부와 통상의 잠금봉이 헐겁게 끼움식으로 연결되어 진퇴조작이 원활치 못하고, 제어스프링은 강선을 타원형으로 형성하여 걸림턱에 걸리는 양단의 돌부를 외측으로 절곡한 것이므로 버튼의 누르는 강도에 따른 각도차이로 오동작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측에서는 간단한 조작으로 잠금구를 잠글 수 있지만 외부에서는 잠금구의 조작이 불가능하고 오동작의 발생이 없으며, 잠금구를 잠근 후에는 잠금상태가 완벽하여 방범보안의 안전도가 높은 출입문용 잠금장치의 잠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적용한 출입문용 잠금장치의 잠금구는 걸림턱에 걸리는 돌기를 갖는 2개의 걸림대를 대칭형으로 그 후단을 축설치하여 탄발스프링에 의해 벌어지게 하고, 버튼을 눌러서 오므라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적용한 출입문 잠금장치의 이면도
도 2는 잠금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잠금구의 잠금상태를 보인 이면도
도 4는 잠금구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를 보인 이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분 횡단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잠금구 9 : 걸림대
11 : 탄발스프링 18 : 두부
19 : 돌기 28 : 잠금봉
29 : 축부 38 : 요홈
39 : 돌부 48 : 축홈
도 1에서, 잠금장치(1)는 앞판(2) 내부 일측에는 잠금쇠(3)와 열쇠 또는 상,하누름구(4a)(4b)의 누름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더(5) 및 슬라이더(5)의 승강에 따라 선회하여 잠금쇠(3)를 괘정 또는 해정시키는 회동레버(6)로 이뤄진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6)의 후단에는 고정축(12)에 코일부를 꽂아 일단을 상기 앞판(2)의 내벽면에 걸리게 한 토션스프링(7)의 타단을 걸어 회동레버(6)가 괘정위치 또는 해정위치로 전환될 때 그 방향으로 급이동시키고 이동한 후에는 안정감 있게 머물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도 이같은 구성요소를 전제로 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회동레버(6)의 후단이 위치하는 쪽의 앞판(2)상에는 잠금구(8)를 끼워 제한된 범위내에서 잠금구(8)를 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전,후 축홈(2a)(2b)과 이 전,후 축홈(2a)(2b)사이의 양쪽에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구(8)는 두부(18)와 잠금봉(28)이 일체형을 이루고 있으며, 잠금봉(28)의 뒤편에는 요홈(38)과 두부(18)의 내면 후측에는 걸림대(9)를 축설치하는 축홈(48)을 각각 양쪽에 대칭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걸림대(9)는 편편한 띠형의 철판제로서 2개를 1조로 하여 이뤄진다.
상기 걸림대(9)에는 선단에 외측으로 향하는 돌기(19)와 후단에 구형의 축부(29) 및 버튼(10)에 끼우는 돌부(39)를 형성하고 있다.
또, 대칭형으로 축설치되는 걸림대(9)사이에는 걸림대(9)를 외측으로 밀어 내어 버튼(10)을 튀어나오게 하는 탄발스프링(11)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잠금구(8)는 걸림대(9)의 돌부(39)에 버튼(10)을 끼우고 선단의 돌기(19)가 서로 외측을 향하는 상태로 요홈(38)에 위치하도록 후단의 축부(29)를 축홈(48)에 끼우면 버튼(10)은 버튼공에 걸터앉게 된다.
이 상태에서 양쪽의 버튼(10)내로 탄발스프링(11)을 압축시켜 그 양단을 끼워 대향하는 걸림대(9)를 벌어지게 한 후 덮개(20)을 씌우고 나사를 박아 고정시키면 잠금구(8)의 조립이 완료된다.
마지막으로 잠금구(8)를 잠금장치(1)의 앞판(2) 우측에 형성한 축홈(2a)에는 잠금봉(28)을, 축홈(2b)에는 목부를 끼우고 축홈(2a)사이의 잠금봉(28)에 클립(21)을 억지 끼움한 다음에 앞판(2)의 뒷부분에 덮판(도시생략)을 씌우고 가장자리에 나사를 박아 고정하면 비로소 잠금구(8)를 갖춘 잠금장치가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구(8)는 제한된 범위, 즉 걸림턱(22)과 축홈(2b)간의 이동거리에서 축방향으로 전진시켜 잠그고, 잠금상태를 풀 때는 반대로 후진시킨다.
도 3은 잠금구(8)를 축방향으로 전진시켜 회동레버(6)를 잠근상태이다.
잠금구(8)를 잠글 때는 두부(18) 양쪽으로 돌출된 버튼(10)을 눌러 대향하는 걸림대(9)가 축부(29)를 축지점으로 오므라지면서 돌기(19)가 요홈(38)내로 숨어든 상태에서 잠금구(8)를 축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잠금봉(28)의 전진으로 회동레버(6)가 멋대로 움직일 수 없도록 가두어지게 된다.
