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696Y1 -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 Google Patents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696Y1
KR200246696Y1 KR2020010019221U KR20010019221U KR200246696Y1 KR 200246696 Y1 KR200246696 Y1 KR 200246696Y1 KR 2020010019221 U KR2020010019221 U KR 2020010019221U KR 20010019221 U KR20010019221 U KR 20010019221U KR 200246696 Y1 KR200246696 Y1 KR 200246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tank
main body
sepa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만
Original Assignee
최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만 filed Critical 최수만
Priority to KR2020010019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6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696Y1/ko

Links

Landscapes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질환경 정화를 위한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에 관한 것으로, 오일 유출 사고발생시 물로 부터 오일을 신속하게 부상 분리시켜 오일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서 어장의 황폐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수질환경을 신속하게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에 기관실과 추진 장치등을 갖는 선박에서, 본체의 전면에 해치가 마련되고, 오일과 물이 동시에 유입되는 유입 탱크; 상기 유입 탱크의 후류측에서 상기 유입 탱크의 오일과 물을 펌프에 의해서 공급받아 이를 비중차이에 의해서 유수 분리시키는 유수분리탱크; 상기 유수 분리탱크측에서 부상 분리된 오일을 수거하는 오일 탱크부; 상기 유수분리탱크로 부터 오일이 제거된 물을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및 상기 유수 분리 탱크내에 물을 공급하여 본체가 일정수위로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유입 탱크측으로 오일과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수펌프등을 구비하여 물과 오일을 선박내에서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하고 오일을 수거하도록 된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SHIP OF SEMI-SUBMERSIBLE TYPE HAVING DEVICE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본 고안은 수질환경 정화를 위한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오일 유출 사고발생시 물로 부터 오일을 신속하게 부상 분리시켜 오일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서 어장의 황폐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수질환경을 신속하게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업발달에 따라서, 오일 소비량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오일을 수송하는 과정에서 해상 유류 오염사고가 증가하여 바다 오염과 강의 오염이 전세계적으로 큰 문제로 되어 있다. 이러한 오염사고는 기상의 악화 시, 대부분 발생하며 물에서 오일을 수거 처리하는 1차 처리로 마무리 하지 못하고, 오일이 육지로 흘러 들어 2차 피해를 주는 등의 재난을 유발한다.
물에서 오일 수거처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이유는 신속하게 대용량으로 오일을 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없었기 때문이며, 그에 따라서 현재에는 오일 중화제를 살포하거나, 오일 흡입포를 물에 던져 오일을 빨아 들이고, 이를 다시 수거하여 별도로 처리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다.
또는, 오일이 떠 있는 물위에 오일 펜스등을 설치하여 물상부에 오일을 모아 두고, 오일 부분을 배에서 거둬들여 별도의 유수분리기로서 오일을 제거하는 방식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일제거방식에서 오일 흡입포 살포방식은 많은 작업인력이 필요하지만, 오일제거효과가 미비하여 대형 사고시에는 부적합한 방식이다. 그리고, 오일 중화제의 투입방식은 대형사고처리에는 유효하지만, 바다 플랑크톤이나, 바다 생물의 피해를 초래하여 어장의 황폐화를 일으킨다.
또한, 오일 펜스에 오일을 모아 이를 흡입하는 방식은 배를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점과 파도가 높으면 작업에 방해를 받아 오일제거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등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오일 유출 사고발생시 물로 부터 오일을 신속하게 부상 분리시켜 오일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서 어장의 황폐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수질환경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 다이아 그램;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에 갖춰진 유수분리기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에 갖춰진 슬라이딩 칸막이벽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이 부력 조절용기구를 구비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을 도시한 플로우 다이아 그램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선박 본체 7..... 기관실
10.... 추진장치 12a,12b.... 집수날개
13a,13b... 회동실린더 20.... 선수 해치
22.... 승강 실린더 25.... 해치도어
30.... 유수분리탱크 35.... 제 1차단벽
37.... 제 2차단벽 40.... 분리벽
41.... 하판 45.... 승강판
50.... 구동실린더 60.... 오일 탱크부
64.... 1차 오일탱크 68.... 2차 오일탱크
72.... 3차 오일탱크 80.... 배수관
90.... 급수탱크 92.... 로프
97.... 부력 조절용 탱크 110... 배수탱크
120... 드레인 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에 기관실과 추진 장치등을 갖는 선박에 있어서, 본체의 전면에 해치가 마련되고, 오일과 물이 동시에 유입되는 유입 탱크; 상기 유입 탱크의 후류측에서 상기 유입 탱크의 오일과 물을 펌프에 의해서 공급 받아 이를 비중차이에 의해서 유수 분리시키는 유수분리탱크; 상기 유수 분리탱크측에서 부상 분리된 오일을 수거하는 오일 탱크부; 상기 유수분리탱크로 부터 오일이 제거된 물을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및, 상기 유수분리탱크내에 물을 공급하여 본체가 일정수위로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유입 탱크측으로 오일과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수펌프등을 구비하여 물과 오일을 선박내에서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하고 오일을 수거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을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1)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 내측에 기관실(7)과 추진장치(10)등을 갖추고, 상기 본체(5)의 전면에는 선박의 전진시 오일과 물을 중앙으로 유도할 수 있는 집수날개(12a)(12b)가 본체(5)의 전면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집수날개(12a)(12b)가 펼쳐지는 경우, 선수 전방측은 그 폭(w1)이 넓고, 해치측으로 갈수록 그 폭(w2)이 좁아져서 오일과 물이 동시에 유도되어 선수 해치(20)로 안내되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집수 날개(12a)(12b)는 각각 선박 본체(5)의 양측면에 힌지축(11)을 구비하고, 집수 날개(12a)(12b)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13a)(13b)를 본체(5)양측에 각각 갖추며, 그 로드(14a)(14b)들이 집수날개(12a)(12b)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집수날개(12a)(12b)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집수날개(12a)(12b)는 본체(5)측으로 접혀 보관되는 경우, 선수와 동일하게 유선형의 선단을 형성하게 됨으로서, 선박의 전진시에 저항을 최소화하여 선박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 탱크(15)는 내측에 수위검출센서(17) 또는 레벨 스위치(level switch)를 갖추고, 상기 수위검출센서(17)에 의해서 높낮이가 조절되는 선수해치(20)를 가지며, 상기 선수해치(20)는 유압실린더(22)에 의해서 상하로 승 하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유입 탱크(15)는 선수해치(20)가 하강하여 그 해치(20)공간이 열리면 오일과 물이 유입되고, 이는 유입 탱크(15)내를 차오르면서 그 수위가 수위검출센서(17)에 의해서 검출되고, 수위가 일정수준이상으로 차오르면, 상기 해치(20)가 상승되어 오일과 물의 유입을 막도록 작동하는 그러한 구조이다.
한편, 상기 선수해치(20)는 유압실린더(22)가 해치 도어(25)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도어(25)를 상하로 승하강시키고, 도어(25)의 중앙 물 유입구(25a)를 통하여 오일과 물이 유입 탱크(15)의 개방구(15a)로 유입하도록 하는 상부개방식의 구조이다. 