잠금봉(28)의 전진으로 회동레버(6)가 움직일 수 없도록 가둔 후에는 버튼(10)에서 손을 떼며, 손을 떼는 즉시 양쪽 버튼(10)은 탄발스프링(11)의 탄력에 의해 복귀됨에 따라 걸림대(9)가 양쪽으로 벌어져서 버튼(10)이 튀어나오고 이와 동시에 돌부(19)가 걸림턱(22)의 내면에 걸리게 되어 버튼(10)의 조작 없이는 후진을 불가능하게 한다.
도 4는 잠금구(8)를 후진시켜 회동레버(6)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이다.
잠금구(8)의 잠금상태를 해제할 때는 버튼(10)을 눌러 대향하는 걸림대(9)가 오므라지게 하여 돌부(19)가 걸림턱(22)의 내면을 벗어나게 한 후 축방향으로 후진시키고 버튼(10)에서 손을 떼면 된다.
본 고안을 적용한 잠금구는 실내측에서 버튼을 누른상태로 잠금구를 진퇴 시켜 회동레버를 잠글 수는 있지만 외부에서는 잠금구의 조작이 불가능하고 조작상 오동작의 발생이 없어 사용이 보다 편리하며, 잠금구를 잠근 후에는 잠금상태가 완벽하여 방범보안의 안전도가 높은 등의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열쇠 또는 상,하누름구(4a)(4b)의 누름조작에 의해 승강되는 슬라이더(5) 및 슬라이더(5)의 승강에 따라 선회하여 잠금쇠(3)를 괘정 또는 해정시키는 회동레버(6)와; 상기 회동레버(8)를 잠그는 잠금봉과 연결되고 두부(8)의 양쪽으로 돌출된 버튼(10)의 조작으로 타원형 제어스프링의 돌부를 앞판(2)의 축홈(2b)에 걸어 잠그게 한 잠금구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앞판(2) 전,후 축홈(2a)(2b)사이의 양쪽에 형성한 걸림턱(22)과;
    앞판(2)의 전,후 축홈(2a)(2b)에 목부가 끼워지는 잠금봉(28)과 일체형이며 내면 후측에 축홈(48)을 대칭형으로 형성한 두부(18)와;
    상기 목부의 요홈(38)에 위치하는 돌기(19), 버튼(10)을 끼우는 돌부(39)가 외측으로 향하고 후단에는 축홈(48)에 축설치 하는 구형의 축부(29)를 형성한 2개를 1조로 하여 대칭형으로 설치하는 걸림대(9)와;
    상기 걸림대(9)사이의 돌부(39) 내측에 탄력적으로 설치하여 걸림대(9)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발스프링(11)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용 잠금장치의 잠금구.
KR2019980027027U 1998-12-29 1998-12-29 출입문용잠금장치의잠금구 KR200246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027U KR200246925Y1 (ko) 1998-12-29 1998-12-29 출입문용잠금장치의잠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7027U KR200246925Y1 (ko) 1998-12-29 1998-12-29 출입문용잠금장치의잠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64U KR19990021764U (ko) 1999-06-25
KR200246925Y1 true KR200246925Y1 (ko) 2001-12-17

Family

ID=69505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7027U KR200246925Y1 (ko) 1998-12-29 1998-12-29 출입문용잠금장치의잠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92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6937B1 (ko) * 2007-06-28 2009-05-14 김영숙 서랍식 금고용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764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7364A (en) Sliding door lock assembly
US20110298225A1 (en) Auto Lock
US20030094818A1 (en) Vehicle door latch
JP2005533205A (ja) 扉の施錠装置
US20050151380A1 (en) Push-pull latch bolt mechanism
US3214948A (en) Latch for doors, window sashes and similar structures
KR200246925Y1 (ko) 출입문용잠금장치의잠금구
JP4514403B2 (ja) ラッチング機構
KR100638246B1 (ko) 도어의 잠금장치
KR100407480B1 (ko) 금고문 개폐장치
KR101455783B1 (ko) 조립성이 향상된 모티스 락
JPH049833Y2 (ko)
KR20180103380A (ko) 도어락 허브 및 이를 구비한 도어락 모티스
US4295349A (en) Door lock
JP4462625B2 (ja) 両開きドア
KR101923684B1 (ko) 푸쉬풀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해제를 위한 조립체
KR200248521Y1 (ko) 창문잠금장치
US11781346B2 (en) Latch structure
JP2838835B2 (ja) 電気錠
EP3546836B1 (en) An oven with a door locking mechanism
CA1121611A (en) Door lock
JPS5834209Y2 (ja) 落し錠
KR200481502Y1 (ko) 기능성 크리센트
KR200205785Y1 (ko) 도어용 손잡이
KR200216751Y1 (ko) 출입문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