즉, 상기 도어(25)는 그 중앙에 물 유입구(25a)가 형성되고, 그 하부측으로는 유입 탱크(15)의 개방구(15a)를 막아주는 차단판(25b)이 형성되며, 상기 물 유입구(25a)의 상부측으로 연결판(25c)이 형성되어 유압실린더(22)의 로드(22a)가 연결됨으로서 도어(25)의 상,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는, 도어(25)가 이와 같이 상부개방식으로 하여야만 오일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물이 외부로 부터 유입 탱크(15)측으로 유입됨으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오일수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입 탱크(15)의 후류측에서 상기 유입 탱크(15)의 오일과 물을 펌프(27)에 의해서 공급받아 이를 비중차이에 의해서 유수 분리시키는 유수분리탱크(30)를 갖는 바, 상기 유수분리탱크(30)는 도 3및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펌프(27)에 연결된 유입구(32)가 전방측에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제 1차단벽(35)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차단벽(35)은 유수분리탱크(3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유로(35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차단벽(35)에 일정거리를 두고서 제 2차단벽(37)이 하측에 유로(37a)를 갖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차단벽(35)과 제 2차단벽(37)의 사이에는 승하강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분리벽(40)이 위치된다. 상기 분리벽(40)은 중앙에 물 통과구멍(45a)이 형성되고, 그 상부측으로는 프레임(45b)이 위치되며, 물 통과구멍(45a)의 하부측으로는 차단판(45c)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수분리탱크(30)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하부측에하판(41)이 고정되고, 그 상부측으로 승강판(45)의 물 통과구멍(45a)과 프레임(45b)이 배치되며, 상기 하판(41)에 중첩하도록 차단판(45c)이 갖춰지며, 상기 승강판(45)은 유수분리탱크(30)의 내측 양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레일(42)을 따라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그 상부측으로는 상기 승강판(45)을 구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실린더(50)가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50)의 로드(50a)가 승강판(45)의 프레임(45b)에 고정되어 승강판(45)을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 실린더(50)의 작동은 승강판(45)을 상하로 이동시켜 유로가 형성되는 물 통과구멍(45a)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분리벽(40)을 통과하여 흐르는 물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수분리탱크(30)의 측방에는 유수분리탱크(30)측에서 부상 분리된 오일을 수거하는 오일 탱크부(60)를 갖는 바, 상기 오일 탱크부(60)는 유수분리탱크(30)의 측방에 위치되고, 유수분리탱크(30)의 다수의 측방 오일 유출관(62a)(62b)(62c)으로 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받는 1차 오일탱크(64)를 갖추며, 상기 1차 오일탱크(64)로 부터 펌프(66)를 통하여 오일을 수거하는 2차 오일탱크(68)를 선박의 상부측에 갖추는 한편, 상기 2차 오일탱크(68)로 부터 펌프(70)를 통하여 오일을 받는 별도 선박의 3차 오일탱크(72)를 갖는다.
이러한 오일 탱크부(60)는 유수분리탱크(30)의 측방에 일정한 높이차를 유지하면서 각각 자동개폐밸브(74)들을 갖는 다수의 오일 유출관(62a)(62b)(62c)들 중의 어느 하나를 통하여 유수분리탱크(30)의 오일이 외부로 유출되면, 1차 오일탱크(64)가 이를 받고, 수위 검출계(76)를 통하여 오일이 1차 오일탱크(64)내에 가득 찬 것을검출하면, 펌프(66)가 작동되어 2차 오일탱크(68)로 오일을 펌핑하며, 2차 오일 탱크(68)에서는 일정시간 간격으로, 또는 오일 수거량에 따라서, 펌프(70)가 작동되어 별도 선박의 3차 오일 탱크(72)로 오일을 이송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수분리탱크(30)에는 이로부터 오일이 제거된 물을 본체(5)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80)이 유수분리탱크(30)의 후방측으로 설치되는 바, 이는 유수분리탱크(30)내에서 오일이 분리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오일 유출관(62a)(62b)(62c)보다 다소 낮은 위치에서 다수개가 상하방향으로 높이차이를 두고, 그리고 자동개폐밸브(80a)들을 갖고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수분리탱크(30)내에 물을 공급하여 본체(5)가 일정수위로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유입 탱크(15)측으로 오일과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수펌프(90)등을 갖춘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의 작동초기에 상기 유수분리탱크(30)내에 이러한 물과 오일이 유입할 수 있도록 본체(5)의 수위를 낮춰준다. 즉, 유수분리탱크(30)내에 오일과 물이 차 있지 않은 경우라면, 선박은 부력이 크게 되어 물위에 높게 뜨게 되어 수거하고자 하는 오일과 물이 선박의 유입 탱크(15)측으로 유입되지 못하지만, 상기 급수펌프(90)를 통하여 유수분리탱크(30)내에 물과 오일이 차게 되면, 선박의 부력이 작아지게 되어 선박의 정해진 부분까지 물에 잠기게 되며, 이때 선수 해치(20)를 열면 유입 탱크(15)측으로 오일과 물이 유입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92)는 선박끼리 이어주는 로프이고, (120)은 유수분리탱크의 드레인 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오일유출사고가 발생하여 물(해수)에 오일이 다량 분포된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오일 유출 현장에서, 급수펌프(90)를 이용하여 유수분리탱크(30)에 오일과 물을 충진하게 되면, 본 고안의 선박 본체(5)는 부력이 작아지게 되어 본체(5)의 하단부로 부터 대략 1/3 내지 1/2 정도까지 물속에 잠기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유입 탱크(15)부분의 해치(20)를 열면서 선박이 전진하게 되면, 선박의 선수측에서 마련된 집수날개(12a)(12b)를 통하여 오일과 물이 해치(20)측으로 유도되고, 열려진 해치(20)를 통하여 오일과 물이 유입 탱크(15)에 담겨지게 되며, 이와 같이 담겨진 오일과 물은 서로 혼합된 상태에서 펌프(27)를 통하여 유수분리탱크(30)로 공급된다.
상기 유수분리탱크(30)에서는 이미 본체(5)의 높낮이를 조정하기 위해 담겨져 있던 오일과 물에 더하여 지고, 이는 유수분리탱크(30)내에서 비중차이에 의해 오일은 상부측에 다량 분포되고, 물은 하부측에 분포되며, 물은 제 1차단벽(35)의 하부공간(35a)을 통하여 분리벽(40)으로 유입되어 분리벽(40)의 물 통과구멍(45a)를 타고 넘어서 제 2차단벽(37)의 하부공간(37a)을 통하여 흘러 배수관(80)측에서 배수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유수분리탱크(30)내에서는 오일이 제 1차단벽(35)에 막히어 배수관(80)측으로 흐르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다가, 오일 유출관(62a)(62b)(62c)중의 어느 하나의 레벨에 도달되면, 이는 유수분리탱크(30)의 측방에 있는 1차 오일탱크(64)측으로 유출되어 오일만이 수집되고,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지는 물과 오일에 의해서 물은 배수관(80)측으로, 오일은 오일 유출관(62a)(62b)(62c)중의 어느하나를 통하여 오일 탱크부(60)측으로 각각 분리 수거된다.
그리고, 1차 오일탱크(64)측에서는 일정 레벨이상으로 오일이 차게 되면, 이는 펌프(66)를 통하여 2차 오일탱크(68)측으로 수거되고, 2차 탱크(68)측에서는 별도의 선박에 마련된 대형 3차 오일탱크(72)측으로 오일을 이송하여 수거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분리벽(40)은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여 그 높낮이를 조절하고, 물 흐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유수분리탱크(30)내에 담겨지는 오일과 물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는 오일 층이 두껍게 형성된 오염지역에서 유수분리탱크(30)내에 오일과 물을 많이 채우게 되면, 단위시간당 오일 수거량은 많아지게 되지만, 선박의 전진속도가 저하되어 넓은 지역의 오일제거가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오일층이 얇게 형성된 오염지역에서 분리벽(40)의 높이를 낮추면 유수분리탱크(30)내에 오일과 물이 적게 담겨져서, 선박이 가볍게 되어 전진속도가 빠르게 되고, 단시간 내에 넓은 지역을 이동하면서 오일을 분리 수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업 후, 선박을 귀환시키고자 할 때는 분리벽(40)의 높이를 최대로 하여 최대한 많은 량의 오일과 해수를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분리벽(40)의 높낮이가 조정되어 유수분리탱크(30)에 담는 오일과 물의 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는, 이에 연동하여 다수의 오일 유출관(62a)(62b)(62c)과 배수관(80)에 장착된 자동개폐밸브(74)(80a)들을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분리벽(40)의 현재 높이에 맞는 오일 유출관(62a)(62b)(62c)에서 오일의 유출이 일어나도록 하고, 그 보다 낮은 높이의 오일 유출관(62a)(62b)(62c)의 밸브들은 잠궈서 효과적으로 분리벽(40)의 높이에 연동하여 적절한 높이에서 유수분리탱크(30)로 부터 1차 오일탱크(64)로 오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배수관(80)을 통한 원활한 물 배출을 이루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유수분리탱크(30)에 급수펌프(90)를 통하여 물을 충전하여 본체(5)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조와 작용효과가 도시 되어 있지만, 도 6에는 이와는 다르게 별도의 부력조절용 탱크(97)들을 본체(5)에 갖추고, 유수분리탱크(30) 내에는 유입 탱크(15)로 부터 제공되는 오일과 물만이 담겨서 유수분리가 이루어지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별도의 선박에 장착된 3차 오일탱크(72)를 갖추어 수거된 오일을 처리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은 3차 오일탱크(72)없이 2차 오일탱크(68)의 용량을 증대시켜 동작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부력 조절용 탱크(97)들을 갖는 구조는 유수분리탱크(30)의 하부측에 다수의 부력 조절용 탱크(97)들이 위치되며, 이들 탱크(97)에는 급수펌프(90)들이 연결되어 탱크(97)내에 물을 충전하게 됨으로서 본체(5)의 부력을 작게 하고, 부력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배수펌프(110)들을 통하여 부력 조절용 탱크(97)들로 부터 물을 배수시킴으로서 본체(5)의 부력을 회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부력 조절용 탱크(97)를 통하여 높이가 조절된 선박은 전진하면서 오일과 물을 유입 탱크(15)측으로 유입시키고, 유수분리탱크(30)를 거쳐서 오일과 물을 분리한 다음, 오일은 오일 탱크부(60)에서 수거하고, 물은 배수관(80)을 통하여 본체(5)의 외측으로 배수시킴으로서 오일분리수거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오일 유출 사고의 발생시 본 고안의 선박이 오일 유출부분을 전진이동하면서 오일과 물을 선박본체(5)의 유수분리탱크(30)로 유입시키고, 물로 부터 오일을 신속하게 부상 분리시켜 오일을 연속으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어장의 황폐화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수질환경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7)

  1. 본체(5)에 기관실(7)과 추진장치(10)등을 갖는 선박에 있어서,
    본체(5)의 전면에 해치(20)가 마련되고, 오일과 물이 동시에 유입되는 유입 탱크(15); 상기 유입 탱크(15)의 후류측에서 상기 유입 탱크(15)의 오일과 물을 펌프(27)에 의해서 공급받아 이를 비중차이에 의해서 유수 분리시키는 유수분리탱크(30);
    상기 유수분리탱크(30)측에서 부상 분리된 오일을 수거하는 오일 탱크부(60);
    상기 유수분리탱크(30)로 부터 오일이 제거된 물을 본체(5)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관(80);및 상기 유수분리탱크(30)내에 물을 공급하여 본체(5)가 일정수위로 낮아지도록 하여 상기 유입 탱크(15)측으로 오일과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수펌프(90)등을 구비하여 물과 오일을 본체(5)내에서 비중차이에 의해 분리하고 오일을 수거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치(20)는 유압실린더(22)가 해치 도어(25)의 상부측에 위치되어 도어(25)를 상하로 승하강시키고, 도어(25)의 물 유입구(25a)와 차단판(25b)을 통하여 유입탱크(15)의 개방구(15a)가 상부측부터 열리도록 하여 오일과 물을 유입 탱크(15)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서 오일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물이 유입 탱크(15)측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오일수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탱크(30)는 펌프(27)에 연결된 유입구(32)가 전방측에 형성되고, 중간부분에는 유수분리탱크(30)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유로(35a)가 형성된 제 1차단벽(35)이 형성되며, 상기 제 1차단벽(35)에 일정거리를 두고서 제 2차단벽(37)이 하측에 유로(37a)를 갖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차단벽(35)과 제 2차단벽(37)의 사이에는 승하강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부측에 유로가 형성되는 분리벽(40)이 위치되어, 유수분리탱크(30)내의 오일이 제 2차단벽(37)후방의 배수관(80)측으로 유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비중 분리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40)은 중앙에 물 통과구멍(45a)이 형성되고, 그 상부측으로는 프레임(45b)이 위치되며, 물 통과구멍(45a)의 하부측으로는 차단판(45c)이 형성되는 승강판(45)을 갖추며, 상기 유수분리탱크(30)의 양측면을 가로지르도록 하부측에 하판(41)이 고정되고, 그 상부측으로 승강판(45)의 물 통과구멍(45a)과 프레임(45b)이 배치되며, 상기 하판(41)에 중첩하도록 차단판(45c)이 갖춰지고, 상기 승강판(45)은 유수분리탱크(30)의 내측 양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 레일(42)을 따라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그 상부측으로는 상기 승강판(45)을 구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실린더(50)가 배치되고, 상기 구동 실린더(50)의 작동은 승강판(45)을 상하로 이동시켜 유로가 형성되는 물 통과구멍(45a)의 높낮이를 조정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분리벽(40)을 통과하여 흐르는물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탱크부(60)는 유수분리탱크(30)의 측방에 위치되고, 유수분리탱크(30)의 다수의 측방 오일 유출관(62a)(62b)(62c)으로 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받는 1차 오일탱크(64)를 갖추며, 상기 1차 오일탱크(64)로 부터 펌프(66)를 통하여 오일을 수거하는 2차 오일탱크(68)를 선박의 상부측에 갖추는 한편, 상기 2차 오일탱크(68)로 부터 펌프(70)를 통하여 오일을 받는 별도 선박의 3차 오일탱크(72)를 갖추어, 유수분리탱크(30)의 오일을 외부로 이송 배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에는 다수의 부력 조절용 탱크(97)들을 갖추고 상기 탱크(97)에는 급수펌프(90)들이 연결되어 탱크(97)내에 물을 충전하게 됨으로서 본체(5)의 부력을 작게 하고, 배수펌프(110)들을 통하여 부력 조절용 탱크(97)들로 부터 물을 배수시킴으로서 본체(5)의 부력을 회복하며, 상기 유수분리탱크(30)내에는 유입 탱크(15)로 부터 제공되는 오일과 물이 담겨져서 유수분리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5)의 전면에는 선박의 전진시, 오일과 물을 중앙으로 유도할 수 있는 집수 날개(12a)(12b)가 본체(5)의 전면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집수 날개(12a)(12b)는 각각 선박 본체(5)의 양측면에 힌지축(11)을 구비하고, 집수 날개(12a)(12b)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실린더(13a)(13b)를 본체(5)양측에 각각 갖추며, 그 로드(14a)(14b)들이 집수 날개(12a)(12b)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집수 날개(12a)(12b)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집수날개(12a)(12b)는 본체(5)측으로 접혀 보관되는 경우, 선수와 동일하게 유선형의 선단을 형성하게 됨으로서, 선박의 전진시에 저항을 최소화하여 선박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KR2020010019221U 2001-06-26 2001-06-26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KR200246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221U KR200246696Y1 (ko) 2001-06-26 2001-06-26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221U KR200246696Y1 (ko) 2001-06-26 2001-06-26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696Y1 true KR200246696Y1 (ko) 2001-10-17

Family

ID=7310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221U KR200246696Y1 (ko) 2001-06-26 2001-06-26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6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389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covering one or more contaminants from a body of water
US48511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low density liquids in surface water
US4554070A (en) Weir-type skimmer employing a wave diffuser
CA1074710A (en) Polluting oil recovery apparatus
US3700107A (en) Apparatus for recovery of floating substances
CN106864682B (zh) 大水域蓝藻及漂浮物自动清理船
US8318012B2 (en) Barge oil skimmer
US5066407A (en) Petrochemical recovery machine
KR100944399B1 (ko) 부상수문이 구비된 청항선
KR101102359B1 (ko) 청항선
FI123745B (fi) Laitteisto ja menetelmä materiaalin keräämiseksi vesistöstä
NO347206B1 (en) A marine vessel and a method for removing debris particles from a water column
US4597863A (en) Hydrocarbon recovery system
KR101246897B1 (ko) 수상오염 방제선박
KR200246696Y1 (ko) 반 잠수식 오염방제 선박
CN206654165U (zh) 大水域蓝藻及漂浮物自动清理船
KR102204377B1 (ko) 유수분리장치를 이용한 방제시스템
KR100340219B1 (ko) 부유물 제거 선박
CH617864A5 (en) Apparatus for recovering oil
WO2005110927A1 (en) Scum skimmer
KR102606378B1 (ko) 해양 오염원 회수용 선박
EP0090041A4 (en) HYDROCARBON RECOVERY SYSTEM.
JPH115591A (ja) 水上浮遊物回収船および水上浮遊物回収方法
KR102457560B1 (ko)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KR101728209B1 (ko) 기름 방재 및 기름 회수용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